KR101821779B1 - 파우더 클러치 - Google Patents

파우더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79B1
KR101821779B1 KR1020170104855A KR20170104855A KR101821779B1 KR 101821779 B1 KR101821779 B1 KR 101821779B1 KR 1020170104855 A KR1020170104855 A KR 1020170104855A KR 20170104855 A KR20170104855 A KR 20170104855A KR 101821779 B1 KR101821779 B1 KR 10182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heel
sleeve
support bearing
housing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7/00Clutches in which the drive is transmitted through a medium consisting of small particles, e.g. centrifugally speed-responsive
    • F16D37/02Clutches in which the drive is transmitted through a medium consisting of small particles, e.g. centrifugally speed-responsive the particles being magnetis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7/00Clutches in which the drive is transmitted through a medium consisting of small particles, e.g. centrifugally speed-responsive
    • F16D2037/002Clutches in which the drive is transmitted through a medium consisting of small particles, e.g. centrifugally speed-responsive characterised by a single substantially axial gap in which the fluid or medium consisting of small particles is arr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타측에 대해 슬리브의 타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 입력휠에 대해 슬리브의 일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 및 하우징에 대해 입력휠을 지지하는 입력휠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출력축의 타측을 축 삽입하여 고정하는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베어링을 배치함에 따라, 측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는 출력축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베어링 각각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우더 클러치{POWDER CLUTCH}
본 발명은 파우더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출력축의 타측을 축 삽입하여 고정하는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베어링을 배치함에 따라, 측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는 출력축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베어링 각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파우더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클러치라 하면, 구상분말을 이용하여 일측 회전축을 타측 회전축으로 동력 전달시 토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파우더 클러치는 프론트 하우징의 중심에 베어링을 개입하여 축착하되, 내단에 클러치휠을 고정한 출력축과, 입력축의 중심에 베어링을 개입하여 축착하되, 드럼부의 외주면 사이에 Fe, Al, Cr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구상분말을 투입시킨 후, 코일로 자기장을 발생시켜, 원통부의 내주면과 드럼부의 외주면 사이에서 쇄상(鎖狀)으로 연결되어 마찰력이 발생되었을 때, 입력축의 동력이 출력축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파우더 클러치에 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17562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파우더 클러치는 벨트나 풀리 등에 의해 출력축에 측방향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출력축을 지지하는 특정 베어링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출력축의 타측을 축 삽입하여 고정하는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베어링을 배치하여,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을 포함한 복수의 위치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측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는 출력축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베어링 각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파우더 클러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베어링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에 구비되는 입력휠을 복수 개로 나눠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자 하는 파우더 클러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방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방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범위에 걸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연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입력휠; 상기 연통홀에 구비되는 슬리브;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대해 상기 슬리브의 타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 상기 방열부에서, 상기 입력휠에 대해 상기 슬리브의 일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입력휠을 지지하는 입력휠 지지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휠은, 상기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해 제 1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열부에 배치되는 이너입력휠; 상기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너입력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입력휠 지지 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부를 형성하는 미들입력휠; 및 상기 입력휠 지지 베어링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들입력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아우터입력휠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입력휠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미들입력휠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에 축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를 둘레면에 고정하는 출력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입력휠의 해당 부위에 대해 상기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력축 지지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연통홀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중에 선택적으로 축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출력축의 타측을 축 삽입하여 고정하는 슬리브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베어링을 배치하여,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을 포함한 복수의 위치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측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는 출력축의 일측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베어링 각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입력휠을 복수 개로 나눠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출력축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베어링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10)는 하우징(20), 입력휠(100), 슬리브(30) 및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axial direction support bearing unit,15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파우더 클러치(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직선상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21)을 통공한다. 그리고, 하우징(20)은 내부에 연통홀(21)과 연결되는 방열부(22)를 형성한다. 물론, 하우징(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20)은 방열부(22)에 입력휠(100)과 슬리브(30) 등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 1하우징(23)과 제 2하우징(24)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제 1하우징(23)과 제 2하우징(24)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 1하우징(23)은 연통홀(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 2하우징(24)은 연통홀(21)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1하우징(23)과 제 2하우징(24)은 사이에 마그네트 코일부(25)를 구비한다. 마그네트 코일부(25)는 체결부재(26)에 의해 제 1하우징(23)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체결부재(26)에 의해 제 2하우징(2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체결부재(26)는 볼트나 스크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마그네트 코일부(25)는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입력휠(100)이 슬리브(3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입력휠(100)은 하우징(20)의 방열부(22) 내측에 형성된다. 특히, 입력휠(100)은 연통홀(21)을 통해 방열부(22)에서 하우징(20)의 일측으로 돌출(노출)되는 범위에 걸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즉, 입력휠(100)은 방열부(22)에 배치되고, 제 1하우징(23)의 연통홀(21)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입력휠(100)은 마그네트 코일부(25)와 상호 작용으로 연통홀(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 안내된다.
또한, 슬리브(30)는 연통홀(21)에 삽입된다. 그리고, 방열부(22) 내부에서, 입력휠(100)이 방열부(22)의 내측을 에워싼 채 연통홀(21) 방향으로 개방되고, 슬리브(30)는 입력휠(100)의 개방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방열부(22)는 입력휠(100)과 슬리브(30)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폐공간(32)을 형성한다.
폐공간(32)에는 Fe, Al, Cr 등의 금속이나 합금을 성분으로 하는 구상분말(34)이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은 방열부(22)의 내측을 향하도록 마그네트 코일부(2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마그네트 코일부(25)는 외부의 전원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폐공간(32) 내의 구상분말(34)을 자화하여 응집시키게 된다.
또한, 방열부(22) 내에는 모터와 같은 외부의 회전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게 되는 입력휠(100)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마그네트 코일부(25)에 통전이 되었을 때 입력휠(100)과의 사이에 응집되는 구상분말(34)에 의해 입력휠(100)과 마찰 접촉하게 됨으로써 입력휠(100)과 연동하게 되는 출력휠(36)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휠(36)은 슬리브(30)에 연결되는데, 슬리브(30)는 하우징(20) 특히, 제 2하우징(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하우징(23) 내부의 입력휠(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구동장치로부터 입력휠(100)로 제공된 회전동력이 출력휠(36)로 전달된 후 컨베이어와 같은 외부의 동력사용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게 된다.
물론, 출력휠(36)은 슬리브(3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슬리브(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출력휠(36)은 다양한 방식으로 슬리브(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방열부(22) 내측의 입력휠(100)은 슬리브(30)의 둘레면에 지지된 채 회전됨에 따라 회전에 따른 진동이 방지된다.
한편, 슬리브(30)는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이 제 2하우징(24)의 연통홀(21)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입력휠(100)의 해당 부위에 안정적으로 접하여 지지된다. 그래서, 슬리브(30)가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지려는 측방향 외력이 작용시에도, 슬리브(30)의 중심축과 연통홀(21)의 중심축이 최대한 일치될 수 있다.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150)은 연통홀(21)의 중심축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전체에 걸쳐 설정 위치에 각각 지지 베어링(200,300,400)을 배치하여 형성된다. 이는, 슬리브(30)와 입력휠(100)이 하우징(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고른 측압을 받도록 함으로써 슬리브(30)와 입력휠(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세히,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150)은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 및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을 포함한다.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이 하우징(20)의 타측, 특히 제 2하우징(24)에 대해 슬리브(30)의 타측 둘레면을 지지한다. 그래서,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은 제 2하우징(24)의 연통홀(21) 내측면과 슬리브(30)의 축 방향으로 타측 가장자리 둘레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은 방열부(22)에서, 입력휠(100)에 대해 슬리브(30)의 일측 둘레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은 제 1하우징(23) 내측의 방열부(22)에 위치하는 입력휠(100)과 슬리브(30)의 축 방향으로 일측 가장자리 둘레면 사이에 배치된다.
즉,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과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은 출력휠(36)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슬리브(30)의 축 방향으로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과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의 크기와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입력휠(100)의 해당 부위는 하우징(20)의 일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은, 하우징(20)의 일측 특히 제 1하우징(23)의 연통홀(21) 내측에서, 제 1하우징(23)에 대해 입력휠(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슬리브(30)는 타측 가장자리가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에 의해 제 2하우징(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 가장자리가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에 의해 해당 부위의 입력휠(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설치 상태를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슬리브(30)가 축 방향으로 양측이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과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에 지지됨에 따라,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과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되는 것 대비,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과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그리고, 연통홀(21)을 통해 제 1하우징(2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입력휠(100)이 제 1하우징(23)에 대해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제 1하우징(2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입력휠(100)은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에 지지되어 회전시 진동 방지된다. 아울러,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은 제 1하우징(2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입력휠(100)이 편심되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과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은 제 1하우징(23) 내측에 용이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그래서, 입력휠(100)은 복수 개로 나뉘어진 채 서로 조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입력휠(100)은 이너입력휠(110), 미들입력휠(120) 및 아우터입력휠(130)을 포함한다.
이너입력휠(110)은 제 1하우징(23)과 제 2하우징(24)에 걸쳐진 방열부(22)에 형성되고, 연통홀(21) 측으로의 개방측이 슬리브(30)에 의해 막혀 내부에 폐공간(32)을 형성한다.
이때, 이너입력휠(110)은, 후술할, 출력휠(36)을 폐공간(32) 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복수 개로 분리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입력휠(110)은 슬리브(30)의 둘레면에 지지된 채 회전된다. 특히, 이너입력휠(110)은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을 삽입하기 위해 제 1삽입부(112)를 형성한다. 제 1삽입부(112)는 슬리브(30) 측으로 개방되고, 미들입력휠(120) 측으로 개방된다.
미들입력휠(120)은 제 1하우징(23)의 연통홀(21) 개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이너입력휠(110)에서 연장된다. 특히, 미들입력휠(120)은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너입력휠(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미들입력휠(120)과 이너입력휠(110)은 제 2결속부재(12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미들입력휠(120)은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을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부(122)를 형성한다. 제 2삽입부(122)는 제 1하우징(23)의 연통홀(21)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고, 아우터입력휠(130)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우터입력휠(130)은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미들입력휠(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미들입력휠(120)과 아우터입력휠(130)은 제 3결속부재(134)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아우터입력휠(130)은 제 1하우징(2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동력전달요소 등에 연결된다. 이때, 아우터입력휠(130)도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에 지지된다.
특히, 아우터입력휠(130)은 연결되는 동력전달요소(도시하지 않음)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미들입력휠(120)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10)는 호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슬리브(30)는 기존 파우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클러치(10)는 하우징(20), 입력휠(100), 슬리브(30), 출력축(40) 및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150)을 포함한다.
하우징(20), 입력휠(100) 및 슬리브(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출력축(40)은 연통홀(21)에 축 삽입되게 배치되고, 슬리브(30)와 결합 또는 용접된다. 그래서, 슬리브(30)가 회전시, 출력축(40)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예로서, 출력축(40)은 슬리브(30)의 일측으로 설정 거리만큼 강제 삽입 후, 와셔(42)가 슬리브(30)의 타측 테두리에 접한 상태에서, 스크류(44)가 와셔(42)에 삽입되며 출력축(40)의 타측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스크류(44)가 와셔(42)를 가압함으로써, 와셔(42)는 슬리브(30)에 밀착된다. 따라서, 슬리브(30)와 출력축(4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평시에는, 회전구동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파우더 클러치(10)의 입력휠(100)로 전달되는 한편, 마그네트 코일부(25)에 통전이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20)의 방열부(22) 내에 충진된 구상분말(34)이 자속에 따라 출력휠(36)과 입력휠(100)의 사이에서 사슬 모양으로 응집되면서 출력휠(36)을 입력휠(100)과 마찰 접촉시켜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슬리브(30)를 통해 출력휠(36)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축(40)도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출력축(40)을 통해 외부의 동력사용장치로 동력이 전달된다.
반면에, 마그네트 코일부(25)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구상분말(34)이 분산되어 입력휠(100)만 회전하고, 출력휠(36)은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출력축(40)과 동력사용장치로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동력사용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축(40)이 제대로 회전할 수 없게 됨으로써, 출력축(40)에 제동력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코일부(25)의 통전이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 1하우징(23)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아우터입력휠(130)과 출력축(40) 사이에는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이 배치된다.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은 아우터입력휠(130)과 출력축(40) 각각의 회전시 상호 지지함에 따라 아우터입력휠(130)과 출력축(40)의 진동을 방지한다.
특히, 출력축(40)은 일측이 벨트나 풀리 등에 의해 동력사용장치에 연결됨에 따라, 출력축(40)의 일측은 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작용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출력축(40)은 연통홀(21)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지려는 힘을 작용 받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150)은 연통홀(21)의 중심축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전체에 걸쳐 설정 위치에 각각 지지 베어링(200,300,400,500)을 배치하여 형성된다. 이는, 슬리브(30)와 입력휠(100) 및 출력축(40)이 하우징(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고른 측압을 받도록 함으로써 슬리브(30)와 입력휠(100) 및 출력축(4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세히,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150)은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 및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을 포함한다.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 및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이 출력축(4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전체에 걸쳐 설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출력축(40)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출력축(4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 전체에 걸쳐 설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되는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200),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300), 입력휠 지지 베어링(400) 및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 각각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이때, 아우터입력휠(130)은 출력축 지지 베어링(500)을 수용하기 위해 제 3삽입부(13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출력축(40)은 연통홀(21)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중에 선택적으로 축 삽입 가능함에 따라, 동력사용장치의 레이아웃에 따라, 출력축(40)이 자유롭게 하우징(2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파우더 클러치 20: 하우징
21: 연통홀 22: 방열부
30: 슬리브 34: 구상분말
36: 출력휠 40: 출력축
100: 입력휠 110: 이너입력휠
120: 미들입력휠 130: 아우터입력휠
200: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 300: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
400: 입력휠 지지 베어링 500: 출력축 지지 베어링

Claims (6)

  1.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방열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외력에 의해 상기 연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입력휠; 상기 연통홀에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입력휠을 연결하는 슬리브; 및 상기 연통홀의 중심축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에 걸쳐 설정 위치에 각각 지지 베어링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에 축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를 둘레면에 고정하는 출력축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상기 입력휠과 상기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휠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서 구비된 출력휠의 둘레를 감싼 채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는 범위에 걸쳐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지지베어링 각각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클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디렉션 서포트 베어링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대해 상기 슬리브의 타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타측 지지베어링;
    상기 방열부에서, 상기 입력휠에 대해 상기 슬리브의 일측 둘레면을 지지하는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입력휠을 지지하는 입력휠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클러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휠은,
    상기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해 제 1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열부에 배치되는 이너입력휠;
    상기 슬리브일측 지지베어링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너입력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입력휠 지지 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해 제 2삽입부를 형성하는 미들입력휠; 및
    상기 입력휠 지지 베어링의 설치를 허용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들입력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아우터입력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클러치.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입력휠의 해당 부위에 대해 상기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력축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클러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연통홀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중에 선택적으로 축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클러치.
KR1020170104855A 2017-08-18 2017-08-18 파우더 클러치 KR10182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855A KR101821779B1 (ko) 2017-08-18 2017-08-18 파우더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855A KR101821779B1 (ko) 2017-08-18 2017-08-18 파우더 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779B1 true KR101821779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855A KR101821779B1 (ko) 2017-08-18 2017-08-18 파우더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585A (ja) 2002-04-23 2003-11-06 Denso Corp クラッチ及びクラッチの製造方法
KR101382271B1 (ko) 2013-12-31 2014-04-07 김민호 파우더 클러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585A (ja) 2002-04-23 2003-11-06 Denso Corp クラッチ及びクラッチの製造方法
KR101382271B1 (ko) 2013-12-31 2014-04-07 김민호 파우더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0916A (zh) 具有改进的磁通回路的粘性离合器
JP2008008460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CN104044454B (zh) 电磁离合器装置、四轮驱动车、电磁离合器的控制方法以及四轮驱动车的控制方法
JP4476715B2 (ja) クラッチ軸にて油を循環させる磁力弁を作動させる粘性クラッチ用のアクチュエータ
KR101821779B1 (ko) 파우더 클러치
JP2008082397A (ja) 駆動力伝達装置
JP2005344778A (ja) 駆動力伝達装置
KR101491122B1 (ko) 엠알 유체를 이용한 다기능 동력 전달 장치
JP2002106604A (ja) 電磁クラッチの潤滑構造
KR200277399Y1 (ko) 파우더브레이크장치
JP4195665B2 (ja) 開閉体の駆動装置
JP2008051156A (ja) トルク伝達カップリング
JP2009014100A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KR200277400Y1 (ko) 파우더클러치장치
WO2002018810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force de courant d'attaque et procede de regulation de cette force
JP2007051670A (ja) 回転伝達装置
KR101394812B1 (ko) 구동력 전달시스템
JP2007032833A (ja) 電磁クラッチ
JP2007120618A (ja) トルク断続装置
JP2006349132A (ja) 電磁クラッチ装置
JP2002340038A (ja) 電磁クラッ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カップリング
JP3815965B2 (ja) カップリング装置
JP2010076554A (ja) 駆動力伝達装置
JP2009103143A (ja) 駆動力伝達装置
JP2008045619A (ja) 電磁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