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279B1 -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279B1
KR101821279B1 KR1020160074479A KR20160074479A KR101821279B1 KR 101821279 B1 KR101821279 B1 KR 101821279B1 KR 1020160074479 A KR1020160074479 A KR 1020160074479A KR 20160074479 A KR20160074479 A KR 20160074479A KR 101821279 B1 KR101821279 B1 KR 10182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angle
rpm
target phase
variable valv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443A (ko
Inventor
백진욱
김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07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279B1/ko
Priority to CN201710442594.5A priority patent/CN107524489A/zh
Priority to US15/623,880 priority patent/US10138768B2/en
Publication of KR2017014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07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02D13/0215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 F02D13/0219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changing the valve timing only by shifting the phase, i.e. the opening periods of the valves are cons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23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 F02D13/0226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42Variabl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s only
    • F02D13/0246Variable control of the exhaust valves only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7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spee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6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the computer being backed-up or assisted by another circuit, e.g. analog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2013/11Sensors for variable valve timing
    • F01L2013/111Camshafts position or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09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t least a proportional, integral or derivativ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24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switching a load after time-on and time-off pulses
    • F02D2041/2027Control of the current by pulse width modulation or duty 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이용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닛; 캠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측정하는 캠 포지션 센서;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을 바탕으로 목표 위상 각을 추출하고, 추출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기와 전자제어유닛 사이의 통신 장애 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기가 능동적으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 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캠 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임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를 구동시키는 캠의 형상을 복수 개로 설계하거나, 밸브가 엔진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C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밸브의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CVVT(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기술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는 밸브 듀레이션이 고정된 상태로 밸브 열림/닫힘 시점이 동시에 변경되는 기술로서, 종래의 CVVL 또는 CVVT는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을 통해 밸브 듀레이션을 변화시켜 엔진의 연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CVVD) 장치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는 캠의 회전 중심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단선 등의 이유로 ECU와 제어기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면, 제어기는 ECU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을 수 없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에 대한 정상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기와 전자제어유닛 사이의 통신 장애 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기가 능동적으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이용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닛; 캠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측정하는 캠 포지션 센서;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을 바탕으로 목표 위상 각을 추출하고, 추출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통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상기 캠 포지션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캠 RPM을 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과 매칭되는 목표 위상 각을 상기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 및 출력하는 상기 비상 제어부;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상기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고, 보상된 목표 위상 각을 제공하는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부; 상기 PID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하는 PWM 생성부; 및 상기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비상 제어부로 통신 장애 발생을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상 제어부는 수식 ‘캠 RPM = 2 ×(크랭크 RPM)’을 이용하여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공하는 목표 위상 각을 수신하고, 수신한 목표 위상 각을 상기 PID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타 측면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목표 위상 각에 따라 제어기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제어기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캠 포지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크랭크 RPM에 매칭되는 목표 위상 각을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목표 위상 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수식 ‘캠 RPM = 2 ×(크랭크 RPM)’을 이용하여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상기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는 단계; 보상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에 따르면, 제어기와 전자제어유닛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제어기가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명령을 제공받지 못하더라도, 제어기는 캠 RPM 및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을 바탕으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와 전자제어유닛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제어기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면, 액추에이터에 대한 안정적인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에 저장되는 제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에 저장되는 제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에 저장되는 제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이하 ‘시스템’, 100)은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110), 제어기(130), 액추에이터(150) 및 캠 포지션 센서(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연속 가변 밸브의 듀레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100)의 제어에 따라 연속 가변 밸브(이하 ‘밸브’)에 대한 롱 듀레이션을 구현하거나 숏 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시스템(100)은 액추에이터(150)에 대한 안정적인 제어를 위해, 전자제어유닛(110)과 제어기(130)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기(130)가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의 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10)은 Can(Controller Area Unit) 통신과 같은 차량 네트워크 통신 방식으로 제어기(130)와 통신하며, 엔진의 회전수(ex. 크랭크 RPM), 차량의 부하(ex. 공기 충진률) 등 차량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되는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테이블은 엔진의 회전수(크랭크 RPM, 단위: rpm) 및 차량의 부하(공기 충진률, 단위: %) 상태에 따른 위상 각(단위: °)으로 구성되고, 전자제어유닛(110)은 차량 상태에 따라 적절한 명령을 제어기(13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유닛(110)은 차량 상태에 따라 제어 테이블에서 위상 각을 추출하여 제어기(130)로 제공하는데, 이를 ‘목표 위상 각’이라 한다.
도 2에서와 같은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전자제어유닛(110)이 위상 각을 추출하는 것을 예로 들면, 부하 값(공기 충진률)이 23.21이고, 크랭크 RPM이 4000인 경우에, 전자제어유닛(110)은 제어 테이블로부터 25를 추출하고, 추출된 25를 목표 위상 각으로서 제어기(130)로 제공한다.
그리고, 도 2의 제어 테이블에서, 위상 각의 앞에 표시된 ‘-’는 방향이 반대임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 목표 위상 각을 제공받고, 목표 위상 각을 바탕으로 전류를 액추에이터(150)로 출력하여,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130)는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목표 위상 각과 액추에이터(1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고, ‘보상된 목표 위상 각’을 바탕으로 전류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130)는 전자제어유닛(110)과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캠 포지션 센서(170)로부터 입력되는 캠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바탕으로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을 바탕으로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30)는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계산된 크랭크 RPM과 매칭하는 목표 위상 각을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목표 위상 각을 바탕으로 전류를 액추에이터(150)로 출력하여,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130)는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액추에이터(1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고, ‘보상된 목표 위상 각’을 바탕으로 전류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기(130)는 전자제어유닛(110)과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나, 전자제어유닛(110)과의 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캠 RPM을 바탕으로 계산되는 크랭크 RPM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30)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50)는 제어기(130)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바탕으로 동작하여 연속 가변 밸브의 듀레이션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150)에는 연속 가변 밸브의 제어를 위해 캠 축(미도시)과 연동되는 제어 축(151)이 마련되며, 액추에이터(150)는 제어 축(151)의 위상 각의 제어를 통해 연속 가변 밸브의 듀레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50)에는 제어 축(151)의 위상 각을 검출하는 위상 각 검출부(153)가 마련되며, 상기 위상 각 검출부(153)는 제어 축(151)의 위상 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 각을 제어기(130)로 제공한다.
상기 캠 포지션 센서(170)는 캠의 RPM을 측정하여 제어기(130)로 제공하며, 캠 포지션 센서(170)를 이용한 캠의 RPM의 측정과 관련된 사항은 기 공지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에 저장되는 제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기(130)는 제 1 인터페이스(131), 제 2 인터페이스(132), 저장부(133), 비상 제어부(134),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부(135), PWM(Pulse Width Modulation) 생성부(136) 및 드라이버(13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31)는 전자제어유닛(110)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제어유닛(110)과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면,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명령(목표 위상 각)을 수신하여, PID 제어부(135)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31)는 전자제어유닛(110)과의 통신 장애를 감지하면, 비상 제어부(134)로 장애 발생 사실을 통지한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32)는 캠 포지션 센서(170)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캠 포지션 센서(170)로부터의 캠 RPM을 비상 제어부(134)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133)는 비상 제어부(134)의 동작을 위해 기 설정되는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테이블은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33)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른 종류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상 제어부(134)는 제 1 인터페이스(131)로부터 장애 발생 사실을 통지받은 후 동작하는 것으로, 제 2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제공되는 캠 RPM과 저장부(133)에 저장된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표 위상 각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상 제어부(134)는 장애 발생 사실을 제 1 인터페이스(131)로부터 제공받으면, 제 2 인터페이스(132)로부터 제공되는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한다.
즉, 캠 RPM = 2 ×(크랭크 RPM)의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캠 RPM을 알면, 계산을 통해 크랭크 RPM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 제어부(134)는 계산된 크랭크 RPM에 매칭되는 목표 위상 각을 저장부(133)의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PID 제어부(135)로 제공한다.
상기 비상 제어부(13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표 위상 각을 추출하는 것을 예로 들면, 캠 RPM을 이용하여 계산된 크랭크 RPM이 2500인 경우, 비상 제어부(134)는 목표 위상 각으로서 15를 추출하여 PID 제어부(135)로 제공한다.
상기 PID 제어부(135)는 제 1 인터페이스(131) 혹은 비상 제어부(134)로부터 제공되는 목표 위상 각을 수신하면, 액추에이터(1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과 목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고, ‘보상된 목표 위상 각’을 PWM 생성부(136)로 제공한다.
상기 PWM 생성부(136)는 제공되는 ‘보상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137)로 제공하고, 상기 드라이버(137)는 PWM 생성부(136)로부터 제공되는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액추에이터(150)로 출력한다.
입력되는 ‘보상된 목표 위상 각’에 따른 PWM 신호의 생성과 생성된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의 출력과 관련된 사항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되, 일반적인 동작은 기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비상 시의 동작, 즉 전자제어유닛(110)과 제어기(130)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제어기(130)가 전자제어유닛(110)으로부터 명령(목표 위상 각)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자제어유닛(110)과 제어기(130) 사이의 통신 장애 발생에 따라 제어기(130)는 통신 장애 발생을 인지하게 된다(S500).
상기 단계 S500에서의 통신 장애 발생 인지는 전자제어유닛(110)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131)가 통신 장애 발생을 비상 제어부(134)로 통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30)는 캠 포지션 센서(170)에 의해 측정되고, 제 2 인터페이스(132)를 통해 제공되는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S510), 계산된 크랭크 RPM에 대응하는 목표 위상 각을 저장부(133)의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한다(S520).
이후, 상기 제어기(130)는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액추에이터(1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한다(S530).
이후, 상기 제어기(130)는 보상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고(S540), 생성된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액추에이터(150)로 출력한다(S5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110 : 전자제어유닛(ECU) 130 : 제어기
131 : 제 1 인터페이스 132 : 제 2 인터페이스
133 : 저장부 134 : 비상 제어부
135 : PID 제어부 136 : PWM 생성부
137 : 드라이버 150 : 액추에이터
151 : 제어 축 153 : 위상 각 검출부

Claims (8)

  1.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이용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닛;
    캠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측정하는 캠 포지션 센서;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을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테이블과 비교하여, 계산된 크랭크 RPM과 매칭하는 목표 위상 각을 상기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고, 계산된 크랭크 RPM과 상기 제어 테이블을 비교하여, 계산된 크랭크 RPM과 매칭되는 목표 위상 각을 상기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 및 출력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통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상기 캠 포지션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캠 RPM을 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상기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고, 보상된 목표 위상 각을 제공하는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부;
    상기 PID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하는 PWM 생성부; 및
    상기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상기 비상 제어부로 통신 장애 발생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
    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어부는 수식 ‘캠 RPM = 2 ×(크랭크 RPM)’을 이용하여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
    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공하는 목표 위상 각을 수신하고, 수신한 목표 위상 각을 상기 PID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
    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6.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의 목표 위상 각에 따라 제어기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제어기 사이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캠 포지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캠 RPM으로부터 크랭크 RPM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크랭크 RPM을 크랭크 RPM별 목표 위상 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테이블과 비교하는 단계;
    계산된 크랭크 RPM에 매칭되는 목표 위상 각을 상기 제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목표 위상 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수식 ‘캠 RPM = 2 ×(크랭크 RPM)’을 이용하여 상기 캠 RPM으로부터 상기 크랭크 RPM을 계산하는 것
    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목표 위상 각과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피드백되는 실제 위상 각 사이의 위상 편차를 토대로 상기 목표 위상 각을 보상하는 단계;
    보상된 목표 위상 각에 상응하는 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WM 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60074479A 2016-06-15 2016-06-15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79A KR101821279B1 (ko) 2016-06-15 2016-06-15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01710442594.5A CN107524489A (zh) 2016-06-15 2017-06-13 用于控制连续可变阀门持续时间的系统及其操作方法
US15/623,880 US10138768B2 (en) 2016-06-15 2017-06-15 System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479A KR101821279B1 (ko) 2016-06-15 2016-06-15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43A KR20170141443A (ko) 2017-12-26
KR101821279B1 true KR101821279B1 (ko) 2018-01-23

Family

ID=6066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479A KR101821279B1 (ko) 2016-06-15 2016-06-15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38768B2 (ko)
KR (1) KR101821279B1 (ko)
CN (1) CN1075244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46B1 (ko) * 2015-10-05 2016-06-2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자식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796255B1 (ko) * 2016-06-30 2017-11-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0886B1 (ko) * 2018-09-03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vvd 위치학습결과 검증방법 및 cvvd 시스템
KR102645044B1 (ko) * 2018-11-14 2024-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가변밸브듀레이션장치를 가진 엔진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5893B2 (ja) * 2007-10-01 2011-11-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JP4840287B2 (ja) 2007-08-10 2011-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6699C (zh) * 2002-10-25 2008-07-30 株式会社电装 内燃机的可变气门正时控制设备
KR100569079B1 (ko) 2003-12-22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시스템 차량의 엔진 시동 꺼짐방지 제어방법
JP2011196300A (ja) 2010-03-23 2011-10-06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5591202B2 (ja) * 2011-09-20 2014-09-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の制御装置
KR101326818B1 (ko) 2011-12-07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KR101515009B1 (ko) * 2013-08-29 2015-04-2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의 고장 회피 방법
CN103470325B (zh) * 2013-09-24 2015-12-02 东风汽车公司 一种液压式vvt相位控制方法
US9777604B2 (en) * 2014-10-21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cam timing device
KR20160064847A (ko) 2014-11-28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0287B2 (ja) 2007-08-10 2011-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JP4805893B2 (ja) * 2007-10-01 2011-11-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8768B2 (en) 2018-11-27
KR20170141443A (ko) 2017-12-26
US20170362968A1 (en) 2017-12-21
CN107524489A (zh)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279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237512B2 (ja) 過給機の異常診断装置
US7845321B2 (en) Controller for vane-type variable timing adjusting mechanism
JP2006322453A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WO2010082332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052772A (ja) 空気質量流量測定装置のモニタ方法および装置
US20100058757A1 (en) Regulating method for a turbocharg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urbocharger
KR20160061039A (ko) 터보차저 제어 듀티 편차 보상 방법
KR101798057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64605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quantit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quipped with a turbocharger
KR20140092482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엔진의 오일 펌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153839A (zh) 连续可变气门升程机构的自检方法
CN104246186B (zh) 带有学习和线性化功能的用于控制可变几何形状涡轮机的叶片的系统
KR101811879B1 (ko) 질량 흐름을 개회로 제어하기 위한 플랩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법 및 작동 장치와, 플랩 액추에이터
US8938960B2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796255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3376012B1 (en) Gas engine drive system
JP2007315379A (ja) ベーン式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機構の制御装置
CN106199728A (zh) 用于检测cvvt中的紧固螺栓的故障的方法和系统
JP4335840B2 (ja) 発電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661531B2 (ja) 内燃機関の過給圧制御システム
JP5015974B2 (ja)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
KR101905960B1 (ko) 중간위상 cvvt 안정화 제어 방법 및 중간위상 cvvt 안정화 제어 시스템
KR20180066752A (ko) 포지션 센서 고장시 웨이스트 게이트 제어방법
JP5351235B2 (ja) 車両の燃料供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