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41B1 -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 Google Patents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41B1
KR101820841B1 KR1020170048011A KR20170048011A KR101820841B1 KR 101820841 B1 KR101820841 B1 KR 101820841B1 KR 1020170048011 A KR1020170048011 A KR 1020170048011A KR 20170048011 A KR20170048011 A KR 20170048011A KR 101820841 B1 KR101820841 B1 KR 10182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erosol
guide member
switching slid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김학규
Original Assignee
신동진
김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진, 김학규 filed Critical 신동진
Priority to KR102017004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24B15/303Plant extracts other than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ultras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력에 의해 스위칭유닛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약제가 기화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와; 마우스피스와; 전원공급유닛과; 기화유닛과; 가이드부재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스위칭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의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유닛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면서 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일측에 연통되게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전원공급유닛 및 기화유닛이 설치된 제2본체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EXPANSION AND CONTRACTION TYPE NEBULIZER EASY TO CARRY}
본 발명은 휴대형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력에 의해 스위칭유닛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약제가 기화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신축형 네블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기호품이기는 하나 인체에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함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연가들의 경우, 사회생활의 다양성과 대인관계 때문에 습관적으로 피워오던 기호성 담배를 끊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과제중의 하나다. 특히 담배는 각종 발암 유발물질인 니코틴, 타르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후두암 및 혈관 수축에 의한 버거씨병 등)과 같은 각종 질병 및 사망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특히 주변 사람들에게는 간접흡연에 의한 피해를 주고 있다.
따라서, 금연운동이 사회적으로 널리 전개되고 있으나 이미 흡연을 하고 있는 애연가들은 그 중독성과 습관성 때문에 쉽사리 끊지 못하고 있어서 큰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연담배 및 금연 보조파이프 등과 같은 보조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으며, 금연담배의 경우 담배를 피울 때 대부분 담배 맛이 쓰게 하거나 담배 특유의 향취가 상실되게 함으로써 애연가들의 흡연 의욕을 단계적으로 상실시켜 담배를 서서히 끊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담배 역시 최근 들어 유해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니코틴 성분 대신 인체에 유익한 한약재나 천연유래 성분의 약액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여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네블라이저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네블라이저는 사용자가 직접 네블라이저 본체에 마련된 스위치버튼을 누르거나 네블라이저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류센서나 스위칭장치가 흡입력을 감지하면, 발열히터나 초음파 진동자, 고주파 진동자 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약액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의 노즐을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네블라이저에서 전원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류센서나 스위치 장치는 에어로졸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이로 인해 흡입력이 기류센서나 스위치 장치에 도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큰 흡입력이 요구되어 천식이 있거나 흡입력이 약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네블라이저는 거의 담배 정도의 길이를 갖는데,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시 어느 정도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39837호(2011.06.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25249호(2014.10.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력에 의해 스위칭유닛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갖는 약제가 기화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신축형 네블라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는, 본체와; 기화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과;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유닛과;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전원공급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흡입력에 의해 이동했을 때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의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유닛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면서 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통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유닛 및 기화유닛이 설치된 제2본체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화유닛의 카트리지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가 축소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가 대응하여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를 통한 흡입력이 제거될 때 스위칭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위칭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는 가이드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슬라이더는 전체가 도전성 금속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슬라이더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위칭슬라이더의 후단부에는 중앙에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로 되어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게 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된 스위칭단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입에 대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토출구의 바로 전방에 배치된 스위칭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 기화유닛에 전원이 공급되고, 기화된 에어로졸이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를 통과하여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흡입과 거의 동시에 기화유닛이 작동하여 기화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약한 흡입력으로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길이 축소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길이 축소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흡입 이전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흡입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참조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의 신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형 네블라이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형 네블라이저는, 속이 빈 통 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마우스피스(2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30)과, 상기 전원공급유닛(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기화시키는 기화유닛(40)과,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50)와, 상기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로 된 원통형의 스위칭슬라이더(70)와, 상기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설치되어 스위칭슬라이더(70)와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이 기화유닛(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중공의 원통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재(50)가 형성된 제1본체(10a)와, 상기 제1본체(10a)의 전단부 쪽에 연통되게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10a)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는 전원공급유닛(30) 및 기화유닛(40)이 설치된 제2본체(10b)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본체(10)는 손쉽게 축소 가능해지며, 휴대와 보관이 편리해진다. 다만, 상기 본체(10)의 축소 동작시 제1본체(10a)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50)와 제2본체(10b)의 내부에 구비된 카트리지(41)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41)의 후단부에 삽입홀(41a)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전단부가 상기 카트리지(41)의 삽입홀(41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간섭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해준다. 이처럼 상기 본체(10)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길이를 거의 5분의 3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는 본체(10)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사용자가 입으로 흡입하는 노즐의 기능을 하는 마우스피스(20)가 설치된다. 상기 마우스피스(20)는 본체(10)와 개별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10)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0)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흡입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연성의 실리콘 수지 또는, 규소와 산소 또는 유기물이 서로 혼합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0)에는 에어로졸이 토출되는 토출구(2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21)의 전단부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후단부와 연통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은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즉 온(ON) 상태가 되면 기화유닛(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칭슬라이더(70)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분리되어 오프(OFF) 상태가 되면 기화유닛(4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배터리(31)와, 상기 배터리(31),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31)의 전원을 기화유닛(40)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컨트롤러(32)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31)는 일반적인 건전지나 리튬이온전지,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32)는 상기 배터리(31)의 전원을 기화유닛(40)과 네블라이저에 구성되는 다양한 전기부품, 예를 들어 LED 나 디스플레이 소자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회로와 전자 칩, 저항 소자 등을 구비하는 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화유닛(40)은 상기 전원공급유닛(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액상이나 겔(gel)상, 또는 고형체의 약제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화유닛(40)은 예를 들어 상기 약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키거나, 초음파 진동 또는 고주파 진동 방식으로 약제를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시간 내에 약제를 무화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초음파 진동자(45)를 적용하여 기화유닛(40)을 구성하였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에서 상기 기화유닛(40)은, 액상의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41)와, 상기 카트리지(41)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과 상부면에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3)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생성부(42), 상기 카트리지(41)와 에어로졸생성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카트리지(41)의 약제를 각각 소량씩 에어로졸생성부(42)로 공급하는 섬유체(44)와,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의 컨트롤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섬유체(44)를 따라 에어로졸생성부(42) 내로 공급된 약제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45)를 포함한다.
상기 약제가 겔상이나 고형체로 된 것을 사용할 경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서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발열체를 사용하여 약제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는 사용자가 흡연 후 구취를 제거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할 수 있는 성분을 가진 약제학적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흡연 후 흡입용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민트, 로즈마리, 바질, 페퍼민트, 쥬니퍼, 제라늄, 클라리세이지, 일랑일랑, 라벤딘, 로즈우드, 라벤다, 레몬, 캐모마일, 스피아민트, 브띠그레인, 파인니들, 미르, 메이창, 시나몬, 오렌지비터, 쟈스민, 장미, 제라늄, 자몽, 패출리, 피톤치드허브 등의 식물이나 열매에서 추출된 천연유래성분을 포함한 약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전방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관 형태로 되어 상기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는 마우스피스(20)와 개별체로 만들어져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에 연결될 수 있지만, 마우스피스(20)와 일체로 성형되어 토출구(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는 상기 기화유닛(4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5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51)은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0)와 본체(10) 사이에는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상기 통기공(51) 쪽으로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동가이드(5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관 형태로 되어, 상기 토출구(21)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부재(50)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71)이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71)은 스위칭슬라이더(70)가 가이드부재(50) 내측에서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연통되며, 스위칭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통기공(51)과 어긋나 가이드부재(50)의 측면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 중앙에는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가이드부재(50)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0)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마우스피스(20)의 토출구(21)를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칭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토출구(21)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탄성부재(80)가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전단부와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스위칭슬라이더(70)를 전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와 다르게 탄성부재(80)로서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이드부재(50)에 대해 스위칭슬라이더(70)에 전방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전체가 구리 등의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6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후단부에만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성 금속으로 된 스위칭단자(73)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단자(73)는 중앙에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72)이 형성된 링 형태를 갖는다.
상기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는 각각 전선(63, 64)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유닛(30)의 컨트롤러(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이드부재(50)의 후방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 또는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에 장착된 스위칭단자(73)(도 6 참조)와 접촉하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는 서로 180ㅀ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가이드부재(50)의 후방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작용과 함께 스위칭슬라이더(7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의 작용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축형 네블라이저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0)를 입에 대고 흡입을 하면, 흡입력이 토출구(21)를 통해 가이드부재(50) 내측의 스위칭슬라이더(70)에 전달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을 이기고 가이드부재(5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이 서로 일치하면서 연통됨과 동시에 스위칭슬라이더(70) 후방면 또는 스위칭슬라이더(70)의 후방면에 설치된 스위칭단자(73)(도 6 참조)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32)의 전기 회로가 연결되어 배터리(31)의 전원이 기화유닛(40)의 초음파 진동자(45)로 인가되어 초음파 진동자(45)가 작동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45)가 작동함에 따라 섬유체(44)를 통해 에어로졸생성부(42) 내로 공급된 약제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무화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에어로졸생성부(42)의 측면과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43)를 통해 본체(10)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 후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부재(50)의 통기공(51)과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과 관통공(72)을 차례로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멈추면 상기 스위칭슬라이더(7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위칭슬라이더(70)의 연통공(71)은 가이드부재(50)의 내측면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형 네블라이저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0)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토출구(21)의 바로 전방에 배치된 스위칭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양극전극체(61)와 음극전극체(6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 기화유닛(40)에 전원이 공급되고, 기화된 에어로졸이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칭슬라이더(70)와 양극전극체(61) 및 음극전극체(62)를 통과하여 토출구(21)로 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흡입과 거의 동시에 기화유닛(40)이 작동하여 기화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약한 흡입력으로도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축형 네블라이저는 사용시에는 도 7과 같이 신장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에는 도 8과 같이 제2본체(10b)를 제1본체(10a) 쪽으로 밀어 넣어 길이를 짧게 축소시킨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41)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홀(41a) 내부로 가이드부재(50)의 전단부가 삽입되면서 서로 간의 간섭으로 인한 문제가 없어진다.
한편, 상기 기화유닛(40)의 카트리지(41)에 수용되는 약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약제는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흡연 후 흡입용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절패모, 행인, 오미자, 길경, 자완, 백작약, 대추, 건강, 과루인, 금은화, 박하, 홍화,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절패모, 행인, 오미자 및 길경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자완, 백작약, 대추, 건강, 과루인, 금은화, 박하 및 홍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목단피, 세신, 숙지황, 우슬, 노근 및 반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모두를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각각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천연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며, 특히 당귀와 맥문동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이 항암,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갖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i)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기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을 통해 액화시켜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증류 추출물을 소이왁스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고체화시키거나 아가올리고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겔(gel)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체화 또는 겔화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소이왁스 또는 아가올리고를 사용하여 고체화 또는 겔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생성된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거나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침착, 이식, 좌약)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 또는 복강내주사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여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약 0.01 내지 95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50 mg이 투여되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10 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약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추출물을 증류시킨 증류액을 사용하며, 혼합 추출물을 한번 더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를 냉각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자연 성분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므로, 부작용 없이 폐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류액 사용으로 인해, 한약의 냄새를 억제하어 비위가 약한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색깔은 투명하게 처리되어 색소침착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혼합 추출물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1) 자감초, 당귀, 맥문동, 야관문,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되는 총 9종의 건조된 약재를 각각 10g씩 준비하였다.
2) 이 약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3) 9종의 약재혼합 분말을 거름망보자기에 잘 넣어 분말이 추출물에 침전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였다.
4) 열수추출기에 혼합분말이 들어있는 보자기를 잘 넣은 다음, 물 1L를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5) 열수추출이 끝난 후, 추출물을 필터페이퍼를 사용하여 침전물을 걸러내었다.
6) 침전물의 걸러진 추출물을 증류장치에 넣어 증류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받아내었다.
7) 상기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냉장보관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형상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gel화 하였다.
1) 냉장보관중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상온에 일정시간 방치하였다.
2) 물 1L에 중량비 10%가 되도록 아가올리고 분말을 넣고 끓였다.
3) 아가올리고 분말이 녹은 용액을 50~60℃의 온도를 유지시켜 gel로 굳어지지 않게 하였다.
4) 상온에 방치중인 증류액을 교반기에 넣고 교반기를 작동시켰다. 교반기의 온도는 50~60℃를 유지 시켰다.
5) 아가올리고 분말 용액을 증류액의 중량대비 3% 넣어주었다.
6) 증류액과 아가올리고를 잘 섞은 후 고형화틀에 주입하였다.
7) 2시간 후 고형화틀에 주입한 혼합액이 식으면 gel을 회수하여 포장 후 보관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화 하였다.
1) 냉장보관중인 증류액을 상온에 일정시간 방치하였다.
2) 소이왁스를 60~70℃로 유지가 되는 교반기안에 넣은 후 작동시켜 녹였다.
3) 증류액을 소이왁스 중량비의 9% 넣어주었다.
4) 교반기로 잘 섞은 후 고형화틀에 부어 형태를 만들었다.
5) 16~24시간 후 틀에서 제거 후 고형화 된 증류액을 포장 후 보관하였다.
실험예 1: 독성 및 부작용 확인
성체 흰쥐 30 마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비율(즉, 체중 1kg 당 1.5-2㎖의 투여량)로 90일 동안 경구 투여한 다음, 이 후 30일 동안 매일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외견상의 생리적 이상은 물론 해부학적 소견상의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2: 니코틴에 의한 폐세포 독성 억제 실험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동결건조하여 PBS 완충용액에 농도가 각각 500, 100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또한, 니코틴을 구입하여 같은 방법으로 각각 500, 1000㎍/㎖이 되게 희석하였다. 그런 다음, 폐세포 실험에 자주 사용되는 MRC-9라는 정상 폐세포에 상기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2시간 후에 니코틴 희석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폐세포를 배양시킨 다음, 세포의 생존도를 MTT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TT assay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군에 MTT 시약을 처리하고 4시간 후면 살아있는 세포는 보라색의 formazan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 formazan을 모아서 DMSO에 녹인 다음,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를 이용하여 540㎚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1000, 500㎍/㎖의 니코틴 희석물로 처리한 세포군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에 비해서 세포 생존도가 각각 25.8%, 6.7%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선처리한 세포군에서는 세포 생존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니코틴에 의한 폐세포 독성을 예방 및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폐세포 독성 억제 실험
10g의 담배(Marlboro medium, Philip Morris)를 100㎖의 영양배지와 혼합하여 2시간 동안 37℃에 보관한 다음, 이 혼합물을 450ㅧ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만을 모아서 다시 13,000ㅧg에서 2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결과물로부터 상층액 분리한 후, 5N NaOH로 pH 7.4로 조절한 다음 0.22㎛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하여 무균상태의 담배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예 1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 100㎍/㎖을 폐세포에 처리하고, 2시간 후에 영양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상기 담배추출물을 영양배지로 1/4로 희석하고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에 따른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동일한 농도로 다시 세포군에 처리하였다. 48시간이 경과한 다음,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의 생존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 (%)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 100.0
담배추출물 1/4 희석 처리 세포군 23.2
실시예1의 추출물로 선처리한 세포군 33.7
측정 결과, 담배추출물을 희석하여 처리한 세포군은 23.2%의 낮은 세포 생존도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먼저 처리한 세포군은 담배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세포군보다 세포 생존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담배에 함유된 여러 종류의 화합물에 의한 폐세포 독성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흡연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통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흡연으로 인한 폐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0a : 제1본체
10b : 제2본체 20 : 마우스피스
21 : 토출구 30 : 전워공급유닛
31 : 배터리 32 : 컨트롤러
40 : 기화유닛 41 : 카트리지
41a : 삽입홀 42 : 에어로졸생성부
43 : 배출구 44 : 섬유체
45 : 초음파 진동자 50 : 가이드부재
51 : 통기공 55 : 유동가이드
61 : 양극전극체 62 : 음극전극체
63, 64 : 전선 70 : 스위칭슬라이더
71 : 연통공 72 : 관통공
73 : 스위칭단자 80 : 탄성부재

Claims (6)

  1. 속이 빈 통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본체 내에서 기화된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유닛과;
    상기 전원공급유닛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약제를 에어로졸로 기화시키는 기화유닛과;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서 토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에 에어로졸이 유입될 수 있는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전원공급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상기 가이드부재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면서 양극전극체와 음극전극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 중앙에는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을 통과한 공기 및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의 토출구 쪽으로 통과시켜주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스위칭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슬라이더와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의 접촉 또는 이격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유닛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면서 기화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화유닛은, 약제가 수용된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측면과 상부면에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생성부, 상기 카트리지와 에어로졸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카트리지의 약제를 에어로졸생성부로 공급하는 섬유체와, 상기 전원공급유닛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섬유체를 따라 에어로졸생성부 내로 공급된 약제를 초음파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통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본체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기화유닛의 카트리지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가 축소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가 대응하여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네블라이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한 흡입력이 제거될 때 스위칭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위칭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는 가이드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네블라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슬라이더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위칭슬라이더의 후단부에는 중앙에 공기 및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로 되어 상기 양극전극체 및 음극전극체와 접촉하게 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된 스위칭단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네블라이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자감초, 당귀, 맥문동 및 야관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백피, 복령, 천문동, 치자 및 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네블라이저.
KR1020170048011A 2017-04-13 2017-04-13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KR10182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11A KR101820841B1 (ko) 2017-04-13 2017-04-13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11A KR101820841B1 (ko) 2017-04-13 2017-04-13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41B1 true KR101820841B1 (ko) 2018-01-23

Family

ID=6107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011A KR101820841B1 (ko) 2017-04-13 2017-04-13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2960A1 (en) * 2020-05-15 2021-11-18 Simrell Collection, Llc Mouthpiece with adjustment
KR20220078183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이엠텍 Ir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기의 온도 측정 및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2960A1 (en) * 2020-05-15 2021-11-18 Simrell Collection, Llc Mouthpiece with adjustment
US11930862B2 (en) * 2020-05-15 2024-03-19 Simrell Collection, Llc Mouthpiece with adjustment
KR20220078183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이엠텍 Ir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기의 온도 측정 및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835B1 (ko) 약제 선택이 가능한 듀얼 타입 네블라이저
AU2002319422B8 (en) Aerosol formulations of delta8 tetrahydrocannabinol
KR101820841B1 (ko) 휴대하기 간편한 신축형 네블라이저
CN110367581A (zh) 一种由工业大麻提取的含大麻酚类成分的组合物及其在烟草制品中的用途
US859196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oils of chamomile flower and black cumin with reduced endotoxins
KR101820827B1 (ko) 휴대형 기화 흡입기의 에어로졸 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형 기화 흡입기
CN110214972A (zh) 一种香烟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983065B (zh) 具有调养人体机能功效的电子烟雾化液
KR101820825B1 (ko) 휴대형 기화 흡입기
Wen et al. Agrimonia pilosa Ledeb.: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botan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JP2014198732A (ja) 交感神経活発化剤
CN101292976B (zh) 一种含有1,8-桉叶素和艾纳香素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H01313435A (ja) 牛黄清心液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61158A (zh) 含有木鳖子提取物的伤口愈合剂
KR0156039B1 (ko) 제조로부터 의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CN104784391A (zh) 一种包含治疗鼻炎的外用药药效成分的气雾剂前体及将其分散成纳米级雾滴的方法
KR101487231B1 (ko)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졸 과다 분비 억제를 통한 쿠싱증후군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JP5658575B2 (ja) 毛成長抑制剤
WO1994003193A1 (en) Remedy for biotoxin type bacterial intestinal infectious diseases
KR20130048108A (ko) 부처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73099A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19352A1 (ko)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US6562381B2 (en) (+)-Cycloolivil as antioxidant obtained from natural source namely stereospermum personatum
KR20210057634A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64748A1 (en) Us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in preparation of drug for treating cough variant asth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