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634A -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634A
KR20210057634A KR1020200009362A KR20200009362A KR20210057634A KR 20210057634 A KR20210057634 A KR 20210057634A KR 1020200009362 A KR1020200009362 A KR 1020200009362A KR 20200009362 A KR20200009362 A KR 20200009362A KR 20210057634 A KR20210057634 A KR 2021005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loss
extract
castanopsis
fraction
echinocar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249B1 (ko
Inventor
강동호
홍빛나
남윤희
리만의
Original Assignee
(주)인비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비보텍 filed Critical (주)인비보텍
Priority to PCT/KR2020/0951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96330A1/ko
Publication of KR2021005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of Castanopsis echinocarpa}
본 발명은 메밀잣밤나무속 식물인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귀와 관련된 질환의 연구 개발은 세균성 외이염, 악성 이염, 균성 외이염, 이진균증, 중이염, 또는 내이염 등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들에 대한 것이 대다수였으며, 이와 관련된 치료제들의 기술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다.
질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이염(외부 귀 감염)은 바깥 귀 및 외이도의 염증이다. 외이염은 인간에서 귀앓이의 통상적인 원인이며, 염증은 균성,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유기체가 원인일 수 있다. 외이도 피부가 흔히 부풀어 오르고, 고통스러우며, 만지면 아플 수 있다. 중이염(중간 귀 감염)은 고막과 유스타티오관을 포함하는 안쪽 귀 사이 부위에서 일어난다. 중이염은 어린이에게서 매우 흔한데, 평균적으로 유아는 매년 2-3차례 경험하며, 통상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s, URI), 및 대부분 감기와 수반된다. 매우 흔한 감기 증상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rhinoviruses) 및 아데노바이러스는 안쪽 귀안에 팽창과 충혈을 일으킨다. 또한 중이염은 또한 다양한 세균 및 기타 바이러스에 의해 흔히 일어난다.
위와 같은 귀와 관련된 질환의 대부분의 치료는 약제로써 항생제, 항염증제 등을 이용하는 것들이었고, 현재까지도 대부분 치료제는 항생제 또는 항염증제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 방법에 기반을 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소음 노출의 증가 및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위와 같은 염증 기반의 귀 관련 질환보다는, 세포나 신경 손상에 의한 난청과 관련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일반인들도 대부분 세균성 외이염, 악성 이염, 균성 외이염, 이진균증, 중이염, 또는 내이염 등의 염증이 원인이 되는 귀 관련 질환과 세포나 신경 손상에 의한 난청의 질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난청은 현대 사회에 발병률이 높고 널리 알려진 질환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세포나 신경 손상에 의한 난청은 소음이나 노화 등의 원인 외에 이독성 약물, 신경계 독성 화학물질, 바이러스성, 유전 등이 있으며 원인 불명인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난청의 치료를 위해서 다수의 전문의 및 의약 업계 관련 종사자들은 여전히 기존의 항생제 또는 항염증제에 기반을 둔 치료제로써 위 질환의 치료를 목적하고 있으나, 이는 난청과 관련하여 적합한 치료제로 이용될 수 없다. 위와 같은 기존 치료제의 이용은 첫 번째로 난청과 관련된 치료제가 알려진 것이 없기 때문이며, 두 번째로 난청에 대한 치료법에 대해 다수의 전문의 및 의약 업계 관련 종사자들이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난청의 치료를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항생제의 사용은 이독성을 가져 큰 문제점을 나타낸다. 예컨대,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는 내이에서 청력과 평형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이독성과 신장독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과다복용뿐만 아니라 치료용량으로 장기간 복용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단기간 적정용량에도 이독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 이독성은 사용자의 약 15%에서 전정기능 장애, 10 - 30%에서 청력감소를 보이며 주로 4000Hz 이상의 고주파수에서 급격한 고도난청의 형태로 양측 귀 모두에 발생한다.
이에 따라, 난청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다양한 약물들에 대한 전임상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임상실험으로 진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난청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하여 승인된 약물은 없다. 더욱이, 인체에 독성 또는 위험성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 내지 천연 소재를 이용한 난청 치료제에 대해서는 개발된 약물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즉,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귀 관련 질환과 달리 난청에 대해 적합한 치료제가 전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식품 또는 약제의 소재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난청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는 메밀잣밤나무속에 속한 종으로써 상록 활엽 교목이다.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동무 열대 및 아열대에서 서식하나,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소재에 대해서는 제반 연구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서야 종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소재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한편, 난청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만큼, 관련된 연구를 위해서는 난청의 치료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소재를 대상으로 난청을 예방하고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성분을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난청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는 메밀잣밤나무속(카스타놉시스, Castanopsis)에 속한 종으로써 상록 활엽 교목이다.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동무 열대 및 아열대에서 서식한다.
본 발명에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중국, 베트남 또는 라오스에서 재배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모든 제형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온도는 당업자가 추출 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 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분획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라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로부터 추출되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의 무게에 대하여 약 1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 배의 1차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90 %(w/w)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0 %(w/w)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였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w/w)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은 당 분야에 알려진 추출방법,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당업자가 추출 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 내지 100 ℃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약 1 시간 내지 10 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 공정 전, 세포벽 등을 제거하기 위한 통상의 세포벽 분해 효소 등의 효소 처리, 초음파 처리, 볼텍싱 처리 등을 수행하고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분획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킨 후, 적절한 2차 추출용매, 예컨대, 수포화 C1-C4 의 알코올로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5 중량%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한 분획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전초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의 잎, 줄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줄기 및 잎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줄기와 잎을 각각 별도로 추출하여 이를 합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거나,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줄기 및 잎을 함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난청(hearing loss)"이란 청각이 저하 또는 상실된 모든 상태를 의미한다. 난청은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및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음성 난청은 귀 질환에 의한 난청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기관인 고막과 이소골 등의 기관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난청이다.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인 달팽이관과 전기적 에너지로 소리를 전달하는 청신경, 그리고 소리의 변별, 이해 등 종합적인 역할을 하는 청각을 담당하는 뇌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난청이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원인은 소음, 약물, 노화,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난청일 수 있고, 예컨대 이독성 난청일 수 있다. 상기 이독성 난청은 이독성 약물인 젠타마이신(gentam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가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아미카신(amikac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디베카신(dibekacin), 시소마이신(sisomycin), 리보도마이신(livodomycin),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물의 투여로 인한 난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 이독성 난청, 외상성 난청, 바이러스성 난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청각이 저하 또는 상실된 상태에 해당한다면 본 발명의 상기 난청의 범주에 제한되지 않고 질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고형 제제로 제제화된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액상 제제화된 경우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제화된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 및 제브라피시 등 어류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 복강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전술한 추출방법 또는 분획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난청으로 인한 이상 행동의 감소시킴으로써 난청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
특히,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난청 예방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지금까지 약용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도 높은 효용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및 난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난청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제외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전형적으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로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물일 수 있으나, 난청의 증상을 갖거나 이러한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개체이면 제한없이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난청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기존의 난청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목적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난청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분획물 및 난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난청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1680 μm), 14호(1410 μm) 및 45호(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음료, 껌,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서 언급된 추출방법 또는 분획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난청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난청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용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난청으로 인한 청력 역치의 상승과 유모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난청을 억제할 수 있어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여,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의 네오마이신 처리에 의해 손상된 유모 세포에 처리하여 이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NOR: 네오마이신 미처리 정상 대조군, NM: 네오마이신 유도된 미처리 대조군, CAE : CAE 0.5 ~ 10 μg/mL 처리군).
도 2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의 효과 평가 시 농도 결정을 위하여 CAE 농도별 유모세포 사멸을 확인하고, EC50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은 소음 노출 후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이 청력 역치에 미치는 영향을 청성유발전위를 이용하여 확인한 도이다(NIHL: 소음 노출 후 미처리 대조군, CAE 100 :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100 mg/kg).
도 4는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의 달팽이관 유모세포 보호 효과를 apex, middle, base 부위로 세분화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NOR: 정상군, NIHL: 소음 노출 후 미처리 대조군, CAE: 소음 노출 후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처리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독성 제브라피시모델에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 Castanopsis echinocarpa ) 추출물의 유모세포 보호 효과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운영하는 해외생물소재센터(https://www.ibmrc.re.kr/)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위 사용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카스타놉시스는 중국 원산지이며, 70 % 에탄올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의 70 % 에탄올 추출물이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CAE)을 네오마이신에 의해 감소된 유모세포에 처리하여 이의 유모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정 6일 후(6 day post fertilization)의 제브라피시 치어(zebrafish larvae)를 24 웰에 위치시켜 2 μM 네오마이신에 1시간 노출시켰다. 이후, CAE 1 μg/mL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노출시켰으며, 대조군으로써 0.03% 해수염 용액(sea salt solution)을 처리하였다. 직접적인 유모세포의 관찰을 위해 형광현미경(Olympus 1×70, Olympus, Japan)을 사용하였으며, 0.1% YO-PRO로 30분 동안 염색하였다. 제브라피시 치어를 0.02% 트리카인으로 마취시키고, 유모세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형광현미경을 통해 획득한 유모세포의 개수를 세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CAE 처리된 실험군에서 유모세포의 개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이 확인되며, 이를 통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CAE가 난청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유모세포 보호 효과 확인을 위한 EC 50 확인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CAE를 농도별(0.05, 0.10, 0.50, 1.00, 5.00, 10.00 μg/mL)로 노출시켜 EC50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CAE EC50 은 0.497 ug/mL로 확인되었다(도 2).
실시예 3. 소음 노출 후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에 의한 난청의 개선 효과 확인
CAE가 소음 노출 후 청력 역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청성유발전위를 이용한 청력역치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성유발전위(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측정법은 소리 자극이 청신경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될 때, 상기 전기적인 에너지를 측정하여 소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소리가 외이와 중이 그리고 달팽이관을 거쳐 청신경에 도달했을 때의 반응은 외이, 중이, 달팽이관의 상태를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이는 뇌까지 소리 에너지가 도달하는 실제적인 소리 에너지를 반영하는 것이다. 청력역치라함은 겨우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최소 감각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정상 마우스의 경우 평균적으로 20 dB의 작은 소리에서도 반응이 관찰된다.
구체적으로, CAE 100 mg/kg 를 투여할 마우스와 미처리 대조군 마우스를 각각 10마리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소음은 115 dB 복합음으로 90분 동안 노출시켰으며, 소음 노출 24시간 후에 CAE를 경구투여하고, 매일 같은 시간에 투여하였다. 청력역치는 소음 노출 전, 노출 후 1일째 그리고 20일째 평가하였다.
청성유발전위 검사를 위하여 케타민(4.57 mg/kg)과 실라진(0.43 mg/kg)을 마우스에게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뒤 체온 37±0.5 ℃를 유지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청성유발전위 검사 시 자극음은 광대역 자극음인 클릭(click)음, 8kHz 단일음, 16kHz 단일음으로 하여 80 dB부터 점차적으로 5 dB씩 소리를 낮춰가며 평가했으며 반응이 나오는 가장 작은 dB을 역치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E 100 mg/kg 투여 그룹은 경우 20일째에 역치 감소가 나타나나 유의미한 청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달팽이관 유모세포의 보호 효과 평가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유모세포가 손상되지 않은 정상군, 소음에 노출되어 유모세포가 손상된 군(NIHL, Noise-induced hearing loss) 및 소음 노출 후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을 처리한 군(NIHL + CAE)을 각 그룹당 6마리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20일째 역치 평가 실험 종료 후 마우스 달팽이관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달팽이관은 4 ℃에서 12시간 동안 4 % 파라포름알데히드에 보관하고, 그 뒤 0.1 M EDTA를 5일 동안 처리한 후, Corti의 기관을 현미경으로 미세 해부하였다. 유모세포 확인을 위하여 5 U/mL 로다민팔로이딘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E가 달팽이관의 유모세포 apex, middle, base 부분을 유의적으로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이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 Castanopsis echinocarpa ) 추출물의 제조
1. 열수 추출물의 제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카스타놉시스를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전초 100g을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300 mL(13배수)의 물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100℃로 12~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25% 가 되게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열수(물)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2.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카스타놉시스를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전초 100g을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300 mL의 에탄올(13배수)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60~80℃로 6~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 ℃)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30% 가 되게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또는 실시예 5의 추출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전분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함께 과립화 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정제의 구성성분
실시예 1 및/또는 실시예 5 추출물 245mg
결정셀룰로오스 (KP) 225mg
유당 (KP) 12.5mg
전분 (KP) 12.5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KP) 10m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KP) 5mg
2.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또는 실시예 5의 추출물 0.15중량%, 액상과당 10 중량%, 벌꿀 2 중량%, 사과농축과즙(60bx) 2 중량%, 과라나추출물분말 0.5 중량%, 함수 구연산 0.5중량%, 구연산나트륨 0.1 중량%, 타우린 0.1 중량%의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 이독성 난청, 외상성 난청 및 바이러스성 난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전음성 난청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인, 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은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돌발성 난청, 당뇨병으로 인한 청신경병증, 이독성 난청, 외상성 난청 및 바이러스성 난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009362A 2019-11-11 2020-01-23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95125 WO2021096330A1 (ko) 2019-11-11 2020-10-13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3849 2019-11-11
KR1020190143849 201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34A true KR20210057634A (ko) 2021-05-21
KR102313249B1 KR102313249B1 (ko) 2021-10-15

Family

ID=7615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362A KR102313249B1 (ko) 2019-11-11 2020-01-23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249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약학회 2019 추계국제학술대회 초록집 p1-77 "Ameliorative effect of CE on diabetic hearing lo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249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garpanah et al. Chemistry, pharmacology and medicinal properties of Peganum harmala L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206882B1 (ko) 고구마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4228B1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369931B2 (ja) 抗肥満剤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400B1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빌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청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조성물
KR100807809B1 (ko)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KR102131044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7096B1 (ko) 비스쿰 오발리포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584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6262A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75694B1 (ko) 시지지움 큐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8383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40150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weet potato stem or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ear disease
KR101945635B1 (ko)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2639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5-플루오로우라실에 의해 유발된 구강내 점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7873B1 (ko) 한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96330A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3250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7659B1 (ko)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97352B1 (ko) 우루시올 함량 저감 조성물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비만 방지제, 지방 축적 억제제 및 혈중 렙틴양 증가 억제제
KR102421081B1 (ko) 나이아신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제 조성물
KR102266125B1 (ko) 무궁화 잎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