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12B1 -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12B1
KR101819712B1 KR1020170129632A KR20170129632A KR101819712B1 KR 101819712 B1 KR101819712 B1 KR 101819712B1 KR 1020170129632 A KR1020170129632 A KR 1020170129632A KR 20170129632 A KR20170129632 A KR 20170129632A KR 101819712 B1 KR101819712 B1 KR 10181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mold
injection mold
moving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7012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공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게이트를 사출금형 내에서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사용되는 커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서로 맞물릴 경우 성형품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와 이를 향해 용융수지를 이동시키는 러너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 금형 및 이동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판을 포함한 사출금형에 사용되는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로, 상기 고정 금형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러너와 연장선 상에 상기 고정 금형과 함께 게이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게이트를 절단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터;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커터의 날의 끝단이 상기 고정 금형 중 상기 이동 금형에 마주하는 대향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1 간극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게이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2 간극을 유지시키는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Gate cutt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성형품에 상응하는 캐비티(cavity)를 가지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것으로, 사출 성형기의 가열 실린더에서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cavity)로 사출되어 고화 또는 경화됨으로써 캐비티 형상에 상응하는 성형품을 만든다.
이러한 사출금형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두 개의 금형이 서로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메커니즘을 가지며,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sprue)와, 스프루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복수의 캐비티로 분산하여 공급하는 러너(runner)와, 러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캐비티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gate)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출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 수지가 맞물린 두 개의 금형에 의해 형성된 스프루와 러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로 충진된 후 냉각을 통해 고화되고, 이렇게 고화된 성형품은 맞물렸던 두 개의 금형이 분리된 후 이젝트되는 것으로 취출될 수 있다.
하지만, 성형품이 취출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인 스프루, 러너 및 게이트도 성형품과 함께 일체로 취출되므로, 성형품으로부터 게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이 요구되어,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864호(공개일: 2012년 05월 29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후공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게이트를 사출금형 내에서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사용되는 커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서로 맞물릴 경우 성형품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와 이를 향해 용융수지를 이동시키는 러너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 금형 및 이동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판을 포함한 사출금형에 사용되는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로, 상기 이동 금형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 금형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러너와 연장선 상에 상기 고정 금형과 함께 게이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게이트를 절단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터; 및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가압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커터의 날의 끝단이 상기 고정 금형 중 상기 이동 금형에 마주하는 대향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1 간극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게이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2 간극을 유지시키는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이동 지지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커터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커터를 미는 피가압부; 및 상기 피가압부에 상기 제2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동 금형이 그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가압부가 그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동 금형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피가압부와 상기 이동 금형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이동 금형에 의해 멈추는 위치는 상기 탄성체가 최대로 압축된 지점에서 상기 제1 간극이 유지되는 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피가압부와 상기 이동 금형에 대해 완충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유압이 공급되면 신장되고 상기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피가압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의 수축이 완료되는 위치는, 상기 제2 간극이 유지되는 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피가압부와 분리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터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동 금형을 향하는 면에 상기 탄성체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 금형에 걸리는 커터 고정 부재; 상기 제1 가압부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커터 고정 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위치를 조절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 고정 부재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 부재; 및 상기 중간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커터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사출금형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사출금형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유압 공급부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사출금형의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 및 상기 피가압부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유압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커터와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커터는 이동 금형을 관통하며 고정 금형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 러너와 연장선 상에 고정 금형과 함께 게이트를 형성시키고 제1 방향으로 이동시 게이트를 절단시키고, 가압 유닛은 커터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가압하되 제1 방향으로 가압시 커터의 날의 끝단이 고정 금형 중 이동 금형에 마주하는 대향면에 닿지 않도록 대향면과 제1 간극을 유지시키고 제2 방향으로 가압시 게이트가 형성되도록 대향면과 제2 간극을 유지시키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커터 및 가압 유닛을 통해 게이트를 사출금형 내에서 절단시킬 수 있고, 커터에 의해 게이트가 절단되는 동안 커터의 날의 끝단이 고정 금형의 대향면에 닿지 않아 커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간극은, 경험치로써, 당업자에 의해 실험을 통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성형품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가 사출 금형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가 사출 금형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간극(a)과 제2 간극(b)을 보이기 위해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제어부와 유압 공급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가 사출 금형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가 사출 금형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간극(a)과 제2 간극(b)을 보이기 위해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제어부와 유압 공급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C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금형(11) 및 이동 금형(12)을 포함한 사출금형(10)에 사용되는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로, 하나 이상의 커터(100)와 가압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고정 금형(11) 및 이동 금형(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며 서로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구성요소로, 서로 맞물릴 경우 성형품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cavity)(C)와 이를 향해 용융수지[사출 성형기(미도시)의 가열 실린더(미도시)에서 용융된 수지]를 이동시키는 러너(runner)(R)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금형(11)은, 사출 성형기(미도시)의 노즐(미도시)에 연결되기 위한 스프루(sprue)(미도시)가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판(1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동 금형(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지판(14)에 지지되며 이동 메커니즘(미도시)를 통해 고정 금형과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터(100)는, 고정 금형(11)과 함께 게이트(gate)(G)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이 형성된 게이트(G)를 절단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금형(12)을 관통하며 고정 금형(11)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러너(R)와 연장선 상에 고정 금형(11)과 함께 게이트(G)를 형성시킬 수 있고, 제1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게이트(G)를 절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터(100)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유닛(200)은, 커터(100)을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가압시에는 커터(100)의 날의 끝단이 고정 금형(11) 중 이동 금형(12)에 마주하는 대향면에 닿지 않도록 대향면과 제1 간극(L1)을 유지시킬 수 있고, 제2 방향으로 가압시에는 게이트(G)가 형성되도록 고정 금형(11)의 대향면과 제2 간극(L2)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터(100) 및 가압 유닛(200)을 통해 게이트(G)를 사출금형(10) 내에서 절단시킬 수 있고, 커터(100)에 의해 게이트(G)가 절단되는 동안 커터(100)의 날의 끝단이 고정 금형(11)의 대향면에 닿지 않고 대향면과 제1 간극(L1)을 유지할 수 있어 커터(1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간극(L1)은, 경험치로써, 당업자에 의해 실험을 통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성형품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가압 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압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부(210), 피가압부(220), 그리고 제2 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가압부(210)는,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지판(14)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압부(210)는 유압 실린더(2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11)의 피스톤부가 이동 지지판(14)에 고정되고, 유압 실린더(211)의 실린더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유압 실린더(211)는, 유압이 공급되면 신장될 수 있고, 유압이 해제되면 탄성체(231)[제2 가압부(230)의 일 예에 해당함]에 의한 피가압부(220)의 제2 방향의 이동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특히, 유압 실린더(211)의 수축이 완료되는 위치는, 제2 간극(L2)이 유지되는 위치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압 실린더(211)가 탄성체(231)의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유압 실린더(211)의 수축이 완료되는 위치가 이 탄성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11)는 피가압부(220)와 분리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211)가 신장이 완료된 위치와 수축이 완료된 위치 사이의 간격(R1)은 제2 간극(L2)에서 제1 간극(L1)을 뺀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210)는, 캐비티(C)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사출금형(10)이 냉각되기 전에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수지가 딱딱하게 경화되기 전에 게이트(G)의 절단이 이루어지므로, 커터(100)의 말단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피가압부(220)는, 제1 가압부(210)로부터 제공된 제1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거나 제2 가압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제2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요소로,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00)와 제1 가압부(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피가압부(220)는 제1 가압부(210)로부터 제공된 제1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면서 커터(100)를 제1 방향으로 밀 수 있고, 제2 가압부(230)로부터 제공된 제2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면서 커터(100)를 제2 방향으로 밀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압부(220)는, 상술한 제1 간극(L1)을 유지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이동 금형(12)에 걸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술한 제2 간극(L2)을 유지하기 위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유압이 해제된 유압 실린더(211)의 최대 수축 지점에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가압부(220)는,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고정 부재(221), 하부 지지 부재(222), 그리고 커터 위치 조절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 고정 부재(221)는, 하나 이상의 커터(100)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동 금형(12)을 향하는 면에 탄성체(2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동 금형(12)에 걸리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하부 지지 부재(222)는 제1 가압부(210)의 유압 실린더(211)에 지지될 수 있다. 커터 위치 조절부(223)는 커터 고정 부재(221)와 하부 지지 부재(222) 사이에 구비되며 커터(100)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커터 위치 조절부(22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지 부재(223a)와 위치 조절 볼트(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지 부재(223a)는, 그 일단이 하부 지지 부재(222)에 고정 볼트(241)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커터 고정 부재(221)를 지지할 수 있다. 위치 조절 볼트(223b)는, 중간 지지 부재(223a)를 통해 커터(100)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커터(10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터 위치 조절부(223)를 통해 제1 및 제2 간극(L1)(L2)을 영점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중간 지지 부재(223a)에는 압력판(2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압부(230)는, 피가압부(220)에 제2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가압부(230)는 피가압부(220)와 이동 금형(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231)일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11) 및 피가압부(22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탄성체(231)가 압축될 경우, 탄성체(231)는 제2 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보유하게 되고, 유압 실린더(211)의 유압이 해제되면 탄성체(231)의 복원력에 의해 피가압부(220) 및 유압 실린더(211)의 실린더 부분은 제2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231)는, 피가압부(220)와 이동 금형(12)에 대해 완충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간극(L1)은 피가압부(220)가 제1 가압부(210)의 유압 실린더(211)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이동 금형(12)이 그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술한 제2 간극(L2)은 피가압부(220)가 제2 가압부(230)의 탄성체(231)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유압 실린더(211)가 그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피가압부(220)가 이동 금형(12)에 의해 멈추는 위치는 탄성체(231)가 최대로 압축된 지점에서 제1 간극(L1)이 유지되도록 그 위치가 정해질 수 있고, 피가압부(220)가 유압 실린더(211)에 의해 멈추는 위치는 유압 실린더(211)가 최대로 수축된 지점에서 제2 간극(L2)이 유지되도록 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제1 가압부(210)는, 유압 실린더(21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CA)는, 유압 공급부(212)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먼저, 캐비티(C)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사출금형(10)이 냉각되기 전에, 유압 실린더(211)가 신장되도록 유압 공급부(212)를 통해 유압 실린더(211)에 유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11)에 의해 발생된 제1 방향의 힘에 의해 피가압부(220) 및 커터(1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게이트(G)를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출금형(10)의 냉각이 완료되면, 탄성체(231) 및 피가압부(220)에 의해 유압 실린더(211)가 수축되도록 유압 공급부(21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한다. 따라서, 탄성체(231)에 의해 발생된 제2 방향의 힘에 의해 커터(1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시 게이트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냉각이 완료되지 않은 채 게이트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커터(1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액체 상태의 용융 수지가 게이트의 공간에 다시 채워지면서 게이트(G)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유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제어부(300)는 리미트 스위치(410) 및 신호 라인(420)을 통해 고정 금형(11)과 이동 금형(12)이 서로 맞물리거나 분리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작동 타이밍을 경험칙으로 조절하여 용융 수지가 주입되는 시점, 냉각되기 전의 시점, 그리고 냉각이 완료된 시점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사출금형 11: 고정 금형
12: 이동 금형 13: 고정 지지판
14: 이동 지지판 C: 캐비티
R: 러너 G: 게이트
CA: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L1: 제1 간극 L2: 제2 간극
100: 커터 200: 가압 유닛
210: 제1 가압부 211: 유압 실린더
212: 유압 공급부 213: 유압 공급 라인
220: 피가압부 221: 커터 고정 부재
222: 하부 지지 부재 223: 커터 위치 조절부
223a: 중간 지지 부재 223b: 위치 조절 볼트
230: 제2 가압부 231: 탄성체
300: 제어부

Claims (11)

  1. 서로 맞물릴 경우 성형품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와 이를 향해 용융수지를 이동시키는 러너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 금형 및 이동 금형과 상기 이동 금형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판을 포함한 사출금형에 사용되는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로,
    상기 이동 금형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 금형을 향하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러너와 연장선 상에 상기 고정 금형과 함께 게이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게이트를 절단시키는 하나 이상의 커터; 및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가압하되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커터의 날의 끝단이 상기 고정 금형 중 상기 이동 금형에 마주하는 대향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1 간극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게이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면과 제2 간극을 유지시키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이동 지지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커터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방향의 힘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커터를 미는 피가압부; 및
    상기 피가압부에 상기 제2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피가압부와 상기 이동 금형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이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커터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동 금형을 향하는 면에 상기 탄성체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이동 금형에 걸리는 커터 고정 부재;
    상기 제1 가압부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커터 고정 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 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위치를 조절하는 커터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이동 금형이 그 이동을 제한한 것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1 가압부가 그 이동을 제한한 것으로 유지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이동 금형에 의해 멈추는 위치는,
    상기 탄성체가 최대로 압축된 지점에서 상기 제1 간극이 유지되는 위치로 정해지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피가압부와 상기 이동 금형에 대해 완충 기능을 더 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유압이 공급되면 신장되고 상기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피가압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
    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의 수축이 완료되는 위치는,
    상기 제2 간극이 유지되는 위치로 정해지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피가압부와 분리된 상태로 놓이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커터 위치 조절부는,
    상기 하부 지지 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 고정 부재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 부재; 및
    상기 중간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커터에 나사 체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터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볼트
    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사출금형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제1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11. 제5항에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는,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에 용융수지가 주입된 후 상기 사출금형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유압 실린더가 신장되도록 상기 유압 공급부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사출금형의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 및 상기 피가압부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가 수축되도록 상기 유압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해제하는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20170129632A 2017-10-11 2017-10-11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181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2A KR101819712B1 (ko) 2017-10-11 2017-10-11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2A KR101819712B1 (ko) 2017-10-11 2017-10-11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712B1 true KR101819712B1 (ko) 2018-01-17

Family

ID=6102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32A KR101819712B1 (ko) 2017-10-11 2017-10-11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9469A (zh) * 2019-08-27 2019-11-29 苏州骏创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塑胶件水口切割装置
KR20200037556A (ko) * 2018-10-01 2020-04-09 전명옥 제품과 스크랩의 분리 기능을 가지는 블로우 금형
KR20210000126U (ko) 2019-07-08 2021-01-18 최귀영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56A (ko) * 2018-10-01 2020-04-09 전명옥 제품과 스크랩의 분리 기능을 가지는 블로우 금형
KR102116695B1 (ko) 2018-10-01 2020-06-02 전명옥 제품과 스크랩의 분리 기능을 가지는 블로우 금형
KR20210000126U (ko) 2019-07-08 2021-01-18 최귀영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CN110509469A (zh) * 2019-08-27 2019-11-29 苏州骏创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塑胶件水口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12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0143201B1 (ko) 국부가압식 사출성형기
JP5290388B2 (ja) 薄肉成形品の成形方法
JP2008110498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の成形方法
JP2016112771A (ja) 複数個の成形品を並行して成形する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5309238B2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タッチ力制御装置
CN105121119A (zh) 用于控制阀浇口式喷嘴的闭合速度的系统
JP6731017B2 (ja) 加圧成形機
US20180222099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stack mold f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applications and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process
JP2023126444A (ja) 射出成形機
JP2009034954A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TWI503219B (zh) A thin plate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a thin plate injection press forming apparatus
JP2016124173A (ja) 型締装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EP3012085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278111B2 (ja) 射出成形機
KR20170038159A (ko) 사출성형기
JPH07299850A (ja) 射出成形方法
EP3061588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operation screen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6308689B2 (ja) 立体形状成形品の射出圧縮成形装置および射出圧縮成形金型ならびに射出圧縮成形方法
JPH032046B2 (ko)
JP5872668B1 (ja) 開閉装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20100008870A (ko) 사출성형장치
JPH0752205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022158668A (ja)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射出成形機、射出成形システム及び、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H0452118A (ja) 型内打抜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