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298B1 -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298B1
KR101819298B1 KR1020150183792A KR20150183792A KR101819298B1 KR 101819298 B1 KR101819298 B1 KR 101819298B1 KR 1020150183792 A KR1020150183792 A KR 1020150183792A KR 20150183792 A KR20150183792 A KR 20150183792A KR 101819298 B1 KR101819298 B1 KR 10181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utting
unit
width direction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082A (ko
Inventor
남현웅
최강혁
김원수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298B1/ko
Priority to CN201610827594.2A priority patent/CN106825753B/zh
Publication of KR2017007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수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을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되는 클램핑부;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상기 클램핑부의 폭을 조절하여 절단홈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이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APPARATUS FOR CLAMPING AND SPACING MATERIALS AND APPRATUS FOR CUTTING MATERIALS}
본 발명은 소재를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클램핑 및, 절단할 수 있는 클램핑 이격장치 및, 소재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원형톱(1)을 이용한 절단장치는 바이스 장치 및 탁상 원형톱(1)(일본 출원번호 제2008-118914호)으로서, 원형톱(1)은 일반적으로 봉재나 얇은 판재의 절단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소재가 클램핑장치(2)에 의해 고정된 후, 원형톱(1)을 가진 커팅수단이 소재의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절단방식은 두껍고 긴(도면상 좌우방향으로서 절단방향으로 긴) 소재를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상하이동방식의 절단으로 인해 절단반력이 클 때 소재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원형톱(1) 이송장치로서, 금속재질의 소재를 원형톱(1)을 이용하여 절단 중 소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중력방향 클램핑력을 부여하는 유압수단(4), 소재와 직접 접촉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누름부재(3), 상기 유압수단(4)을 지지하는 프레임(5)을 구비한다.
금속재질의 소재를 원형톱(1)을 이용하여 절단 중 소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중력방향 클램핑력을 부여하는 유압수단(4), 소재와 직접 접촉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누름부재(3), 상기 유압수단(4)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길이가 원형톱(1) 이상으로 긴 금속판재를 절단하는 경우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절단홈(T) 수축에 의한 톱날물림을 대비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형톱(1)을 사용하여 금속판재 절단시 절단홈(T) 수축으로 원형톱의 끼임이 발생한 사진으로, 원형톱이 절단하는 지점과 시작지점과의 절단홈(T) 수축은 약 0.72mm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절단홈(T) 수축 현상은 절단면의 단면 형상이 깨끗하지 못하고, 원형톱 자체의 손상을 유발시키며, 원형톱의 톱날(인설트)이 절단홈(T) 사이에 물리게 만들어 절단 진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종래의 절단홈(T)을 이격하는 장치로서, 금속재질의 소재를 절단하는 원형톱(1)에 의해 형성된 절단홈(T)에 쐐기(6)를 삽입하고, 상기 쐐기를 금속재질의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실린더부재(7)와, 상기 쐐기를 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실린더부재(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2 실린더부재(7,8)를 통해 상기 쐐기를 이동하며 금속재질의 소재에 형성된 절단홈(T)을 이격시킨다.
즉, 쐐기(6)를 금속재질의 소재의 절단홈(T)에 삽입하기 위해 제2 실린더부재(8)를 신장시키고, 삽입된 쐐기(6)를 들어올려 절단홈(T)을 이격하기 위해 제1 실린더부재(7)를 수축시키는 원리이다.
원형톱(1)이 금속재질의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점차 이동해갈수록 제1 실린더부재(7)의 수축량을 증가시켜 쐐기(6)를 상승시키다가, 절단작업이 후반으로 가게 되면 제1 실린더부재(7)를 수축시켜 쐐기(6)의 상승량을 더욱 증가시키면서 절단홈(T)을 이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대상물의 절단홈(T)을 이격하기 위해서는 주요 설비가 대형화되고, 필요한 부품 내지는 장치의 개수가 많아 다른 설비들과의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많은 개수의 부품 내지는 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함께 증가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소재를 절단시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 이격장치 및, 소재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재의 절단시 절단장치가 수축된 절단홈에 걸리면서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클램핑 이격장치 및, 소재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절단수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을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되는 클램핑부;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상기 클램핑부의 폭을 조절하여 절단홈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이격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클램핑부는,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절단홈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소재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를 상대운동시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소재를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되면서 소재를 가압하고,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클램핑본체; 및, 상기 클램핑본체의 단부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고, 절단홈에 삽입되어 절단홈을 지지도록 제공되는 이격디스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간격조절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절단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클램핑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중공부의 내부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구동부재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실린더로드가 차지하는 부분인 로드공간부; 및, 상기 클램핑본체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중공부로 공급된 유체가 채워지는 부분인 압력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구동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총공간에서 상기 압력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클램핑부의 제1 이격디스크와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제2 이격디스크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소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단수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소재의 절단홈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램핑 이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프레임은 소재를 사이에 두고,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재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에 클램핑력을 부가하는 핀치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절단장치.
바람직하게, 핀치롤부는 상기 절단수단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기 전의 소재를 가압하고,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절단수단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핀치롤부와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소재의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실린더유닛에 의해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소재절단장치.
바람직하게,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단수단과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단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는 제1 절단수단; 및,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제2 절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제1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절단수단을 따라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클램핑 이격장치; 및, 상기 제2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절단수단을 따라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핑 이격장치;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바람직하게, 가이드프레임은 소재를 사이에 두고,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재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방향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절단수단 및, 상기 제1 클램핑 이격장치가 설치되는 제1 폭방향프레임부;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수단 및, 상기 제2 클램핑 이격장치가 설치되는 제2 폭방향프레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폭방향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설치되는 제2-1 폭방향부재 및, 상기 제2-1 폭방향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2-2 폭방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절단수단은, 상기 제2-1 폭방향부재 및, 제2-2 폭방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레일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고, 상기 제2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제2-1 폭방향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절단홈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2 폭방향부재 상에 설치되고 절단된 소재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수단에 의해 소재를 절단시 소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여 소재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수단에 의해 소재를 절단시 소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면서 동시에 절단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절단수단이 수축된 절단홈에 걸리면서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종래의 절단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래의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절단홈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절단홈을 이격하는 쐐기를 구비하는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랭핑 이격장치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핑 이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클램핑 이격장치의 동작 전 상태와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랭핑 이격장치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랭핑 이격장치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이격장치(3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이격장치(30)는 클랩핑부 및, 간격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절단수단(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S)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T)을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되는 클램핑부(100)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상기 클램핑부(100)의 폭을 조절하여 절단홈(T)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0)는 제1 클램핑부(101), 제1 클램핑부(101)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핑부(100)는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된 소재(S)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T)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101) 및, 상기 제1 클램핑부(101)와 절단홈(T)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소재(S)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T)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103)를 구비하고, 간격조절부(20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101)와 상기 제2 클램핑부(103)를 상대운동시켜, 상기 제1 클램핑부(101) 및, 상기 제2 클램핑부(10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부(101)와 제2 클램핑부(103)는 각각 클램핑본체(110) 및, 이격디스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클램핑부(101) 및, 상기 제2 클램핑부(103)는, 소재(S)를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되면서 소재(S)를 가압하고,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30)가 형성된 클램핑본체(110) 및, 상기 클램핑본체(110)의 단부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고, 절단홈(T)에 삽입되어 절단홈(T)을 지지도록 제공되는 이격디스크(15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핑부(101)는 제1 클램핑본체(110) 및 제1 이격디스크(150)를 구비하고, 제1 클램핑부(101)는 제2 클램핑본체(110) 및 제2 이격디스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격디스크(150)와 제2 이격디스크(15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격디스크(150)와 제2 이격디스크(150)의 일부가 절단홈(T)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격디스크(150)의 둘레방향 테두리부분이 절단홈(T)에 삽입되어 절단홈(T)의 일측면 지지하고, 제2 이격디스크(150)의 둘레방향 테두리부분이 절단홈(T)에 삽입되어 절단홈(T)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간격조절부(200)는 실린더로드(210) 및, 압력구동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200)는 상기 중공부(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절단홈(T)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210) 및,상기 클램핑본체(110)의 일측을 통해 상기 중공부(130)의 내부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구동부재(230)를 구비하고, 압력구동부재(230)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101)와 상기 제2 클램핑부(103)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210)의 둘레방향 외주면에는 오링부재(250)가 형성되어, 중공부(130)로 유출입되는 유체가 클램핑본체(110)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핑본체(110)에는 중공부(130)가 형성되고, 중공부(130)는 로드공간부(131)와 압력공간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부(130)에서 상기 실린더로드(210)가 차지하는 부분인 로드공간부(131) 및, 상기 클램핑본체(1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0)의 단부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중공부(130)로 공급된 유체가 채워지는 부분인 압력공간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구동부재(230)는 상기 중공부(130)의 총공간에서 상기 압력공간부(133)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클램핑부(101)의 제1 이격디스크(150)와 상기 제2 클램핑부(103)의 제2 이격디스크(15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클램핑본체(110)의 압력공간부(133)와 제2 클램핑본체(110)의 압력공간부(133)의 크기가 확장되면서, 제1 클램핑부(101)의 제1 이격디스크(150)와 제2 클램핑부(103)의 제2 이격디스크(15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본체(110)의 중공부(130)에 설치된 제1 실린더로드(210)와, 제2 클램핑본체(110)의 중공부(130)에 설치된 제2 실린더로드(21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압력구동부재(230)는 클램핑본체(110)의 유출입구(170)를 통해 클램핑본체(110)의 중공부(130)로 유체 또는 액체를 각각 유입시킬 수 있다.
압력구동부재(230)에 의해 제공된 압력에 의해, 중공부(130)에서 압력공간부(133)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로드(210)와 제2 실린더로드(21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이기 때문에, 공급된 압력에 의해 각각의 압력공간부(133)가 확장되고, 확장된 압력공간부(133)의 반력에 의해 제1 클램핑본체(110)와 제2 클램핑본체(1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린더로드(210)의 일측단부와 제2 실린더로드(210)의 일측단부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실린더로드(210)의 타측단부 방향에 형성된 제1 압력공간부(133)가 확장되면서 제1 클램핑본체(110)가 절단홈(T)에서 멀어지고, 제2 실린더로드(210)의 타측단부 방향에 형성된 제2 압력공간부(133)가 확장되면서 제2 클램핑본체(110)가 절단홈(T)에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핑본체(110)의 제1 이격디스크(150)가 절단홈(T)에서 멀어지는 힘에 의해 절단홈(T)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2 클램핑본체(110)의 제2 이격디스크(150)가 절단홈(T)에서 멀어지는 힘에 의해 절단홈(T)의 타측을 지지하면서 절단홈(T)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절단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절단장치는 가이드프레임(10), 절단수단(20) 및, 클램핑 이격장치(3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핀치롤부(50), 실린더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재절단장치는 가이드프레임(10), 절단수단(20) 및, 클램핑 이격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절단장치는 소재(S)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재(S)를 절단하는 절단수단(2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상기 절단수단(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S)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소재(S)의 절단홈(T)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클램핑 이격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0)은 소재(S)의 절단방향인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소재(S)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10)은 소재(S)를 사이에 두고,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재(S)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폭방향프레임부(40)는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절단방향인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폭방향프레임부(40)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 상에 소재(S)의 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절단방향인 소재(S)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절단수단(20) 및,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상기 폭방향프레임부(40) 상에서 소재(S)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S)의 폭에 대응되도록 위치조절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절단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S)에 클램핑력을 부가하는 핀치롤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핀치롤부(50)는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S)의 최대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소재(S)의 폭방향 전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롤부(50)는 상기 절단수단(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되기 전의 소재(S)를 가압하고,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상기 절단수단(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된 소재(S)를 가압할 수 있다.
핀치롤부(50)와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소재(S)의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실린더유닛(60)에 의해 소재(S)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유닛(60)은 폭방향프레임부(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S)방향의 표면방향으로 핀치롤부(50)와 클램핑 이격장치(30)를 승강시켜 소재(S)를 가압할 수 있다.
실린더유닛(60)은 제1 클램핑부(101)와 제2 클램핑부(10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유닛(60)의 일측에 폭방향프레임부(40)에 설치된 피스톤(45)에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45)의 신장에 의해 실린더유닛(60)의 폭방향프레임 상에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의 절단폭에 대응되게 실린더유닛(6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상기 절단수단(20)과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절단수단(20)과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절단장치는 제1 절단수단(21), 제2 절단수단(23), 제1 클램핑 이격장치(31) 및, 제2 클램핑 이격장치(31)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수단(20)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S)를 절단하는 제1 절단수단(21) 및,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제2 절단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상기 제1 절단수단(21)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절단수단(21)을 따라 소재(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클램핑 이격장치(31) 및, 상기 제2 절단수단(23)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절단수단(23)을 따라 소재(S)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핑 이격장치(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프레임부(40)는 제1 폭방향프레임부(41) 및, 제2 폭방향프레임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폭방향프레임부(40)는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절단수단(21) 및, 상기 제1 클램핑 이격장치(31)가 설치되는 제1 폭방향프레임부(41)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수단(23) 및, 상기 제2 클램핑 이격장치(31)가 설치되는 제2 폭방향프레임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폭방향프레임부(43)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서 설치되는 제2-1 폭방향부재(43-1) 및, 상기 제2-1 폭방향부재(43-1)에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제2-2 폭방향부재(43-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절단수단(23)은 제2-1 폭방향부재(43-1) 및, 제2-2 폭방향부재(4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레일에 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재(S)를 절단할 수 있다.
제2 클램핑 이격장치(31)는 제1 클램핑부(101), 제2 크램핑부 및, 간격조절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클램핑 이격장치(31)는 제2-1 폭방향부재(43-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수단(20)에 의해 절단된 소재(S)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T)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101)와, 상기 제1 클램핑부(101)와 절단홈(T)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2 폭방향부재(43-3) 상에 설치되고 절단된 소재(S)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T)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103)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101)와 상기 제2 클램핑부(103) 사이의 이격거리를조절하여 절단홈(T)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소재절단장치는 상기 폭방향프레임부(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재(S)방향으로 상기 절단수단(20) 및,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3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이격장치(30)는 소재(S)의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실린더유닛(60)에 의해 소재(S)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유닛(60)은 폭방향프레임부(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S)방향의 표면방향으로 클램핑 이격장치(30)를 승강시켜 소재(S)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재절단장치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클램핑 이격장치(3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소재절단장치에서 활용되는 클램핑 이격장치(30)의 클램핑부(100), 간격조절부(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핑 이격장치(3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원형톱 2: 클램핑장치
3: 누름부재 4: 유압수단
6: 쐐기 7: 제1 실린더부제
8: 제2 실린더부재
10: 가이드프레임 20: 절단수단
21: 제1 절단수단 23: 제2 절단수단
30: 클램핑 이격장치 31: 제1 클램핑 이격장치
33: 제2 클램핑 이격장치 40: 폭방향프레임부
41: 제1 폭방향프레임부 43: 제2 폭방향프레임부
43-1: 제2-1 폭방향부재 43-3: 제2-2 폭방향부재
45: 피스톤 50: 핀치롤부
60: 실린더유닛 100: 클램핑부
101: 제1 클램핑부 103: 제2 클램핑부
110: 클램핑본체 130: 중공부
131: 로드공간부 133: 압력공간부
150: 이격디스크 170: 유출입구
200: 간격조절부 210: 실린더로드
230: 압력구동부재 250: 오링부재
S: 소재 T: 절단홈

Claims (14)

  1. 절단수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을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대향되게 배치되는 클램핑부;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상기 클램핑부의 폭을 조절하여 절단홈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이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절단홈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절단된 소재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를 상대운동시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이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소재를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되면서 소재를 가압하고,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클램핑본체; 및,
    상기 클램핑본체의 단부에 둘레방향으로 구비되고, 절단홈에 삽입되어 절단홈을 지지도록 제공되는 이격디스크;를 구비하는 클램핑 이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절단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클램핑본체의 일측을 통해 상기 중공부의 내부로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구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구동부재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이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실린더로드가 차지하는 부분인 로드공간부; 및,
    상기 클램핑본체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중공부로 공급된 유체가 채워지는 부분인 압력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구동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총공간에서 상기 압력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클램핑부의 제1 이격디스크와 상기 제2 클램핑부의 제2 이격디스크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이격장치.
  6. 소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단수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소재의 절단홈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램핑 이격장치;를 포함하는 소재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소재를 사이에 두고,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재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소재절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에 클램핑력을 부가하는 핀치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부는 상기 절단수단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기 전의 소재를 가압하고,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절단수단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소재절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부와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소재의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실린더유닛에 의해 소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소재절단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절단수단과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소재절단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는 제1 절단수단; 및,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제2 절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제1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절단수단을 따라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클램핑 이격장치; 및,
    상기 제2 절단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절단수단을 따라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핑 이격장치;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소재를 사이에 두고,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소재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폭방향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방향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절단수단 및, 상기 제1 클램핑 이격장치가 설치되는 제1 폭방향프레임부;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수단 및, 상기 제2 클램핑 이격장치가 설치되는 제2 폭방향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방향프레임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설치되는 제2-1 폭방향부재 및, 상기 제2-1 폭방향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2-2 폭방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절단수단은,
    상기 제2-1 폭방향부재 및, 제2-2 폭방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레일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재를 절단하고,
    상기 제2 클램핑 이격장치는,
    상기 제2-1 폭방향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클램핑부;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절단홈을 기준으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2 폭방향부재 상에 설치되고 절단된 소재의 타측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절단홈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부; 및,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상기 제2 클램핑부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KR1020150183792A 2015-12-03 2015-12-22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KR101819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92A KR101819298B1 (ko) 2015-12-22 2015-12-22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CN201610827594.2A CN106825753B (zh) 2015-12-03 2016-09-14 材料切割装置及夹持隔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92A KR101819298B1 (ko) 2015-12-22 2015-12-22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82A KR20170075082A (ko) 2017-07-03
KR101819298B1 true KR101819298B1 (ko) 2018-01-17

Family

ID=5935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792A KR101819298B1 (ko) 2015-12-03 2015-12-22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35B1 (ko) * 2020-11-17 2022-04-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제조용 지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35B1 (ko) * 2020-11-17 2022-04-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제조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82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9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mutual separation of two workpiece components of a plate-like workpiece
US9802284B2 (en) Clamping device
EP3031561A1 (en) Horizontal band saw machine
JP2011177847A (ja) 丸鋸切断機
KR20150137354A (ko) 레이저 가공장치
US9475209B2 (en) Wire saw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employing same
KR20140014580A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819298B1 (ko) 클램핑 이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US9409261B2 (en) Retaining device for the form-fitting and/or force-fitting arrangement of two components to be connected in a bonded manner,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retaining device
EP1714744A2 (en) Inflatable clamping systems and methods
CN211414382U (zh) 一种用于成品固定限位固定切割治具
JP5999673B1 (ja) 軸体挿入物の配置装置
CN112041153B (zh) 带有清除单元的焊接机器
US20200061763A1 (en) Autonomous processing station
JPWO2017183120A6 (ja) 軸体挿入物の配置装置
JP2004154930A (ja) 枚葉紙打抜き・型押し機
JP3203207B2 (ja) 鋸切断機のクランプ装置
CN103447708A (zh) 带钢板底座的钢构件防钢板底座焊接变形的方法
CN107614144B (zh) 带状板的接合方法
FR3085881B1 (fr) Machine et procede de conformation de cartons
KR102098678B1 (ko) 창호 프로파일용 홀 가공장치
KR101060248B1 (ko) 톱날을 추종하는 금속 판재의 절개홈 이격 장치 및 이를채용한 금속 판재 절단 장치
TWM496534U (zh) 夾鉗結構
JP4363332B2 (ja) ワーク分離機能を備えたワーク搬送装置
KR20100006198A (ko) 금속 판재의 절개홈 이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금속 판재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