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871B1 - 인상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인상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871B1
KR101818871B1 KR1020167003480A KR20167003480A KR101818871B1 KR 101818871 B1 KR101818871 B1 KR 101818871B1 KR 1020167003480 A KR1020167003480 A KR 1020167003480A KR 20167003480 A KR20167003480 A KR 20167003480A KR 101818871 B1 KR101818871 B1 KR 10181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impression material
pul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888A (ko
Inventor
다카유키 미치이
히로시 가모하라
도모히로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6004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삼차원 데이터의 취득을 용이하게 하는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구강 내에 삽입해서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유지하는 인상용 트레이(1)이며, 상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구비하고, 상악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12a)을 구비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를 갖고, 하악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22a)을 구비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를 갖고,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 및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핸들(17)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은 그 장착의 자세로 입술측, 상악 인상 트레이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 및 하악 인상 트레이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 이외의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다.

Description

인상용 트레이{TRAYS FOR IMPRESSION}
본 발명은 의치상의 제작에 있어서 인상을 채득할 때에 사용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 및 하악 인상 트레이를 1세트로 한 인상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에서 보철물의 제작 시에 구강 내의 인상을 채득할 때에는, 실리콘 인상재나 알지네이트 인상재 등의 인상재가 사용된다. 이 때, 인상재를 구강 내에 삽입해서 유지하기 위해서 인상용 트레이를 이용한다. 즉, 인상용 트레이에 인상재를 담아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고, 인상재를 환자의 구강 내에 밀어붙임으로써 구강 내의 형상을 인상재에 전사한다. 그리고 인상재가 경화된 후에, 구강 내의 형상이 전사된 인상재가 유지된 상태로 일체로서 인상용 트레이가 구강 내로부터 취출된다.
이와 같이 인상을 채득할 때에, 무치악인 사람(무치악에 가까운 사람도 포함함)의 경우에는, 매끄러운 곡면을 갖는 치조제의 인상을 채득할 필요가 있다. 이 때에는, 인상재를 균등한 힘으로 치조제에 밀어붙여야 하는 등,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로 인해, 무치악자에 대해서는, 보다 고정밀도로 구강 내의 인상을 채득할 필요성으로 인해, 인상 채득을 2회에 걸쳐서 행하는 경우도 많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일반적인 인상용 트레이에 의해 치조제의 첫번째 인상을 채득하고, 그 후, 경화된 인상으로부터 무치악 모형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무치악 모형으로부터 그 무치악자 전용의 인상용 트레이인 「개인 트레이」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이 개인 트레이에 인상재를 얕게 담아서, 치조제의 두번째 인상을 채득하고, 그 인상으로부터 정확한 무치악 모형을 제작한다.
종래는 이 개인 트레이에 석고를 유입하여 석고 모형을 얻었지만, 최근에는 디지털화 기술 및 CAD 기술의 발전에 의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기재와 같이, 채득된 인상을 3차원 형상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이것을 컴퓨터 상에서 처리하는 기술이 있다. 이에 의하면, 컴퓨터 상에서 치과 보철물을 최종 형상까지 조정하고, 당해 최종 형상의 데이터를 NC 공작 기계에 송신해서 직접적으로 최종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상용 트레이에는, 당해 인상용 트레이의 본체를 적절하게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입술측으로 되는 부위에, 구강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6-7893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7-239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채득된 인상을 삼차원 계측 시에, 구체적으로 인상용 트레이를 어떻게 다루어서 데이터를 얻을지에 관한 기재가 없다. 삼차원 계측은 상악 및 하악 인상의 양쪽에 대해서 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표리의 관계에 있는 점에서 계측에 손이 많이 간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쥐거나 해서 유지 장치에 고정하고, 인상을 세워서 유지함으로써 상악측 및 하악측에 형성된 인상을 계측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것으로는 손잡이에 의해 입술측 인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삼차원 데이터의 취득을 용이하게 하는 인상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도면에 붙인 참조 부호를 괄호로 병행해서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해서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유지하는 인상용 트레이(1)이며, 상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구비하고, 상악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12a)을 구비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를 갖고, 하악 인상 트레이는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22a)을 구비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를 갖고,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 및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핸들(17)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은 그 장착 자세에서, 입술측, 상악 인상 트레이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 및 하악 인상 트레이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 이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인상용 트레이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인상용 트레이(1)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 및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에는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12a, 22a)과, 그 반대측면(12b, 22b)을 관통하는 구멍(12c, 22c)이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상을 채득할 때에는 핸들이 이탈해서 당해 인상의 채득을 방해하지 않고, 한편 3차원 데이터 계측 시에는 계측해야 할 부위 이외로부터 연장되는 핸들이 장착되어서 인상용 트레이를 공간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인상을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1은 인상용 트레이(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다른 시점으로부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핸들(17)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의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사시도, 도 4의 (b)는 핸들(17)이 목구멍측 연결부(15)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사시도, 도 4의 (c)는 핸들(17)이 입술측 연결부(14)에 장착되었을 때의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b)는 핸들(17)이 장착되었을 때의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다른 시점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상용 트레이(1)가 구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자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상용 트레이(1)가 구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자세를 인상재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목구멍측 연결부(15)에 핸들(17)이 장착된 장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삼차원 형상 계측 시에 인상용 트레이(1)가 유지 장치(30)에 의해 유지된 장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인상용 트레이(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인상용 트레이(1)가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될 때의 방향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용 트레이(1)는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악 인상 트레이(10)는, 상악측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인상재를 담는 트레이이다. 도 2, 도 3에는,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2, 도 3에도 상악 인상 트레이(10)가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될 때의 방향을 함께 도시하였다. 즉, 도 2는 상악 인상 트레이(10)를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대향하는 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과 마찬가지로, 상악에 대향하는 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악 인상 트레이(10)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 및 핸들(17)을 갖고 있다.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는, 환자의 상악에 접해서 그 형상을 전사하는 인상재가 유지되는 부재이다.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는, 상악에서의 구강 내의 대략의 형상을 모방한 외주 형상 및 요철을 갖고 형성된 판상의 인상재 받침판(12)을 갖고 있으며, 한쪽 판면이 인상재가 배치되는 인상재 배치면(12a), 다른 쪽 판면이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대향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이다. 그리고, 인상재 받침판(12)에는, 인상재가 가압되어서 변형되었을 때에 인상재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멍(12c)으로부터 압출된 인상재에 의해 상악 인상 트레이(10)가 하악 인상 트레이(20)와 달라 붙어서, 양자를 일체로 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사용되는 인상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관점에서, 인상재 받침판(12)의 형태를 상악에서의 구강 내의 대략의 형상을 모방한 외주 형상 및 요철을 갖는 형태로 하였다. 즉, 그 외주 형상은 치열 궁형상을 모방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입술측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판면은 악제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궁상으로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 측으로 볼록, 인상재 배치면(12a) 측으로 오목해지고, 이 궁상으로 둘러싸이는 경구개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인상재 배치면(12a)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요철을 갖고 있다. 단, 반드시 인상재 받침판은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상악 인상 트레이에 채용되어 있는 형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에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재 받침판(12)의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에 돌기(13)가 배치되어 있다. 돌기(13)의 정상부에는 평평한 정상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 돌기(13)는, 인상재 받침판(12)의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 중,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 측으로 볼록해진 궁상 부위의 능선(볼록한 정상부를 연결하는 선) 상의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능선을 따른 방향의 길이(도 2에 A로 나타낸 길이)가 5mm 이상 20mm 이하, 당해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의 크기(도 2에 B로 나타낸 크기)가 3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가 5mm 미만이면 너무 짧아서 교합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때에 돌기(13)와, 후술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돌기(23)(도 1 참조)의 서로의 정상면(13a, 23a) 중 적어도 일부끼리를 접촉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으로 길이가 20mm를 초과하면, 정상면(13a, 23a)을 기울이거나,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폭 방향의 크기에 대해서는, 3mm 미만이면 너무 좁아서 교합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때에 돌기(13)와, 후술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돌기(23)의 서로의 정상면(13a, 23a) 중 적어도 일부끼리를 접촉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폭이 10mm를 초과하면 돌기(13, 23)가 볼에 닿을 우려가 있다.
본 형태에서 돌기(13)는, 인상재 받침판(1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높이나 크기가 상이한 돌기를 준비해 두면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돌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에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재 받침판(12)의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에 입술측 연결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입술측 연결부(14)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 중, 입술측 근방에 설치된 2개의 돌기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에 후술하는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된다. 따라서, 입술측 연결부(14)는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 및 이탈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및 이탈을 위한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술측 연결부(14)를 통형상의 돌기로 하고, 핸들(17)의 연결부(19)를 입술측 연결부(14)의 통형상의 돌기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입술측 연결부(14)는 2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돌기나 더 많은 복수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에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재 받침판(12)의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에 목구멍측 연결부(15)가 배치되어 있다. 목구멍측 연결부(15)는,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 중, 목구멍측 근방에 설치된 2개의 돌기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에도 후술하는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된다. 따라서, 목구멍측 연결부(15)도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 및 이탈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및 이탈을 위한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구멍측 연결부(15)를 통형상의 돌기로 하고, 핸들(17)의 연결부(19)를 목구멍측 연결부(15)의 통형상의 돌기 내측에 삽입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목구멍측 연결부(15)는 2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돌기나 더 많은 복수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핸들(17)에 대해서 설명한다. 핸들(17)은 도 2,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8) 및 연결부(19)를 갖고 있다.
손잡이부(18)는 한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연결부(19)는 손잡이부(18)의 한쪽 면 중, 손잡이부(18)의 길이 방향 일방측 근방에 배치된 2개의 돌기이다. 연결부(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입술측 연결부(14), 목구멍측 연결부(15)에 장착 및 이탈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10)에 의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의 (a)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로부터 핸들(17)이 이탈되고,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뿐인 형태이다.
도 4의 (b)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의 목구멍측 연결부(15)에 핸들(17)이 장착된 형태이다. 이것은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의 목구멍측 연결부(15)에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형태로 됨으로써, 핸들(17)의 손잡이부(18)가 인상재 받침판(12)으로부터 목구멍측(즉, 입술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도 4의 (c)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의 입술측 연결부(14)에 핸들(17)이 장착된 형태이다. 이것은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의 입술측 연결부(14)에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형태로 됨으로써, 핸들(17)의 손잡이부(18)가 인상재 받침판(12)으로부터 입술측으로 돌출된다.
도 1로 되돌아와서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악 인상 트레이(20)는, 하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기 위한 트레이이다. 도 5의 (a), 도 6에는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5의 (b)에는,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와 핸들(17)이 조합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6에도 하악 인상 트레이(20)가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될 때의 방향을 함께 도시하였다. 즉, 도 5의 (a), 도 5의 (b)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상악 인상 트레이(10)에 대향하는 면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하악에 대향하는 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하악 인상 트레이(20)는,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 및 핸들(17)을 갖고 있다.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는, 환자의 하악에 접해서 그 형상을 전사하는 인상재가 유지되는 부재이다.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는, 하악에서의 구강 내의 대략의 형상을 모방한 외주 형상 및 요철을 갖고 형성된 판상의 인상재 받침판(22)을 갖고 있으며, 한쪽 판면이 인상재가 담기는 인상재 배치면(22a), 다른 쪽 판면이 상악 인상 트레이(10)에 대향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이다. 그리고, 인상재 받침판(22)에는, 인상재가 가압되어서 변형되었을 때에 인상재를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멍(22c)으로부터 압출된 인상재에 의해 하악 인상 트레이(20)가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달라 붙어, 양자를 일체로 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사용되는 인상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관점에서, 인상재 받침판(22)의 형태를 하악에서의 설부를 제외하는 구강 내의 대략의 형상을 모방한 외주 형상 및 요철을 갖는 형태로 하였다. 즉, 그 외주 형상은 치열 궁형상을 모방한 만곡을 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입술측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판면은 악제부에 상당하는 부위가 궁상으로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 측으로 볼록, 인상재 배치면(22a) 측이 오목해져, 이 궁상으로 둘러싸이는 중앙부는 설부로 되므로, 공극으로 되어 있다. 단, 반드시 인상재 받침판은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하악 인상 트레이에 채용되고 있는 형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에는, 도 5의 (a), 도 5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재 받침판(22)의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에 돌기(23)가 배치되어 있다. 돌기(23)의 정상부는 평평한 정상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 돌기(23)는, 인상재 받침판(22)의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 중,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 측으로 볼록해진 능선(볼록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선) 상의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능선을 따른 방향의 길이(도 5의 (a)에 C로 나타낸 길이)가 5mm 이상 20mm 이하, 당해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 방향의 크기(도 5의 (a)에 D로 나타낸 크기)가 3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가 5mm 미만이면 너무 짧아서 교합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때에 돌기(23)와,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돌기(13)의 서로의 정상면(13a, 23a) 중 적어도 일부끼리를 접촉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으로, 길이가 20mm를 초과하면, 정상면(13a, 23a)을 기울이거나,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폭 방향의 크기에 대해서는, 3mm 미만이면 너무 좁아서 교합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때에 돌기(23)와,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돌기(13)의 서로의 정상면(13a, 23a) 중 적어도 일부끼리를 접촉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으로, 폭이 10mm를 초과하면, 돌기(13, 23)가 볼에 닿는 등의 우려가 있다.
본 형태에서 돌기(23)는, 인상재 받침판(2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어 높이나 크기가 상이한 돌기를 준비해 두면,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돌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에는, 도 5의 (a), 도 5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상재 받침판(22)의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에 입술측 연결부(24)가 배치되어 있다. 입술측 연결부(24)는, 도 5의 (a), 도 5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 중, 입술측 단부에 설치된 2개의 돌기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에 상기 핸들(17)과 마찬가지 형태의 핸들(17)이 장착된다. 입술측 연결부(24)가 취할 수 있는 형태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에서 설명한 입술측 연결부(14)와 마찬가지이다.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구비되는 핸들(17)은, 상악 인상 트레이(10)에 구비된 핸들(17)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의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로부터 핸들(17)이 이탈되고,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뿐인 형태이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의 입술측 연결부(24)에 핸들(17)이 장착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것은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의 입술측 연결부(24)에 핸들(17)의 연결부(19)가 장착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형태로 됨으로써, 핸들(17)의 손잡이부(18)가 인상재 받침판(22)으로부터 입술측으로 돌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인상용 트레이(1)를 사용해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의치상을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그때마다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인상용 트레이(1)에 의하면, 신중하게 한번만 인상을 채득해도 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2회의 인상 채득을 해도 된다. 단, 여기에서는 2회의 인상 채득을 하는 경우에도,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인상용 트레이(1)에 의해 1회째의 인상 채득을 행하고, 그 위에 새롭게 얕게 인상재를 담아서 2회째의 인상을 채득한다.
처음에,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각각 도 4의 (c) 및 도 5의 (b)에 도시한 형태로 한다. 즉, 인상재 받침판(12)의 입술측 연결부(14)에 핸들(17)을 장착하고, 인상재 받침판(22)의 입술측 연결부(24)에도 핸들(17)을 장착한다.
이어서, 인상재 받침판(12, 22)의 인상재 배치면(12a, 22a)에 각각 인상재를 담고, 핸들(17)을 쥐고 상악 인상 트레이(10)를 상악측,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하악측 구강 내에 배치한다. 이 때, 상악 인상 트레이(10)에 배치된 인상재가 구강 내의 상악 중 경구개 및 치조제에 접촉하도록,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에 배치된 인상재가 구강 내의 하악 중 치조제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구강 내에서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하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12b)과,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상악 인상 트레이 대향면(22b)이 대향하고 있다. 그 후,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핸들(17)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핸들(17)이 이탈된다.
그리고,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돌기(13, 23)를 손가락으로 가압하거나 해서 구강 내에서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물게 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서로의 돌기(13, 23)의 정상면(13a, 23a)이 겹치도록 접촉하는 위치에서 보다 좋은 교합 위치 및 높이를 찾는다. 도 7은 구강 내에서의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자세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담겨진 인상재는 생략하였다.
이에 의해, 상악의 경구개, 치조제의 인상, 하악의 치조제의 인상 및 구멍(12c, 22c)으로부터 압출된 인상재가 입술부의 구강 내측에 충전되어서, 이 부위에서의 인상을 각각 채득할 수 있다.
이 때, 핸들(17)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핸들(17)이 입술에 닿음으로 인한 부정확한 인상 형성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17)이 목구멍측 연결부(15)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구강 내로의 배치를 핸들(17)이 방해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위치 및 높이가 결정된 후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내에 상악 인상 트레이(10)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를 배치한 채, 입술측에서의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 인상 트레이(20) 사이에 인상재(도 8에 E로 나타낸 인상재)를 담아서 경화시킨다. 이에 의하면, 이 부위에서의 치조제와 입술부의 구강 내측 사이의 형태도 인상으로서 채득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동일한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인상재를 해칭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이 인상재(E)에 의해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위치가 고정되어서 양자가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인상용 트레이(1)를 구강 내에서 취출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목구멍측 연결부(15)에 핸들(17)을 설치한다(도 1, 도 4의 (b)도 참조). 이에 의해, 인상이 채득된 인상용 트레이(1)의 목구멍측(입술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서 연장되도록 핸들(17)의 손잡이부(18)가 배치된다. 또한,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 인상 트레이(20) 사이에 도 9에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상재를 더 담아도 된다. 이에 의해, 상악 인상 트레이(10)와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상용 트레이(1)로부터 돌출된 핸들(17)의 손잡이부(18)를 유지 장치(30)에 끼움 지지한다. 이에 의해, 인상이 채득된 인상용 트레이(1)가 중공으로 유지되고, 도 10에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이 필요한 상악측 인상면, 하악측 인상면 및 입술측 인상면을 모든 각도로부터 시인 및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유지된 인상용 트레이(1)의 외주면을 3차원 계측해서 3차원의 형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 때에는, 인상용 트레이(1)를 움직이지 않고, 상악측 인상면, 하악측 인상면 및 입술측 인상면의 계측을 할 수 있으며, 당해 계측을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계측 장치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에 의한 방법이나, 촬영한 사진을 합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인상의 3차원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최종적인 유상 의치의 형상을 조정해서 제작한다. 그리고, 완성된 데이터를 NC 공작 기계에 송신함으로써, 유상 의치를 절삭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인상용 트레이(1)에 의하면, 고정밀도로 용이하게 인상의 삼차원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목구멍측 연결부를 상악 인상 트레이에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악 인상 트레이측, 또는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단, 하악 인상 트레이측은 설부를 공극으로 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목구멍측 연결부를 설치하는 부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핸들(17)의 손잡이부(18)가 목구멍측으로 연장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단, 삼차원 계측을 상기와 같이 행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위로부터 손잡이부(18)가 돌출되어도 된다. 즉, 입술부, 상악부 및 하악부 중 인상이 형성되는 부위 이외의 어느 한 부위로부터 돌출되도록 손잡이부(18)가 연장되도록 핸들을 설치해도 된다. 따라서,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11) 및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21) 중 적어도 한쪽에는 핸들(17)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핸들(17)은 입술측, 상악 인상 트레이(10)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12a) 및 하악 인상 트레이(20)의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22a) 이외의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인상용 트레이
10: 상악 인상 트레이
11: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
12: 인상재 받침판
13: 돌기
14: 입술측 연결부
15: 목구멍측 연결부
17: 핸들
20: 하악 인상 트레이
21: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
22: 인상재 받침판
23: 돌기
24: 입술측 연결부

Claims (2)

  1. 구강 내에 삽입해서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유지하는 인상용 트레이이며,
    상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상악 인상 트레이와,
    하악측 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재를 담는 하악 인상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는, 상기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을 구비하는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를 갖고,
    상기 하악 인상 트레이는, 상기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을 구비하는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를 갖고,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 및 상기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 중 적어도 한쪽에는 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은, 입술측으로부터만 돌출하는 자세와,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의 상기 인상재를 담아야 하는 면, 상기 하악 인상 트레이의 상기 인상재를 담아야 하는 면 이외의 어느 곳에서, 또한 입술측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돌출하기만 하는 자세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인상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 인상 트레이 본체 및 상기 하악 인상 트레이 본체에는, 상기 인상재를 담아야 할 면과, 그 반대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인상용 트레이.
KR1020167003480A 2013-08-15 2014-06-11 인상용 트레이 KR10181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8914 2013-08-15
JPJP-P-2013-168914 2013-08-15
PCT/JP2014/065467 WO2015022805A1 (ja) 2013-08-15 2014-06-11 印象用トレ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888A KR20160042888A (ko) 2016-04-20
KR101818871B1 true KR101818871B1 (ko) 2018-01-15

Family

ID=5246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480A KR101818871B1 (ko) 2013-08-15 2014-06-11 인상용 트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39623B2 (ko)
EP (1) EP3034034B1 (ko)
JP (1) JP6010228B2 (ko)
KR (1) KR101818871B1 (ko)
WO (1) WO2015022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70573S (ko) * 2016-09-29 2017-02-27
KR102057671B1 (ko) * 2017-08-01 2019-12-19 서울대학교병원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
CN108836533B (zh) * 2018-06-27 2019-12-24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视觉标记的牙托板及其制作方法
KR102070682B1 (ko) * 2018-09-11 2020-01-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치악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하악 운동기록 변환방법
EP3970659A4 (en) * 2019-05-16 2023-01-11 GC Corporation DENTAL IMPRESSION TRAY
CN112294471B (zh) * 2020-10-27 2021-11-26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可调式颌骨囊肿塞治器印模托盘
USD927696S1 (en) * 2020-11-05 2021-08-10 Evolve Dental Technologies, Inc. Dental impression tray
USD936228S1 (en) * 2020-11-05 2021-11-16 Evolve Dental Technologies, Inc. Upper dental impression tray
USD967435S1 (en) * 2020-11-10 2022-10-18 Solving Digital Dental Inc. Dental impression tray
USD952159S1 (en) * 2021-01-21 2022-05-17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Set of dental trays
KR20240078040A (ko) 2022-11-25 2024-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인상 트레이 제작용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인상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544B2 (ja) * 2000-05-26 2004-07-14 昇 山本 歯科印象用トレ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7628A (en) * 1920-05-20 1921-02-08 Finis E Roach Dental impression flask or tray
US2404684A (en) * 1944-09-26 1946-07-23 Barishman Harry Dental tray
US3878610A (en) * 1973-11-19 1975-04-22 William Alfred Coscina Low profile dental impression tray and set of such trays
US5069619A (en) * 1989-10-23 1991-12-03 Frisbie Michael G Dental impression tray with level indicator
US5076785A (en) * 1991-02-27 1991-12-31 Tsai Yu Son Disposable dental impression tray
JP3318364B2 (ja) 1992-09-01 2002-08-26 株式会社ユニスン 有床義歯の作成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組合せトレー
JPH0681510U (ja) * 1993-05-17 1994-11-22 有限会社山貴製作所 歯科用印象材トレー
JPH0723984A (ja) 1993-07-09 1995-01-27 Kenji Suwa 無歯顎患者の顎堤粘膜印象用トレイ
JP3181517B2 (ja) * 1996-11-15 2001-07-03 日本ウエーブロック株式会社 壁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110518U1 (de) 2001-06-27 2002-05-29 Dietz Werner Multifunktionsabformlöffel für die Zahnmedizin
JP4093452B2 (ja) * 2001-11-27 2008-06-04 学校法人日本大学 入れ歯製造方法、歯科用歯型トレイおよび歯科用歯型トレイと咬合器のセット
CA2492228A1 (en) * 2002-07-01 2004-01-08 Yunoh Jung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EP3135238B1 (en) * 2005-04-18 2019-05-29 Image Navigation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ntal implantation
US20070031791A1 (en) * 2005-08-03 2007-0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anning models for digital orthodontics
WO2008051129A1 (en) * 2006-10-27 2008-05-02 Nobel Biocare Services Ag A dental impression tray for use in obtaining an impression of a dental structure
ITPI20070016A1 (it) * 2007-02-23 2008-08-24 Antonio Monicelli Metodo per realizzare un portaimpronta per uso odontoiatrico
CN102361598B (zh) * 2009-01-15 2016-03-02 美丹提克股份公司 印痕匙以及用于探测结构、布置方式或形状的方法
US8750590B2 (en) * 2011-02-03 2014-06-10 Greenberg Surgic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handle scan body for impression trays and radiographic templates for integrated optical and CT scanning
JP5820679B2 (ja) * 2011-09-30 2015-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印象用トレー
JP3181517U (ja) * 2012-10-24 2013-02-14 一茂 大澤 バイトフォー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544B2 (ja) * 2000-05-26 2004-07-14 昇 山本 歯科印象用ト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2805A1 (ja) 2015-02-19
KR20160042888A (ko) 2016-04-20
US10039623B2 (en) 2018-08-07
EP3034034B1 (en) 2019-08-14
US20160184060A1 (en) 2016-06-30
JPWO2015022805A1 (ja) 2017-03-02
JP6010228B2 (ja) 2016-10-19
EP3034034A1 (en) 2016-06-22
EP3034034A4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871B1 (ko) 인상용 트레이
US11950976B2 (en) Dental appliance etch template
US10136966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8602773B2 (en) Dental impression tray for use in obtaining an impression of a dental structure
EP3111886B1 (en) Tool for obtaining dental occlusion in patient with edentulous jaw
KR20180107310A (ko) 제거 가능 설측-전정 치아 정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4774B1 (ko)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KR102482638B1 (ko) 기준 의치용 위치 정렬 지그, 의치 제작 키트 및 이들을 사용하는 의치 제작 방법
JP2021527497A (ja) 歯科矯正システムを製造する方法
US20140242549A1 (en) Shell plate for artificial teeth with arrangement assisting function
CN205683156U (zh) 具有舌刺的无托槽隐形矫治器
KR101701273B1 (ko) 얼굴 대칭평가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60030135A1 (en) Drill bit guid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101757242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CN107184286B (zh) 一种放射导板取模装置
JP2013031525A (ja) 上下顎関係採得セット
US20160038261A1 (en) Impression tray
JP6373983B2 (ja) 咬合採得用具
KR102220330B1 (ko) 스마트 틀니 제작 장치
WO2015111659A1 (ja) 歯髄腔模型
JP6412613B1 (ja) 印象用トレー及び作業模型の製作方法
CN104146786A (zh) 正畸托槽精确定位间接粘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