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546B1 -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46B1
KR101818546B1 KR1020160028077A KR20160028077A KR101818546B1 KR 101818546 B1 KR101818546 B1 KR 101818546B1 KR 1020160028077 A KR1020160028077 A KR 1020160028077A KR 20160028077 A KR20160028077 A KR 20160028077A KR 101818546 B1 KR101818546 B1 KR 10181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cover
motor
portable
vertic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202A (ko
Inventor
안병열
Original Assignee
안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열 filed Critical 안병열
Priority to KR102016002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46B1/ko
Priority to CN201610237133.XA priority patent/CN107175699B/zh
Publication of KR2017010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8Accessory implements for carrying out a function other than cutting hair, e.g. attachable appliances for manic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는 내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수평 하우징, 및 상기 수평 하우징의 일측 상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가 내장되는 수직 하우징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모터의 몸체 둘레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를 상기 수직 하우징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 하부에 상기 모터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과 체결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에 대해 서로 편심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되는 커터 부재; 상기 커터 부재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홀을 구비한 제 1 상부 커버; 상기 수직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상부 커버; 상기 제 2 상부 커버는 외측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 휴대용 보풀 제거기, 및 휴대용 마사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An Improved Multi-Purpose Complex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일한 전원, 모터, 및 커터 부재를 사용하되, 상기 커터 부재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제공하고, 또한 모터의 측면에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부재를 제공하여 장착함으로써, 예를 들어, 면도기 또는 보풀 제거기의 기능, 및 마사지기의 기능을 포함한 다용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모터용 고정 지지 부재 또는 고정 지지 커버와 고정 나사 등의 사용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모터의 사용 및 교체가 가능해지고, 동작 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원활한 애프터서비스(A/S)가 가능해지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되는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모터, 및 커터 부재로 구성된 휴대용 전기 면도기 또는 휴대용 보풀 제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a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를 상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를 하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를 통칭하여 "휴대용 전기 면도기" 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수평 하우징(110a) 및 일측상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미도시)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는 수직 하우징(110b)을 구비한 하우징(110); 상기 모터(미도시)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122)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미도시)가 고정 장착되도록 상기 수직 하우징(110b)의 내부 또는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지지 커버(111); 하부에 상기 회전축(122)에 체결되는 축 수용부(121)를 구비하며,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124)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되는 커터 부재(120); 및 상기 커터 부재(1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11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홀(132)을 구비한 상부 커버(130)로 구성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에서는, 하우징(110)에 제공되는 스위티(미도시)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모터(미도시)가 배터리(미도시)에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온 상태인 경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커터 부재(120)가 회전한다. 그에 따라, 커터 부재(120)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커터 날(124)이 회전하면서 상부 커버(130)의 복수의 홀(132)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수염을 제거하거나 또는 옷 등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보풀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에서는 상기 모터(미도시)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해 고정 지지 커버(111)를 사용하여 모터(미도시)를 덮은 후,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나사(11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모터(미도시)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해 고정 지지 커버(111)와 복수의 고정 나사(113)와 같은 부품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전원 및 모터를 구비하고, 모터의 상부에 자석을 구비한 회전체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체의 외부를 둘러 싼 캡의 상부 둘레에 복수의 찜질 돌기를 제공하고 또한 내측에 발열체를 구비한 상부 발열판을 상기 캡의 상부 중앙부에 제공한 휴대용 마사지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자에 의해 2012년 6월 29일자에 "휴대용 마사지기" 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2012-0079876호로 출원되어, 2013년 11월 27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10-1336063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d는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101)는 모터(20)를 수용하는 하우징(10);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1)에 축 결합되는 회전체(23); 상기 회전체(23)의 양쪽에 편심 설치되고 상하로 길게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자석(24);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23)와 자석(24)을 커버하는 캡(30); 상기 캡(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열판(35); 및 상기 발열판(35)의 내면에 부착되는 발열체(4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는 상기 캡(30)의 상부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지압돌기(32)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하우징(10)의 내부에 모터(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저면부에는 상기 모터(2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50)가 연결된다.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12)가 구비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에서는, 모터(20)의 회전축(21)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회전체(23)가 축결합된다. 상기 회전체(23)의 양단부에는 상하로 길게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자석(24)이 편심 설치된다. 편심 설치된 자석(24)의 회전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자석(24)의 편심 회전으로부터 발생된 충격 자장은 신체조직에 영향을 미쳐 몸속 이물질을 분해하거나,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며, 통증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건강 보조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에서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상기 배터리(50)의 전원을 상기 발열체(40) 및 지압돌기(32)와 접속하도록 제공되는 양극 전극(27)과 음극 전극(28)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캡(30)은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회전체(23)와 자석(24)을 보호하도록 하우징(10)과 결합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캡(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3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서, 동작시 사용자의 피부 또는 환부에 부분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지압돌기(32)는 LED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전극(27)과 음극 전극(28)에 연결되어 발광이 가능하다.
또한, 캡(30)의 상부 중앙에는 환부를 온열찜질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판(35)이 설치된다. 상기 발열판(35)은 사용자의 피부 또는 환부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중앙이 볼록한 볼록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 및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101)는 각각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공통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와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는 각각 별개의 장치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들 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장치를 개별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휴대가 용이하지 않거나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기 면도기 또는 휴대용 보풀 제거기와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의 경우, 배터리와 같은 전원에 연결되며, 그 상부에 커터 부재(120: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의 경우) 또는 자석을 구비한 회전체(23: 휴대용 마사지기(101)의 경우)가 체결되는 모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 및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1)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 또는 휴대용 마사지기(101)의 사이즈는 물론 제조업체에 따라 상이한 규격의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와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1)에 사용되는 모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난 모터는 새로운 모터로 교체하여야 하는 유지보수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시점에, 동일 규격의 모터가 단종되었거나 또는 해당 제조업체가 더 이상 영업을 하지 않는 경우, 고장난 모터를 교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부품의 수명이 충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 또는 종래 기술의 휴대용 마사지기(101)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새로운 휴대용 전기 면도기(100) 또는 휴대용 마사지기(101)를 다시 구매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장난 모터 이외에 충분히 수명이 남아 있는 다른 부품까지도 못 쓰게 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전원, 모터, 및 커터 부재를 사용하되, 상기 커터 부재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커버를 착탈 가능하게 제공하고, 또한 모터의 측면에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부재를 제공하여 장착함으로써, 예를 들어, 면도기 또는 보풀 제거기의 기능, 및 마사지기의 기능을 포함한 다용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모터용 고정 지지 부재 또는 고정 지지 커버와 고정 나사 등의 사용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모터의 사용 및 교체가 가능해지고, 동작 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원활한 애프터서비스(A/S)가 가능해지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되는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는 내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수평 하우징, 및 상기 수평 하우징의 일측 상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가 내장되는 수직 하우징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모터의 몸체 둘레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를 상기 수직하우징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 하부에 상기 모터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과 체결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에 대해 서로 편심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되는 커터 부재; 상기 커터 부재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홀을 구비한 제 1 상부 커버; 상기 수직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상부 커버; 상기 제 2 상부 커버는 외측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 휴대용 보풀 제거기, 및 휴대용 마사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면도기 또는 보풀 제거기의 기능, 및 마사지기의 기능을 포함한 다용도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2.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모터용 고정 지지 부재 또는 고정 지지 커버와 고정 나사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3. 다양한 상이한 규격의 모터의 사용이 가능해지고 또한 사용 중인 모터의 고장 시 다양한 상이한 규격의 모터로의 교체가 가능하다.
4. 동작 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5. 원활한 애프터서비스(A/S)가 가능해지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다.
6. 제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를 상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를 하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마사지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를 상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결합 분해 사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g는 도 2f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를 상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를 하부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결합 분해 사시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장치(200)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수평 하우징(210a), 및 상기 수평 하우징(210a)의 일측 상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미도시)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250)가 내장되는 수직 하우징(210b)을 구비한 하우징(210); 상기 모터(250)의 몸체 둘레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250)를 상기 수직 하우징(210b)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 하부에 상기 모터(250)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254)과 체결되는 축 수용부(221) 및 상기 축 수용부(221)에 대해 서로 편심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 부재(222)를 구비하며,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224)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되는 커터 부재(220); 상기 커터 부재(2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홀(232)을 구비한 제 1 상부 커버(230);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상부 커버(240);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는 외측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246); 및 상기 하우징(210)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미도시) 및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24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213a)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 휴대용 보풀 제거기, 및 휴대용 마사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의 지압돌기(246)는 예를 들어 단속적인 발광이 가능한 LED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압돌기(246)는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는 측면 둘레를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하우징(210)(바람직하게는, 수평 하우징(210a))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시거잭(2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시거잭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거잭 수용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거잭(260) 대신 일단이 상기 하우징(210)(바람직하게는, 수평하우징(210a))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일반적인 전원 연결용 소켓(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 전원 코드 또는 커넥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의 상부 중앙 부분에 제공되는 발열판(241)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발열판(241)의 내측면에는 발열체(243) 및 온도 감지 센서(242)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210)에 제공되는 제 2 스위치(213b)가 상기 발열체(243) 및 온도 감지 센서(242)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미도시) 및 복수의 지압돌기(24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213a) 및 상기 발열체(243) 및 온도 감지 센서(242)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213b)는 하나의 스위치 부재(213)를 구성한다. 대안적으로(alternatively), 제 1 스위치(213a)는 수평 하우징(210a) 상에 제공되고, 제 2 스위치(213b)는 예를 들어 제 2 상부 커버(240)의 외측 상부면 또는 측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미도시)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213)가 수평 하우징(210a) 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위치 부재(213)는 수직 하우징(210b)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직 하우징(210b)에는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는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214a,214b)이 제공된다. 상기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214a,214b)은 각각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가 상기 수직 하우징(210b)과 결합될 때 상기 발열체(243) 및 온도 감지 센서(242)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244a,244b)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판(241)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온도 감지 센서(242)의 사용은 선택 사항으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 2 상부 커버(240)를 상기 수직 하우징(210b)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의 내측 원통형 표면에는 복수의 체결 돌기(248)가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원통형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 돌기(248)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 홈(218)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상부 커버(240)의 내측 원통형 표면 및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외측 원통형 표면에 각각 수나사 및 암나사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수평 하우징(210a) 및 상기 수평 하우징(210a)의 일측 상에 상부로 돌출되는 수직 하우징(210b)으로 구성되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수평 하우징(210a)의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고, 수직 하우징(210b) 내에는 상기 배터리(미도시)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250)가 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10)이 수평 하우징(210a) 및 수직 하우징(210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 및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하우징(210)이 수직 하우징(210b)이 수평 하우징(210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일체형 수평 하우징 또는 수평 하우징(210a)이 수직 하우징(210b)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일체형 수직 하우징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모터(250)는 수직 하우징(210b) 내에 고정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모터(250)의 몸체 둘레에는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가 제공된다.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는 각각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모터(250)의 몸체 둘레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직접 부착 방식). 이 경우, 탄성 지지 부재(252)의 길이는 모터(250)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 하우징(210b)의 내부 직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커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모터(250) 및 수직 하우징(210b)의 내부 직경 사이즈를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탄성 지지 부재(252)를 제공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탄성 지지 부재(252)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모터(250)의 몸체 둘레에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는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가 탄성 끼움 부재(252a)의 표면 상에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지지 부재(252)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탄성 끼움 부재(252a)를 모터(250)의 몸체 둘레에 끼움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간접 부착 방식).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는 상술한 간접 부착 방식(끼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를 사용한 직접 부착 방식에 비해 조립 및 제조가 훨씬 더 용이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커터 부재(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터 부재(220)는 그 하부에 상기 모터(250)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254)과 체결되는 축 수용부(221)가 제공된다.
또한, 커터 부재(220)는 상기 축 수용부(221)에 대해 서로 편심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 부재(222)를 구비한다. 여기서, 편심 상태란 상기 축 수용부(221)를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의 대향 위치에 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도 2b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한 쌍의 자성 부재(222)가 각각 예를 들어 복수의 원통 자성체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적층한 원기둥 형상의 사이즈 가변형 적층체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한 쌍의 자성 부재(222)를 원기둥 형상의 사이즈 가변형 적층체로 구현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의 사이즈에 따라 및/또는 마자기로서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한 쌍의 자성 부재(222)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한 쌍의 자성 부재(222)의 외부 형상 또는 적층 형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커터 부재(220)는 그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224)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커터 날(224)은 각각 커터 부재(220)를 구성하는 원형 플레이트 상에서 축 수용부(221)를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각각의 커터 날(224)은 일체형 수평 지지부(226) 및 상기 일체형 수평 지지부(226)에서 분기된 각각의 연장암 체결부(248)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커터 날(224)이 일체형 수평 지지부(226) 및 연장암 체결부(248)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 및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복수의 홀(232)을 구비한 제 1 상부 커버(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상부 커버(230)는 상기 커터 부재(2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상기 수직 하우징(210b)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상부 커버(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상부 커버(240)의 외측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2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 2 상부 커버(240)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탄성 재질로 구현되거나 또는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f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g는 도 2f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f 및 도 2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장치(200)는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20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끈(strip: 270) 및 상기 끈(270)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 부재(27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끈(270)은 제 2 상부 커버(240)의 측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끈(270)은 수직 하우징(210b) 및/또는 수평 하우징(210a)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에서는, 다용도 복합 장치(200)가, 예를 들어, 길이 조정 부재(272)를 누른 상태에서 끈(272)의 길이를 조정한 후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g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길이 조정 부재(272)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 우측 어깨에서 좌측 몸통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끈(272)의 길이를 조정한 후 길이 조정 부재(272)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200)의 제 2 상부 커버(240)가 사용자의 좌측 상부 등 부분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다용도 복합 장치(200)를 계속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자신의 좌측 상부 등 부분에 다용도 복합 장치(200)의 마사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끈(270)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끈(270)이 예를 들어 탄성 밴드(미도시)와 상기 탄성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정 부재(예를 들어, 버클(buckle)), 또는 복수의 길이 조정용 홈(hole)을 구비한 비탄성 밴드(미도시) 및 상기 비탄성 밴드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길이 조정 부재(예를 들어, 버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도 2f 및 도 2g를 참조하여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끈(270)이 사용자의 어깨와 몸통을 이용하여 다용도 복합 장치(2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끈(270)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뚝, 팔목, 배, 어깨, 허벅지, 발목, 머리 둘레, 턱 둘레 등 사용자 신체의 임의의 위치에서 다용도 복합 장치(200)를 고정 장착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 또는 보풀 제거기로 사용될 경우, 제 2 상부 커버(240)를 수직 하우징(210b)에서 탈착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 하우징(210)에 제공되는 제 1 스위치(213a)를 턴온시키면, 모터(250)의 회전축(254)이 회전한다. 그에 따라 축 수용부(221)를 통해 회전축(254)에 결합된 커터 부재(220)가 회전하여, 제 1 상부 커버(230)에 제공되는 복수의 홀(232)을 통해 면도 기능 또는 보풀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터 부재(220)에는 한 쌍의 자성 부재(222)가 편심 상태로 제공되므로, 상기 커터 부재(220)는 진동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면도 기능 이외에도 피부 마사지 기능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가 추가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가 휴대용 마사지기로 사용될 경우, 제 2 상부 커버(240)를 수직 하우징(210b)에서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 먼저 하우징(210)에 제공되는 제 1 스위치(213a)를 턴온시키면, 모터(250)의 회전축(254)이 회전한다. 그에 따라 축 수용부(221)를 통해 회전축(254)에 결합된 커터 부재(220) 및 그 하부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부재(222)가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된다. 그에 따라, 제 2 상부 커버(240)의 외측 상부에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246)도 진동하여, 제 2 상부 커버(240)가 사용자의 피부 또는 환부에 접촉하여 마시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자성 부재(222)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사용자의 피부 또는 환부에 인가되어 혈액 순환 원활,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가 휴대용 마사지기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제 2 스위치(213b)를 턴온시키면, 제 2 상부 커버(240)의 상부 중앙 부분에 제공되는 발열판(241)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발열체(243)에서 열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피부 또는 환부에 인가된다. 이 경우, 발열체(243)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판(241)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온도 감지 센서(242)에 의해 발열체(243)가 일정한 온도 값을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판(241)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액 순환 원활,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 등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복합 장치(200)가 휴대용 마사지기로 사용될 경우, 제 1 상부 커버(230)는 수직 하우징(210b)에서 탈착되거나 또는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면도기로서의 면도 기능 또는 보풀 제거기로서의 보풀 제거 기능, 및 마사지기로서의 마사지 기능을 포함한 다용도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별도의 모터용 고정 지지 부재 또는 고정 지지 커버(111) 및 고정 나사(113)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에서는 모터(250)가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에 의해 수직 하우징(210b) 내에 고정 장착되므로, 다양한 규격의 모터의 사용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중인 모터의 고장 시 다양한 상이한 규격의 모터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에서는 모터(250)가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252)에 의해 수직 하우징(210b) 내에 고정 장착되므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의 동작 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에서는 원활한 애프터서비스(A/S)가 가능해지고,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에서는 상술한 장점에 의해 용도 복합 휴대 장치(200)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용 전기 면도기/보풀 제거기 101: 휴대용 마사지기
10,110,210: 하우징 110a,210a: 수평 하우징
110b,210b: 수직 하우징 111: 고정 지지 커버 113: 고정 나사
121,221: 축 수용부 122,21,254: 회전축 124,224: 커터 날
120,220: 커터 부재 130,230: 상부 커버/제 1 상부 커버
132,232: 홀 12,249: 스위치 20,250: 모터
23: 회전체 24: 자석 30: 캡 27,214a: 양극 전극
28,214b: 음극 전극 32,246: 지압돌기 35,241: 발열판
40,243: 발열체 50: 배터리 200: 다용도 복합 장치
218: 체결 홈 222: 자성 부재 226: 일체형 수평 지지부
228: 연장암 체결부 240: 제 2 상부 커버 242: 온도 감지 센서
244a,244b: 양극 단자/음극 단자 248: 체결 돌기
252;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 260: 시거잭

Claims (11)

  1. 다용도 복합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내장되는 수평 하우징, 및 상기 수평 하우징의 일측 상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와 온/오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가 내장되는 수직 하우징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모터의 몸체 둘레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를 상기 수직 하우징 내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
    하부에 상기 모터의 상부에 제공되는 회전축과 체결되는 축 수용부 및 상기 축 수용부에 대해 서로 편심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한 쌍의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부에 복수의 커터 날이 탄성 방식으로 제공되는 커터 부재;
    상기 커터 부재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홀을 구비한 제 1 상부 커버;
    상기 수직 하우징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상부 커버;
    상기 제 2 상부 커버는 외측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복수의 지압돌기;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복수의 지압돌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휴대용 전기 면도기, 휴대용 보풀 제거기, 및 휴대용 마사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하는
    다용도 복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시거잭 또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용도 복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상기 제 2 상부 커버의 상부 중앙 부분에 제공되는 발열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발열판의 내측면에는 발열체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발열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이 제공되며, 상기 양극 전극 및 음극 전극은 각각 상기 제 2 상부 커버가 상기 수직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발열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의 내측면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커버의 내측 표면에는 복수의 체결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수직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 홈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상부 커버의 상기 내측 표면 및 상기 수직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각각 수나사 및 암나사가 형성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모터의 몸체 둘레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길이 가변형 탄성 지지 부재가 탄성 끼움 부재의 표면 상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성 부재는 각각 복수의 원통 자성체를 접착하여 적층한 사이즈 가변형 적층체로 구현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커버는 비탄성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구현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가 상기 휴대용 마사지기로 사용될 경우, 상기 제 1 상부 커버는 상기 수직 하우징에서 탈착되거나 또는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직 하우징이 상기 수평 하우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일체형 수평 하우징 또는 상기 수평 하우징이 상기 수직 하우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일체형 수직 하우징으로 구현되는 다용도 복합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복합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한 끈, 및 상기 끈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용도 복합 장치.
KR1020160028077A 2016-03-09 2016-03-09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KR10181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77A KR101818546B1 (ko) 2016-03-09 2016-03-09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CN201610237133.XA CN107175699B (zh) 2016-03-09 2016-04-15 改进型多用途复合便携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77A KR101818546B1 (ko) 2016-03-09 2016-03-09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02A KR20170105202A (ko) 2017-09-19
KR101818546B1 true KR101818546B1 (ko) 2018-01-15

Family

ID=5983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077A KR101818546B1 (ko) 2016-03-09 2016-03-09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8546B1 (ko)
CN (1) CN1071756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41B1 (ko) * 2021-04-30 2021-11-11 주식회사 이엘텍 경추 탄성 지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7322A (zh) * 1985-09-29 1987-04-08 缑元亮 多用电器
CN88211390U (zh) * 1988-01-29 1988-12-28 沈秀庭 电动剃须按摩两用器
US4864735A (en) * 1988-02-18 1989-09-12 Chung Chang L Multi-purpose presence grooming implement
CN2139503Y (zh) * 1992-07-13 1993-08-04 吕志刚 一种多用便携小电器
KR200426275Y1 (ko) * 2006-06-08 2006-09-19 오태준 멀티형 헤드무빙면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41B1 (ko) * 2021-04-30 2021-11-11 주식회사 이엘텍 경추 탄성 지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75699A (zh) 2017-09-19
KR20170105202A (ko) 2017-09-19
CN107175699B (zh)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236B2 (ja) 性的刺激装置
KR101850129B1 (ko) 휴대용 전동식 피부관리 장치
US9233048B2 (en) Waterproof hand-held electric breast massager
WO2022100348A1 (zh) 一种具有加热功能的按摩头及应用其的肌肉按摩仪
JP7026731B2 (ja) 美容器
KR101578034B1 (ko) 안마기
US10610445B2 (en) Testicle massager
US20080027361A1 (en) Vibrating ring for sexual stimulation
KR101818546B1 (ko)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KR100798292B1 (ko) 밸트형 복부마사지기
US11154455B2 (en) Portable massage device
KR101585064B1 (ko) 안마기
CN103655145A (zh) 一种微型脸部按摩器
CN211272225U (zh) 一种拍打抖动机构
WO2015106402A1 (zh) 一种微型按摩器
CN208799139U (zh) 洁面效果更佳的多功能洁面仪结构
JP2738530B2 (ja) マッサージ機兼用シェーバー
KR20130000965U (ko) 마사지기
JP2008093034A (ja) 振動式電気カミソリ
GB2378888A (en) Foot wear capable of vibrational massage
CN110897854A (zh) V面清洁仪
JP3157752U (ja) 振動式電気カミソリ
KR200280692Y1 (ko) 전동식 안마기
KR20000006983U (ko) 발향기능을 갖춘 휴대형 안마기
KR101049306B1 (ko) 커플 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