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41B1 - 경추 탄성 지압 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탄성 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41B1
KR102324341B1 KR1020210056606A KR20210056606A KR102324341B1 KR 102324341 B1 KR102324341 B1 KR 102324341B1 KR 1020210056606 A KR1020210056606 A KR 1020210056606A KR 20210056606 A KR20210056606 A KR 20210056606A KR 102324341 B1 KR102324341 B1 KR 10232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cervical
cervical vertebrae
support surf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텍
Priority to KR102021005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경추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따라 경추 마사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축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만곡되어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의 뒷목 부분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경추지지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추 탄성 지압 장치{Cervical elastic acupressure device}
본 발명은 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경추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따라 경추 마사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PC를 사용한 장시간의 업무와 잦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목에 피로감을 느끼며, 심한 경우 거북목 증후군 또는 경추 디스크 등과 같은 각종 경추 질환을 앓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경추의 바른 자세 유지와 지압 등 경추 건강을 위한 기구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경추 지압 장치들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경추에 대고 직접 움직이면서 지압을 하는 수동 지압 장치와, 전동 방식으로 움직여 지압을 하는 자동 지압 장치들이 있어왔다. 그런데, 수동 지압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팔과 손의 각도상 잘 닿지 않는 부위의 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자동 지압 장치의 경우에는 지압구가 자동으로 지압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필요없다는 점에서는 편리하기는 하지만 진동 강도 조절에 실패할 경우 지압 효과가 미미하거나 진동이 심하게 큰 경우에는 오히려 경추에 악영향을 끼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기타 블럭 형태의 경추 베게와 같은 지압 장치도 있으나 블럭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목의 자중에만 의존하여 지압을 수행해야 하므로 지압 효과가 크지 않고, 보다 큰 지압 효과를 위해서는 머리를 심하게 움직여야 하는데 이 경우 오히려 경추에 부담을 주거나 지압구와 접촉되는 목부분 피부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59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60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경추 지압 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경추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지속적인 지압 및 자극 효과를 손쉽게 누릴 수 있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축부와;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만곡되어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의 뒷목 부분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경추지지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부와 경추지지면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부는 상기 지지판부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는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축부는 상기 지지판부의 후방 단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는 상기 지지축부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일측을 향하여 둥글게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는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추지지면부는 중앙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둥글게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추지지면부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뒷목 중앙부를 지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중앙지압구가 구비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의 볼록한 좌우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목 측면을 지압할 수 있도록 측면지압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지압구와 측면지압구 상측에 각각 씌워지는 중앙보조지압캡과 측면보조지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지압구에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금속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경추지지면부가 일측에서 지지축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경추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지속적인 지압 및 자극 효과를 손쉽게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는 사용자가 바닥에 등을 대로 누운 상태에서 뒷목 부분을 하방에서 지지하되, 일반적인 블럭형 베개 형태의 지압 장치와 달리, 경추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의해 지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는 지지판부(110), 지지축부(120), 경추지지면부(130)를 포함하는 일체형 몸체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후방측에 베이스플레이트(210)와 헤드레스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를 지면(방바닥, 침대, 평상 등 모든 편평한 바닥을 포함하는 의미)에 지지하는 판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부(110)는 후술하는 지지축부(120)와 경추지지면부(130), 그리고 사람 목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하고 측방으로 밀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대체로 중량이 큰 금속 재질로 구성되거나, 비교적 중량이 작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내부가 중량물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부(110)의 일측 단부, 예컨대, 전방 단부측에는 지지축부(12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부(120)는 후술하는 경추지지면부(130)를 지지판부(110)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경추지지면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부(120)는 지지판부(110)의 전방 단부측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일측을 향하여, 예컨대, 후방측을 향하여 둥글게 만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부(120)가 둥글게 만곡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경추지지면부(130)의 상하 방향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경추지지면부는 사용자의 뒷목 부분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곡면 부분으로, 상기 지지판부(110)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부(120)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만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지지축부(12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및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지지축부(120)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대체로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중앙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둥글게 만곡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경추지지면부(130)의 중앙이 좌우 양측 보다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을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추지지면부(130)의 중앙부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뒷목 중앙부를 지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지압돌기와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지압볼 등 다양한 지압구를 포함하는 중앙지압구(1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추지지면부(130)의 볼록한 좌우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목 측면을 지압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된 측면지압볼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추지지면부(130)의 중앙지압구(131)과 측면지압구(134) 외측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공(13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부(110), 지지축부(120) 및 경추지지면부(130)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개의 부재로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재질 또한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전체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재질은 탄성 변경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경추지지면부(130)의 중앙에 뒷목을 지지하고 누우면 경추가 경추지지면부(130)의 전후 방향 아치 형상과 상응하게 변형되면서 주변 근육들이 이완되어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중앙에 형성된 중앙지압구(131), 그리고 측면지압구(134)가 목의 중앙부와 측면부를 각각 가압하여 지압 효과 또한 달성된다. 한편,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일측(전단측)이 지지축부(120)와 연결되고 타측(후단측)은 지지판부(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자유단 상태로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하중에 의해 지지축부(120)가 탄성 변형되면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텐션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과 머리를 상하로 약간씩 움직여 경추지지면부(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조절하면 경추지지면부(130)의 텐션에 의해 경추 및 근육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이완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지지면부(130)는 좌우 양측부 또한 하중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함에 따라 경추지지면부(130)의 텐션에 의해 중앙의 중앙지압구(131)와 측면지압구(134)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면서 지압 효과 또한 증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경추지지면부(130)에 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누운 자세로 경추 부위의 이완 및 지압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의 후방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200)와 베이스플레이트(2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200)는 일반적인 목침 베개와 같이 목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푹신한 실리콘재 또는 쿠션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200)는 대체로 좌우로 연장된 블록 형태로 구성되되 중앙부는 머리의 뒷통수 부분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헤드레스트(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대체로 편평한 판부재로 구성되되 가장자리 둘레에는 헤드레스트(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헤드레스트(200)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었으나 헤드레스트(200)와 베이스플레이트(210)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210) 없이 헤드레스트(200)가 지지판부(110)의 후방측에 직접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플레이트는 지지판부(110)의 후방단부에 후크부재나 돌기와 홈의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기타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분리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는 지지축부(120)가 지지판부(110)의 후방단부측에 형성되고, 경추지지면부(130)는 전방측을 향하여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경추 탄성 지압 장치(100")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중앙보조지압캡(133), 측면보조지압캡(135) 및 금속전극(13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보조지압캡(133)과 측면보조지압캡(135)은 각각 중앙지압구(131), 그리고 측면지압구(134) 상측에 씌워지는 캡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중앙보조지압캡(133)과 측면보조지압캡(135) 상측에 씌워짐에 따라 높이가 더 높아져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높은 높이로 인하여 목에 보다 큰 자극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과 중앙보조지압캡(133)은 그 하측에서 커버되는 중앙지압구(131)와 측면지압구(134) 형상에 상응하게 구성되되 하부 둘레에는 경추지지면부(130)에 형성된 통기공(138)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들이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는 지압을 위한 다수의 엠보싱 또는 돌기들이 형성된다. 한편, 금속전극(136)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미세전류장치와 연결되어 목 지압시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의 리브 외측에 접촉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의 리브와 함께 접촉된 상태로 통기공(138)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 역시 전류가 통하도록 전도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압력에 의한 지압 효과와 미세전류를 이용한 근육 자극 및 이완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100', 100" : 경추 탄성 지압 장치 110 : 지지판부
120 : 지지축부 130 : 경추지지면부
131 : 중앙지압구 133 : 중앙보조지압캡
134 : 측면지압구 135 : 측면보조지압캡
136 : 금속전극 138 : 통기공
200 : 헤드레스트 210 : 베이스플레이트

Claims (11)

  1. 지지판부(110)와;
    상기 지지판부(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축부(120)와;
    상기 지지축부(120)의 상단부로부터 일측으로 만곡되어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부(11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의 뒷목 부분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경추지지면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축부(120)와 경추지지면부(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축부(120)는 상방으로 갈수록 일측을 향하여 둥글게 만곡 형성되며;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전후 방향으로는 위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둥글게 만곡 형성되며;
    상기 경추지지면부(13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뒷목 중앙부를 지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중앙지압구(131)가 구비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130)의 볼록한 좌우 양측면에는 사용자의 목 측면을 지압할 수 있도록 측면지압구(13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중앙지압구(131)와 측면지압구(134) 상측에 각각 씌워지는 중앙보조지압캡(133)과 측면보조지압캡(1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압구(134)에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금속전극(136)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과 중앙보조지압캡(133)은 그 하측에서 커버되는 중앙지압구(131)와 측면지압구(134) 형상에 상응하게 구성되되 하부 둘레에는 경추지지면부(130)에 형성된 통기공(138)에 삽입될 수 있는 리브들이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는 지압을 위한 다수의 엠보싱 또는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전극(136)은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의 리브 외측에 접촉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보조지압캡(135)의 리브와 함께 접촉된 상태로 통기공(138)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부(120)는 상기 지지판부(110)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상기 지지축부(12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부(120)는 상기 지지판부(110)의 후방 단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경추지지면부(130)는 상기 지지축부(120)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탄성 지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경추 탄성 지압 장치.
KR1020210056606A 2021-04-30 2021-04-30 경추 탄성 지압 장치 KR10232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06A KR102324341B1 (ko) 2021-04-30 2021-04-30 경추 탄성 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606A KR102324341B1 (ko) 2021-04-30 2021-04-30 경추 탄성 지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341B1 true KR102324341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606A KR102324341B1 (ko) 2021-04-30 2021-04-30 경추 탄성 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579B1 (ko) * 2022-02-17 2023-07-06 주식회사 이엘텍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베개장치
KR102552310B1 (ko) * 2022-02-17 2023-07-06 주식회사 이엘텍 기능성 베개용 클립형 경추받이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KR20230172801A (ko) *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20120055899A (ko) * 2010-11-24 2012-06-01 문상현 팔베개
KR20140067261A (ko) * 2012-11-26 2014-06-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수면보조장치
KR20150097967A (ko) * 2014-02-19 2015-08-27 조경복 가변형 경추베개
KR101563654B1 (ko) * 2014-07-17 2015-11-06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물리치료용 지압기
KR101572189B1 (ko) * 2014-07-22 2015-11-26 (주)라비오텍 물리치료용 경추 교정 베개
KR2016002819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토토로의 숲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KR101818546B1 (ko) * 2016-03-09 2018-01-15 안병열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KR102014976B1 (ko) * 2018-02-05 2019-08-27 이성완 경추 씨커브 교정 구조
KR102106096B1 (ko) 2019-08-19 2020-04-29 이명준 경추 지압 마사지기
KR102165906B1 (ko) 2020-07-21 2020-10-14 안희중 경추 지압 베개
KR102233703B1 (ko) * 2020-02-13 2021-03-30 주식회사 이엘텍 자기 결합형 틸팅 베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859A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20120055899A (ko) * 2010-11-24 2012-06-01 문상현 팔베개
KR20140067261A (ko) * 2012-11-26 2014-06-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수면보조장치
KR20150097967A (ko) * 2014-02-19 2015-08-27 조경복 가변형 경추베개
KR101563654B1 (ko) * 2014-07-17 2015-11-06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물리치료용 지압기
KR101572189B1 (ko) * 2014-07-22 2015-11-26 (주)라비오텍 물리치료용 경추 교정 베개
KR2016002819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토토로의 숲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KR101818546B1 (ko) * 2016-03-09 2018-01-15 안병열 개선된 다용도 복합 휴대 장치
KR102014976B1 (ko) * 2018-02-05 2019-08-27 이성완 경추 씨커브 교정 구조
KR102106096B1 (ko) 2019-08-19 2020-04-29 이명준 경추 지압 마사지기
KR102233703B1 (ko) * 2020-02-13 2021-03-30 주식회사 이엘텍 자기 결합형 틸팅 베개
KR102165906B1 (ko) 2020-07-21 2020-10-14 안희중 경추 지압 베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거북 일자 목 스트레칭 경추 베개(메디칼코어, 2021.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579B1 (ko) * 2022-02-17 2023-07-06 주식회사 이엘텍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베개장치
KR102552310B1 (ko) * 2022-02-17 2023-07-06 주식회사 이엘텍 기능성 베개용 클립형 경추받이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KR20230172801A (ko) *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KR102626050B1 (ko) * 2022-06-16 2024-01-18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341B1 (ko) 경추 탄성 지압 장치
KR101547263B1 (ko) 머리 무게를 이용한 지압과 목 교정이 가능한 베개
KR101716262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KR20180091410A (ko) 기능성 숙면 베개
KR101645927B1 (ko) 2 in 1 테크니컬 교체식 인체공학 베개
US9609950B2 (en) Active seating cushion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1930643B1 (ko) 베개
KR101604216B1 (ko) 인체공학적 복합경침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CN214595335U (zh) 一种tpe乳胶护颈枕
KR101703326B1 (ko) 등받이 쿠션
KR102533006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타입 경추 근육 이완 장치
JP5335158B2 (ja) 運動補助具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US11484123B2 (en) Dynamic postural device
CN213247875U (zh) 办公椅
CN216318839U (zh) 一种简易按摩板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JP2004215916A (ja) 背部押圧治療器具
KR101889221B1 (ko) 베개
CN217695714U (zh) 辅助脊椎正位舒压的坐垫
KR101218557B1 (ko) 자세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