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92B1 - 양방향 레일바이크 - Google Patents
양방향 레일바이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7192B1 KR101817192B1 KR1020170169426A KR20170169426A KR101817192B1 KR 101817192 B1 KR101817192 B1 KR 101817192B1 KR 1020170169426 A KR1020170169426 A KR 1020170169426A KR 20170169426 A KR20170169426 A KR 20170169426A KR 101817192 B1 KR101817192 B1 KR 101817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in
- bike frame
- fixing
- bik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2—Chutes; Helter-skelters with special cars, e.g. horse-shap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Landscapes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레일바이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양방향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이크프레임(100)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2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방동력발생부(400)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와, 착석부(500)의 방향을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이크프레임(100)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2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방동력발생부(400)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와, 착석부(500)의 방향을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레일바이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양방향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노선의 폐쇄나 변경 등의 사정으로 철도 선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 선로는 해체 작업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작업 착수가 쉽지 않다.
이러한 폐 선로는 주거지에서의 인접성이 보다 나아진 도로나 철로가 새로이 개설됨으로써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주로 외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위치적 특성으로 인해 폐 선로가 놓인 주변은 선로 위를 운행하면서 보게 되면 자연미를 만끽할 수 있는 빼어난 경관을 갖춘 곳이 적지 않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등 폐 선로에 관리 책임이 있는 단체나 공공기관에서는 선로를 해체하는 대신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각도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 중 일안으로 선로 상에서 달릴 수 있는 탈 것을 마련하여 가족이나 연인들이 주말이나 휴가철을 이용하여 여행 코스 중 하나로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탈 것으로 근래 흔히 이용되는 것으로는 페달을 밟아 선로 상을 움직이는 2인용이나 4인용의 레일바이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레일바이크는 레일을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한 후에 바이크를 180도로 회전시켜서 다시 레일 위에 다시 올려놓으면 출발점으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레일바이크들을 이용하여 사용들이 목적지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기 위해서는, 레일에 설치된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레일바이크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회전시켜서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전환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등록특허공보 10-0908934호가 2009.07.15.일자로 등록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레일바이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양방향 레일바이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레일바이크는,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이크프레임(100)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2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방동력발생부(400)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와, 착석부(500)의 방향을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방향전환부(600)는 착석부(500)에 형성되면서 관통부(611)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610)와, 바이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회전부(610)의 회전을 지지하고 관통부(611)에 연통되는 고정부(621)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620)와, 회전부(610)의 관통부(611)을 관통하여서 지지부(620)의 고정부(62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핀(630)과, 고정핀(630)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작동되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서 고정핀(630)을 배출시키는 고정핀조작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관통부(611)는 회전부(61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되고, 고정부(621)는 관통부(611)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지지부(6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핀(630)은 상측에 고정핀조작부(640)에 의해 조작되기 위한 상부걸림턱(631)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걸림부(63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핀조작부(640)는 고정핀(630)의 상부걸림턱(631)을 상승시키기 위한 조작레버(641)와, 고정핀(630)이 삽입된 상태로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안내부(642)와, 고정핀(630)이 하강되도록 승강안내부(642) 및 고정핀(630)의 하부걸림부(632)에 양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체(6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걸림부(632)는 너트로 구성되고, 고정핀(630)은 하부걸림부(632)인 너트가 나사결합 되도록 하측에 수나사산(6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레일바이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무거운 레일바이크의 방향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바이크프레임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탑승상태가 보장될 수 있고, 바이크프레임에 형성되는 지붕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을 해제하면 지지부에 회전이 지지되는 회전부를 바이크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고정핀으로 회전부를 고정시켜서 회전부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부가 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으로 구성되어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회전부에 연결되는 착석부가 180도 각도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즉, 착석부가 바이크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고정핀을 조작하므로 착석부의 방향전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레일바이크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착석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전환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착석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전환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레일바이크는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이크프레임(100)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2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방동력발생부(400)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와, 착석부(500)의 방향을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레일(미도시)은 복수로 구성되어 평행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크프레임(100)은 구조를 견고히 하면서 전체적인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다수의 샤프트들이 연결되어 일정넓이를 갖는 사각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샤프트는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바이크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110)가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지붕(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200)는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양측에 구비되고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서 양측에 구비된다. 즉, 바퀴(200)는 4개로 구성되어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서 2개 후방에 2개가 구비된다. 물론, 바퀴(200)는 6개나 8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방동력발생부(300)는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들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방동력축(310)과, 전방동력축(310)에 고정되는 전방동력전달기어(320)와, 전방동력전달기어(320)에서 이격되게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방동력구동기어(330)와, 전방동력전달기어(320) 및 전방동력구동기어(330)에 개재되어 전방동력구동기어(330)의 동력을 전방동력전달기어(320)로 전달하는 전방체인(340)과, 전방동력구동기어(330)를 회전시키기 위해 전방동력구동기어(330)에 연결되는 전방페달(350)을 포함한다.
전방동력구동기어(330)는 바이크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브래킷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착석부(500)에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동력구동기어(330)에 연결되는 전방페달(350)이 사용자의 발에 근접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 및 체인을 대신하여 롤러 및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페달(350)을 구르면 전방동력구동기어(330)가 회전됨에 따라 전방체인(340)이 전방동력전달기어(32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전방동력전달기어(320)에 연결된 전방전방동력축(310)이 회전되면서 바퀴(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바퀴(200)가 회전됨에 따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전진된다.
그리고, 전방동력구동기어(330)는 복수로 구성되어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2개의 착석의자(520)에 착석한 2명의 사용자들이 전방동력구동기어(330)들을 각각 조작할 수 있다.
후방동력발생부(400)는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되면서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방동력발생부(400)를 구동시키면 바이크프레임(100)이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가 구르게 되어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후진된다.
착석부(500)는 착석프레임(510)과, 착석프레임(51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의자(520)를 포함한다.
착석프레임(510)은 다수의 샤프들이 연결되어 사각형태를 이룬다.
착석의자(520)는 복수로 구성되어 착석프레임(510)에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4개의 착석의자(520)가 2열로 배열되어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4명의 사용자들이 4개의 착석의자(520)에 각각 착석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앞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착석의자(520)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하게 되면 전방동력발생부(300)에 근접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을 향하게 되면 후방동력발생부(400)에 근접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착석부(500)는 착석의자(520)에 착석된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착석의자(520)의 일측에는 음료병이나 음료컵이 거치될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착석의자(520)가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착석의자(520)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뒤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발이 전술한 전방페달(350)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600)는 착석부(500)에 형성되면서 관통부(611)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610)와, 바이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회전부(610)의 회전을 지지하고 관통부(611)에 연통되는 고정부(621)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620)와, 회전부(610)의 관통부(611)을 관통하여서 지지부(620)의 고정부(62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핀(630)과, 고정핀(630)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작동되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서 고정핀(630)을 배출시키는 고정핀조작부(640)를 포함한다.
회전부(610)는 블록형태나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착석부(500)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샤프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관통부(611)는 회전부(61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620)는 블록형태나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바이크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고정부(621)는 지지부(6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21)는 회전부(610)가 180도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관통부(611)에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회전부(610)나 지지부(620)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어서 회전부(610)가 지지부(620)에서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즉, 착석부(500)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고정핀(630)은 상측에 고정핀조작부(640)에 의해 조작되기 위한 상부걸림턱(63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핀(630)은 하측에 하부걸림부(63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걸림부(632)는 너트로 구성되고, 고정핀(630)은 하부에 수나사산(633)이 형성되므로 하부걸림부(632)인 너트가 수나사산(63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걸림부(632)인 너트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핀(630)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상단에 헤드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조작레버(641)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나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핀(630)을 조작할 수 있다.
고정핀조작부(640)는 고정핀(630)의 상부걸림턱(631)을 상승시키기 위한 조작레버(641)와, 고정핀(630)이 삽입된 상태로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안내부(642)와, 고정핀(630)이 하강되도록 승강안내부(642) 및 고정핀(630)의 하부걸림부(632)에 양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체(643)를 포함한다.
조작레버(641)는 회전부(610)에 형성된 브래킷에 시소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외압에 의해 시소운동 되어서 고정핀(630)의 상부걸림턱(631)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조작레버(641)는 사용자가 손이나 발로 가압하도록 일단에 가압판이 형성되고, 상부걸림턱(631)을 들어 올리는 타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레버(641)가 시소운동되면 고정핀(630)과 함께 하부걸림부(632)가 상승된다. 이때, 탄성체(643)가 압축된다. 그리고, 조작레버(641)의 가압이 해제되어 역방향으로 시소운동되면 압축되었던 탄성체(643)가 확장되므로 탄성체(64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630)이 하강될 수 있다.
승강안내부(642)는 탄성체(643)가 내장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방으로 개구되는 캡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회전부(610)에 고정되면서 상부에 고정핀(630)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탄성체(643)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탄성체(64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630)이 회전부(610)의 관통부(611)를 관통하여서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향전환부(6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를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을 향하는 상태로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탑승한 바이크프레임(100)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방향전환부(600)를 이용하여 착석부(500)를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전방동력발생부(300)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회전부(610)는 관통부(611)와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고정부(621)에 연통되는 나사탭(6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탭(612)의 하부에는 수용홈(613)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613)은 나사탭(6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부(600)는 나사탭(612)에 나사결합되는 클램프(650) 및 수용홈(613)에 수용된 상태에서 클램프(650)의 조임에 의해 지지부(620)를 가압하는 가압부(660)를 포함한다. 클램프(650)는 나사탭(61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 및 나사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클램프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660)는 클램프(650)의 나사축보다 큰 직경의 원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660)인 원판의 면적이 클램프(650)의 나사축의 단면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나사축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650)를 대략 30도 각도로 약간만 회전시키면 클램프(650)가 지지부(620)를 가압하게 되고, 클램프(650)를 반대방향으로 대략 30도 각도로 약간만 회전시키면 클램프(650)가 지지부(620)를 가압함이 해제된다.
따라서, 클램프(650)가 나사탭(612)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램프(650)가 조여지면서 가압부(660)를 가압하면, 가압부(660)가 고정부(621)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부(620)에 면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회전부(610)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핀(630)에 의해 회전부(610)의 일측이 고정되고 클램프(650)에 의해 회전부(610)의 타측이 고정되므로, 회전부(610)의 고정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착석부(500)에 착석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안정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이크프레임(100)에서 착석부(500)의 방향을 전환시켜서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동력발생부(300)를 조작하거나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바이크프레임(100)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바이크프레임(100)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이크프레임 110 : 손잡이
120 : 지붕 200 : 바퀴
300 : 전방동력발생부 310 : 전방동력축
320 : 전방동력전달기어 330 : 전방동력구동기어
340 : 전방체인 350 : 전방페달
400 : 후방동력발생부 500 : 착석부
600 : 방향전환부 610 : 회전부
611 : 관통부 612 : 나사탭
620 : 지지부 621 : 고정부
630 : 고정핀 631 : 상부걸림턱
632 : 하부걸림부 633 : 수나사산
640 : 고정핀조작부 641 : 조작레버
642 : 승강안내부 643 : 탄성체
650 : 클램프 660 : 가압부
120 : 지붕 200 : 바퀴
300 : 전방동력발생부 310 : 전방동력축
320 : 전방동력전달기어 330 : 전방동력구동기어
340 : 전방체인 350 : 전방페달
400 : 후방동력발생부 500 : 착석부
600 : 방향전환부 610 : 회전부
611 : 관통부 612 : 나사탭
620 : 지지부 621 : 고정부
630 : 고정핀 631 : 상부걸림턱
632 : 하부걸림부 633 : 수나사산
640 : 고정핀조작부 641 : 조작레버
642 : 승강안내부 643 : 탄성체
650 : 클램프 660 : 가압부
Claims (5)
-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바이크프레임(100)과,
바이크프레임(100)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2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동력발생부(300)와,
바이크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바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후방동력발생부(400)와,
전방동력발생부(300)나 후방동력발생부(4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500)와,
착석부(500)의 방향을 바이크프레임(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일바이크.
- 청구항 1에 있어서, 방향전환부(600)는
착석부(500)에 형성되면서 관통부(611)가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부(610)와,
바이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회전부(610)의 회전을 지지하고 관통부(611)에 연통되는 고정부(621)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620)와,
회전부(610)의 관통부(611)을 관통하여서 지지부(620)의 고정부(62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핀(630)과,
고정핀(630)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작동되어 지지부(620)의 고정부(621)에서 고정핀(630)을 배출시키는 고정핀조작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일바이크.
- 청구항 2에 있어서,
관통부(611)는 회전부(610)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되고,
고정부(621)는 관통부(611)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지지부(6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일바이크.
-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핀(630)은 상측에 고정핀조작부(640)에 의해 조작되기 위한 상부걸림턱(631)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부걸림부(63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핀조작부(640)는
고정핀(630)의 상부걸림턱(631)을 상승시키기 위한 조작레버(641)와,
고정핀(630)이 삽입된 상태로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안내부(642)와,
고정핀(630)이 하강되도록 승강안내부(642) 및 고정핀(630)의 하부걸림부(632)에 양단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체(6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일바이크.
-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걸림부(632)는 너트로 구성되고,
고정핀(630)은 하부걸림부(632)인 너트가 나사결합 되도록 하측에 수나사산(6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레일바이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9426A KR101817192B1 (ko) | 2017-12-11 | 2017-12-11 | 양방향 레일바이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9426A KR101817192B1 (ko) | 2017-12-11 | 2017-12-11 | 양방향 레일바이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7192B1 true KR101817192B1 (ko) | 2018-01-10 |
Family
ID=6099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9426A KR101817192B1 (ko) | 2017-12-11 | 2017-12-11 | 양방향 레일바이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719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363B1 (ko) | 2018-03-08 | 2019-07-24 | 한성산업(주) | 승차감이 개선된 다중 완충 장치를 구비한 레일 바이크 |
KR102147236B1 (ko) * | 2020-04-22 | 2020-08-24 | (주)신흥이앤지 | 왕복 주행이 가능한 하늘 자전거 |
KR102402956B1 (ko) * | 2021-11-24 | 2022-05-30 | (주)신흥이앤지 | 안장 회전 방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선택되는 양방향 하늘 자전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375Y1 (ko) | 2005-10-21 | 2006-01-20 | 이동기 |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 |
KR100644348B1 (ko) | 2005-10-18 | 2006-11-10 | 이수행 | 인력구동 레일바이크 |
-
2017
- 2017-12-11 KR KR1020170169426A patent/KR1018171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4348B1 (ko) | 2005-10-18 | 2006-11-10 | 이수행 | 인력구동 레일바이크 |
KR200406375Y1 (ko) | 2005-10-21 | 2006-01-20 | 이동기 |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363B1 (ko) | 2018-03-08 | 2019-07-24 | 한성산업(주) | 승차감이 개선된 다중 완충 장치를 구비한 레일 바이크 |
KR102147236B1 (ko) * | 2020-04-22 | 2020-08-24 | (주)신흥이앤지 | 왕복 주행이 가능한 하늘 자전거 |
KR102402956B1 (ko) * | 2021-11-24 | 2022-05-30 | (주)신흥이앤지 | 안장 회전 방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선택되는 양방향 하늘 자전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7192B1 (ko) | 양방향 레일바이크 | |
CN102319154B (zh) | 爬楼轮椅 | |
US6893035B2 (en) | Wheelchair drive mechanism | |
EP1400230A1 (en) | Massaging device | |
CN105744994B (zh) | 用于塔架式乘坐设施的轨道和驱动装置 | |
CN205163588U (zh) | 一种捶打按摩健身椅 | |
KR101286611B1 (ko) | 행거형 스카이 바이크 | |
CN111375172B (zh) | 一种肢体训练康复设备 | |
EP2281483A4 (en) | ROCKING CHAIR | |
KR20120009488A (ko) | 슬라이딩 복부 운동 기구 | |
US20240238136A1 (en) | Track Assembly For Patient Transport Apparatus | |
CN105250129A (zh) | 一种捶打按摩健身椅 | |
CN210204063U (zh) | 坐靠架与搁腿架联动椅 | |
US8156873B1 (en) | Rail bike | |
CN202935356U (zh) | 带靠背滑动换向机构的座椅 | |
KR101093751B1 (ko) | 사이클링 운동기구 | |
KR102517846B1 (ko) |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 |
KR101581290B1 (ko) |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 |
CN103334720A (zh) | 一种摆杆式齿条抽油机 | |
WO2008001093A1 (en) | Chair | |
KR101053691B1 (ko) | 전동 스쿠터 | |
KR101452471B1 (ko) | 싸이클 안마 기구 | |
CN203362127U (zh) | 一种摆杆式齿条抽油机 | |
KR200332179Y1 (ko) | 2인승 자전거 | |
KR101770940B1 (ko) | 지레 원리를 이용한 이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