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35B1 -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35B1
KR101817135B1 KR1020170077954A KR20170077954A KR101817135B1 KR 101817135 B1 KR101817135 B1 KR 101817135B1 KR 1020170077954 A KR1020170077954 A KR 1020170077954A KR 20170077954 A KR20170077954 A KR 20170077954A KR 101817135 B1 KR101817135 B1 KR 10181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old
unit
main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성
Original Assignee
태양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정공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46Producing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49Motors
    • B29L2031/7492Intake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형상의 관상체로서 일단부에 형성된 확관 헤드부, 타단부에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측면압착된 압착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륜리브부를 갖는 차량용 행거로드 성형하는 것으로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된 금형유닛과, 본체에 설치되어 상부금형을 승강작동시키는 금형작동부와, 금형유닛의 측방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멘드릴과 멘드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성형홈이 형성된 가압헤드와 멘드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멘드릴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헤드 성형부와, 헤드부 성형구간의 단부에 확관 헤드부가 가압헤드의 성형홈에 의해 형성될 때 가압헤드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헤드의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외륜 리브부를 성형하는 리브 성형부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압착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압착하는 압착성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Apparatus of molding hanger load for vehicle}
본 발명은 촉매컨버터, 머플러, 배기파이프 등과 같은 차량의 배기계를 차체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차량용 행거로드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플러는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폭발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차량의 후방으로 안내되어 소음기를 통해 소음이 감소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이나 머플러(3)는 차량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행거(2)를 매개로 별도의 행거로드(1)에 의해 차량의 프레임(5)에 고정 설치된다.
행거로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결합부(1a)와 고무행거(2)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중 지지부(1b)가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행거로드(1)에는 하중 지지부(1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고무행거(2)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중 지지부(1b)의 단부에는 헤드부(1c)가 형성되고, 헤드부(1c)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걸림부(1d)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행거로드는 먼저, 하중 지지부(1b)의 단부에 고무행거(2)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를 경사지게 확관시켜 헤드부(1c)를 형성한 후, 파이프를 양쪽에서 압착하여 걸림부(1d)를 형성한 다음 결합부(1a)와 하중 지지부(1b) 사이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벤딩부(A)를 형성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행거로드는 헤드부(1c), 걸림부(1d)를 각각 별도의 공정을 통해 성형한 다음, 결합부(1a)의 단부가 차체에 손쉽게 용접될 수 있도록 결합부(1a)의 단부를 별도의 장치를 통해 가압하여 압착시켜야 함으로써 제조공정이 증가되고, 인력 및 시간의 낭비가 심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등록특허공보 제10-1355547호(2014.01.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번의 공정으로 소재의 일측 단부와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헤드부,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재의 타측 단부를 압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차종에 따라 그 규격이 상이한 다양한 행거 로드를 성형할 수 있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는 크랭크형상의 관상체로서 일단부에 형성된 확관 헤드부, 타단부에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측면압착된 압착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륜리브부를 갖는 차량용 행거로드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이 안착되는 하부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안착부와 대면하는 상부안착부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금형을 가지며, 헤드부가 형성될 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헤드부 성형구간을 측방으로 노출시키고, 압착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전방으로 노출시켜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을 파지하는 금형유닛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금형을 승강작동시키는 금형작동부와, 금형유닛의 측방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멘드릴과, 멘드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성형홈이 형성된 가압헤드와, 멘드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멘드릴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헤드 성형부와, 하부금형에 설치되고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하부안착홈부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가공블록과, 하부가공블록과 마주보게 상부금형에 설치되고 하부안착홈부와 대면하는 상부안착홈부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가공블록을 가지며, 헤드부 성형구간의 단부에 확관 헤드부가 가압헤드의 성형홈에 의해 형성될 때 가압헤드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헤드의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외륜 리브부를 성형하는 리브 성형부 및,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보조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와, 구동실린더의 단부에 금형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착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압착하는 압착블록을 갖는 압착 성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금형작동부는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블록과, 고정블록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실린더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체결블록과, 수용홈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구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및, 제1 링크의 일단과 중첩되도록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블록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가이드홈과, 일단은 원형의 가이드홈에 연통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원형의 가이드홈에는 연결홈을 통해 가이드홈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회전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너트와 나사결합되어 회전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에는 보조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보조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단부에서 수평부의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돌출 형성된 수직부를 갖는 지지브라켓과, 일측 소정 위치가 수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측 소정 위치가 이동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보조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된 레일부에 결합된 슬라이드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프레임 이동부가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한 번의 공정으로 소재의 일측 단부와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헤드부, 걸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재의 타측 단부를 압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차종에 따라 그 규격이 상이한 다양한 행거 로드를 성형할 수 있어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행거 로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차량 하부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행거로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설치된 리브 성형부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브 성형부의 작동에 의해 헤드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압착 성형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압착 성형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행거로드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설치된 리브 성형부의 분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브 성형부의 작동에 의해 헤드부가 성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압착 성형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압착 성형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행거로드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로드 성형장치(100)는 크랭크형상의 관상체로서 일단부에 형성된 확관 헤드부(12), 타단부에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측면압착된 압착부(14) 및 헤드부(12)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륜리브부(16)를 갖는 차량용 행거로드(10)(도 9 참조)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본체(110), 금형유닛(120), 금형작동부(130), 헤드 성형부(140), 리브 성형부(150), 압착 성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차량용 행거로드 성형장치(100)의 기본골격이 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금형유닛(120), 금형작동부(130), 헤드 성형부(140), 리브 성형부(150) 및, 압착 성형부(160)가 설치된다.
금형유닛(120)은 본체(110)에 설치되어 헤드부(12)가 형성될 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헤드부 성형구간을 측방으로 노출시키고, 압착부(14)에 해당하는 영역을 전방으로 노출시켜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을 파지한다.
이러한, 금형유닛(120)은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이 안착되는 하부안착부(122a)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금형(122)과, 하부금형(122)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안착부(122a)와 대면하는 상부안착부(124a)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금형(124)을 갖는다.
금형작동부(130)는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금형(124)을 하부금형(122)에 대해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블록(131)과, 고정블록(131)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 실린더(132)와, 실린더(132)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된 체결블록(133)과, 수용홈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구(112)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134) 및, 제1 링크(134)의 일단과 중첩되도록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부금형(124)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블록(126)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135)로 이루어진다.
헤드 성형부(140)는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일단부에 확관 헤드부(12)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금형유닛(120)의 측방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멘드릴(142)과, 멘드릴(14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성형홈(144a)이 형성된 가압헤드(144)와, 멘드릴(14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멘드릴(142)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46)로 이루어진다.
리브 성형부(150)는 헤드부 성형구간의 단부에 확관 헤드부(12)가 가압헤드(144)의 성형홈(144a)에 의해 형성될 때 가압헤드(144)의 가압에 의해 가압헤드(144)의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 상에 확관 헤드부(12)로부터 간격을 두고 외륜리브부(16)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리브 성형부(150)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하부금형(122)에 설치되고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하부안착홈부(152a)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가공블록(152)과, 하부가공블록(152)과 마주보게 상부금형(124)에 설치되고 하부안착홈부(152a)와 대면하는 상부안착홈부(154a)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가공블록(154)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은 각각 하부금형(122)과 상부금형(124)에 형성된 공간부(122b, 124b)에 끼워진다. 또한,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 각각의 중심부에는 관통홀(152b, 154b)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홀(152b, 154b)에는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이 공간부(122b, 124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볼트(155)가 관통삽입되어 공간부(122b, 124b)의 내부 일측에 일단이 체결된다. 이때,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은 가압헤드(144)의 가압에 의해 탄성 이동 가능하도록 코일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되는데, 코일스프링(S)의 일단은 공간부(122b, 124b)에 지지되고, 타단은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의 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공간부(122b, 124b)의 내부 양측면에는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이 공간부(122b, 124b)의 상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가공블록(152)과 상부가공블록(154)의 양측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블록(156)이 설치된다.
압착 성형부(160)는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타단부에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측면압착된 압착부(14)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보조프레임(161), 이동프레임(162), 회전프레임(163), 구동실린더(164) 및, 압착블록(167)으로 이루어진다.
보조프레임(161)은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또한, 보조프레임(161)은 본체(110)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잭(114)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프레임(162)은 보조프레임(161)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프레임(162)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가이드홈(162a)과, 일단은 원형의 가이드홈(162a)에 연통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연결홈(16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원형의 가이드홈(162a)에는 연결홈(162b)을 통해 가이드홈(162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회전프레임(163)에 형성된 관통홀(163a)에 삽입되어 체결너트(N)와 나사결합되어 회전프레임(163)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B)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여기서, 보조프레임(161)의 전면에는 거리표시부(161b)가 형성되고, 이동프레임(162)에는 거리표시부(161b)에 대응되는 거리지시구(162c)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프레임(162)의 이동거리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회전프레임(163)은 원형의 가이드홈(162a)의 내부에 위치된 위치고정볼트(B)에 결합되어 이동프레임(162)의 상부에 회전되게 위치된다.
여기서, 이동프레임(162)의 상부면에는 각도표시부(162d)가 형성되고, 회전프레임(163)의 외주면에는 각도표시부(162d)에 대응되는 각도지시구(163b)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프레임(163)의 회전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프레임(163)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다.
구동실린더(164)는 회전프레임(163)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압착블록(167)을 금형유닛(120)에 대해 상대이동시킨다.
여기서, 구동실린더(164)는 회전프레임(163)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65)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프레임(165)의 상부 일측에는 슬롯홀(166a)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66)가 설치된다.
압착블록(167)은 구동실린더(164)의 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실린더(164)의 작동에 따라 금형유닛(120)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압착부(14)에 해당하는 영역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금형유닛(120)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압착부(14)에 해당하는 영역을 압착한다.
여기서, 압착블록(167)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커버플레이트(166)에 형성된 슬롯홀(166a)을 관통하는 돌출핀(167a)이 설치되고, 돌출핀(167a)은 압착블록(167)이 금형유닛(120)에 대해 상대이동할 때 커버플레이트(166)의 상부에 설치된 근접센서(미도시)와 상호 작용을 하여 금형유닛(120)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압착블록(167)의 이동거리가 제한되게 한다.
한편, 본체(110)에는 이동프레임(16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프레임 이동부(170)가 설치된다. 이동프레임 이동부(170)는 보조프레임(161)의 측면에 결합되고, 보조프레임(161)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수평부(172a)와 수평부(172a)의 단부에서 수평부(172a)의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돌출 형성된 수직부(172b)를 갖는 지지브라켓(172)과, 일측 소정 위치가 수직부(172b)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측 소정위치가 이동프레임(162)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보조프레임(161)의 상부면에 형성된 레일(161a)에 결합된 슬라이드블록(168)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174)과, 회전축(17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핸들(176)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61)이 본체(11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프레임(162)이 보조프레임(161)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며, 회전프레임(163)이 이동프레임(16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통해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다양한 차량용 행거로드를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프레임(161), 이동프레임(162) 및, 회전프레임(163)을 서보모터, 실린더 등과 같은 엑츄에이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작업자가 차종에 따라 미리 입력되어 있는 다양한 차량용 행거로드의 정보 중에 성형하고자 하는 행거로드를 선택했을 때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그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행거로드 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을 하부금형(122)의 하부안착부(122a)에 안착시킨 후, 금형작동부(130)를 작동시켜 상부금형(124)이 하부금형(122)과 합형되어 작업물을 파지할 수 있게 상부금형(124)이 하부금형(122)을 향해 이동되게 한다.
이후, 헤드 성형부(140)를 작동시키면 금형유닛(120)의 측방으로 노출된 헤드부 성형구간이 가압헤드(144)에 의해 가압되어 작업물의 일단부에 확관 헤드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리브 성형부(150)가 가압헤드(144)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헤드(144)에 진행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륜리브부(16)가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 상에 확관 헤드부(12)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압착 성형부(160)의 압착블록(167)이 금형유닛(120)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작업물의 압착부(14)에 해당하는 영역을 압착함으로써 원하는 제품이 성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본체
112; 고정구
114; 높이조절용 잭
120; 금형유닛
130; 금형작동부
140; 헤드 성형부
150; 리브 성형부
160; 압착 성형부
170; 이동프레임 이동부

Claims (6)

  1. 크랭크형상의 관상체로서 일단부에 형성된 확관 헤드부, 타단부에 소정의 길이구간에 걸쳐 측면압착된 압착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륜리브부를 갖는 차량용 행거로드 성형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이 안착되는 하부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안착부와 대면하는 상부안착부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금형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가 형성될 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헤드부 성형구간을 측방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압착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전방으로 노출시켜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을 파지하는 금형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을 승강작동시키는 금형작동부;
    상기 금형유닛의 측방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멘드릴과, 상기 멘드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성형홈이 형성된 가압헤드와, 상기 멘드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멘드릴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헤드 성형부;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고 크랭크 형상의 작업물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하부안착홈부가 상면에 형성된 하부가공블록과, 상기 하부가공블록과 마주보게 상기 상부금형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안착홈부와 대면하는 상부안착홈부가 하면에 형성된 상부가공블록을 가지며, 상기 헤드부 성형구간의 단부에 상기 확관 헤드부가 상기 가압헤드의 성형홈에 의해 형성될 때 상기 가압헤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가압헤드의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외륜 리브부를 성형하는 리브 성형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단부에 상기 금형유닛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압착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압착하는 압착블록을 갖는 압착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체결블록과,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구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의 일단과 중첩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금형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블록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가이드홈과, 일단은 상기 원형의 가이드홈에 연통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가이드홈에는 상기 연결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체결너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상기 수평부의 축선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돌출 형성된 수직부를 갖는 지지브라켓과, 일측 소정 위치가 상기 수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측 소정 위치가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된 레일부에 결합된 슬라이드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는 이동프레임 이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잭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면에는 각도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도표시부에 대응되는 각도지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KR1020170077954A 2017-05-12 2017-06-20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KR101817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9427 2017-05-12
KR1020170059427 2017-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135B1 true KR101817135B1 (ko) 2018-01-10

Family

ID=6099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54A KR101817135B1 (ko) 2017-05-12 2017-06-20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1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02B1 (ko) 2018-12-03 2019-11-01 주식회사 정우 파이프 벤딩 장치
KR102111545B1 (ko) 2018-12-03 2020-05-18 주식회사 정우 파이프 벤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578A (ja) 1999-06-04 2000-12-12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ライナパイプの製造方法
JP2011231729A (ja) 2010-04-30 2011-11-17 Komatsu Ltd Egr配管、egr装置、及びegr配管の製造方法
US20120325578A1 (en) 2011-06-21 2012-1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ffl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KR101355547B1 (ko) 2013-06-17 2014-0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578A (ja) 1999-06-04 2000-12-12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ライナパイプの製造方法
JP2011231729A (ja) 2010-04-30 2011-11-17 Komatsu Ltd Egr配管、egr装置、及びegr配管の製造方法
US20120325578A1 (en) 2011-06-21 2012-1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ffl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KR101355547B1 (ko) 2013-06-17 2014-0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02B1 (ko) 2018-12-03 2019-11-01 주식회사 정우 파이프 벤딩 장치
KR102111545B1 (ko) 2018-12-03 2020-05-18 주식회사 정우 파이프 벤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867B1 (ko) 신장 제어식 성형 기구와 금속 블랭크 성형 방법
KR101817135B1 (ko) 차량용 행거 로드 성형장치
US7434443B2 (en) Compound press-forming apparatus and compound press-forming method
US6640601B2 (en) Electric hemming press
US20080083258A1 (en) Tilting System for a Flanging Device
JP4734327B2 (ja) 自動車用ホイールリムのバルブ孔加工方法及びバルブ孔加工装置
CN210451532U (zh) 车用定位夹紧机构
CN114346511B (zh) 一种焊接工装及其工作方法
CA2416491C (en) Method and forming machine for deforming a hollow workpiece
CN2406768Y (zh) 消声器隔板压装机
CN112676439B (zh) 一种冲焊一体化夹持装置
US7111538B2 (en) Double acting cam die
CN2670026Y (zh) 用于车身薄板件的冲孔装置
KR100674599B1 (ko) 자동차 진동방지 고무고정용 파이프 성형장치
US10315239B2 (en) Forming tool for the production of a hollow compon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forming tool
JP2003320428A (ja) ヘミング装置
CN205290173U (zh) 用于汽车后轴总成焊接夹具的压紧定位机构
ZA200300420B (en) Method and forming machine for deforming a hollow workpiece.
CN215745971U (zh) 一种汽车加工用高稳定冲压模
CN2474269Y (zh) 通用液压机
JP2004122231A (ja) 複合プレス成形装置及び複合プレス成形方法
CN214816127U (zh) 用于焊装安全带导向支架的夹具
CN110434212A (zh) 座椅座板冲压工艺及其专用冲压模具
CN216175985U (zh) 一种用于白车身焊装压合的推角机构
CN209206263U (zh) 一种端口校平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