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126B1 -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126B1
KR101816126B1 KR1020160157548A KR20160157548A KR101816126B1 KR 101816126 B1 KR101816126 B1 KR 101816126B1 KR 1020160157548 A KR1020160157548 A KR 1020160157548A KR 20160157548 A KR20160157548 A KR 20160157548A KR 101816126 B1 KR101816126 B1 KR 10181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ling member
ring
inlet connector
shaped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근
한승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5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앙 영역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부의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가 결합되는 통로가 되는 개구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돌부의 주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INLET CONNECTOR HAVING WATERPROOFING PART}
본 발명은 인렛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모터/제어기술도 점점 발달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DC모터를 AC모터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과 EV의 동력성능(가속성능, 최고속도)이 크게 향상되어 가솔린차에 비하여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출력화를 추진하면서 고회전함에 따라 모터가 경량소형화되어 탑재중량이나 용적도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소나 가정의 상용 AC 전원과 연결된 아웃렛 장치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장치에 삽입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렛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넷 커넥터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일부 영역의 전면이 개구 형성되어 개구면(11)을 구비하고, 개구면(11)의 일측에 잠금부재(12)가 구비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개구면(11) 일측에 개구면(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을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된 영역의 일측면에는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여부에 따라 인렛 커넥터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부재(12)는 하우징(10)의 판면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14)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렛 커넥터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부재(12)가 인렛 커넥터의 내외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1차 잠금이 완료된 인렛과 아웃렛 사이에 2차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에 있어서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는 인렛 커넥터의 체결공(14)과 잠금부재(12) 사이의 간극에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아무런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체결공(!4)과 잠금부재(12) 사이의 간극으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유입되어 잠금부재(12)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함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인렛 커넥터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렛 커넥터의 하우징과 잠금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인렛 커넥터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는, 중앙 영역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부의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가 결합되는 통로가 되는 개구면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돌부의 주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락핀이 결합시에 상기 락핀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이 일정 길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락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저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위치에 상기 잠금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씰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씰링부재의 둘레면에는 상기 링형씰링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형씰링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링형씰링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링형씰링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는 상기 링형씰링부재의 전방 둘레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의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통공의 내면에는 상기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내면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방수용 돌기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씰링부재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에는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링형씰링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인렛 커넥터의 하우징과 잠금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인렛 커넥터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렛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방수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방수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는, 중앙 영역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돌부(110)의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가 결합되는 통로가 되는 개구면(111)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돌부(110)의 주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200)와; 상기 잠금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방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판면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는 볼트공(10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중앙 영역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아웃렛 커넥터를 결합시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원통형 형상의 돌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돌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아웃렛 커넥터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 개구면(111)이 구비되어 있으며, 돌부(1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2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링형씰링부재(310)가 체결되는 하우징(100)에는 수용홈(130)이 함몰 형성되며, 링형씰링부재(310)는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130)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130)의 중앙 영역 내측에는 수용홈(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수용홈(1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링형씰링부재(310)에 형성된 결합홈(311)이 결합되는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200)는 직경이 상이한 두 개의 원통 형상의 부재가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방수부(300)는 하우징(100)와 잠금부재(20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잠금부재(200)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함과 동시에 동절기에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결빙되어 인렛 커넥터가 오작동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수부(300)는 잠금부재(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위치에 잠금부재(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씰링부재(310)로 형성될 수 있다.
링형씰링부재(310)는 잠금부재(200)와 하우징(100)이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링형씰링부재(310)의 둘레면에는 링형씰링부재(310)가 하우징(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3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홈(311)의 깊이와 폭은 하우징(100)에 형성된 걸림턱(120)이 돌출된 정도와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격으로 인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링형씰링부재(310)의 중앙에는 잠금부재(200)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통공(312)이 관통 형성되는데, 통공(312)의 직경은 잠금부재(200)와 통공(312)이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잠금부재(200)의 단면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형씰링부재(310)를 하우징(100)에 결합시에 하우징(100)에 형성된 걸림턱(120)을 통과하는 링형씰링부재(310)의 전방 둘레에는 경사면(31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링형씰링부재(310)를 하우징(100)의 걸림턱(120)에 체결시에 링형씰링부재(310)가 용이하게 걸림턱(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잠금부재(200)의 외면과 접촉되는 통공(312)의 내면에는 상기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내면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방수용 돌기(314)가 이격 배치되어 있다.
방수용 돌기(314)는 잠금부재(200)의 외면과 링형씰링부재(310)가 더욱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잠금부재(200)와 링형씰링부재(31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수밀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는 인렛 커넥터의 하우징과 잠금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인렛 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여 인렛 커넥터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돌부
111 : 개구면 120 : 걸림턱
130 : 수용홈 200 : 잠금부재
300 : 방수부 310 : 링형씰링부재
311 : 결합홈 312 : 통공
313 : 경사면 314 : 방수용 돌기

Claims (6)

  1. 중앙 영역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돌부(110)의 전면에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가 결합되는 통로가 되는 개구면(111)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돌부(110)의 주연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 커넥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인입출되는 잠금부재(200)와;
    상기 잠금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방수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부(300)는 상기 잠금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위치에 상기 잠금부재(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씰링부재(310)로 구성되고, 상기 링형씰링부재(310)의 둘레면에는 상기 링형씰링부재(310)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3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링형씰링부재(310)의 중앙에는 상기 잠금부재(200)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통공(3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링형씰링부재(310)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결합홈(311)에 결합되는 걸림턱(120)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씰링부재(310)를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시에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20)을 통과하는 상기 링형씰링부재(310)의 전방 둘레에는 상기 결합홈(311)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링형씰링부재(310)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며 표면이 굴곡지게 형성된 경사면(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200)의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통공(312)의 내면에는 상기 내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내면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방수용 돌기(314)가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씰링부재(310)가 체결되는 상기 하우징(100)에는 수용홈(130)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링형씰링부재(3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130)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KR1020160157548A 2016-11-24 2016-11-24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KR10181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48A KR101816126B1 (ko) 2016-11-24 2016-11-24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48A KR101816126B1 (ko) 2016-11-24 2016-11-24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126B1 true KR101816126B1 (ko) 2018-01-08

Family

ID=6100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48A KR101816126B1 (ko) 2016-11-24 2016-11-24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885A (ja) 2011-01-24 2012-08-16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充電用ケーブルのコンセントプラグ
US20130089999A1 (en) 2011-10-07 2013-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JP2014204494A (ja) * 2013-04-02 2014-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プラグ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5885A (ja) 2011-01-24 2012-08-16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充電用ケーブルのコンセントプラグ
US20130089999A1 (en) 2011-10-07 2013-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JP2014204494A (ja) * 2013-04-02 2014-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プラグのロッ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0307B2 (ja) 車外給電装置
CN108545076B (zh) 一种基于bsg电机的车辆控制方法和装置
US20200014143A1 (en) Charge port assembly and molding method
JP5615446B2 (ja) 電気自動車用の充電インタフェース
US9751414B2 (en) Electric plug-in connection, in particular for electric vehicles
US20160121744A1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be driven electrically
US11211655B2 (en) Vehicle enclosure for preventing access to high voltage components
US20100084205A1 (en) High-Voltage Terminal Assembly with Integral High-Voltage Interlock
US9975440B1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CN109983600B (zh) 电池模块连接器筒
CN102923124A (zh) 混合动力车的控制方法
US10442290B2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covering method
CN108944494A (zh) 具有手动释放装置的充电端口锁
KR20190069923A (ko) 차량 탑재 충전기 통합형 저전압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101816126B1 (ko) 방수부를 구비한 인렛 커넥터
CN109986981A (zh) 充电总成和利用安装到车轮的充电端口的方法
KR102183709B1 (ko)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플러그
CN105529763B (zh) 电动车辆充电机
US20190176635A1 (en) Radiator grille charging door apparatus
JP5351088B2 (ja) 電気自動車及び電気自動車用の補助充電池
KR10257168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리셉터클
CN110576757A (zh) 用于电动化车辆电池组的密封结构穿通总成
CN207116801U (zh) 一种电动汽车充电枪密封结构
US1321960A (en) Electric-lamp-lighting device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