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962B1 -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962B1
KR101815962B1 KR1020170047362A KR20170047362A KR101815962B1 KR 101815962 B1 KR101815962 B1 KR 101815962B1 KR 1020170047362 A KR1020170047362 A KR 1020170047362A KR 20170047362 A KR20170047362 A KR 20170047362A KR 101815962 B1 KR101815962 B1 KR 10181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andle
push
door 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금석
Original Assignee
(주)에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버넷 filed Critical (주)에버넷
Priority to KR102017004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의 외부 및 내부 몸체와;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내에서 수평 이동하되 일측은 핸들과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를 포함하는 핸들부와; 상기 체결수단의 타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누름봉과;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핸들의 풀 동작 혹은 푸쉬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누름 압력에 따라 회전되어 발생하는 회전력을 데드볼트 동작축에 전달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누름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 스프링과;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OF PUSH-PULL TYP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한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도어락은 내측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핸들 방식의 일반적인 도어 락은 문이 열리는 방향과 문을 열기 위해 핸들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속하고도 직관적인 작동이 어렵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등장한 방식이 푸쉬-풀 방식(push-pulltype)의 도어락이다. 푸쉬-풀 방식의 도어락에서는 단순하게 내측 핸들 혹은 외측 핸들을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잠금구가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리는 방식이다.
공지되어 있는 푸쉬-풀 방식의 도어락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6741호에 개시된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가 있다. 예시한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하우징상에서 레버가 전후로 유동하며 푸쉬 동작 또는 풀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잠금구와 연결된 작동간의 회전이 이루어져 잠금구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1본체 또는 제2본체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것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레버를 좌우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 도어를 개방하는 일반 도어 잠금장치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 하나의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로서 푸쉬, 풀 동작을 취하는 레버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레버의 돌출부를 통해 구동부를 구동하여 작동간을 회전시키는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이 레버의 돌출부를 통해 구동부를 구동하여 작동간을 회전시키는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면서도 작동간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으나, 레버의 돌출부와 레버의 돌출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부의 연결에 소요되는 공간이 상당하게 되어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6741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용이한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의 핸들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의 외부 및 내부 몸체와;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내에서 수평 이동하되 일측은 핸들과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를 포함하는 핸들부와;
상기 체결수단의 타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누름봉과;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핸들의 풀 동작 혹은 푸쉬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누름 압력에 따라 회전되어 발생하는 회전력을 데드볼트 동작축에 전달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누름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 스프링과;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부에 내측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판과;
상기 관통공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외부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일측 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면에는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판에는,
상기 외부 몸체와의 고정 및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풀(full)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양 끝단 각각과 접촉하여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체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굴곡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복원 스프링은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2복원 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운동방향 전환부 혹은 상기 회전체판에 고정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상기 내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부에 내측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판과;
상기 관통공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외부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일측 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면에는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판에는,
상기 내부 몸체와의 고정 및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푸쉬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양 끝단 각각과 접촉하여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체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굴곡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의 구조는 종전 푸쉬-풀 방식을 채용하는 도어 잠금장치들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핸들부의 수평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방향 전환부의 구조 역시 단순화하면서도 슬림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품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며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결합 관계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 몸체(100)에 결합되는 핸들부(200)와 운동 방향 전환부(300)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외부 몸체(100)에 결합되는 핸들부(200)와 체결수단(510)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외부 몸체(100)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핸들부의 풀(full) 동작에 의해 운동 방향 전환부(300)가 동작하여 데드볼트 동작축(410)이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몸체(600)에 결합되는 핸들부(700)와 체결수단(810)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몸체(600)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내부 몸체(600)에 결합된 핸들부의 푸쉬 동작에 의해 운동방향 전환부가 동작하여 데드볼트 동작축(410)이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요소간 결합 관계를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어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 몸체(100)에 결합되는 핸들부(200)와 운동 방향 전환부(3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외부 몸체(100)에 결합되는 핸들부(200)와 체결수단(510)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외부 몸체(100)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 외부에서 도어에 결합되는 구성과 도어 내부에서 도어에 결합되는 구성 및 도어 내부에 수납되는 데드볼트 어셈블리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도어 외부에서 도어에 결합되는 구성과 데드볼트 어셈블리의 연결 관계를 우선 설명하고, 도어 내부에서 도어에 결합되는 구성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복수의 관통홀(도 2의 101,103)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의 외부 몸체(100) 및 내부 몸체(도 6, 도 7의 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외부 몸체(100) 및 내부 몸체(600)의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몸체(230)와, 상기 고정몸체(230) 내에서 수평 이동하되 일측은 핸들(210)과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중 하나의 관통홀(도 2의 103)을 관통하는 체결수단(도 2의 51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홈(도 2의 240)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220)를 포함하는 핸들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도 2의 510)의 타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누름봉(500)을 더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몸체(230)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홀(232)은 서로 마주 보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홀(232)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고정몸체(230) 내의 이동몸체(220)는 고정몸체(230) 내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핸들(210)의 풀(full) 혹은 푸쉬(push) 동작에 의해 고정몸체(230)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외부 몸체(100) 및 내부 몸체(600)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핸들(210, 도 6의 710)의 풀 동작 혹은 푸쉬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500, 도 6의 800)의 누름 압력에 따라 회전되어 발생하는 회전력을 데드볼트 동작축(410)에 전달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운동 방향 전환부(30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외부 몸체(100) 전방에 위치하는 핸들(210)의 풀 동작후 그 핸들(210)과 상기 핸들(210)의 풀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한 상기 누름봉(5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 스프링(5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복원 스프링(5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5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곳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핸들(210, 710)의 풀 동작 혹은 푸쉬 동작에 의해 운동 방향 전환부(300)가 회전한 것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복원 스프링(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복원 스프링(350)은 일측이 외부 몸체(100)의 후방 혹은 내부 몸체(600)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운동방향 전환부(300), 보다 자세하게는 운동방향 전환부(300)를 구성하는 회전체판(310)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400은 일측에 데드볼트(420)가 돌출되어 있는 데드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 데드볼트 어셈블리(400)에 삽입된 데드볼트 동작축(410)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20)는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며, 데드볼트 동작축(410)의 양 끝단 각각은 외부 몸체(100)와 내부 몸체(600) 각각에 결합되는 운동방향 전환부(300)를 구성하는 원통형 회전체(320)의 일면에 형성된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324)에 삽입되어 핸들(210, 710)의 푸쉬 혹은 풀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동작 관계는 도 3 내지 도 8에서 보다 상세힐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어락을 구성하는 외부 몸체(100) 및 내부 몸체(600)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운동 방향 전환부(300)의 구성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외부 몸체(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운동 방향 전환부(300)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해 보면, 운동 방향 전환부(300)는,
외부 몸체(100)의 후방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체결수단(5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318)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8) 일부에 내측기어(316)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판(310)과,
상기 관통공(318)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외부 몸체(100)의 관통홀(101)에 삽입되는 회전축(322)이 일측 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면에는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324)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기어(316)와 맞물리는 기어(326)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32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판(310)에는,
상기 외부 몸체(100)와의 고정 및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들(3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210)의 풀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500)의 양 끝단 각각과 접촉하여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체판(3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굴곡편들(311,312)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몸체(100) 후방에 결합되는 운동 방향 전환부(300)의 일 구성요소인 굴곡편들(311,312)은 체결수단(510)과 직교하는 누름봉(500)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끝단이 누름봉(500)의 끝단과 접촉하되, 누름봉(500) 양 끝단이 굴곡진 굴곡편(311,312)의 볼록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내부 몸체(600) 후방에 결합되는 운동 방향 전환부의 일 구성요소인 굴곡편들(911,912)들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810)과 직교하는 누름봉(800)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끝단이 누름봉(800)의 끝단과 접촉하지만, 누름봉(800)의 양 끝단이 굴곡진 굴곡편(911,912)의 오목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참고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체결수단(510)의 일측은 외부 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03)과 핸들부(200)의 고정몸체(230)에 형성된 삽입홈(240)을 통과해 고정몸체(230) 내의 이동몸체(220) 일측에 결합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몸체(100)의 우측, 즉 외부 몸체(100)의 전방에는 핸들부(200)를 구성하는 고정몸체(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몸체(230) 내에는 핸들(210)이 결합되어 있는 이동몸체(220)가 삽입되어 있다.
이동몸체(220)의 일측 끝단에는 누름봉(500)에 연결된 체결수단(51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됨으로써, 도어 외부에서 도어 조작자가 핸들(210)을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누름봉(50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굴절편들(311,312)에 대해 누름 압력이 발생한다.
이를 도 4, 도 5를 참조해 부연 설명하면,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어 조작자가 핸들(210)을 잡아당기면 누름봉(500)이 도 4에서 지면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누름봉(500) 양 끝단에 각각 접촉하는 굴절편(311,312) 중 굴절편 311은 누름 압력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시계 방향인 11시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반대측 굴절편 312는 시계방향인 5시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굴절편 311, 312가 누름봉(50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밀려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회전체판(310)에 형성되 내측기어(316) 역시 도 5에서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그 내측기어(316)에 맞물려 있는 원통형 회전체(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326) 역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통형 회전체(320)가 회전한 효과를 가져온다.
이로써 원통형 회전체(320)의 일면에 형성된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324)에 삽입된 데드볼트 동작축(410) 역시 회전하게 되어 도 5에서와 같이 데드볼트(420)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잠금 상태인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부(200)의 구조는 물론, 핸들부(200)의 수평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방향 전환부(300)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데드볼트(420)를 정상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내부 몸체(600)에 결합되는 운동 방향 전환부(900)의 상세 구조와 동작 방식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몸체(600)에 결합되는 핸들부(700)와 체결수단(810)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몸체(600)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 8은 내부 몸체(600)에 결합된 핸들부(700)의 푸쉬 동작에 의해 운동방향 전환부(900)가 동작하여 데드볼트 동작축(410)이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내부 몸체(600)의 좌측, 즉 내부 몸체(600)의 전방에는 핸들부(700)를 구성하는 고정몸체(7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몸체(730) 내에는 핸들(710)이 결합되어 있는 이동몸체(720)가 삽입되어 있다.
이동몸체(720)의 일측 끝단에는 누름봉(800)에 연결된 체결수단(810)의 일측 끝단이 결합됨으로써, 도어 내부에서 도어 조작자가 핸들(710)을 우측으로 푸쉬하면 누름봉(800)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굴절편들(911,912)의 오목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푸쉬 압력이 발생한다.
이를 도 7, 도 8을 참조해 부연 설명하면, 도 6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어 조작자가 핸들(710)을 도어 방향으로 푸쉬하면 누름봉(800)이 도 7에서 지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누름봉(800) 양 끝단에 각각 접촉하는 굴절편(911,912) 중 굴절편 911은 푸쉬 압력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인 1시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반대측 굴절편 912는 반시계 방향인 7시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굴절편 911, 912가 누름봉(80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밀려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회전체판(910)에 형성되 내측기어(916) 역시 도 8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내측기어(916)에 맞물려 있는 원통형 회전체(10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002) 역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통형 회전체(1000)가 회전한 효과를 가져온다.
이로써 원통형 회전체(1000)의 일면에 형성된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에 삽입된 데드볼트 동작축(410) 역시 회전하게 되어 도 8에서와 같이 데드볼트(420)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잠금 상태인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부(700)의 구조는 물론, 핸들부(700)의 수평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방향 전환부(900)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데드볼트(420)를 정상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의 외부 및 내부 몸체와;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내에서 수평 이동하되 일측은 핸들과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몸체를 포함하는 핸들부와;
    상기 체결수단의 타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누름봉과;
    상기 외부 및 내부 몸체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핸들의 풀 동작 혹은 푸쉬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누름 압력에 따라 회전되어 발생하는 회전력을 데드볼트 동작축에 전달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누름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복원 스프링과;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원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부에 내측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판과;
    상기 관통공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외부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일측 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면에는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판에는,
    상기 외부 몸체와의 고정 및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풀(full)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양 끝단 각각과 접촉하여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체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굴곡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 스프링은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2복원 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외부 몸체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운동방향 전환부 혹은 상기 회전체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상기 내부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일부에 내측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판과;
    상기 관통공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외부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일측 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면에는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데드볼트 동작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판에는,
    상기 내부 몸체와의 고정 및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푸쉬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상기 누름봉의 양 끝단 각각과 접촉하여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회전체판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굴곡져 있는 굴곡편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복원 스프링은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제2복원 스프링은 일측이 상기 내부 몸체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체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KR1020170047362A 2017-04-12 2017-04-12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KR101815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2A KR101815962B1 (ko) 2017-04-12 2017-04-12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2A KR101815962B1 (ko) 2017-04-12 2017-04-12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962B1 true KR101815962B1 (ko) 2018-01-11

Family

ID=6100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362A KR101815962B1 (ko) 2017-04-12 2017-04-12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269A (ko) 2018-04-12 2019-10-22 김영은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KR102062274B1 (ko)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7512A (ja) 2008-02-22 2009-09-03 Miwa Lock Co Ltd プッシュプル錠
KR101716374B1 (ko) 2015-10-08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 잠금 해제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7512A (ja) 2008-02-22 2009-09-03 Miwa Lock Co Ltd プッシュプル錠
KR101716374B1 (ko) 2015-10-08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 잠금 해제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269A (ko) 2018-04-12 2019-10-22 김영은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KR102062274B1 (ko) 2018-09-07 2020-01-03 주식회사 엠에스씨엘 푸쉬풀식 디지털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EP2985397B1 (en) Mortise lock
CN103370488B (zh) 用于具有防恐慌功能的双门扇门组件的锁系统
KR101815962B1 (ko)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KR100895874B1 (ko) 도어록
KR20110065862A (ko)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ITUB20154686A1 (it) Serratura con sistema di azionamento dello scrocco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101664777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JPH1046884A (ja) 電気錠
KR102159312B1 (ko)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KR101241231B1 (ko) 도어록
JP2018513930A (ja) ロック体
CN108894618B (zh) 一种电子锁锁体
RU2425203C2 (ru) Замок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ем
KR20210010280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12931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시형 도어 록킹 장치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CN210622525U (zh) 门锁
JP4179686B2 (ja) 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制御機構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0922344B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90123364A (ko) 키박스
CN110173153B (zh) 推拉门锁换向机构以及推拉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