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866B1 -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866B1
KR101814866B1 KR1020147036485A KR20147036485A KR101814866B1 KR 101814866 B1 KR101814866 B1 KR 101814866B1 KR 1020147036485 A KR1020147036485 A KR 1020147036485A KR 20147036485 A KR20147036485 A KR 20147036485A KR 101814866 B1 KR101814866 B1 KR 10181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inding
supported
radial direction
bea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211A (ko
Inventor
키하치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50Covering, e.g. by winding, the separate bead-rings or bead-cores with textile material, e.g. with flippe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회전축(22)에 의해 회전하는 기판(23)과, 기판(23)의 외주에 대응하는 환상영역에 배치되고, 기판(23)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상영역을 복수로 분할하는 형상에 대응하며, 기판(23)에 지지되는 복수의 분할편(25)을 구비하며, 기판(23)의 회전에 따라 기판(23)과 일체로 회전하는 각 분할편(25)의 외주에 와이어(W)를 권취하여 비드링(B)을 형성하는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권취장치는 핸들(30)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축(26)과, 조작축(26)과 각 분할편(25)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조작축(26)의 회전을 각 분할편(25)의 기판(23)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구(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권취장치{Wind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체의 외주에 와이어를 권취하여 비드링을 형성하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 외주에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회전체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홈 내에 1줄의 와이어를 열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로, 단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비드링이 형성된다.
일본특허공개 제 2000-334858 호 공보
비드링의 용도에 따라, 각종 권취 직경을 가지는 비드링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권취장치에 의해, 비드링을 형성할 경우, 비드링의 권취 직경을 큰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조금만 변경하는 것도 곤란하여,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비드링의 권취 직경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권취장치에 의하면 권취 직경의 변경량이 적을 경우, 혹은 클 경우에도, 비드링의 권취 직경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기판과, 이 기판의 외주에 대응하는 환상영역에 배치되고 기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 환상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형상에 대응하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기판에 지지된 복수의 분할편을 구비하고, 기판의 회전에 따라 기판과 일체로 회전하는 각 분할편의 외주에 와이어를 권취하여 비드링을 형성하도록 한 권취장치가 제공된다. 권취장치는,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축과, 이 조작축과 상기 각 분할편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축의 회전을 상기 각 분할편의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핸들에 의해 조작축을 회전시키면, 변환기구에 의해 각 분할편이 기판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상태로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서 이동되어, 비드링의 직경이 변경된다.
따라서, 핸들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비드링의 권취 직경을 적게 또는 큰 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치합하도록 상기 조작축에 고정된 제2치차, 상기 기판에 지지된 복수의 나사축, 상기 제1기어에 치합하도록 상기 나사축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제3기어, 상기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에 가이드되고, 또한 상기 나사축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분할편이 각각 지지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본체, 당해 본체에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분할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편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설치부, 당해 설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는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부는, 상기 홈의 홈 폭을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가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편은 상기 지지부 중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편이,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분할편과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분할편의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지지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기구, 당해 링크기구를 각각 잠김위치에서 잠그는 복수의 잠금기구, 당해 잠금기구에 의한 잠김을 각각 해제하는 복수의 잠금해제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드링의 권취 직경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권취 직경을 가지는 비드링을 형성하기 위한 외형 치수가 다른 복수종류의 회전체를 준비하고, 원하는 권취 직경에 맞추어 회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권취장치를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권취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3은 제1실시형태의 권취장치의 확대평면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권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권취장치의 링크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6은 도 2의 권취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제2실시형태의 권취장치를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8은 제2실시형태의 권취장치의 부분확대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권취 직경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8의 권취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1실시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권취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프레임(21)에는 회전축(2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2)의 선단에는 원판형상의 기판(23)이 고정된다. 기판(23)의 외주에 대응하는 환상(環狀)영역(미도시)에는 기판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이 환상영역을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로 분할한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할편(25)이 배치된다. 각 분할편(25)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한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기판(23)에 지지된다. 그리고, 회전축(22)에 의해 기판(23)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들의 분할편(25)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W)가 권취되어 비드링(B)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23)의 전면에는,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작축(26)이, 조작축(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축(26)의 제1단에는 웜휠(27)이 고정된다. 조작축(26)의 제1단의 근방에서 기판(23)의 전면에는, 회전축(22)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핸들축(28)이, 핸들축(28)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축(28)에는 웜휠(27)에 치합하는 웜(29)이 형성된다. 핸들축(28)의 선단에는 핸들(30)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8a)가 형성된다.
조작축(26)의 회전을 각 분할편(25)의 직경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구(31)가 상기 조작축(26)과 각 분할편(25)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핸들축(28)의 설치부(28a)에 설치된 핸들(30)의 조작에 의해 핸들축(28)이 회전될 때, 웜(29) 및 웜휠(27)을 통해 조작축(26)이 회전된다. 변환기구(31)는, 조작축(26)의 회전에 대응하여 각 분할체(25)를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변환기구(31)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3)의 전면에는, 회전축(22)을 고정하기 위한 보스부(23a)가 형성된다. 기판(23)의 보스부(23a)의 외주에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1기어(34)가 레이디얼 베어링(35) 및 스러스트 베어링(36)을 통해 회전축(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기어(34)에 치합하도록 조작축(26)의 제2단에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2기어(37)가 고정된다. 각 분할편(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기판(23)의 전면에는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나사축(38)이 당해 나사축(38)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나사축(38)의 내측 단부에는 제1기어(34)와 치합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3기어(39)가 고정된다.
상기 각 나사축(38)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기판(23)의 전면에는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형상의 가이드부(40)가 설치된다. 각 가이드부(40)에는 상기 각 분할체(25)를 지지하는 복수의 이동부재(41)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이동부재(41)의 후면에는 나사축(38)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42)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조작축(26)이 회전될 때, 제2기어(37), 제1기어(34) 및 제3기어(39)를 통해 나사축(38)이 회전된다. 각 나사축(38)의 회전에 의해 암나사부(42)를 통해 각 이동부재(41)가 각 분할편(25)과 함께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로써,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이 변경된다.
상기 각 이동부재(41)는, 기판(23) 상의 가이드부(40)에 의해 가이드되는 평판형상의 본체(43)와, 본체(43)의 전면에 형성된 한 쌍의 레일형상의 가이드부(44)를 통해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본체(43)에 지지된 평판형상의 지지부재(45)에 의해 구성된다. 각 지지부재(45)의 전면에는 복수의 홈 형상의 지지부(46)가 기판(23)의 직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형성된다.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46)의 사이에서 지지부재(45)의 전면에는 지지부재(45)의 양 측부의 근방에 한 쌍의 나사공(47)이 형성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지지부재(45) 상의 지지부(46) 중에서 원하는 권취 직경을 실현하도록 선택된 하나의 분할편(25)이 계합되어 분할편(25)이 지지부재(45) 상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할편(2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분할편(25)은 상기 지지부재(45)에 지지되는 설치부(50)와, 설치부(50) 상에 복수의 나사(51)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부(52)에 의해 구성된다. 설치부(5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지지부재(45) 상의 지지부(46)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돌출된 계합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부(50)의 계합부(53)가 지지부재(45) 상의 어느 것이든 지지부(46)에 선택적으로 계합된 상태로 설치부(50)로부터 지지부재(45)의 나사공(47)에 한 쌍의 나사(54)가 나사결합된다. 나사(54)를 제거하고 계합부(53)를 별개의 지지부(46)에 계합시킴으로써, 분할편(25)의 지지부재(45) 상에서의 위치를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할편(25)의 권취부(52)는 정면시점에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부(55)와, 본체부(55)의 직경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정면시점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조절부(56)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부(55)는 헤드부가 전방을 항하여 배치된 거의 T자형의 단면을 가진다. 조절부(56)는, 당해 조절부(56)를 관통하고, 또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56a)을 구비한다. 조절부(56)는 슬릿(56a)을 통하여 본체부(55)의 복수의 나사공에 각각 나사결합한 복수의 나사(57)에 의해 본체부(55)에 설치된다. 이로써, 본체부(55)에 대한 조절부(56)의 위치가 회전축(22)의 축선방향, 즉, 슬릿(56a)의 연장방향을 따라 조절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부(52)의 본체부(55)와 조절부(56)와의 사이에는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한 홈(58)이 형성되고, 홈(58)의 홈 폭(L1)이 본체부(55)에 대한 조절부(56) 위치의 조절에 의해 변경되어 비드링(B)의 권취 폭이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이동부재(41)의 본체(43) 상에는 지지부재(45)를 지지하기 위한 링크기구(61)가 설치된다. 링크기구(61)는 본체(43)의 내측단부에 제1지지핀(6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링크(63)과, 지지부재(45)의 내측단부에 제2핀(6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2링크(65)과,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66)에 의해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이동부재(41)의 본체(43)에는 링크기구(61)를 잠금위치(P1)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기구(67)가 설치된다. 기판(23)에는 나사축(38)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장공(68)이 기판(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각 잠금기구(67)는 각 나사축(38)의 양측에서 한 쌍의 장공(68)을 통해 회전축(22)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본체(43)에 고정된 전단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통(69)과, 지지통(69) 내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통된 한 쌍의 로드(70)를 구비한다. 각 잠금기구(67)는 한 쌍의 로드(70)의 전단을 링크기구(61)의 연결핀(66)의 양단부에 각각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잠금레버(71)와, 지지통(69)의 후단 및 로드(70)의 후단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72)을 더 구비한다. 이동부재(41)의 본체(43) 상에는 링크기구(61)의 제2링크(65)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73)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통상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72)은 로드(70) 및 잠금레버(71)를 통해 링크기구(61)의 연결핀(66)에 기판(23)을 향하여 힘을 가한다. 이로써, 링크기구(61)의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에는 각각 제1지지핀(62) 및 제2지지핀(64)을 중심으로 하여 기판(23)을 향해 회동되도록 힘이 가해진다. 스토퍼(73)는 제2링크(65)에 계합함으로써, 연결핀(66)의 축심이 제1지지핀(62) 및 제2지지핀(64)의 축심을 잇는 직선상에 배치되는 데드포인트(dead point)보다 조금 후방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제2링크(65)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 위치를 잠금위치(P1)라 한다. 잠금위치(P1) 상태로 링크기구(61)의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이 회동불능하게 잠긴다. 따라서, 연결핀(66)의 축심이 잠금위치(P1)보다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41)의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프레임(21)에는 각 잠금기구(67)에 의한 링크기구(61)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기구(74)가 설치된다. 각 잠금해제기구(74)는 내부에 피스톤로드를 가지는 실린더(75)에 의해 구성된다. 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의 전단에는 잠금기구(67)의 로드(70) 후단에 계합가능한 압압부(76)이 형성된다.
분할편(25) 외주의 홈(58)으로 와이어(W)의 권취가 종료된 후, 즉, 비드링(B)의 형성이 종료된 후, 기판(23)이 소정위치에 정지된다. 이때, 잠금기구(67)의 로드(70)의 후단이 잠금해제기구(74)의 압압부(76)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75)가 피스톤로드를 돌출하도록 작동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76)에 의해 로드(70)가 전방을 향해 압압된다. 이로써, 로드(70)는 잠금레버(71)를 통해 링크기구(61)의 연결핀(66)을 기판(23)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위치(P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로써, 링크기구(61)의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이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되고,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41)의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비드링(B)가 홈(58)으로부터 이탈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권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잠금기구(67)에 의해 링크기구(61)의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이 잠금위치(P1)에서 잠겨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41)의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 상태로, 회전축(22)에 의해 기판(23)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분할편(25) 외주의 홈(58) 내에 와이어(W)가 열(row)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단(column)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권취되어 비드링(B)이 형성된다.
비드링(B)의 형성종료 후에, 기판(23)이 소정위치에 정지되면, 잠금기구(67)의 로드(70)의 후단이 잠금해제기구(74)의 압압부(76)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해제기구(74)의 실린더(75)의 피스톤로드가 돌출하도록 작동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기구(61)의 제1링크(63) 및 제2링크(65)이 잠금위치(P1)에서의 잠금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이로써,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이동부재(41)의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을 향하여 이동되어, 비드링(B)이 홈(58) 내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비드링(B)이 분할편(25)상에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상기 분할편(25)상에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핸들(30)을 핸들축(28)의 설치부(28a)에 설치하여, 이 핸들(30)의 조작에 의해 핸들축(28)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웜(29) 및 웜홀(27)을 통해 조작축(26)이 회전되고, 조작축(26)의 회전에 의해 변환기구(31)를 통하여 분할편(25)을 지지하는 각 이동부재(41)가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 외주의 홈(59)을 따라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설령 권취 직경이 약간 조절되는 것을 원할 경우라도, 핸들(30)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소요량만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할편(25)을 따라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큰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핸들(30)에 의한 조절에 의하지 않고, 도 2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45)에 대한 분할편(25)의 위치를 변경한다. 분할편(25)의 지지부재(45)에 대한 위치는 분할편(25)을 지지부재(45)의 별개의 지지부(46)에 계합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이로써, 기판(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분할편(25)의 위치가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변경되어,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이 단계적으로 변경된다.
상기 분할편(25)상에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폭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편(25)의 권취부(52)에 있어서 조절부(56)의 위치가 조절된다. 복수의 나사(57)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조절부(56)가 본체부(55)에 대하여 회전축(22)의 축선방향을 따라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본체부(55)와 조절부(56)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58)의 홈 폭(L1)이 확대 도는 축소되어, 비드링(B)의 권취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분할편(25)상에 형성되는 비드링(B)의 단면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분할편(25)의 설치부(50)로부터 권취부(52)를 제거하여 원하는 비드링(B)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권취부(52)로 교환한다. 이로써, 비드링(B)의 단면형상을,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실시형태와 같이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회전축(22)에 의해 회전되는 기판(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할편(25)이 배치되고, 각 분할편(25)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는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기판(23)에 지지된다. 각 분할편(25)은 기판(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상체가 복수개로 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이들 분할편(25)의 외주를 따라 와이어(W)가 권취되어, 비드링(B)이 형성된다. 핸들(30)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축(26)과 각 분할편(25)과의 사이에 변환기구(31)가 설치되고, 변환기구(31)는 조작축(26)의 회전을 각 분할체(25)의 직경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핸들(30)에 의해 조작축(26)이 회전되면, 그 조작량에 대응하여, 변환기구(31)는 각 분할체(25)가 기판(2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분할편(25)을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변경한다. 따라서, 핸들(3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그 변경량이 약간일 경우 혹은 큰 폭일 경우에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2)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변환기구(31)가, 회전축(22)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1기어(34)와, 제1기어(34)에 치합하도록 조작축(26)에 고정된 제2기어(37)와, 기판(23)에 지지된 나사축(38)과, 제1기어(34)에 치합하도록 나사축(38)에 고정된 제3기어(39)와,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40)에 가이드 되고 나사축(38)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42)를 가지는 이동부재(41)에 의해 구성된다. 이동부재(41)에는 상기 분할편(25)이 지지된다. 이 때문에,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변경하기 위해서, 핸들(30)의 회전에 의해, 기어(34, 37, 39) 등으로 이루어진 변환기구(31)는 각 분할편(25)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각 분할편(25)을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3)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41)가, 가이드부(40)에 의해 가이드 되는 본체(43)와, 본체(43)에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5)에 의해 구성된다. 이 때문에, 분할편(25) 상으로의 비드링(B)의 형성종료 후에, 지지부재(45)를 본체(4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분할편(25)을 비드링(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비드링(B)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4)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분할편(25)이, 지지부재(45)에 지지되는 설치부(50)와, 설치부(5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부(5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권취부(52)에 비드링(B)을 형성하기 위한 홈(58)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홈(58)의 단면형상이 다른 복수종의 권취부(52)를 준비하여 두면, 권취부(52)를 설치부(50)로부터 제거하고 교환함으로써, 형성되는 비드링(B)의 단면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5)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홈(58)의 홈 폭(L1)이 변경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홈(58)의 홈 폭(L1)을 조정함으로써,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폭을 변경할 수 있다.
(6)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재(45)에는, 나사축(38)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부(46)가 기판(23)의 직경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할편(25)이 어느 하나의 지지부(46)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45)상의 지지부(46) 중에서 원하는 권취 직경을 실현하도록 선택된 하나에 지지되도록 분할편(25)이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분할편(25)의 직경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큰 폭으로 변경할 수 있다.
(7) 제1실시형태에 의한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재(45)를 지지하는 링크기구(61)와, 링크기구(61)를 잠금위치(P1)에서 잠그는 잠금기구(67)가 설치된다. 장치프레임(21)에는, 잠금기구(67)에 의한 잠김을 해제하는 잠금해제기구(74)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통상시에는, 잠금기구(67)에 의해 링크기구(61)가 잠금위치(P1)에서 잠겨,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고, 분할편(25)을 따라 와이어(W)를 안정하게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드링(B)의 형성 종료시에는, 잠금해제기구(74)에 의해 링크기구(61)의 잠김이 해제되어, 지지부재(45)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되고, 각 분할편(25)이 비드링(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비드링(B)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 본 발명을 구체화한 권취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상기 제1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분할편(25)의 설치부(50)에 있어서, 나사축(38)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두개의 장공(81)이 형성된다. 각 장공(81)을 통해 이동부재(41)의 지지부재(45)에 나사(54)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각 분할편(25)의 설치부(50)가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지지부재(4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5)에 지지된다. 지지부재(45)의 전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차부(82)가 형성되고, 단차부(82)와 분할편(25)의 설치부(50)와의 사이에는 분할편(25)의 직경방향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스페이서(83)가 위치한다.
두께(기판(23)의 직경방향에 따른 치수)가 다른 복수종의 스페이서(83)가 준비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서(83)가 지지부재(45)의 단차부(82)와 분할편(25)의 설치부(50)와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분할편(25)의 직경방향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로써, 분할편(25) 외주의 홈(58) 내에서 형성되는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이 큰 폭으로 변경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환기구(31)을 통해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핸들(30)의 조작에 의한 조작축(26)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기어(34, 37, 39)를 구비하는 변환기구(31)가 각 분할편(25)을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로써, 그 조절량이 약간일 경우에도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이 용이하게 조절된다. 추가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링크기구(61), 잠금기구(67) 및 잠금해제기구(74)가 설치된다. 링크기구(61) 및 잠금기구(67)에 의해 분할편(25)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5)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방향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잠겨서, 분할편(25)상에서 비드링(B)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기구(74)에 의해 잠김이 해제되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편(25)이 직경방향을 향해 이동되어 분할편(25)으로부터 비드링(B)이 용이하게 제거된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1)~(5) 및 (7)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분할편(25)이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지지부재(4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5)에 지지된다. 또한, 분할편(25)과 지지부재(45)와의 사이에는 분할편(25)의 직경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페이서(83)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두께가 다른 복수종의 스페이서(83)로부터 적절한 스페이서(83)를 선택하여 분할편(25)과 지지부재(45)와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분할편(25)의 직경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비드링(B)의 권취 직경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각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ㆍ 상기 제1,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분할편(25)은 기판(23)의 외주 근방에서 기판과 동심형상으로 배치가능한 환상체를 4분할한 형상을 가지나, 2분할, 3분할 혹은 5분할 이상으로 분할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ㆍ 상기 권취 직경을 단계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분할편(25)에 계합가능한 복수의 지지부(46)를 구비하는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ㆍ 상기 제1,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분할편(25)의 위치를 기판(23)의 직경방향을 따라 큰 폭으로 변경할 경우, 예를 들면, 분할편(25)의 지지위치를 제2지지핀(64)에 인접하는 지지부(46)로부터 지지부재(45)의 외측단 근방에 위치하는 지지부(46)로 변경할 경우, 곡률반경이 다른 권취부(52)를 가지는 분할편(25)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곡률반경이 다른 권취부(52)를 가지는 복수종의 분할편(25)을 준비하여, 적절히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할편(25)의 위치 변경량이 현저하게 크지 않을 경우, 예를 들면, 분할편(25)에 계합하는 지지부(46)를 지지부재(45)상에서 하나 옆의 지지부(46)로 변경할 경우에는, 분할편(25)의 교환은 필요 없다.
21: 장치프레임
22: 회전축
23: 기판
25: 분할편
26: 조작축
28: 핸들축
30: 핸들
31: 변환기구
34: 제1기어
37: 제2기어
38: 나사축
39: 제3기어
40: 가이드부
41: 이동부재
42: 암나사부
43: 본체
45: 지지부재
46: 지지부
50: 설치부
52: 권취부
53: 계합부
55: 본체부
56: 조절부
58: 홈
61: 링크기구
63: 제1링크
65: 제2링크
66: 연결핀
67: 잠금기구
70: 로드
71: 잠금레버
72: 스프링
73: 스토퍼
74: 잠금해제기구
75: 실린더
83: 스페이서
W: 와이어
B: 비드링
L1: 홈 폭
P1: 잠금위치

Claims (8)

  1.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외주에 대응하는 환상(環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환상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복수의 분할편;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축;
    상기 조작축과 상기 각 분할편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변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변환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치합하도록 상기 조작축에 고정되는 제2기어;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복수의 나사축;
    상기 제1기어에 치합하도록 상기 나사축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제3기어; 및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에 가이드 되고, 상기 나사축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분할편이 각각 지지되고,
    상기 각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분할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각 분할편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부;를 구비하며,
    상기 권취부에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할편은 상기 지지부 중 하나에 지지되고,
    상기 설치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합될 때 비드링의 권취 직경이 규정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설치부가 계합됨으로써 상기 권취 직경의 제1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변환기구는, 상기 조작축의 회전을 상기 각 분할편의 상기 기판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비드링의 권취 직경의 제2 조절이 가능하고,
    작동중에, 상기 기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판과 일체로 회전하는 각 분할편의 외주에 와이어를 권취하여 비드링을 형성하도록 하는,
    권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부는, 상기 홈의 홈 폭을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는,
    권취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지지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링크기구;
    상기 링크기구를 각각 잠금위치에서 잠그는 복수의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기구에 의한 잠금을 각각 해제하는 복수의 잠금해제기구;를 더 구비하는,
    권취장치.
KR1020147036485A 2012-06-22 2012-06-22 권취장치 KR101814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6006 WO2013190696A1 (ja) 2012-06-22 2012-06-22 巻取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211A KR20150030211A (ko) 2015-03-19
KR101814866B1 true KR101814866B1 (ko) 2018-01-03

Family

ID=4976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485A KR101814866B1 (ko) 2012-06-22 2012-06-22 권취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RE48521E1 (ko)
JP (1) JP6013478B2 (ko)
KR (1) KR101814866B1 (ko)
CN (1) CN104395062B (ko)
DE (1) DE112012006569B4 (ko)
IN (1) IN2014MN02541A (ko)
PH (1) PH12014502818A1 (ko)
RU (1) RU2607752C9 (ko)
WO (1) WO2013190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9233B1 (fr) * 2013-08-01 2016-01-01 Michelin & Cie Tambour de confection d'une bande de roulement muni de secteurs mobiles
CN108472900A (zh) * 2015-10-14 2018-08-31 巴特尔机械系统有限公司 胎圈成型机
US10457007B2 (en) 2015-10-14 2019-10-29 Bartell Machinery Systems, L.L.C. Multi-step bead former
IT201600070310A1 (it) * 2016-07-06 2018-01-06 Bridgestone Europe Nv Tamburo rotante a smontaggio rapido per la formazione di un tallone di un pneumatico
IT201600070333A1 (it) * 2016-07-06 2018-01-06 Bridgestone Europe Nv Tamburo rotante con prelievo facilitato per la formazione di un tallone di un pneumatico
JP6855694B2 (ja) * 2016-07-08 2021-04-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形成用フォーマ
JP6801285B2 (ja) * 2016-08-08 2020-12-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ビードコア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1161A (en) * 1930-03-18 1931-09-01 Mason Tire & Rubber Corp Bead forming machine
US2049587A (en) * 1935-01-15 1936-08-04 Us Rubbe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ils
US3051221A (en) * 1958-11-24 1962-08-28 Nat Standard Co Former for bead building machines or the like
SU1353663A1 (ru) 1986-07-02 1987-11-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танок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бортовых колец
SU1627418A1 (ru) 1988-08-31 1991-02-1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Шаблон дл навивки бортовых колец
CN2042851U (zh) 1988-09-17 1989-08-16 任朝理 集体传动的卧式自动卷线-卸线机组
JP2552005B2 (ja) 1989-09-29 1996-11-06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3118630U (ko) * 1990-03-22 1991-12-06
JPH09267410A (ja) 1996-04-02 1997-10-14 Tokyo Seiko Co Ltd ビード成形機および線状体巻回装置
JP4230591B2 (ja) * 1998-04-07 2009-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ビードワイヤ巻取装置およびそれの巻取方法
JP4342033B2 (ja) 1999-05-26 2009-10-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巻取りフォーマ
CN2574804Y (zh) 2002-09-30 2003-09-24 湖南宇晶机器实业有限公司 多线钢丝切割机差动驱动机构
JP2007160830A (ja) * 2005-12-16 2007-06-28 Bridgestone Corp タイヤ用多角形ビードコアの形成装置
CN200995916Y (zh) * 2006-12-31 2007-12-2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皮带助卷器
CN101058235A (zh) 2007-06-01 2007-10-24 昊华南方(桂林)橡胶有限责任公司 六角型钢丝圈缠绕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0696A1 (ja) 2013-12-27
RU2015101513A (ru) 2016-08-10
JP6013478B2 (ja) 2016-10-25
US20150174841A1 (en) 2015-06-25
CN104395062B (zh) 2017-03-08
DE112012006569T5 (de) 2015-03-19
US9630370B2 (en) 2017-04-25
PH12014502818A1 (en) 2015-02-23
RU2607752C9 (ru) 2019-07-18
RU2607752C2 (ru) 2017-01-10
DE112012006569B4 (de) 2021-05-06
KR20150030211A (ko) 2015-03-19
USRE48521E1 (en) 2021-04-20
CN104395062A (zh) 2015-03-04
JPWO2013190696A1 (ja) 2016-02-08
IN2014MN02541A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866B1 (ko) 권취장치
KR20150130306A (ko) 테이퍼형 핀 캠 표면을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KR101917772B1 (ko) 모션 제어 기구
US20180142747A1 (en) Motion conversion mechanism and electric brake actuator using the same
US6390166B1 (en) Expandable mandrel having adjustable width
US10090730B2 (en) Linear actuator
EP2386726B1 (de) Kanalwandabschnitt für einen ringförmigen Strömungskanal einer Axialturbomaschine mit Radialspalteinstellung, zugehöriger Axialverdichter und Gasturbine
US20150300467A1 (en) Roller screw mechanism
DE102016101699A1 (de) Beschickungsgerät und Werkzeugmaschine
GB2104807A (en) Tool turret with revolving head indexing mechanism
EP2812140B1 (de) Dreh- und/oder rolliermaschine
US9382941B2 (en) Bearing retainer
CN202075486U (zh) 一体式双透镜调焦装置
KR101478061B1 (ko) 너트 스크류 이송장치
CN103326280B (zh) 电缆专用剥切刀具
CN102162899B (zh) 一体式双透镜调焦装置
US261045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ming rolls
JP4260153B2 (ja) 型締装置の型厚調整装置
US2622252A (en) Screw threading apparatus
JP2013117236A (ja) ピストン操作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
ITMI20111391A1 (it) Cartuccia portarulli per un laminatoio
CA2448546C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movable part of a vehicle seat
EP3006148B1 (de) Scheibenförmiges Werkzeug mit vereinfachter Segmentbefestigung
CN104379431A (zh) 一种用于机动车辆转向的带有间隙补偿的偏心支架
JP2006082278A (ja) 回転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