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691B1 - 선박 항로이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항로이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691B1 KR101814691B1 KR1020160113331A KR20160113331A KR101814691B1 KR 101814691 B1 KR101814691 B1 KR 101814691B1 KR 1020160113331 A KR1020160113331 A KR 1020160113331A KR 20160113331 A KR20160113331 A KR 20160113331A KR 101814691 B1 KR101814691 B1 KR 101814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opy
- ship
- main canopy
- wir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63B2718/00—
-
- B63B2721/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선박 항로이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제1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펼쳐지는 메인 캐노피; 상기 메인 캐노피에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예인 캐노피; 및 상기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고,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대는 상기 선박의 선미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 측으로 발사 가능한 선박 항로이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항로이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운항 중에 다른 선박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항로를 변경하거나 엔진 정지 또는 엔진 리버스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선박의 항로 변경은 선박 후미에 설치되는 방향키 또는 추진 프로펠러를 조작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방향키 또는 추진 프로펠러가 선박에 비해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선박의 회전 반경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선박이 다른 선박과의 충돌을 예상하고 그 즉시 회피 기동을 하더라도 충돌 항로에서 이탈하기는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을 항로에서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선박 항로이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제1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펼쳐지는 메인 캐노피; 상기 메인 캐노피에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예인 캐노피; 및 상기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고,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대는 상기 선박의 선미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 측으로 발사 가능한 선박 항로이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캐노피는 수중에서 반구형으로 펼쳐지는 방수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캐노피로 해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캐노피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캐노피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캐노피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양력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사대가 예인 캐노피를 선박의 좌현 또는 우현 측 후방으로 발사하면, 메인 캐노피가 예인 캐노피에 의해 수중으로 끌려 들어간 후에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선박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선박을 항로에서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은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로이탈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인 캐노피가 발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캐노피가 수중으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로이탈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인 캐노피가 발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캐노피가 수중으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항로이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로이탈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항로이탈 장치(10)는 메인 캐노피(100), 예인 캐노피(200) 및 발사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캐노피(100)는 선박(20)에 제1 와이어(W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캐노피(100)는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방수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즉, 선박(20)의 운항 중에 메인 캐노피(100)가 후술하는 것처럼 수중으로 끌려 들어가게 되면, 메인 캐노피(100)는 선박(20)의 운항으로 인하여 메인 캐노피(100)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되는 해수가 유입됨으로써 반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 결과, 메인 캐노피(100)에 작용하는 수압 및 해수와의 마찰에 의한 외력이 제1 와이어(W1)를 통해 선박(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캐노피(100)와 제1 와이어(W1) 사이에는 가이드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양단이 개방되고, 제1 단에서 제2 단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0)의 제1 단은 제1 와이어(W1)에 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부(110)의 제2 단은 메인 캐노피(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1 보조 와이어(AW1)가 제1 와이어(W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가이드부(110)의 제1 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보조 와이어(AW2)가 가이드부(110)의 제2 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메인 캐노피(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부(110)는 가이드부(110)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하게 되는 해수를 메인 캐노피(10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메인 캐노피(1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양력발생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력발생부(120)는 메인 캐노피(100)와 제2 보조 와이어(AW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양력발생부(120)는 메인 캐노피(1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인 캐노피(100)의 중심선(C)이란 메인 캐노피(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메인 캐노피(100)의 구심과 메인 캐노피(100)의 표면 중심을 지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캐노피(100)는 양력발생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양력에 의해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다.
양력발생부(120)는 에어포일(air foi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인 캐노피(200)는 제2 와이어(W2)를 통해 메인 캐노피(100), 구체적으로 메인 캐노피(100)의 표면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예인 캐노피(200)는 메인 캐노피(100)와 마찬가지로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방수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펼쳐질 수 있다.
예인 캐노피(200)는 메인 캐노피(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인 캐노피(200)는 후술하는 것처럼 선박(20)에 탑재된 상태의 메인 캐노피(100)를 수중으로 끌어들이기에 충분한 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수압 및 해수와의 마찰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만 형성되면 족하다.
발사대(300)는 선박(20)의 선미에 수직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예인 캐노피(200)를 발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인 캐노피(200)는 선박(20)의 후방, 구체적으로 선박(20)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 측의 후방으로 발사될 수 있다.
도 4는 예인 캐노피가 발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인 캐노피(200)는 수면에 떨어진 후에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펼쳐질 수 있고, 예인 캐노피(200)에 작용하는 수압 및 해수와의 마찰에 의한 외력이 제2 와이어(W2)를 통해 선박(20)에 탑재된 메인 캐노피(100)에 전달됨으로써 메인 캐노피(100)를 수중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도 5는 메인 캐노피가 수중으로 끌려 들어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캐노피(100)는 수중으로 끌려 들어간 후에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반구형으로 펼쳐질 수 있고, 메인 캐노피(100)에 작용하는 수압 및 해수와의 마찰에 의한 외력은 제1 와이어(W1)를 통해 선박(20)에 전달됨으로써 선박(20)에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선박(20)은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회전 모멘트에 의해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기존 항로에서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W1: 제1 보조 와이어 AW2: 제2 보조 와이어
W1: 제1 와이어 W2: 제2 와이어
10: 선박 항로이탈 장치 20: 선박
100: 메인 캐노피 110: 가이드부
120: 양력발생부 200: 예인 캐노피
300: 발사대
W1: 제1 와이어 W2: 제2 와이어
10: 선박 항로이탈 장치 20: 선박
100: 메인 캐노피 110: 가이드부
120: 양력발생부 200: 예인 캐노피
300: 발사대
Claims (5)
- 선박에 제1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펼쳐지는 메인 캐노피;
상기 메인 캐노피에 제2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예인 캐노피;
상기 선박의 선미에 결합되고,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대; 및
상기 제1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캐노피로 해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대는 상기 선박의 선미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예인 캐노피를 상기 선박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 측으로 발사 가능한 선박 항로이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캐노피는 수중에서 반구형으로 펼쳐지는 방수포로 이루어지는 선박 항로이탈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캐노피 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선박 항로이탈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캐노피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해수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메인 캐노피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양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항로이탈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331A KR101814691B1 (ko) | 2016-09-02 | 2016-09-02 | 선박 항로이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331A KR101814691B1 (ko) | 2016-09-02 | 2016-09-02 | 선박 항로이탈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691B1 true KR101814691B1 (ko) | 2018-01-04 |
Family
ID=6099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3331A KR101814691B1 (ko) | 2016-09-02 | 2016-09-02 | 선박 항로이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6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4382A (ko) * | 2021-05-13 | 2022-11-22 | 주식회사 케이조선 | 긴급 제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
-
2016
- 2016-09-02 KR KR1020160113331A patent/KR10181469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4382A (ko) * | 2021-05-13 | 2022-11-22 | 주식회사 케이조선 | 긴급 제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
KR102648126B1 (ko) * | 2021-05-13 | 2024-03-15 | 주식회사 케이조선 | 긴급 제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19041B2 (en) |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method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 |
US7350475B2 (en) | Launch and recovery system | |
ES2857774T3 (es) | Un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operar uno o más remolcadores | |
KR102027215B1 (ko) | 프로펠러의 손상방지 장치 | |
US10942526B2 (en) | System for navigation of an autonomously navigating submersible body during entry into a docking station, method | |
US10604218B2 (en) | Manoeuvring device and method therof | |
JP2009208511A (ja) | 水中航走体の発射回収システムおよびこの発射回収システムを備える船舶 | |
US3507241A (en) | 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 handling system | |
US20120048168A1 (en) | Multihull fishing vessel and method of use | |
JP2021501724A (ja) | ボートを操縦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KR101814691B1 (ko) | 선박 항로이탈 장치 | |
JP2004175187A (ja) | 離接岸用操船支援装置 | |
JP2008280019A (ja) | 動力式船舶の推進システム | |
KR102268113B1 (ko) | 보트 추진장치 | |
Conry et al. | BIOSwimmer: Enabling technology for port security | |
US2347412A (en) | Self-defensive lighter | |
JP2021505468A (ja) | 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 | |
EP3649518A1 (en) | Use of a wireless control system to direct an unmanned watercraft to a first position during a launch or a recovery situation | |
JP2019513623A5 (ko) | ||
JP6462302B2 (ja) | 水中推進装置および水中探査装置 | |
JP2018171960A (ja) | 水中機器及び水中機器の故障対策方法 | |
RU2527639C1 (ru) |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маневренности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вариант русской логики - версия 1) | |
ITPI20090085A1 (it) | Metodo e apparato antipirateria per navi | |
JP2017149291A (ja) | 揚収装置及び船舶 | |
US9056655B1 (en) | Escort vessel staple torque aligning winch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