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518B1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518B1
KR101814518B1 KR1020150167495A KR20150167495A KR101814518B1 KR 101814518 B1 KR101814518 B1 KR 101814518B1 KR 1020150167495 A KR1020150167495 A KR 1020150167495A KR 20150167495 A KR20150167495 A KR 20150167495A KR 101814518 B1 KR101814518 B1 KR 10181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leg
frame
vertical
attachme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090A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5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리프팅 장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1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에 구비되어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1 레그 모듈, 및 상기 제 2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2 레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크기의 중량 철판을 리프팅함에 있어서 클램프 또는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철판이 바닥에 붙어있을 경우에는 클램프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재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마그네트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314호 (2006.03.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프팅 장치의 일 면(aspect)은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1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에 구비되어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1 레그 모듈, 및 상기 제 2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2 레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 및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는 동일 중심 축선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 각각은 상기 제 1 프레임상에서 수직 이동하는 제 1 수직 레그, 및 상기 제 1 수직 레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수직 레그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제 1 부착부가 구비된 제 1 지지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 각각은 상기 제 2 프레임상에서 수직 이동하는 제 2 수직 레그, 및 상기 제 2 수직 레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수직 레그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부착부가 구비된 제 2 지지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제 1 수직 레그는 하나의 제 1 이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와 함께 수직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제 2 수직 레그는 하나의 제 2 이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와 함께 수직 이동한다.
상기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제 1 이동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지지 레그의 사이, 및 상기 제 2 부착부와 상기 제 2 지지 레그의 사이에는 완충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부착부 및 상기 제 2 부착부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레그의 자세가 조절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레그의 자세가 조절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레그와 제 2 구동부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팅 장치(10)는 프레임(100), 제 1 레그 모듈 및 제 2 레그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0)은 제 1 상부 패널(111), 제 1 하부 패널(112) 및 수직 로드(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상부 패널(111) 및 제 1 하부 패널(112)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수직 로드(11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 2 상부 패널(121)과 제 2 하부 패널(122)간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 1 수직 레그(21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 1 상부 패널(111)에는 리프팅 장치(10)를 이송하는 케이블(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20)은 제 1 프레임(11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 2 프레임(120)은 제 2 상부 패널(121) 및 제 2 하부 패널(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상부 패널(121) 및 제 2 하부 패널(122)은 각각 지지부(123a, 123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제 1 하부 패널(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상부 패널(121)과 제 2 하부 패널(122)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하부 패널(112)의 일정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제 2 상부 패널(121)과 제 2 하부 패널(122)간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 2 수직 레그(22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부 패널(112)을 사이에 두고 제 2 상부 패널(121) 및 제 2 하부 패널(122)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부 패널(112)의 하단에 제 2 상부 패널(121) 및 제 2 하부 패널(122)이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제 2 상부 패널(121) 없이 제 2 하부 패널(122)이 제 1 하부 패널(112)의 하부면에 지지부(123a)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제 2 수직 레그(22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하면 무관하다. 이하, 제 1 하부 패널(112)을 사이에 두고 제 2 상부 패널(121) 및 제 2 하부 패널(122)이 배치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레그 모듈은 제 1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1 레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그 모듈은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부착부(213)를 구비하는데, 복수의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제 1 레그 모듈과 마찬가지로, 제 2 레그 모듈은 제 2 프레임(120)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레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레그 모듈은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2 부착부(223)를 구비하는데, 복수의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는 복수의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그 모듈의 전개 범위가 제 2 레그 모듈의 전개 범위에 비하여 크며, 복수의 제 1 부착부(213)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은 복수의 제 2 부착부(223)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착부(213, 223)는 물체에 부착되어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제 1 부착부(213)는 비교적 큰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제 2 부착부(223)는 비교적 작은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제 1 부착부(213) 및 제 2 부착부(223)가 함께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부착부(213, 223)는 자성체일 수 있다. 즉, 부착부(213, 223)는 자력으로 금속인 물체에 부착되어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보다 큰 중량의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부착부(213)는 제 2 부착부(223)에 비하여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레그 모듈은 복수의 제 1 레그(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제 1 레그(210)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그(210)는 제 1 수직 레그(211), 제 1 지지 레그(212) 및 제 1 부착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수직 레그(211)는 제 1 프레임(110)상에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제 1 지지 레그(212)는 제 1 수직 레그(211)에 힌지 결합되고, 제 1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제 1 수직 레그(211)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제 1 하부 패널(112)에는 제 1 롤러(114)가 구비되는데, 이에 의하여 제 1 지지 레그(212)의 자세 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1 부착부(213)는 제 1 지지 레그(212)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착부(213)는 제 1 지지 레그(21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부착부(21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물체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라면 제 1 지지 레그(212)의 어디에라도 제 1 부착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레그 모듈과 마찬가지로, 제 2 레그 모듈은 복수의 제 2 레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제 2 레그(220)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그(220)는 제 2 수직 레그(221), 제 2 지지 레그(222) 및 제 2 부착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수직 레그(221)는 제 2 프레임(120)상에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제 2 지지 레그(222)는 제 2 수직 레그(221)에 힌지 결합되고, 제 2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제 2 수직 레그(221)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제 2 하부 패널(122)에는 제 2 롤러(124)가 구비되는데, 이에 의하여 제 2 지지 레그(222)의 자세 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부착부(223)는 제 2 지지 레그(222)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착부(223)는 제 2 지지 레그(22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부착부(22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물체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라면 제 2 지지 레그(222)의 어디에라도 제 2 부착부(223)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레그(21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수직 레그(211)는 하나의 제 1 이동부(411)에 부착되어 제 1 이동부(411)와 함께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411)는 제 1 프레임(110)상에서 수직 이동할 수 있는데, 제 1 이동부(411)에 연결된 복수의 제 1 수직 레그(211)가 동시에 수직 이동하는 것이다.
제 1 수직 레그(21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제 1 지지 레그(212)의 자세가 변경된다. 전체 제 1 지지 레그(212)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제 1 이동부(411)를 수직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1 구동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310)는 유압 또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제 1 이동부(411)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이동부(411)는 수직 로드(113)가 관통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 1 이동부(411)는 수직 로드(113)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제 1 프레임(110)상에서 수직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1 수직 레그(21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레그(220)에 구비된 복수의 제 2 수직 레그(221)는 하나의 제 2 이동부(421)에 부착되어 제 2 이동부(421)와 함께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제 2 이동부(421)는 제 2 프레임(120)상에서 수직 이동할 수 있는데, 제 2 이동부(421)에 연결된 복수의 제 2 수직 레그(221)가 동시에 수직 이동하는 것이다.
제 2 수직 레그(22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제 2 지지 레그(222)의 자세가 변경된다. 전체 제 2 지지 레그(222)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제 2 이동부(421)를 수직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2 구동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구동부(320)는 유압 또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제 2 이동부(421)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레그(210) 및 복수의 제 2 레그(220)는 동일 중심 축선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레그(210) 및 제 2 레그(220)는 프레임(100)의 중심(C)에서 외측으로 뻗어나가면서 말단에 부착부(213, 223)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레그(210) 및 제 2 레그(2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그(210) 및 제 2 레그(220)는 각각 4개씩 구비될 수 있는데, 제 1 레그(210) 각각이 직각 방향으로 방사되고, 제 2 레그(220) 각각이 직각 방향으로 방사되며, 제 1 레그(210)에 대하여 제 2 레그(220)가 45도 방향으로 방사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레그(210) 및 제 2 레그(220)의 방사 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물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레그의 자세가 조절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구동부(31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제 1 샤프트(311)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샤프트(311)에는 제 1 이동부(411)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샤프트(311)의 수직 이동에 의하여 제 1 이동부(411)가 수직 이동하게 된다. 제 1 이동부(411)는 수직 로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411)에는 복수의 제 1 수직 레그(21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제 1 이동부(41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제 1 수직 레그(211)도 함께 수직 이동하게 된다. 제 1 수직 레그(211)의 자세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1 보강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보강부(412)는 제 1 수직 레그(211)가 수직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수직 레그(21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제 1 지지 레그(212)의 자세가 변경되고, 제 1 지지 레그(212)의 말단에 구비된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5는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가 멀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가 길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부착부(213)간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제 1 부착부(213)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제 1 부착부(213)에 의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물체의 크기 및 형상에 적응적으로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레그의 자세가 조절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레그와 제 2 구동부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2 구동부(32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제 2 샤프트(321)를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샤프트(321)에는 제 2 이동부(421)가 연결되어 있고, 제 2 샤프트(321)의 수직 이동에 의하여 제 2 이동부(421)가 수직 이동하게 된다. 제 2 이동부(421)는 수직 레일(12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수직 레일(125)은 제 2 상부 패널(121)과 제 1 하부 패널(112)을 연결하는 지지부(123a)의 안쪽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 2 이동부(421)에는 복수의 제 2 수직 레그(22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제 2 이동부(42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제 2 수직 레그(221)도 함께 수직 이동하게 된다. 제 2 수직 레그(221)의 자세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2 보강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보강부(422)는 제 2 수직 레그(221)가 수직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수직 레그(221)가 수직 이동함에 따라 제 2 지지 레그(222)의 자세가 변경되고, 제 2 지지 레그(222)의 말단에 구비된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7은 도 5에 비하여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가 길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부착부(223)간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제 2 부착부(223)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제 2 부착부(223)에 의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물체의 크기 및 형상에 적응적으로 물체를 리프팅 장치(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부착부(213, 223)는 지지 레그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부착부(213, 223)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 레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착부(213, 223)와 지지 레그의 사이에는 연결부(214a, 224a)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14a, 224a)의 하부에 부착부(213, 223)가 구비되는데, 부착부(213, 223)의 무게에 의하여 부착부(213, 223)는 아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213, 223)는 자성체일 수 있고, 물체는 부착부(213, 22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레그와 연결부(214a, 224a)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부착부(213, 223)가 아래 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에 따라 부착부(213, 223)를 물체에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부착부(213)와 제 1 지지 레그(212)의 사이, 그리고 제 2 부착부(223)와 제 2 지지 레그(222)의 사이에는 완충 수단(214b, 224b)이 구비될 수 있다. 물체가 부착부(213, 223)에 부착됨에 따라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완충 수단(214b, 224b)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링형 스프링 형태의 완충 수단(214b, 224b)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판형 스프링의 형태로 완충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우레탄 또는 에어백 등의 형태로 완충 수단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리프팅 장치 20: 케이블
100: 프레임 110: 제 1 프레임
120: 제 2 프레임 111: 제 1 상부 패널
112: 제 1 하부 패널 113: 수직 로드
114: 제 1 롤러 120: 제 2 프레임
121: 제 2 상부 패널 122: 제 2 하부 패널
123a, 123b: 지지부 124: 제 2 롤러
210: 제 1 레그 211: 제 1 수직 레그
212: 제 1 지지 레그 213: 제 1 부착부
214a, 224a: 연결부 214b, 224b: 완충 수단
220: 제 2 레그 221: 제 2 수직 레그
222: 제 2 지지 레그 223: 제 2 부착부
310: 제 1 구동부 311: 제 1 샤프트
320: 제 2 구동부 321: 제 2 샤프트
411: 제 1 이동부 412: 제 1 보강부
421: 제 2 이동부 422: 제 2 보강부

Claims (7)

  1.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제 2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1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에 구비되어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1 레그 모듈; 및
    상기 제 2 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물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제 2 레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 1 부착부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이 달라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부착부간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 2 부착부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면적이 달라지는 리프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 및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는 동일 중심 축선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리프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 각각은 상기 제 1 프레임상에서 수직 이동하는 제 1 수직 레그; 및
    상기 제 1 수직 레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수직 레그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제 1 부착부가 구비된 제 1 지지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 각각은 상기 제 2 프레임상에서 수직 이동하는 제 2 수직 레그; 및
    상기 제 2 수직 레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수직 레그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부착부가 구비된 제 2 지지 레그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레그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제 1 수직 레그는 하나의 제 1 이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이동부와 함께 수직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레그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제 2 수직 레그는 하나의 제 2 이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 2 이동부와 함께 수직 이동하는 리프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와 상기 제 1 지지 레그의 사이, 및 상기 제 2 부착부와 상기 제 2 지지 레그의 사이에는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부 및 상기 제 2 부착부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50167495A 2015-11-27 2015-11-27 리프팅 장치 KR10181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95A KR101814518B1 (ko) 2015-11-27 2015-11-27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95A KR101814518B1 (ko) 2015-11-27 2015-11-27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90A KR20170062090A (ko) 2017-06-07
KR101814518B1 true KR101814518B1 (ko) 2018-01-04

Family

ID=592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495A KR101814518B1 (ko) 2015-11-27 2015-11-27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824B1 (ko) * 2019-05-17 2020-09-09 김철현 Cob 방식으로 led 광원을 내장한 영상 감시 카메라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7284916A (zh) * 2023-09-22 2023-12-26 江苏格雷特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防坠落安全防护装置及防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8794A2 (en) * 2005-09-07 2007-03-15 Wtb Group Ltd Shaft-ring grip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8794A2 (en) * 2005-09-07 2007-03-15 Wtb Group Ltd Shaft-ring gr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90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359B2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
JP3200963U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CN103867854B (zh) 一种简易的卧式泵减震基座
US10448731B2 (en) Vertically adjustable desk with stability feature
CN106969088A (zh) 一种兼顾高低频振动的隔振装置
KR101814518B1 (ko) 리프팅 장치
JP2008239141A5 (ko)
CN102322496A (zh) 操作者乘驾改进系统
CN110566627A (zh) 一种纺织机械多向缓冲装置
TW201600364A (zh) 腳輪單元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JP2008060614A (ja) ステージ装置
KR200479122Y1 (ko) 파이프 회전지지 장치
CN106025851B8 (zh) 一种多维减震式智能电力配电柜
JP2015224482A (ja) 免震構造
JP2015006701A (ja) 伸縮カバーを有する工作機械
JP2006504056A5 (ko)
JP6226672B2 (ja) 加工装置の作業用スタンド
JP2013241227A (ja) エスカレータ
JP2015229539A (ja) 荷重補償装置及び補償荷重調整方法
CN103708326A (zh) 一种电梯轿厢架
KR20160000732U (ko) 트레드밀의 조정완충내진구조
KR10221331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정비용 대차
KR101440035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8337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