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98B1 -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 Google Patents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98B1
KR101814198B1 KR1020170055766A KR20170055766A KR101814198B1 KR 101814198 B1 KR101814198 B1 KR 101814198B1 KR 1020170055766 A KR1020170055766 A KR 1020170055766A KR 20170055766 A KR20170055766 A KR 20170055766A KR 101814198 B1 KR101814198 B1 KR 10181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using
bearing
spind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주식회사 신영건드릴
류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주식회사 신영건드릴, 류상진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7005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41/02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oring deep holes; Trepanning, e.g. of gun or rifle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54Drill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6Damping of vibrations
    • B23B2251/4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34Means for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23B51/063Deep hole drills, e.g. ejector drills
    • B23B51/066Gun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드릴용 멀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드릴 머신의 칩박스 후방에서 베어링이 장착 및 스핀들의 가이드가 가능한 하우징 몸체를 구성함으로써, 후방에서 진입되는 스핀들의 진입 가이드 및 회전 가이드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베어링의 편리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베어링 교체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Guide bush housing for gundrill}
본 발명은 건드릴용 멀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드릴의 진입 가이드는 물론, 건드릴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베어링의 편리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각종 공구를 사용하여 금속의 절단, 절삭, 보링, 드릴링, 나사 절삭, 연삭 등 기타방법을 통해서 칩을 발생하면서 금속 및 기타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으로 만드는 기계를 말한다.
최근의 공작기계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여 자동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보오링머신(boring machine), 밀링머신(milling machine),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등이 있다.
그리고, 보오링머신, 밀링머신, 드릴링머신을 하나로 복합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등이 있다.
이중 드릴링머신은 핸드 드릴링머신, 직립 드릴링머신, 레이디얼 드릴링머신, 평드릴머신, 다축 드릴링머신, 이외에도 특수용도의 건드릴머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특수용도의 건드릴머신은 일반적인 드릴링머신을 이용한 천공이 어려울시 적용되는 것으로, 건드릴(gun drill)을 이용하여 심공(深孔)을 고효율 및 고정밀도로 가공하도 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드릴을 이용하여 천공시 일반적으로 건드릴의 길이에 따라 떨림이 증대되는 것인바, 이러한 떨림은 정확한 천공의 장해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건드릴의 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그 건드릴의 선단부가 공작물에 접할시 떨림을 방지시켜줌으로 원활한 천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중앙에 드릴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드릴 머신은 칩박스의 전방에서 가공물에 진입되는 건드릴의 떨림 등은 가능하였으나 후방에서 진입되는 건드릴이 결합되는 스핀들의 떨림은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5362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드릴 머신의 칩박스 후방에서 베어링이 장착 및 스핀들의 가이드가 가능한 하우징 몸체를 구성함으로써, 후방에서 진입되는 스핀들의 진입 가이드 및 회전 가이드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베어링의 편리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베어링 교체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선단은 칩박스에 끼움되는 칩박스 결합부와, 칩박스 결합부의 후방에서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주변에는 다수의 소켓 체결공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후방에서 축소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장착홈이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로 구성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소켓 관통홀이 형성된 소켓;
선단에는 소켓의 하우징 결합부의 외둘레를 감싸는 제1 소켓결합홈을 갖는 소켓 결합부와, 소켓 결합부의 후방으로 축소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방진구에 고정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의 후단에서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제2 베어링 장착홈이 형성되고 주변에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베어링 장착부로 구성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하우징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선단에는 하우징 몸체의 제2 베어링 장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주변에는 하우징 몸체의 나사공과 연통되는 다수의 커버 체결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몸체커버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함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은, 칩박스의 선단에서 공작물에 접하는 건드릴의 떨림을 잡아주는 가이드부시와는 별도로 칩박스의 후방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하우징 몸체를 통해 회전 진입되는 스핀들의 진입 가이드 및 회전의 가이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스핀들의 떨림 및 이에 따른 스핀들의 떨림이 방지됨은 물론, 온전한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등 건드릴 머신의 성능이 한 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베어링의 교체가 가능하되, 간단한 하우징 몸체의 착탈로 베어링의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베어링 교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작동 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소켓(100)과, 하우징 몸체(200)와, 몸체커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100)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기 위해 통상의 건드릴 머신의 칩박스(도면중 미도시함)의 후방에 장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형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건드릴 머신의 스핀들(도면중 미도시함)이 관통되는 수평형 소켓 관통홀(101)이 구성된다.
이때, 소켓(100)은 먼저, 선단은 칩박스에 끼움되는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칩박스 결합부(110)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칩박스 결합부(110)의 후방에는 칩박스 결합부(110)보다 확장된 직경을 이루는 플랜지부(120)가 구성된 것으로, 그 플랜지부(120)에는 주변에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의 소켓 체결공(121)이 구성된다.
그리고, 플랜지부(120)의 후방에는 플랜지부(120)보다 축소된 직경을 이루어 하기하는 하우징 몸체(200)가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130)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 결합부(130)의 내측에는 후방으로 개방되며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이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장착홈(131)이 구성된 것으로, 제1 베어링 장착홈(131)은 소켓 관통홀(101)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몸체(200)는, 상기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에 결합되어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구속 및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스핀들이 가이드 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형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건드릴 머신의 스핀들(도면중 미도시함)이 관통되는 수평형 하우징 관통홀(201)이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200)는 먼저, 선단은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에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21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소켓 결합부(210)의 내측에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하우징 관통홀(201)과 연통되는 제1 소켓결합홈(211)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 몸체(200)를 소켓(1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의 둘레에는 수나사부(132)가 더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200)의 제1 소켓결합홈(211)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132)에 나삽되는 제1 암나사부(212)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소켓 결합부(210)의 후방에는 소켓 결합부(210)보다 축소된 직경을 이루는 가이드관(220)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관(220)은 건드릴 머신의 방진구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관(220)의 후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이루는 베어링 장착부(230)가 구성된 것으로, 그 베어링 장착부(230)에는 주변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다수의 나사공(232)이 구성된다.
이때, 베어링 장착부(230)의 내측에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이 장착되는 제2 베어링 장착홈(231)이 구성된 것으로, 제2 베어링 장착홈(231)은 하우징 관통홀(201)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몸체커버(30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결합돌부(310)와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원반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결합돌부(310)에 결합되어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구속하게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수평형 몸체커버 관통홀(301)이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커버(300)의 선단에는 베어링 장착부(230)의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끼움 결합되어 그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가압 고정하는 결합돌부(310)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커버(300)의 주변에는 하우징 몸체(200)의 베어링 장착부(230)의 나사공(232)과 연통되며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형 커버 체결공(320)이 구성된다.
한편, 소켓(100)의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베어링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 어댑터(4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먼저 베어링 어댑터(400)는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어댑터 관통홀(401)이 수평 관통된다.
그리고, 베어링 어댑터(400)의 후단 둘레에는 베어링 어댑터(400)가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내입된 상태에서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 후면에 걸림 지지되는 확장된 직경을 이루는 걸림돌부(410)가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베어링 어댑터(400)의 후방 내측에는 베어링이 내입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홈(420)이 구성된다.
즉, 베어링 어댑터(400)는 소켓(100)의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베어링을 장착함에 있어 그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베어링 어댑터(4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어댑터 관통홀(401) 및 베어링 결합홈(420)의 직경이 다르게 구성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건드릴 머신의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베어링을 미리 베어링 어댑터(400)에 결합한 상태에서 필요시 그 베어링 어댑터(400)만을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소켓(100)을 마감하는 소켓커버(5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소켓커버(500)는 먼저 그 중앙에 스핀들이 관통되는 소켓커버 관통홀(501)이 수평 관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소켓커버(500)의 전방 내측에는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의 외둘레를 감싸는 제2 소켓결합홈(510)이 구성된 것으로, 그 제2 소켓결합홈(510)의 내주면에는 하우징 결합부(130)의 수나사부(132)와 나삽되는 제2 암나사부(511)가 구성된다.
즉, 소켓커버(500)는 하우징 몸체(100)를 소켓(100)으로부터 분리 사용시 그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를 마감하여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구속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을 참조하여 통상의 건드릴 머신(10)의 후방 즉, 구동측에서 칩박스(20) 및 방진구(30)에 설치되어 심공 작업을 위해 전진시 스핀들의 진입 가이드 및 회전을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의 설치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칩박스(20)에는 소켓(100)이 장착되는 것으로, 소켓(100)은 칩박스(20)의 관통공(21)에는 소켓(100)의 칩박스 결합부(1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소켓 체결공(121)을 통해 칩박스(20)에 볼팅 체결 고정된다.
이후, 소켓(100)에는 하우징 몸체(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 몸체(200)는 소켓 결합부(210)를 이용하여 가능하되, 소켓 결합부(210)의 제1 소켓결합홈(211)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212)를 이용하여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에 형성된 수나사부(132)에 나사 체결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켓(100)에 하우징 몸체(200)를 결합함에 있어, 소켓(100)의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스핀들(40)의 직경을 이루는 전방 베어링(61)이 장착되는 것으로, 전방 베어링(61)은 베어링 어댑터(4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방 베어링(61)은 베어링 어댑터(400)의 베어링 결합홈(420)에 내입한 상태에서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내입하되, 이때 그 후방의 걸림돌부(410)가 하우징 결합부(130)의 후면에 걸림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이에 하우징 몸체(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그 하우징 몸체(200)가 걸림돌부(410)를 가압하여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 몸체(200)의 가이드관(220)은 방진구(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방진구(30)를 클램핑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는 한편 복수의 방진구(3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이드관(220)은 그 전방 및 후방이 양측 방진구(30)에 체결 고정됨으로 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하우징 몸체(200)의 후방 베어링 장착부(230)는 몸체커버(300)를 이용하여 마감되는 것으로, 몸체커버(300)는 그 선단에 형성된 결합돌부(310)를 하우징 몸체(200)의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끼움 결합 및 주변에 형성된 커버 체결공(320)과 베어링 장착부(230)의 나사공(232)을 통해 볼팅 체결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커버(300)를 결합함에 있어, 소켓(100)의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는 작업하고자 하는 스핀들(40)의 직경을 이루는 후방 베어링(62)이 장착되게 된다.
이때, 후방 베어링(62)은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내입하되, 몸체커버(300)의 결합돌부(310)가 후방 베어링(62)의 외륜(도면중 미도시함)을 가압하여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의 작용을 살펴보면, 통상의 건드릴 머신(10)의 구동과 같이 주축대(도면중 미도시함)가 이동함과 동시에 건드릴(50)이 장착된 스핀들(40)은 주축대와 함께 전진함과 동시에 가공물의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상기와 같이 스핀들(40)이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장착된 후방 베어링(62)과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장착된 전방 베어링(61)을 관통하게 되는 것인바, 그 전,후방 베어링(62)을 통해 스핀들(40)이 떨림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그 전,후방 베어링(61)(62)을 통해 원활한 회전력이 유지되게 되는 등 천공 작업에서 스핀들(40)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된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에서는 통상 건드릴(50)의 직경에 따라 그 건드릴(50)이 장착되는 스핀들(40)의 직경 또한 달라질 수 있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그 스핀들(40)의 직경에 따라 전,후방 베어링(61)(62)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하우징 몸체(200)와 몸체커버(300)의 설치의 역순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스핀들(40)의 직경에 해당하는 전,후방 베어링(61)(62)을 교체하되, 먼저 전방 베어링(61)은 도 4를 참조하여 베어링 어댑터(400)는, 어댑터 관통홀(401) 및 베어링 결합홈(420)의 직경이 다르게 다수 구성 및 다양한 스핀들(40)의 직경에 해당하는 전방 베어링(61)이 장착되게 되는 것인바, 스핀들(40)의 직경에 해당하는 전방 베어링(61)이 장착된 베어링 어댑터(400)를 교체 사용하면 되고, 후방 베어링(62)은 제2 베어링 장착홈(231)으로부터 후방 베어링(62)을 분리 스핀들(40)의 직경에 해당하는 또 다른 후방 베어링(62)을 교체 장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롱드릴을 적용시 상기와 같이 하우징 몸체(200)를 통해 전,후방 베어링(61)(62)을 각각 설치한 상태로 작업함으로 그 스핀들(40)의 안정된 가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숏드릴을 적용시에는 그 전방 베어링(61) 만으로도 충분한 가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소켓(100)으로부터 하우징 몸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그 소켓(100)에는 소켓커버(500)를 설치하되, 이때에는 그 소켓커버(500)에 형성된 제2 암나사부(511)를이용하여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에 형성된 수나사부(132)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며, 이때 그 소켓커버(500)를 통해 베어링 어댑터(400)의 걸림돌부(41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1)은 전방 베어링(61) 만으로 스핀들(40)의 가이드가 가능한 것으로, 이는 숏드릴의 경우 스핀들(40) 또한 짧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인바, 이에 전방 베어링(61) 만으로도 스핀들(40)의 충분한 가이드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은, 스핀들이 이동하는 후방 측에서 그 스핀들의 진입 및 회전을 가이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스핀들의 유동 방지에 따른 안정된 천공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베어링의 편리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소켓 101 : 소켓 관통홀
110 : 칩박스 결합부 120 : 플랜지부
121 : 소켓 체결공 130 : 하우징 결합부
131 : 제1 베어링 장착홈 132 : 수나사부
200 : 하우징 몸체 201 : 하우징 관통홀
210 : 소켓 결합부 211 : 제1 소켓결합홈
212 : 제1 암나사부 220 : 가이드관
230 : 베어링 장착부 231 : 제2 베어링 장착홈
232 : 나사공
300 : 몸체커버 301 : 몸체커버 관통홀
310 : 결합돌부 320 : 커버 체결공
400 : 베어링 어댑터 401 : 어댑터 관통홀
410 : 걸림돌부 420 : 베어링 결합홈
500 : 소켓커버 501 : 소켓커버 관통홀
510 : 제2 소켓결합홈 511 : 제2 암나사부

Claims (5)

  1. 선단은 칩박스에 끼움되는 칩박스 결합부(110)와, 칩박스 결합부(110)의 후방에서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주변에는 다수의 소켓 체결공(121)이 형성된 플랜지부(120)와, 플랜지부(120)의 후방에서 축소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장착홈(131)이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130)로 구성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소켓 관통홀(101)이 형성된 소켓(100); 선단에는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의 외둘레를 감싸는 제1 소켓결합홈(211)을 갖는 소켓 결합부(210)와, 소켓 결합부(210)의 후방으로 축소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방진구에 고정되는 가이드관(220)과, 가이드관(220)의 후단에서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제2 베어링 장착홈(231)이 형성되고 주변에는 다수의 나사공(232)이 형성된 베어링 장착부(230)로 구성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하우징 관통홀(201)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200); 및 선단에는 하우징 몸체(200)의 제2 베어링 장착홈(23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부(310)가 형성되고, 주변에는 하우징 몸체(200)의 나사공(232)과 연통되는 다수의 커버 체결공(320)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몸체커버 관통홀(301)이 형성된 몸체커버(300)를 포함하는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에 있어서,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의 둘레에는 수나사부(132)를 더 형성하고,
    하우징 몸체(200)의 제1 소켓결합홈(211)에는 제1 암나사부(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소켓(100)과 하우징 몸체(200)는 서로 수나사부(132)와 제1 암나사부(212)를 통해 나사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소켓(100)의 제1 베어링 장착홈(131)에 내입 장착되는 베어링 어댑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베어링 어댑터(400)는,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어댑터 관통홀(401)이 형성되고, 후단 둘레에는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 후면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부(410)가 돌출 형성되며, 후방 내측에는 베어링이 내입 결합되는 베어링 결합홈(420)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4. 제 3항에 있어서,
    베어링 어댑터(400)는,
    각각 서로 다른 어댑터 관통홀(401) 및 베어링 결합홈(420)의 직경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구성하되,
    스핀들의 직경에 따라 그 스핀들의 직경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이즈를 이루는 베어링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5. 제 1항에 있어서,
    선단에는 소켓(100)의 하우징 결합부(130)의 외둘레를 감싸며 내주면에는 제2 암나사부(511)가 형성된 제2 소켓결합홈(51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핀들이 관통되는 소켓커버 관통홀(501)이 형성된 소켓커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소켓(100)으로부터 하우징 몸체(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소켓커버(500)의 제2 암나사부(511)를 통해 하우징 결합부(130)의 수나사부(132)에 체결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KR1020170055766A 2017-04-28 2017-04-28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KR10181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766A KR101814198B1 (ko) 2017-04-28 2017-04-28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766A KR101814198B1 (ko) 2017-04-28 2017-04-28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98B1 true KR101814198B1 (ko) 2018-01-03

Family

ID=6100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766A KR101814198B1 (ko) 2017-04-28 2017-04-28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335B1 (ko) * 2019-10-31 2021-02-18 이승우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KR102466657B1 (ko) * 2021-07-05 2022-11-17 김호중 원심력이 최소화되는 건드릴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335B1 (ko) * 2019-10-31 2021-02-18 이승우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KR102466657B1 (ko) * 2021-07-05 2022-11-17 김호중 원심력이 최소화되는 건드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138B2 (en) Vacuum drilling system and methods
KR101814198B1 (ko)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하우징
KR101451698B1 (ko) 다용도 심공가공용 스핀들장치
EP2987575A1 (en) A clamping device
US8919786B2 (en) Chuck
US10195702B2 (en) Processing mechanism and processing device using same
KR101440822B1 (ko) 풀스터드 볼트 체결용 척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30397B1 (ko) 기계가공공구의 퀵 체인저
JP3009999B2 (ja) 切削工具の工具ホルダ
JP4369556B2 (ja) 孔開け工具用防塵カバー
JP2008290167A (ja) 切削加工装置
JP2009190100A (ja) 部品の共通化を図った工具用スピンドル及びチャック用スピンドル
JPH1043982A (ja) 工具付属装置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CN208437720U (zh) 钻套
KR102019464B1 (ko) 탭 가공용 툴
JP2015066648A (ja) 工作機械
KR20140072350A (ko) 보링머신의 자동 클램핑 어셈블리
KR101064753B1 (ko) 절삭공구용 홀더의 연결장치
CN102837171B (zh) 带定位的螺纹孔加工方法
US20060228183A1 (en) Interface of a tool
CN107498075B (zh) 一种镗孔刀及其应用方法
KR101169348B1 (ko) 절삭공구용 홀더의 연결장치
CN210755210U (zh) 一种用于表壳加工的铣床主轴
KR102466657B1 (ko) 원심력이 최소화되는 건드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