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044B1 -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044B1
KR101814044B1 KR1020170113503A KR20170113503A KR101814044B1 KR 101814044 B1 KR101814044 B1 KR 101814044B1 KR 1020170113503 A KR1020170113503 A KR 1020170113503A KR 20170113503 A KR20170113503 A KR 20170113503A KR 101814044 B1 KR101814044 B1 KR 10181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fixed
connection
support plat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전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전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전쏠라
Priority to KR102017011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버클 몸체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강한 진동이나 충격, 비틀림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턴버클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볼트부와 고정체결부 사이에 탄성완충부가 구비되어 탄성완충부에 의해 턴버클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탄성완충부와 접속되는 고정체결부는 탄성완충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접속부가 구비되어 턴버클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비틀림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Turnbuckle for shock reduction of prevent unbinding}
본 발명은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턴버클 몸체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강한 진동이나 충격, 비틀림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버클은 지지용 와이어로프 또는 지지용 구조물 등의 중간에 설치하여 이를 회전시켜 지지용 구조물을 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하는 연결 결합부재에 해당된다.
통상의 턴버클은 턴버클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선단은 체결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결부로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볼트부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턴버클에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동이나 가해지거나 일시적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턴버클 몸체부의 나사결합구멍에 체결되어 있던 볼트부가 임의적으로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볼트부의 풀림 현상은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볼트부의 풀리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나사결합구멍과 볼트부 간에 마모나 균열 등이 발생하여 어떤 대상물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공개 제10-0525250호로 개시된 구성에서는 중앙부에 관통되어 왼나사로 형성되는 제1나사공을 형성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과 대응되면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관통되어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제2나사공을 형성한 제2지지판과, 상기 제1,2지지판이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밀착되어 고정되고 작용 하중에 대해 탄소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지부와, 일단이 상기 제1나사공에 체결되고 타단에는 와이어가 결속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제고정바와,
일단이 상기 제2나사공에 체결되고 타단에는 와이어가 결속되는 제1고정부를 형성한 제2고정바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지지판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에 결속된 제1,2고정바의 길이가 변하도록 구성된 턴버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턴버클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일부 완화시킬 수 있지만 턴버클의 측부방향에 전달되는 비틀림 회전력이 발생되는 경우에 턴버클의 나사공(볼트부)이 회전되어 나사풀림현상 등이 발생되는 등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제10-0525250호 KR 제10-1334355호 (특허공개문헌 0003) KR 제10-2005-0015839호 (특허공개문헌 0004) KR 제10-2010-0086151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턴버클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볼트부와 고정체결부 사이에 탄성완충부가 구비되어 탄성완충부에 의해 턴버클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탄성완충부와 접속되는 고정체결부는 탄성완충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접속부가 구비되어 턴버클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비틀림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일측 볼트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체결부와, 상기 타측 볼트부의 선단과 고정체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완충부와, 상기 탄성완충부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양측 볼트부의 선단과 고정체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완충부와, 상기 탄성완충부(150)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접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완충부는; 볼트부의 선단에 고정시킨 제1지지판과, 고정체결부와 접속되어 있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1,2지지판 사이에 스프링의 양측단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접속부는; 고정체결부와 접속되는 제2지지판의 중앙에 형성된 접속구멍과, 상기 접속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접속되는 고정체결부의 접속연결구와, 상기 접속연결구에 결합되어 제2지지판과 접속이 되는 고정결합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턴버클은 볼트부와 고정체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완충부 및 탄성완충부와 접속되는 고정체결부는 회전접속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태풍이나 지진 등과 같은 강한 충격이나 진동 뿐만 아니라 비틀림 등과 같은 다양한 악조건이 발생하더라도 각종 구조물이나 지지대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턴버클의 볼트부가 풀리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절개상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서 충격완충부 및 회전접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서 충격완충부의 스프링 일측이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서 일측 볼트부에 구비된 충격완충수단 및 여러형태의 고정체결부를 예시한 전면도.
도 5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에서 양측 볼트부에 구비된 충격완충수단 및 여러형태의 고정체결부를 예시한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적용시킨 일실시예의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일반 건축 구조물에 적용시킨 일실시예의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을 화물 컨테이너에 적용시킨 일실시예의 전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은, 턴버클(100)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과 아울러 턴버클(100)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비틀림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120)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12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130)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볼트부(130)의 선단에는 통상의 고정체결부(140)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타측 볼트부(130)의 선단과 고정체결부(140) 사이에는 탄성완충부(150)가 설치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탄성완충부(150)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회전접속부(160)가 구비되어 고정체결부(140)가 볼트부(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성실시예로서,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120)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12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130)로 이루어지되 양측 볼트부(130)의 선단과 고정체결부(140) 사이에는 탄성완충부(150)가 설치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탄성완충부(150)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회전접속부(160)가 구비되어 고정체결부(140)가 볼트부(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나사결합구멍(120)에 각각 나사결합된 볼트부(130)는 몸체부(110)의 회전에 따라 볼트부(130)가 풀리거나 조여지는 신축작용으로 길이 조절을 하는 통상의 턴버클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탄성완충부(150)는; 볼트부(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제1지지판(153)과,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어 있는 제2지지판(154)과, 상기 제1,2지지판(153)(154) 사이에 일정길이의 스프링(151)의 양측단이 용접 등으로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탄성완충부(150)의 스프링(151)에 의해 턴버클의 길이방향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볼트부(130)의 나사 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접속부(160)는;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는 제2지지판(154)의 중앙에 형성된 접속구멍(155)과, 상기 접속구멍(155)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의 접속연결구(141)와, 상기 접속연결구(141)에 결합되어 제2지지판(154)과 이탈되지 않고 회전 접속되도록 하는 고정결합부재(1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회전접속부(160)에 의해 턴버클의 측방향으로 비틀림 등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회전접속부(160)에 의한 회전작용으로 볼트부(13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볼트부(130)의 나사 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체결부(140)는 접속연결구(141)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너트로 된 고정결합부재(142)를 결합한 다음 고정결합부재(142)를 용접 부착하여 일체로 고정시킨 구성으로 사용되거나, 접속연결구(141)는 봉상으로 구비되고 고정결합부재(142)는 결합링을 용접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이 접속연결구(141)나 고정결합부재(142)는 여러형태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체결부(140)는 도 에 나타난 실시예와 같이 고리형 연결체(143), O형 연결체(144), U형 연결체(145)와 같이 여러형태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이 적용된 태양광 구조물의 설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태양전지 모듈(200)의 지붕패널이 덮여 있는 철골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지주(210)를 지지대(220)로 상호 연결하면서 턴버클(100)에 의해 지지대(220)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이 적용된 일반 건축 구조물의 설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건축 구조물(300)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지주(210)를 지지대(220)로 상호 연결하면서 턴버클(100)에 의해 지지대(220)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이 적용된 화물 컨테이너의 설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화물 컨테이너(400)를 케이블로 된 지지대(220)로 고박하기 위해 턴버클(100)에 의해 지지대(220)를 긴밀하게 당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는 본 발명의 턴버클(100)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볼트부(130)와 고정체결부(140) 사이에 탄성완충부(150)가 구비되어 있고, 탄성완충부(150)의 일정길이로 된 스프링(151)에 의한 탄성작용으로 턴버클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됨과 아울러 턴버클이 연결된 지지대의 강한 당김작용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고 구조물이나 지지대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완충부(150)와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탄성완충부(150)의 제2지지판(154)에 형성된 접속구멍(155)에 고정체결부(140)의 접속연결구(141)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이 되는 회전접속부(160)가 구비되어 턴버클의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비틀림 등에도 볼트부(130)의 나사결합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턴버클(100)은 볼트부(130)와 고정체결부(140) 사이에 연결된 탄성완충부(150) 및 탄성완충부(150)와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회전접속부(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태풍이나 지진 등과 같은 강한 충격이나 진동 뿐만 아니라 비틀림 등에도 각종 구조물이나 지지대의 파손 등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턴버클 110 : 몸체부
120 : 나사결합구멍 130 : 볼트부
140 : 고정체결부 141 : 접속연결구
142 : 고정결합부재 143 : 고리형 연결체
144 : O형 연결체 145 : U형 연결체
150 : 탄성완충부 151 : 스프링
153 : 제1지지판 154 : 제2지지판
155 : 접속구멍 160 : 회전접속부
200 : 태양전지 모듈 210 : 고정지주
220 : 지지대 300 : 일반 건축물
400 : 화물 컨테이너

Claims (4)

  1.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120)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12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130)와,
    상기 일측 볼트부(130)의 선단에 고정되는 고정체결부(140)와,
    상기 타측 볼트부(130)의 선단과 고정체결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완충부(150)와,
    상기 탄성완충부(150)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회전접속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완충부(150)는;
    볼트부(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제1지지판(153)과,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어 있는 제2지지판(154)과, 상기 제1,2지지판(153)(154) 사이에 스프링(151)의 양측단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회전접속부(160)는;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는 제2지지판(154)의 중앙에 형성된 접속구멍(155)과,
    상기 접속구멍(155)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의 접속연결구(141)와, 상기 접속연결구(141)에 결합되어 제2지지판(154)과 접속이 되는 고정결합부재(14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2.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120)과, 상기 양측단의 나사결합구멍(120)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130)와,
    상기 양측 볼트부(130)의 선단과 고정체결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완충부(150)와,
    상기 탄성완충부(150)에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회전접속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완충부(150)는;
    볼트부(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는 제1지지판(153)과,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어 있는 제2지지판(154)과, 상기 제1,2지지판(153)(154) 사이에 스프링(151)의 양측단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회전접속부(160)는;
    고정체결부(140)와 접속되는 제2지지판(154)의 중앙에 형성된 접속구멍(155)과,
    상기 접속구멍(155)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접속되는 고정체결부(140)의 접속연결구(141)와, 상기 접속연결구(141)에 결합되어 제2지지판(154)과 접속이 되는 고정결합부재(14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3. 삭제
  4. 삭제
KR1020170113503A 2017-09-05 2017-09-05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KR10181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03A KR101814044B1 (ko) 2017-09-05 2017-09-05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03A KR101814044B1 (ko) 2017-09-05 2017-09-05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044B1 true KR101814044B1 (ko) 2018-01-02

Family

ID=6100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03A KR101814044B1 (ko) 2017-09-05 2017-09-05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0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409A (ja) 2002-02-08 2003-08-22 Aruteima:Kk 張設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409A (ja) 2002-02-08 2003-08-22 Aruteima:Kk 張設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420A (ko) 가드레일
KR20190129784A (ko) 모멘트 프레임 커넥터
KR101643841B1 (ko) 내진용 앵커볼트
KR100407513B1 (ko) 연속교 강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이탈방지장치와그 시공방법
GB2466054A (en) An anchor point for fall arrest device
KR101814044B1 (ko) 풀림방지 충격완화용 턴버클
JP2651063B2 (ja) 直線状建造物構造及びその能力向上方法
KR20150129191A (ko)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CN206290555U (zh) 一种弹性卡销式防松螺栓
KR20090131476A (ko) 인장 부재 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인장부재 연결
KR10206287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JP2005240423A (ja) 建築物への筋交い取付構造
JP2007009629A (ja) ターンバックル
JP2002248023A (ja) バネ式ターンバックル
JP3974120B2 (ja) 制振構造
KR101423076B1 (ko) 마그네틱 너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외장 패널의 풀림 방지장치
KR200217048Y1 (ko) 연속교 강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이탈방지장치
KR20110037575A (ko) 유볼트의 축력 감소 방지장치
JP5285956B2 (ja) 減衰装置の取付構造
JPH10317508A (ja) 補強用ブレース及び建物の補強方法
JP2002372021A (ja) ボルト締結構造
KR101107298B1 (ko) 충격흡수형 앵커장치
JP2007009590A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1161422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CN114737472B (zh) 减震限位拉索装置、桥梁减震体系、碳纤维索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