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709B1 -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709B1
KR101813709B1 KR1020150160823A KR20150160823A KR101813709B1 KR 101813709 B1 KR101813709 B1 KR 101813709B1 KR 1020150160823 A KR1020150160823 A KR 1020150160823A KR 20150160823 A KR20150160823 A KR 20150160823A KR 101813709 B1 KR101813709 B1 KR 10181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animal
support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555A (ko
Inventor
양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엠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엠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엠엔디
Priority to KR102015016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 등의 동물의 두 앞다리와 몸통을 같이 받쳐주어서 애완견 등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몸통을 받쳐주므로 애완견 등이 심하게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목욕시키고자 하는 동물의 크기에 따라 두 앞다리를 받쳐주는 부분과 몸통을 받쳐주는 부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목욕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는 바닥에 지지가 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이격한 위치에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두 발을 걸쳐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앞다리 걸침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된 앞다리 지지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직접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를 통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지지가 되고, 상기 앞다리 지지부 뒤쪽에서 상기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몸통을 받쳐주기 위한 몸통지지구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몸통지지구 설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Auxiliary device for bathing animal}
본 발명은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개선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애완견 등의 동물을 목욕시킬 때 사용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 등의 동물을 집안에서 기를 때는 위생상 그리고 깨끗한 생활환경을 위해 기르는 동물을 정기적으로 목욕시켜주어야 하는 데, 통상, 애완견 등을 물이 채워진 욕실 내부의 욕조에 넣고 털에 비누를 칠하여 목욕을 시킨다.
목욕 도중 애완견 등이 가만히 있지 못하고 발버둥을 치거나 몸을 털기 때문에 목욕시키기에 힘이 들고, 비눗물이 사방으로 튀어서 입고 있던 옷이 젖을 뿐만 아니라 욕실도 더러워진다. 애완견 등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붙잡은 상태로 목욕을 시키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번호 특2003-0011118(애완견용 목욕보조기구, 발명자: 박명훈)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 이 있다.
선출원 발명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의 목을 구속하는 구조이어서 목을 구속당하는 애완견이 상당히 불편할 수 있다.
그리고 선출원 발명은 목욕 자세에서 애완견의 앞쪽 두 다리와 뒤쪽 두 다리 모두 바닥과 프레임을 짚고 있어서 애완견이 쉽게 움직일 수 있고, 구성도 복잡하고, 사용 후 일부만 접을 수 있는 구조라서 사용 후에 보관 공간을 크게 차지한다.
또한, 선출원 발명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의 목 부위만 지지하여주기 때문에 애완견이 쉽게 움직일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그 외에 선출원 발명은 절첩식 다리를 통해 바닥 쪽 프레임을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애완견을 목욕시켜야 하므로 옆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 등의 동물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 등의 동물이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후 종래의 것에 비해 작은 부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동물의 두 앞다리와 몸통 부위 두 부분을 지지할 수 있고, 바닥 프레임이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동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서 옆으로 넘어질 우려가 없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 등 동물의 크기에 따라 두 앞다리가 걸쳐지는 부분과 몸통을 지지하는 부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는 바닥에 지지가 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이격한 위치에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두 발을 걸쳐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앞다리 걸침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된 앞다리 지지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직접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를 통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지지가 되고, 상기 앞다리 지지부 뒤쪽에서 상기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몸통을 받쳐주기 위한 몸통지지구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몸통지지구 설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앞다리 지지부는, 다단의 걸침부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형성된 다단의 상기 걸침부 걸림턱에 높이 조정하여 걸 수 있게 된 상기 앞다리 걸침부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앞다리 지지부는, 다단의 걸침부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형성된 다단의 상기 걸침부 걸림턱에 높이 조정하여 걸 수 있게 된 상기 앞다리 걸침부를 갖춘 것이고,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뒷다리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뒷다리 고정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주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지주와 상기 한 쌍의 지주의 후방연장부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통지지구는 유연한 재질의 받침부재와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몸통지지구 걸림턱에 각각 걸 수 있게 이격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는 각각의 상기 후방연장부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앞다리 지지부에 대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주와 상기 바닥 프레임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지주가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지주가 뒤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하는 맞물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지주가 앞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핀을 뺀 상태에서 앞쪽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 저면을 향해 회동시켜 접을 수 있게 된 것이 좋다.
상기 바닥 프레임은, 상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오목홈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구된 장공을 가지며 가로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면부재를 가지는 제1프레임,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이동축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앞쪽 단부에는 상기 오목홈에 결합하는 오목홈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제2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한 쌍의 지주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통지지구는 유연한 재질의 받침부재와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몸통지지구 걸림턱에 각각 걸 수 있게 이격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주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는 각각의 상기 후방연장부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앞다리 지지부에 대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프레임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 또는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에는 샤워기 헤드를 걸어두기 위한 샤워기 헤드 장착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는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견 등의 동물의 두 앞다리와 몸통을 같이 받쳐주어서 애완견 등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고, 몸통을 받쳐주므로 애완견 등이 심하게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는 목욕시키고자 하는 동물의 크기에 따라 두 앞다리를 받쳐주는 부분과 몸통을 받쳐주는 부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목욕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는 사용 후에는 바닥 프레임과 지주를 서로에 대해 접을 수 있어서 보관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이동시키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지주 하측부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앞다리 걸침부를 걸림턱에 이탈시킨 상태의 앞쪽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지주 하측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앞다리 걸침부를 걸림턱에 이탈시킨 상태의 앞쪽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바닥에 지지가 되는 바닥 프레임(110)을 갖춘다. 이 바닥 프레임(110)은 바닥에 지지가 되는 부분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a)과 제2프레임(110b)을 연결하여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제2프레임(110b)은 이동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제1프레임(110a)에 대해 접을 수 있게 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a)은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측면부재(112)와 측면부재(112)의 앞쪽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재(113)를 가진다. 측면부재(112)의 상면을 따라서는 간격을 두고 오목홈(11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부재(112)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장공(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110a)은 바람직하게 "ㄷ"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한 쌍의 측면부재(112)의 앞쪽 단부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앞다리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주(131)와의 대응 위치에 지주(131)가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한 쌍의 지주(131)가 뒤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하는 맞물림턱(115, 1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프레임(110b)은 장공(114)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이동축(111)에 결합하여 이동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프레임(110b)은 이동축(111)을 따라 이동축(111)과 함께 제1프레임(110a)에 대해 앞뒤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축(11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프레임(110a)에 대해 접을 수 있다. 이러한 제2프레임(110b)은 바람직하게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앞쪽 단부에는 오목홈(112a)에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오목홈 결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바닥 프레임(110)의 한쪽에 설치된 앞다리 지지부(130)를 갖춘다. 바람직하게, 앞다리 지지부(130)는 바닥 프레임(110)의 앞쪽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앞다리 지지부(130)는 바닥 프레임(110)에서 상방으로 이격한 위치에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두 발을 걸쳐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앞다리 걸침부(133)를 가진다.
앞다리 지지부(130)는 바람직하게 다단의 걸침부 걸림턱(134)을 구비하여 바닥 프레임(1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주(131)를 갖춘다. 한 쌍의 지주(131)에 형성된 다단의 걸침부 걸림턱(134)에는 높이 조정하여 걸 수 있게 된 앞다리 걸침부(133)를 갖춘다. 앞다리 걸침부(133)로는 봉모양으로 된 것으로 양단이 걸침부 걸림턱(134)에 걸릴 수 있어야 한다. 앞다리 걸침부(133)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것은 걸침부 걸림턱(134) 없이 양쪽 지주(13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주(131)에는 바닥 프레임(110)의 맞물림턱(115)과 대응하는 위치에 지주(131)가 세워진 상태에서 바닥 프레임(110)의 맞물림턱(115)과 맞물려 한 쌍의 지주(131)가 뒤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하는 맞물림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주(131)는 제1프레임(110a)의 가로부재(113) 외주면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파이프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바닥 프레임(110) 저면 쪽으로 접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면부재(112)의 앞쪽 단부에는 구멍(H)을 형성하고 여기에 핀(P)을 눌러서 결합하여 지주(131)가 앞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를 갖춘다. 이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는 앞다리 지지부(130) 뒤쪽에서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몸통을 받쳐주기 위한 몸통지지구(160)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는 앞다리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주(131)에 설치하거나 바닥 프레임(110)에 직접 한 쌍의 지주를 세워서 설치할 수 있다. 지주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앞다리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주(131)와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주는 상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다리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주(131)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140)를 형성하고, 이 후방연장부(140)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는 한 쌍의 지주(131)와 한 쌍의 지주(131)의 후방연장부(140)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151)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1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몸통지지구(150)는 유연한 재질의 받침부재(161)와 한 쌍의 걸이부재(152)에 각각 형성된 몸통지지구 걸림턱(151)에 각각 걸 수 있게 이격하여 받침부재(161)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162)를 가지는 형태로 된 것이 좋다.
한 쌍의 걸이부재(152)로는 각각의 후방연장부(140)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앞다리 지지부(130)에 대한 전후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연장부(140)에는 장공(142)을 형성하고, 장공(142)의 하측 내주면에 걸림홈(144)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걸이부재(152)가 필요한 위치에 멈추어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걸림홈(144)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걸이부재(152)는 상단에 장공(142)에 삽입되어 앞뒤로 이동 가능한 핀(154)과 핀(154)의 양단에 설치된 이탈방지턱(155)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때에 따라, 몸통지지구 설치부(150)는 앞에서 설명한 앞다리 지지부(130)의 한 쌍의 지주(131)에 설치하지 않고, 그 뒤쪽의 바닥 프레임(110)에 별도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와 한 쌍의 지주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151)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15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앞다리 지지부(130)에 대한 전후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지주에 몸통지지구 걸림턱(151) 형태의 것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 프레임(110)의 한쪽에는 샤워기 헤드를 걸어두기 위한 샤워기 헤드 장착부(170)가 설치된다. 샤워기 헤드 장착부(170)는 제1프레임(110a)의 가로부재(113) 외주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L자형 부재(171)를 통해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사용할 때는 도 1과 3에서처럼 바닥에 세워둘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110) 쪽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를 이용하여 애완견을 목욕시키고자 하는 경우, 애완견의 몸통의 길이에 맞게 걸이부재(152)의 전후 위치와 제2프레임(110b)의 위치를 조정하여 둔다.
그런 다음, 몸통지지구(160)를 애견 등의 앞다리 뒤쪽 몸통 밑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몸통지지구(160)의 양단을 잡고 몸통을 들어 올려서 양측 고리(162)를 몸통지지구 걸림턱(151)에 건다. 이때, 동물의 앞쪽 몸통이 몸통지지구(160)에 매달려 있을 수 있게 적당한 높이의 몸통지지구 걸림턱(151)에 고리(162)를 걸고, 앞쪽 두 다리는 앞다리 걸침부(133)에 걸쳐두게 한다. 몸통지지구(160)와 앞다리 걸침부(133)의 전후 간격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걸이부재(152)를 앞뒤로 이동시켜서 위치를 조정한다. 애완견의 뒤쪽 두 다리는 제2프레임(110b) 안에 두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상태에서 애완견을 목욕시킨다. 목욕 후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를 접는 과정은 도 4를 함께 참고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특히, 애견 등의 몸통을 높게 받쳐줄 수 있어서 목욕을 싫어하는 동물이 심하게 발버둥을 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견 등의 키의 크기에 따라 앞다리 걸침부(133) 및 몸통지지구(16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고, 몸통의 길이에 따라 걸이부재(152)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목욕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어린 동물을 목욕시킬 때 사용하던 것을 그 동물이 성장한 후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3을 함께 참고하여 도 4와 같이 접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다리 걸침부(133)를 걸침부 걸림턱(134)에서 이탈시킨다. 몸통지지구(160)는 걸이부재(152)에서 이탈시킨다. 이 몸통지지구(160)는 깨끗이 세탁하여 말려서 따로 보관한다.
그런 다음, 제2프레임(110b)은 이동축(1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프레임(110a)의 저면 쪽으로 접는다. 샤워기 헤드 장착부(17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뒤쪽으로 눕힌다. 이 상태에서, 제1프레임(110a)의 가로부재(113)를 잡고 위로 들어 올려 제1프레임(110a)과 제2프레임(110b)을 뒤집으면서, 한 쌍의 지주(131)는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프레임(110a)의 저면 쪽으로 접으면 도 4와 같은 상태로 접히게 된다. 앞다리 걸침부(133)는 이탈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접은 상태에서 걸침부 걸림턱(134)에 결합해 둔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1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접으면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기에도 편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2프레임(110b)에는 목욕시키고자 하는 동물의 뒷다리를 잡아주기 위한 뒷다리 고정구(1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뒷다리 고정구(180)는 넓고 부드러운 밴드 모양의 천(181)에 줄(182)을 연결하고, 줄(182)에 줄(182)을 잡아줄 수 있는 버튼식 줄 홀더(183)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버튼식 줄 홀더(183)는 옷이나 가방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때에 따라 버튼식 줄 홀더(183) 대신에 부직포가 설치된 끈을 이용하여 뒷다리 고정구(18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부드러운 천으로 되고 뒷다리를 묶을 수 있는 끈을 제2프레임(110b)에 설치하여 뒷다리 고정구(180)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뒷다리 고정구(180)를 설치하여두면 목욕을 하기 싫어하는 애견도 심하게 움직이지 못하므로 목욕시키기 편하다.
나머지는 도 1과 2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애완견 등 네발을 가진 동물을 목욕시킬 때 사용되는 목욕보조기구를 만드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00: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110: 바닥 프레임
110a: 제1프레임 110b: 제2프레임
111: 이동축 114, 142: 장공
130: 앞다리 지지부 133: 앞다리 걸침부
140: 후방연장부 144: 걸림홈
150: 몸통지지구 설치부 151: 몸통지지구 걸림턱
152: 걸이부재 160: 몸통지지구
170: 샤워기 헤드 장착부

Claims (9)

  1. 바닥에 지지가 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이격한 위치에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두 발을 걸쳐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앞다리 걸침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된 앞다리 지지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직접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를 통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지지가 되고, 상기 앞다리 지지부 뒤쪽에서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몸통을 받쳐주기 위한 몸통지지구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몸통지지구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앞다리 지지부는,
    다단의 걸침부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주;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형성된 다단의 상기 걸침부 걸림턱에 높이 조정하여 걸 수 있게 된 상기 앞다리 걸침부를 갖춘 것이고,
    상기 바닥 프레임에는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뒷다리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뒷다리 고정구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한 쌍의 지주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는,
    상기 한 쌍의 지주와 상기 한 쌍의 지주의 후방연장부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통지지구는 유연한 재질의 받침부재와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몸통지지구 걸림턱에 각각 걸 수 있게 이격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는 각각의 상기 후방연장부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앞다리 지지부에 대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주와 상기 바닥 프레임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지주가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지주가 뒤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하는 맞물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지주가 앞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는 상기 핀을 뺀 상태에서 앞쪽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 저면을 향해 회동시켜 접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6.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바닥 프레임은,
    상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오목홈이 형성되고, 측방으로 개구된 장공을 가지며 가로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측면부재를 가지는 제1프레임,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이동축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앞쪽 단부에는 상기 오목홈에 결합하는 오목홈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제2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7. 바닥에 지지가 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이격한 위치에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두 발을 걸쳐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앞다리 걸침부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된 앞다리 지지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직접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를 통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지지가 되고, 상기 앞다리 지지부 뒤쪽에서 목욕을 시키기 위한 동물의 앞쪽 몸통을 받쳐주기 위한 몸통지지구를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몸통지지구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는,
    상기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한 쌍의 지주에 각각 매달리고 상하로 다단의 몸통지지구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통지지구는 유연한 재질의 받침부재와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몸통지지구 걸림턱에 각각 걸 수 있게 이격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8. 제7항에서, 상기 한 쌍의 지주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걸이부재는 각각의 상기 후방연장부를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앞다리 지지부에 대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9.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바닥 프레임 또는 상기 앞다리 지지부 또는 상기 몸통지지구 설치부에는 샤워기 헤드를 걸어두기 위한 샤워기 헤드 장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KR1020150160823A 2015-11-17 2015-11-17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KR10181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23A KR101813709B1 (ko) 2015-11-17 2015-11-17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823A KR101813709B1 (ko) 2015-11-17 2015-11-17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55A KR20170057555A (ko) 2017-05-25
KR101813709B1 true KR101813709B1 (ko) 2017-12-29

Family

ID=5905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823A KR101813709B1 (ko) 2015-11-17 2015-11-17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9212A1 (en) * 2020-02-21 2021-08-26 II Ronald Alan Meneou Animal restrain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78B2 (ja) * 1992-10-16 2001-01-15 エルナー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0324224Y1 (ko) * 2003-05-30 2003-08-21 김주경 동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기구
KR200446642Y1 (ko) * 2007-08-21 2009-11-17 이종호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78B2 (ja) * 1992-10-16 2001-01-15 エルナー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0324224Y1 (ko) * 2003-05-30 2003-08-21 김주경 동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기구
KR200446642Y1 (ko) * 2007-08-21 2009-11-17 이종호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9212A1 (en) * 2020-02-21 2021-08-26 II Ronald Alan Meneou Animal restraint device
US11751538B2 (en) * 2020-02-21 2023-09-12 II Ronald Alan Meneou Animal restrai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55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1452A1 (en) Portable infant washing tub
US5809588A (en) Collapsible baby tub
US9596962B2 (en) Infant towel drying mat
WO2006047327A2 (en) Shower curtain holder
KR20110110519A (ko)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KR101813709B1 (ko) 동물용 목욕 보조기구
US20050005875A1 (en) Portable dog-washing unit
US20140201901A1 (en) Infant bath with retractable sling
US20130025545A1 (en) Pe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188172A (ja) シャワーホルダ
KR101492170B1 (ko) 유아용 목욕 보조대
US7302715B1 (en) Bath accessory holder and scoop
JP6116944B2 (ja) ペット用洗浄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洗浄器具セット
KR101934507B1 (ko) 애완동물용 욕조
US2725576A (en) Splash shield for shower and bathtubs
KR102036371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JP2014171454A (ja) ペット用姿勢保持器具およびペット用入浴器具
KR101005667B1 (ko) 애완동물용 고정장치
KR102106636B1 (ko) 반려동물용 접이식 목욕 받침대
US1726753A (en) Bathtub
KR100493715B1 (ko) 애완견용 목욕보조기구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KR101698670B1 (ko) 애완동물의 세척-드라이작업시 작업보조용 애완동물 입식자세 유지 및 고정장치
JP2019216700A (ja) 愛玩動物の美容及びお風呂の台
JP3129368U (ja) ベビーバス用補助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