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317B1 -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 - Google Patents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317B1
KR101813317B1 KR1020147007354A KR20147007354A KR101813317B1 KR 101813317 B1 KR101813317 B1 KR 101813317B1 KR 1020147007354 A KR1020147007354 A KR 1020147007354A KR 20147007354 A KR20147007354 A KR 20147007354A KR 101813317 B1 KR101813317 B1 KR 10181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dle
degrees
bore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718A (ko
Inventor
요한 리쇼
윌리엄 청
Original Assignee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filed Critical 비수비우스 크루서블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4006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22D43/001Retaining slag during pouring molten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야금용 레이들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이들의 저부 또는 레이들의 저부 내의 레이들 블록(10)은 용융된 금속이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출구(21)를 갖는다. 레이들 저부는 출구 입구부의 중심을 벽의 중심에 연결하는 선에 직각인 주 치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벽(25)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개방-단부 채널(32)을 포함한다. 선택된 구성들에서, 개방-단부 채널(32)의 경계를 이루는 벽들(25)의 대향 면들은 각각 수평 평면 내에서 볼록하고 수평 평면 내에서 오목하다.

Description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DOUBLE ENTRY CHANNEL LADLE BOTTO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화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속 주조 작업에서 용융된 금속의 전달에 사용되는 내화성 형상체(shape)에 관한 것이다.
레이들(ladle)은 야금 작업 동안에 1 배치(batch)의 액체 금속을 보유 또는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이다. 슬래그(slag) 층이, 제강(production of steel)에서와 같이, 흔히 액체 금속의 상부 표면을 덮는다. 원하는 경우, 액체 금속은 레이들 저부(bottom)에 위치된 출구를 통해 레이들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되는 동안,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유리하게는, 슬래그에 의한 금속의 오염 없이 레이들로부터 완전히 비워질 것이다. 오염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중간 또는 최종 금속 제품의 결함뿐만 아니라 주조 또는 정련 작업에서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슬래그 오염은 부유하는 슬래그 및 혼입된(entrained) 슬래그 둘 모두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슬래그는 전형적으로 액체 금속보다 밀도가 낮고, 일반적으로 액체 금속의 정지된(quiescent) 배치의 표면 상에서 분리된 층으로 부유된다. 액체 금속을 붓는 동안, 슬래그는 유동하는 스트림 내에 혼입될 수 있다. 혼입은 용융된 강 내에서의 슬래그 입자들의 존재이다. 혼입은 종종 용융된 금속과 슬래그 사이의 계면을 난류가 교란시킬 때 일어난다. 그러한 난류는 용융 금속과 슬래그가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정지된 조건 하에서, 혼입된 슬래그는 결국 표면으로 부유될 것이지만, 주조의 난류는 용융된 금속 내에서 상당한 양의 혼입된 슬래그를 유지할 수 있다.
금속이 레이들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부유하는 슬래그는 출구에 접근하고 슬래그에 의한 금속 스트림의 오염의 가능성은 증가된다. 작업자는 레이들을 빠져나가는 용융된 금속 스트림 내에서 슬래그를 검출한 때 붓기를 멈출 것이다. 작업자는 심지어 레이들 유출물 내에서 슬래그를 피하기 위하여 붓기를 조기에 멈출 수도 있다. 레이들 내에 남아있는 슬래그 및 금속은 폐기된다. 폐기되는 금속은 수율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고비용이고 비효율적이지만, 동시에 슬래그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레이들 또는 레이들 유출물에서 슬래그를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 및 물품이 존재한다. 흔히, 이들 방법은 작업자에 의한 동작을 필요로 하고, 레이들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는 전자 및 음파 검출 장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이들 내에 배치된 검출기는 부유하는 슬래그가 침지된 검출기와 만날 때 전기 저항률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용융된 금속의 레벨의 강하를 검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음파 펄스는 레이들 유출물 내에서의 슬래그의 존재를 식별할 수 있다. 둘 모두의 기술은 슬래그의 존재만을 검출하고 유출물 내에서의 슬래그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한다.
소용돌이 현상은 레이들 유출물에서의 슬래그 혼입에 기여한다. 소용돌이는 월풀(whirlpool) 내에서와 같이 공간 내의 고립된 곡선 주위에서의 회전에 의해 지배되는 유체 운동의 발달이다. 레이들 내에서, 이러한 운동은 레이들의 출구를 통과하는 곡선 주위에서 발달한다. 소용돌이는, 일단 생성되면, 지속되는 경향을 갖는다.
종래 기술은 소용돌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개시한다. 하나의 그러한 구성은 출구에 접근하는 긴 캐스털레이션(castellation)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출구로부터 대칭적으로 퍼져가는 캐스털레이션들을 보여준다. 대칭적인 캐스털레이션들은 소용돌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소용돌이 감소에 대해 최적화되지 않았다.
소용돌이 및 결과적인 슬래그 혼입이 최소화된 물품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따라서, 소용돌이가 최소화되는 레이들 저부 구성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구성은, 폐기되는 금속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 출구를 통한 슬래그의 조기 유동을 피하는 것, 그리고 용융된 금속 배출물에서의 슬래그 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을 비롯한, 레이들 배출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용융된 금속이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출구를 갖는, 야금용 레이들, 야금용 레이들의 저부, 및 특히 출구 블록; 슬래그에 의한 오염 없이 레이들로부터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액체 금속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들 저부, 및 출구 채널을 갖는 출구 블록을 포함한다. 채널은 거리 W만큼 분리된 2개의 벽들에 의해 형성된다. 벽들은 레이들 블록 출구를 포함하는 블록 또는 블록의 연장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벽은 레이들 블록 출구를 포함하는 블록 또는 블록의 연장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레이들 블록은 사용 시에 레이들 저부의 다른 부분 또는 레이들 저부에 부착된 별도의 구조물이 제1 벽으로부터의 레이들 블록 출구의 대향 측에서 제2 채널 벽으로 역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벽은 출구 채널 입구부(outlet channel entrance)의 중심을 벽의 중심에 연결하는 선에 직각인 주 치수(major dimension)를 갖는다. 레이들 저부 출구는 2개의 벽들 사이에 놓인다. 2개의 벽들은 길이 L을 갖는다. 레이들 저부 출구는 그의 입구부에서 주 치수 D를 갖는다. D ≤ L ≤ 5 D, ½ D ≤ W ≤ 3.5 D, 및 0.8 ≤ L/W ≤ 2.5인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D ≤ W ≤ 3.5 D이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H > D이다. 벽이 수평 섹션에서 볼록한 또는 오목한 구성, 및 출구 포트에 의해 분리된 대향 벽들이 볼록/오목 쌍을 형성하는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이들 벽의 볼록함 및 오목함은 매끄러운 만곡 표면을 형성하도록 투사된 매끄러운 곡선의 형태일 수 있거나, 평면의 소면(planar facet)들을 형성하도록 투사된 일련의 선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매끄러운 곡선 부분들 및 평면의 소면 부분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투사된 하나 이상의 매끄러운 곡선들 및 하나 이상의 선들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벽들 중 하나 또는 각각은 그의 중간점에서 만곡된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의 선택된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의 선택된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실시예 C)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실시예 C)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실시예 D)의 레이들 저부의 내화성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 및 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들의 성능의 그래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 및 실시예 B와 실시예 C의 레이들 저부들의 성능의 그래프이다.
도 14는 유동 스트림라인(flow streamline)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perspective wire frame view)이다.
도 15는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7은 유동 경로 라인(flow pathline)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8은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9는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20은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레이들 블록(10)은 레이들 블록 본체(20)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출구 보어(outlet bore)(21)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하향으로 통과한다. 벽(25)들이 레이들 블록 본체(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벽(25)들은 출구 보어(21)의 대향 측들에 배치된다. 벽(25)들은 W의 폭을 갖는 출구 채널에 의해 분리된다. 벽(25)은 h로 표기된 높이를 갖는다. 벽(25)들은 L로 표기된 길이를 갖는다. 출구 보어(21)는 D로 표기된 주 치수를 갖는다. 벽 내부 표면(26)은 출구 보어(21) 위의 체적부에 대면하는 벽(25)의 부분이다.
출구 보어(21)는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내에 입구부를 가질 수 있다. 출구 보어(21)의 입구부는 원형일 수 있거나, 타원형으로 기술될 수 있다. 출구 보어(21)의 주 치수(D)는 벽(25)들의 길이(L)에 평행할 수 있다.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출구 보어(21)의 표면은 절두 원추형 부분(frustoconical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보통, 출구는 레이들의 낮은 지점에 있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에서, 단일 벽이 레이들 블록 본체(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출구 채널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벽(25), 및 단일 벽으로부터 출구 보어를 가로질러 위치된 상호작용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단일-벽 구성의 경우, W/2는 벽 내부 표면으로부터 보어의 중심점까지의 거리이다. 단일 벽 또는 2개의 벽들을 갖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상부 표면을 갖는 레이들 블록 본체로서,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에서 중심을 갖는 출구 보어를 한정하는,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내화성 레이들 블록으로서 한정될 수 있으며, 내화성 레이들 블록은 주 수평 중심 라인(27) 및 출구 보어에 인접하는 내부 표면(26)을 갖는 벽(25)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주 수평 중심 라인은 중심점(28)을 갖고,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의 출구 보어의 중심(30) 및 주 수평 중심 라인의 중심점(28)을 통과하는 선(29)은 주 수평 축에 직각이며,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의 출구 보어의 중심(30)으로부터 벽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31)는 W/2이고, ½D ≤ W 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 ≤ W, 또는 D ≤ W ≤ 3.5D 이다. 벽의 대향 단부들은 주 수평 중심 라인의 대향 단부들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D ≤ L ≤ 5 D, D ≤ W ≤ 3.5 D, 및 0.8 ≤ L/W ≤ 2.5인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정 구성에서, 1 ≤ L/W ≤ 1.5이다.
사용 시에, 레이들 블록 본체는 레이들 저부 내로 설치되어 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액체 금속 및 슬래그를 담기 위하여 레이들 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레이들의 벽들은 도 1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출구 보어(21)는 통상적으로 레이들의 낮은 지점에 있다.
노출된 벽 표면들은 수평면들, 수평에 대해 비스듬한 면들, 및 액체 금속에 노출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들은 레이들 저부에 대해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측벽들은 출구 위의 유동에 수두 압력을 허용하고 슬래그 오염을 감소시키도록 만곡되거나 모따기되거나 달리 형상화될 수 있다.
용융 금속이 출구 보어를 통해 레이들을 빠져나감에 따라, 슬래그가 상부에 부유하는, 레이들 내의 용융 금속의 레벨은 감소된다. 레이들 블록의 벽 또는 벽들은 소용돌이를 방지하며, 레이들 블록의 요소들의 기하학적 관계가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될 수직축 주위의 유동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갖는 수평 레이들 저부 표면들은, 용융 금속이 계속 출구를 향하게 하면서 슬래그를 수집 또는 포집하기 위하여, 액체 금속과 비교하여 보다 낮은 슬래그의 밀도 및 보다 높은 슬래그의 점도를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의 선택된 요소들의 평면 섹션의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출구 보어(21)는 한 쌍의 벽(25)들에 인접하고, 한 쌍의 벽들 중 하나는 출구 보어(21)에 대면하는 수평 평면 내의 볼록 표면을 갖고, 이들 중 다른 하나는 출구 보어(21)에 대면하는 수평 평면 내의 오목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벽은 이 섹션에서 볼 때의 직선형 중심부 및 이 섹션에서 볼 때의 측부 만곡 부분들을 갖는다. 벽 내부 표면(26)들은 출구 보어(21) 위의 체적부에 대면하는 벽(25)들의 부분들이다. 채널(32)은 벽 내부 표면(26)들 사이에서 벽(25)들에 의해 에워싸이는 체적부이다. 채널 중심선(34)은, 벽 내부 표면(26)들의 단부들에서 둥글게 되고 사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벽 내부 표면(26)들로부터 등거리인 채널(32)의 중심이다. 채널 중심선 반경(36)들은 채널 중심선(34)의 단부점들에서 채널 중심선에 직각인 선들이며, 이들은 채널 중심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channel center line described angle)(38)로 교차한다. 채널 중심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38)는 5 내지 120도, 5 내지 110도, 5 내지 100도, 또는 5 내지 90도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채널 출구각(channel exit angle)(39)은 벽 내부 표면(26)의 단부에 대한 벽 내부 표면(26)의 중심의 각도이며, 0 내지 40도, 5 내지 30도, 0 내지 30도, 5 내지 25도, 0 내지 25도, 5 내지 20도, 또는 0 내지 20도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채널 출구각(39)은 벽 내부 표면들의 단부들에서의 모따기 또는 둥글게 된 것에 대한 고려 없이 측정된다. 언급된 범위 내의 채널 출구각이 소용돌이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들 블록의 선택된 요소들의 평면 섹션의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출구 보어(21)는 출구 보어(21)에 대면하는 볼록 표면인 벽(25)에 인접한다. 벽 내부 표면(26)은 출구 보어(21) 위의 체적부에 대면하는 벽(25)의 부분이다. 채널 중심선(34)은 출구 보어(21)의 중심을 통과하는 벽 내부 표면(26)[벽 내부 표면(26)의 단부들에서 둥글게 되고 사면 형성된 것을 제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선이다. 채널 중심선 반경(36)들은 채널 중심선(34)의 단부점들에서 채널 중심선에 직각인 선들이며, 이들은 채널 중심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38)로 교차한다. 채널 중심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38)는 5 내지 120도, 5 내지 110도, 5 내지 100도, 또는 5 내지 90도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채널 출구각(39)은 벽 내부 표면(26)의 단부에 대한 벽 내부 표면(26)의 중심의 각도이며, 0 내지 40도, 5 내지 30도, 0 내지 30도, 5 내지 25도, 0 내지 25도, 5 내지 20도, 또는 0 내지 20도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채널 출구각(39)은 벽 내부 표면들의 단부들에서의 모따기 또는 둥글게 된 것에 대한 고려 없이 측정된다.
도 4는 출구 보어(21)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하향으로 통과하는 레이들 블록 본체(2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벽 레이들 블록(40)의 도면이다. 출구 보어(21)는 레이들 블록 본체(20)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벽(25)에 인접한다. 벽 내부 표면(26)은 출구 보어(21)에 인접하는 벽(25)의 표면이다. 벽 내부 표면(26)의 각각의 단부는 벽 플레어형 부분(wall flared portion)(43)으로 종결된다. 레이들 블록 본체(20)의 각각의 단부에서, 문턱(threshold)(45)이 상향 돌출한다. 레이들 블록 정합 표면(47)이 벽(25)에 대향하는 레이들 블록 본체(20)의 측부에 위치되며, 레이들 블록 정합 표면(47)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에 인접하는 벽을 형성하는 별도의 내화성 단편(piece)과 정합하도록 또는 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레이들 저부의 내부 반경방향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단일-벽 레이들 블록(4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A)의 사시도이다. 액체 금속 및 슬래그를 담도록 도시된 레이들 저부의 부분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레이들의 벽들의 상부 부분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단일-벽 문턱 레이들 블록(4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테라스 충돌 구역(54) 및 상부 테라스 인접 구역(56)은 레이들 저부(50)의 저부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중간 테라스(58)는 상부 테라스 충돌 구역(54) 또는 상부 테라스 인접 구역(56) 중 하나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는다. 퍼징 플러그(purging plug)(60)는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 또는 이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는 위치에서 레이들 저부(50)에 설치되며, 이 실시예에서, 퍼지 플러그(60)는 중간 테라스(58)에 인접하고 중간 테라스(58)보다 더 낮은 높이의 영역 내에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이들 블록(40)은 문턱(45)이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레이들 저부(50)에 설치된다.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과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 사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도 6은 단일-벽 레이들 블록(4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A)의 사시도이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단일-벽 문턱 레이들 블록(4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테라스 충돌 구역(54) 및 상부 테라스 인접 구역(56)은 레이들 저부(50)의 저부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중간 테라스(58)는 상부 테라스 충돌 구역(54) 또는 상부 테라스 인접 구역(56) 중 하나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는다. 퍼징 플러그(60)는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 또는 이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는 위치에서 레이들 저부(50)에 설치되며, 이 실시예에서, 퍼지 플러그(60)는 중간 테라스(58)에 인접하고 중간 테라스(58)보다 더 낮은 높이의 영역 내에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이들 블록(40)은 문턱(45)이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레이들 저부(50)에 설치된다.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의 내부 표면(26)과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 표면(26)은 플레어형 부분(43)으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D[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에서의 보어(21)의 직경], L[각각의 벽(25)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직선 거리], W[채널 벽(25)(플레어형 부분(43)을 제외)과 레이들 블록 정합 표면(47) 사이의 거리], 및 H[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벽(25)의 상부까지의 거리]에 의해 기술되는 기하학적 관계들을 갖는다. 246 ㎜의 D의 값에 대하여, D ≤ W ≤ 3.5 D (W는 246 ㎜ 내지 861 ㎜의 범위임), D ≤ L ≤ 5 D (L은 246 ㎜ 내지 1230 ㎜의 범위), 0.8 ≤ L/W ≤ 2.5, 및 H ≥ 1 D (246 ㎜ 이상)의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 W에 대하여 675 ㎜, D에 대하여 246 ㎜, L에 대하여 611 ㎜, 0.9의 L/W 비, 272 ㎜의 채널 높이 및 벽(25) 중간점에서의 채널의 중심선과 채널의 단부에서의 채널의 중심선 사이에서 20도의 각도의 값들은 이들 기준을 만족시킨다.
도 7은 이중-벽 레이들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B)의 사시도이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이중-벽의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테라스(58)는 레이들 저부의 저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문턱 구역(7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문턱 구역(72)들은 문턱 구역(72)이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구성된다.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이 각각의 문턱 구역(7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고 이에 인접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25)들은 출구 보어(21)의 대향 측들에서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들의 내부 표면(26)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faceted) 오목 표면이고, 다른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볼록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인 내부 표면(26)은 플레어형 부분(43)들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레이들 블록 경사면(ramp)(74)은 소면 형성된 내부 볼록 표면을 갖는 벽(25) 쪽으로부터, 출구 보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경사면은 출구 보어(21)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한다. 중간 테라스(58)의 수직 개구들은 포트 플러그(port plug)(76)들을 수용한다.
도 8은 이중-벽 레이들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B)의 사시도이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이중-벽의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테라스(58)는 레이들 저부의 저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문턱 구역(72)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문턱 구역(72)들은 각각의 문턱 구역(72)이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구성된다.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이 각각의 문턱 구역(7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고 이에 인접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25)들은 출구 보어(21)의 대향 측들에서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들의 내부 표면(26)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이고, 다른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볼록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인 내부 표면(26)은 플레어형 부분(43)들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레이들 블록 경사면(74)은 소면 형성된 내부 볼록 표면을 갖는 벽(25) 쪽으로부터, 출구 보어(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경사면은 출구 보어(21)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한다. 중간 테라스(58)의 수직 개구들은 포트 플러그(76)들을 수용한다.
도 9는 이중-벽 레이들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C)의 사시도이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이중-벽 문턱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테라스(58)는 레이들 저부의 저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문턱 구역(72)들은 벽(25)들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구역들이다.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이 각각의 문턱 구역(7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고 이에 인접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된다. 경사 영역(82)들은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멀리 기울어지며, 가장 낮은 지점들에서 경사 영역들은 이들이 인접하는 중간 테라스(58)의 높이를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들의 내부 표면(26)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이고, 다른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볼록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인 내부 표면(26)은 플레어형 부분(43)들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레이들 블록 경사면(74)은 소면 형성된 내부 볼록 표면을 갖는 벽(25) 쪽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면은 출구 보어(21)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한다. 중간 테라스(58)의 수직 개구들은 포트 플러그(76)들을 수용한다.
도 10은 이중-벽 레이들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50)(실시예 C)의 사시도이다. 레이들 저부(50)는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을 가지며, 이중-벽 문턱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의 정합 표면(이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이 내부 반경방향 표면(52)과 접촉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테라스(58)는 레이들 저부의 저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문턱 구역(72)들은 벽(25)들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구역들이다.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이 각각의 문턱 구역(7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고 이에 인접하도록 레이들 저부(50) 내에 설치된다. 경사 영역(82)들은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52)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멀리 기울어지며, 가장 낮은 지점들에서 경사 영역들은 이들이 인접하는 중간 테라스(58)의 높이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들의 내부 표면(26)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이고, 다른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볼록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인 내부 표면(26)은 플레어형 부분(43)들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출구 보어(21)의 내부 표면의 상부 부분은, 더 작은 반경을 갖는 단부에서 원통형 표면에 연결되는 절두체의 표면 또는 역전된 절두 원추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레이들 블록 경사면(74)은 소면 형성된 내부 볼록 표면을 갖는 벽(25) 쪽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면은 출구 보어(21)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한다. 중간 테라스(58)의 수직 개구들은 포트 플러그(76)들을 수용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D[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에서의 보어(21)의 직경], L[각각의 벽(25)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직선 거리], W[플레어형 부분(43)을 제외한 채널(32)의 벽들 사이의 거리] 및 H[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벽(25)의 상부까지의 거리]에 의해 기술되는 기하학적 관계들을 갖는다. 177 ㎜의 D의 값에 대하여, D ≤ W ≤ 3.5 D (177 ㎜ 내지 619 ㎜ 범위의 W), D ≤ L ≤ 5 D ( 177 ㎜ 내지 885 ㎜ 범위의 L), 0.8 ≤ L/W ≤ 2.5, 및 H ≥ 1 D (200 ㎜ 이상)인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 W에 대하여 483 ㎜, D에 대하여 177 ㎜, L에 대하여 592 ㎜, 0.9의 L/W 비, 200 ㎜의 채널 높이 및 벽(25) 중간점에서의 채널의 중심선과 채널의 단부에서의 채널의 중심선 사이의 13.6도의 각도의 값들은 이들 기준을 만족시킨다.
도 11은 이중-벽 레이들 블록(70)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 저부(실시예 D)의 내화성 부분의 사시도이다. 중간 테라스(58)는 레이들 저부의 저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문턱 구역(72)들은 벽(25)들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중간 테라스(58)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구역들이다. 레이들 블록(70)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이 문턱 구역(72)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고 이에 인접하도록 레이들 저부 내에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32)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 위에 그리고 벽(25)들의 내부 표면(26)들 사이에 형성된다. 벽(25)들은 레이들 블록 출구를 포함하는 블록에 의해 또는 블록의 연장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나의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오목 표면이고, 다른 내부 표면(26)은 소면 형성된 볼록 표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표면(26)들은 플레어형 부분(43)들로 종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21)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레이들 블록 경사면(74)은 소면 형성된 내부 볼록 표면을 갖는 벽(25) 쪽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면은 출구 보어(21)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 높이가 감소한다. 각각의 벽 내부 표면(26)은 리세스(recess)(84)를 내장하고,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세스(84)의 표면은 보어(21)의 연장된 축과 동축인 원통체의 반경방향 표면의 일부의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에서, 치수 W(채널 폭)는 리세스(84)의 치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리세스(84)의 치수들은 치수 W(채널 폭)가 다른 치수들과 관련될 때 배제된다. W는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의 높이에서 측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D[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에서의 보어(21)의 직경], L[각각의 벽(25)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직선 거리], W[플레어형 부분(43)들 또는 리세스(84)들을 제외한 채널(32)의 벽들 사이의 거리], 및 H[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23)으로부터 벽(25)의 상부까지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채널 높이]에 의해 기술되는 기하학적 관계들을 갖는다. 200 ㎜의 D의 값에 대하여, D ≤ W ≤ 3.5 D (200 ㎜ 내지 700 ㎜ 범위의 W), D ≤ L ≤ 5 D (200 ㎜ 내지 1000 ㎜ 범위의 L), 0.8 ≤ L/W ≤ 2.5 및 H ≥ 1.1 D의 구성이 소용돌이의 감소를 초래한다. W에 대하여 317 ㎜, D에 대하여 200 ㎜, L에 대하여 660 ㎜, L/W에 대하여 2.08, 250 ㎜의 채널 높이, 및 벽(25) 중간점에서의 채널의 중심선과 채널의 단부에서의 채널의 중심선 사이에서 10도의 각도의 값들은 이들 기준을 만족시킨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벽돌형 레이들 저부, 및 본 발명(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A)에 따른 단일-벽 레이들 블록이 설치되는 레이들 저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들을 비교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 위의 채널은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 레이들 블록 벽, 및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표면의 일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그래프의 횡좌표는 밀리미터로 측정된 출구 위의 강 레벨을 나타낸다. 종좌표는 톤(ton) 단위의 강 잔류 중량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점(110)들은, 종래 기술의 용기에 남아 있는 4500 ㎏(5톤)의 강 및 본 발명의 용기에 남아있는 2900 ㎏ (3.2톤)의 강에 대응하는, 약한 소용돌이가 시작되는 레벨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점(112)들은, 종래 기술의 용기에 남아 있는 2300 ㎏ (2.5 톤)의 강 및 본 발명의 용기 내의 730 ㎏ (0.8 톤)의 강에 대응하는, 강한 소용돌이가 시작되는 레벨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점(114)들은 표면 붕괴가 일어나는 레벨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레이들 저부에서, 표면 붕괴는 강 높이가 35 ㎜에 도달한 때 시작된다. 이는 종래 기술의 용기에 남아있는 1300 ㎏ (1.4 톤)의 강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서, 표면 붕괴가 일어날 때 460 ㎏ (0.5 톤)의 강이 용기 내에 남는다. 선(120)은 종래 기술의 레이들 저부 및 레이들 블록에 대해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선(122)은 본 발명의 레이들 저부 및 레이들 블록(실시예 A)에 대해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벽돌형 레이들 저부, 그리고 도 7과 도 8 및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 블록이 설치되는 레이들 저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들의 비교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보어 위의 채널은 출구 보어의 대향 측들의 2개의 레이들 블록 벽들 및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그래프의 점(110)들은 출구에 걸친 레이들 배출 동안에 약한 소용돌이가 시작될 수 있는 레벨들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구성의 경우, 약한 소용돌이는 4700 ㎏(5.2 톤)의 잔류 강에서 일어난다. 약한 소용돌이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 B에 대해서는 3400 ㎏ (3.8 톤)에서 일어나고,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 C에 대해서는 3000 ㎏ (3.3 톤)의 잔류 강에서 일어난다. 그래프의 점(112)들은 출구에 걸친 레이들 배출 동안에 강한 소용돌이가 일어날 수 있는 레벨들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구성의 경우, 강한 소용돌이는 85 ㎜ 또는 2400 ㎏ (2.6 톤)의 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조기의 소용돌이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 B에 의하면 100 ㎜ 또는 1700 ㎏ (1.9 톤)에서, 그리고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 C에 의하면 100 ㎜ 또는 1400 ㎏ (1.5 톤)에서 일어난다. 그래프의 점(114)들은 출구에 걸친 레이들 배출 동안에 표면 붕괴가 일어나는 레벨들을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구성의 경우, 표면 붕괴는 강 높이가 35 ㎜에 도달한 때 시작되는데, 이는 용기에 남아있는 910 ㎏ (1.0 톤)의 강에 대응한다. 표면 붕괴는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 C에 대하여 45 ㎜ 또는 360 ㎏ (0.4 톤)에서 그리고 도 7 및 도 8의 실시예 B에 대해서는 45 ㎜ 및 270 ㎏ (0.3 톤)에서 시작된다. 선(130)은 종래 기술의 레이들 저부 및 레이들 블록에 대해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선(132)은 본 발명의 레이들 저부 및 레이들 블록(실시예 B)에 대해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선(134)은 본 발명의 레이들 저부 및 레이들 블록(실시예 C)에 대해 얻어진 값들을 나타낸다.
도 14는 3600 ㎏/min (4 T/min )의 배출 속도에서의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스트림라인은 더 높은 액체 속도의 영역에서 유체 경로를 나타낸다. 채널의 입구부에서의 스트림라인은 동등하게 이격된다. 사용 시, 스트림라인은 레이들 블록 벽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a) 벽 내부 표면의 중심과 (b) 벽 내부 표면의 단부 사이의 각도를 0 내지 40도, 0 내지 30도, 0 내지 25도, 5 내지 20도, 또는 0 내지 20도의 범위 내에서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림라인은 벽 수직 표면을 따르고 있으며, 각도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이어지는 채널 벽들에 따른 스트림라인 분리를 생성할 정도로 충분히 크지는 않다.
도 15는 3600 ㎏/min (4 T/min)의 배출 속도에서의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A)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스트림라인은 더 높은 액체 속도의 영역에서 유체 경로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채널 벽(26)을 따르는 유동 스트림라인은 벽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더 큰 각도는 소용돌이 형성으로 이어지는 유동 분리를 촉진할 것이다.
도 16은 3600 ㎏/min (4 T/min)의 배출 속도에서의 유동 스트림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와이어 프레임 사시도이다. 스트림라인은 더 높은 액체 속도의 영역에서 유체 경로를 나타낸다. 사용 시, 스트림라인은 레이들 저부 내부 반경방향 벽에 인접하는 레이들 블록 벽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a) 벽 내부 표면의 중심과 (b) 벽 내부 표면의 단부 사이의 각도를 0 내지 40도, 0 내지 30도, 0 내지 25도, 5 내지 20도, 또는 0 내지 20도의 범위 내에서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7은 120 ㎜의 유체 높이에 대해 유래된 유동 경로 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100 ㎜의 유체 높이에 대해 유래된 유동 경로 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80 ㎜의 유체 높이에 대해 유래된 유동 경로 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60 ㎜의 유체 높이에 대해 유래된 유동 경로 라인을 도시하는, 본 발명(실시예 B)의 레이들 저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내화성 블록은 레이들에서의 내화성 블록의 사용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는 또한 턴디시(tundish)와 같은, 용융된 금속의 수용 및 전달을 위한 다른 용기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2)

  1. 내화성 레이들 블록(refractory ladle block)으로서,
    상부 표면을 갖는 레이들 블록 본체로서,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에서 중심을 갖는 출구 보어(outlet bore)를 형성하는, 레이들 블록 본체;
    주 수평 중심 라인(major horizontal central line), 높이(h), 및 상기 출구 보어에 인접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 벽
    을 포함하며, 상기 주 수평 중심 라인은 중심점을 갖고,
    상기 출구 보어의 중심 및 상기 주 수평 중심 라인의 상기 중심점을 통과하는 선은 상기 주 수평 중심 라인에 직각이며,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에서의 상기 출구 보어의 주 치수(main dimension)가 D이고,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의 평면 내에서의 출구 보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벽의 내부 표면까지의 거리가 W/2이며,
    ½ D ≤ W 이고,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의 각각의 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문턱(threshold)은 상기 벽의 높이(h)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D ≤ W 인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½ D ≤ W ≤ 3.5D인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내부 표면은 중심 및 단부를 가지며,
    상기 벽의 내부 표면의 중심, 및 사면 형성(beveling)과 모따기(chamfering)를 제외한 상기 벽의 내부 표면의 단부는 채널 출구각(channel exit angle)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출구각은 0도(0도 포함) 내지 40도(40도 포함)의 값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출구각은 0도(0도 포함) 내지 30도(30도 포함)의 값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출구각은 0도(0도 포함) 내지 25도(25도 포함)의 값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출구각은 0도(0도 포함) 내지 20도(20도 포함)의 값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출구각은 5도(5도 포함) 내지 20도(20도 포함)의 값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L이 각각의 벽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고,
    D ≤ L ≤ 5 D인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주 수평 중심 라인 및 상기 출구 보어에 인접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 제2 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주 수평 중심 라인은 중심점을 갖고, 상기 벽들은 상기 출구 보어의 대향 측들에 배치되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출구 보어에 대면하는 볼록한 수평 섹션을 갖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출구 보어에 대면하는 오목한 수평 섹션을 갖는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12.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벽의 대향 단부들은 상기 주 수평 중심 라인의 대향 단부들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D가 상기 레이들 블록 본체 상부 표면에서의 상기 보어의 직경을 나타내고,
    L이 각각의 벽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고,
    D ≤ L ≤ 5 D인 것인, 내화성 레이들 블록.
KR1020147007354A 2011-09-22 2012-07-25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 KR101813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7905P 2011-09-22 2011-09-22
US61/537,905 2011-09-22
PCT/US2012/048068 WO2013043257A1 (en) 2011-09-22 2012-07-25 Double entry channel ladle bott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718A KR20140063718A (ko) 2014-05-27
KR101813317B1 true KR101813317B1 (ko) 2017-12-28

Family

ID=4791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354A KR101813317B1 (ko) 2011-09-22 2012-07-25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579721B2 (ko)
EP (1) EP2758194A4 (ko)
JP (1) JP6158814B2 (ko)
KR (1) KR101813317B1 (ko)
CN (2) CN103796774B (ko)
AR (1) AR087894A1 (ko)
AU (1) AU2012312938B2 (ko)
BR (1) BR112014006575B1 (ko)
CA (1) CA2843523C (ko)
CL (1) CL2014000688A1 (ko)
EA (2) EA201691688A1 (ko)
MX (1) MX349092B (ko)
MY (1) MY180823A (ko)
NZ (1) NZ620457A (ko)
TW (1) TWI568521B (ko)
UA (1) UA113965C2 (ko)
WO (1) WO2013043257A1 (ko)
ZA (1) ZA201400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30349T2 (en) * 2013-04-26 2017-05-29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Casting sink and mold
JP6192604B2 (ja) * 2014-06-26 2017-09-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取鍋操業方法
CN104384488A (zh) * 2014-11-04 2015-03-04 西宁特殊钢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钢水卷渣的钢包设计方法
BR102019024046A2 (pt) * 2019-11-14 2021-05-25 Saint-Gobain do Brasil Produtos Industriais e para Construção Ltda. método para revestir fundo de panela de aço
KR102254735B1 (ko) * 2020-04-02 2021-05-24 주식회사 원진월드와이드 용강 와류화 방지를 위한 레이들 바닥블록 및 이를 이용한 레이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708A1 (en) * 2002-02-05 2007-02-08 Vesuvius Crucible Company Ladle botto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2411U (ko) * 1975-09-19 1977-03-25
NL8503275A (nl) * 1985-11-27 1987-06-16 Hoogovens Groep Bv Staalpan voor het gieten van staal.
US4746102A (en) * 1987-03-20 1988-05-24 Bethlehem Steel Corporation Drain hole design for ladle
LU87752A1 (fr) * 1990-06-20 1992-01-15 Arbed Amelioration aux dispositifs servant a faire ecouler du metal en fusion
US5196051A (en) 1991-07-19 1993-03-23 Premier Refractories And Chemicals Inc. Ladle and method for draining liquid metal with improved yield
CA2084845A1 (en) * 1992-12-08 1994-06-09 Roderick I.L. Guthrie Flow control device for the suppression of vortices
US5879616A (en) * 1996-01-22 1999-03-09 Harbison-Walker Refractories Company Metallurgical vesse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824263A (en) * 1996-01-22 1998-10-20 Harbison-Walker Refractories Company Ladle brick leveling set
JP2000218362A (ja) * 1999-01-28 2000-08-08 Tokyo Yogyo Co Ltd ノロ巻き込み防止用ウエルブロック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溶融金属用容器
US6723275B2 (en) 2001-01-16 2004-04-20 Tetron, Inc. Vortex inhibitor with sacrificial rod
EP1474257B1 (en) 2002-02-05 2006-03-15 Vesuvius Crucible Company Ladle bottom
CN2683284Y (zh) * 2004-01-07 2005-03-09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减少浇余钢水的钢包
CN2903085Y (zh) * 2006-03-14 2007-05-23 钢铁研究总院 一种有防旋涡下渣装置的熔炼炉或容器
WO2007107213A1 (en) * 2006-03-20 2007-09-27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Distributor device for use in metal casting
JP4765770B2 (ja) * 2006-05-25 2011-09-0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渦流の抑制方法、転炉、並びに溶銑又は溶鋼の製造方法
US8110142B2 (en) 2008-02-18 2012-02-07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High yield ladle bottoms
CN101549397A (zh) * 2008-03-31 2009-10-07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钢水罐下渣量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708A1 (en) * 2002-02-05 2007-02-08 Vesuvius Crucible Company Ladle bott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8733A (zh) 2013-05-16
AU2012312938A1 (en) 2014-02-20
EA026002B1 (ru) 2017-02-28
EA201691688A1 (ru) 2017-01-30
EP2758194A1 (en) 2014-07-30
ZA201400814B (en) 2015-10-28
MX2014003510A (es) 2014-06-23
MY180823A (en) 2020-12-09
WO2013043257A1 (en) 2013-03-28
CA2843523C (en) 2017-08-22
AR087894A1 (es) 2014-04-23
BR112014006575B1 (pt) 2018-08-28
CN107081422A (zh) 2017-08-22
US9579721B2 (en) 2017-02-28
EA201490488A1 (ru) 2014-07-30
BR112014006575A2 (pt) 2017-04-04
CA2843523A1 (en) 2013-03-28
MX349092B (es) 2017-07-10
JP6158814B2 (ja) 2017-07-05
US20140339271A1 (en) 2014-11-20
JP2014526386A (ja) 2014-10-06
CN103796774A (zh) 2014-05-14
CN103796774B (zh) 2016-09-14
CL2014000688A1 (es) 2014-08-22
TWI568521B (zh) 2017-02-01
KR20140063718A (ko) 2014-05-27
UA113965C2 (uk) 2017-04-10
NZ620457A (en) 2014-12-24
EP2758194A4 (en) 2015-04-01
AU2012312938B2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17B1 (ko) 이중 유입 채널 레이들 저부
JP5451868B2 (ja) 連続鋳造装置の浸漬ノズル
US6533992B1 (en) Tundish
RU2203771C2 (ru) Погружное сопло
EP3194095B1 (en) Impact pad, tundish and apparatus including the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035337B1 (ko) 연속 주조용 침지 노즐
JP4271551B2 (ja) タンディッシュによる高清浄度鋼の連続鋳造装置
JP4714539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
US9643248B2 (en) Impact pad, tundish and apparatus including the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0079989A (ko) 레이들 바닥
AU2009321773B2 (en) Tundish impact pad
US7611665B2 (en) Ladle bottom
JP4578555B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20100035821A (ko) 턴디쉬
JP2004283848A (ja) 鋼の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EP3725430A1 (en) Molten material processing device
JPH04351251A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タンディッシュ熱間回転用タンディッシュ
JP2015100817A (ja) 連続鋳造装置の浸漬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