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57B1 -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57B1
KR101813257B1 KR1020160182387A KR20160182387A KR101813257B1 KR 101813257 B1 KR101813257 B1 KR 101813257B1 KR 1020160182387 A KR1020160182387 A KR 1020160182387A KR 20160182387 A KR20160182387 A KR 20160182387A KR 101813257 B1 KR101813257 B1 KR 10181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information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건
정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이치아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전기차의 위치정보,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충전요청정보와 매칭되는 충전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EV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언제 어디서나 EV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 또는 충전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292호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교체 충전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이하게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전기차의 위치정보,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충전요청정보와 매칭되는 충전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통신모듈; 각각의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복수 개의 배터리 팩을 저장하는 이차전지 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수단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 및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상태정보 및 교체정보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상기 이차전지 모듈, 상기 충전 수단모듈 및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을 거치시켜 상기 전기차로 이동하기 위한 2륜 전동기, 4륜 전동기, 비행 가능한 무인 드론 중 어느 하나인 이송수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은 각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배터리 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저장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저장부의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잔존 용량, 배터리 용량 퇴화도, 배터리 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사용가능 개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실리콘 재질의 절연 유인 냉각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냉각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일측에 연통로가 형성된 차단막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된 형태로 배열되고, 환봉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일정 개수 씩 한 묶음으로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되고, 상기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종열로도 배치되고, 상기 한 묶음으로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들은, 상기 배터리 셀들을 감싸는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 커버를 연결하되,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에 상기 냉각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핀으로 구성된 상기 방열 유닛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횡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에 대하여 다음 종열에 횡열로 배치되는 다른 횡열의 배터리 셀들은 옆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사용자 인증 및 전기차 정보를 등록하는 일련의 정보 및 절차를 관리하는 고객인증 관리부;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고객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정보, 상태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충전 스테이션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충전 서비스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전기차의 위치정보, 기종,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전기차의 충전예약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충전에 따른 충전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 및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기록할 수 있는 커뮤니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수단모듈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기 연결부; 및 충전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종류에 적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충전방식 선택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 및 장소에 상관없이,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일 예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서비스 서버의 일 예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 내의 이차 전지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배터리 셀들에 방열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에 제공되는 방열 유닛의 제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에 제공되는 방열 유닛의 제2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차 전지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냉각 시스템에 의한 이차 전지 모듈의 냉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100), 이동형 충전 스테이션(1200) 및 충전 서비스 서버(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각 참고로, 각 구성요소들(1100, 1200, 13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100)과 서비스 서버(1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0)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고 충전 서비스 서버(1300)를 경유하여 이동형 충전 스테이션(12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Network)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100)은 충전 서비스 서버(1300)에 회원 으로 가입된 등록 단말일 수 있으며, 소정의 인증처리과정 후, 상기 서비스 서버(400)에서 제공된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전기차(EV)의 위치정보,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이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인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전기차(EV)의 위치정보, 전기차의 기종,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정보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충전예약정보(가령, 시간, 날짜, 장소 등)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정보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충전에 따른 충전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무통장 입금서비스 및 카드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결제방식은 상술한 내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드 포인트, 캐시백 등으로 대체 결제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기록할 수 있는 커뮤티니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인터페이스는 facebook like 버튼, SNS 플러그인 기능, 네이터 블로그 연동, 페이스북 연동, 트위터 연동, RSS 피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100)은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에서 제공된 충전 서비스 플랫폼과 접속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셀(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1200)은 충전 서비스 서버(130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0)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100)에서 요청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1200)은 이송수단유닛(1210), 통신모듈(1220), 이차전지 모듈(1230), 충전 수단모듈(1240) 및 배터리 관리모듈(1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유닛(1210)은 이차전지 모듈(1230) 및 충전 수단모듈(1240)을 거치할 수 있는 이송장치로서, 2륜, 4륜의 전동기(자동차, 오토바이 등), 비행가능한 무인 드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열거한 이송장치만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통신모듈(1220)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와 연동한다. 상기 통신모듈(1220)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관리모듈(1250)에서 수집/관리된 정보(예컨대, 통신모듈의 위치정보, 배터리 저장부의 저장정보, 충전 수단부의 동작정보 등)를 충전 서비스 서버(1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에서 제공한 사용자 단말(1100)의 위치정보, 전기차의 배터리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네트워크(Network)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이차전지 모듈(1230)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1231)으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1231)은 충전식 배터리 팩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1231)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1231a)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모듈(1230)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1231)을 정렬시켜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모듈(1230)는 배터리 팩(1231)의 충전상태, 예컨대, 배터리 셀의 용량 정보, 충전 가능량, 방전량 등을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doe: OLED) 패널,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doe, AMOLED) 패널 등과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수단모듈(1240)은 상기 이차전지 모듈(1230)의 어느 하나의 배터리 팩을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고속 충전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수단모듈(1240)은 기기 연결부(1241) 및 충전방식 선택부(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연결부(1241)는 배터리 팩과 전기차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충전방식 선택부(1242)는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전기차(EV)의 배터리 종류별로 적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충전방식은 Trickle charger 충전방식, Fast Charger 충전방식, Pulse Charger 충전방식, DEW(Dynamic Electrochemical Waveform) 충전방식, DC 부스터 충전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Pulse Charger 충전방식은 (+)의 정전류를 공급한 뒤 일정시간 후 (-)의 정전류를 짧은 시간동안 공급하는 식으로 충전시 펄스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상기 DEW(Dynamic Electrochemical Waveform) 충전방식은 (+)의 정전류 공급후 (-)의 정전류를 2회 정도의 Pulse 형태의 전류로 반복적 충전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125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 및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상태정보 및 교체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1250)는 상기 배터리 팩의 보호 제어 기능, 배터리 팩의 수명 예측 제어 기능, 또는 배터리 팩의 충전 및 방법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이 최대 성능을 나타내면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1250)는 정보 수집부(1251), 모니터링부(1252) 및 통신부(1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1251)는 각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의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252)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저장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부(1252)는 배터리 셀 양단의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잔존 용량, 배터리 용량 퇴화도, 배터리 셀의 온도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통신부(1253)는 상기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셀 및 이차전지 모듈의 상태정보를 통신모듈(1210)로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253)는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서비스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는 사용자 단말(1100)에서 발생한 전기차(EV)의 위치정보, 배터리 정보, 충전요청 정보, 결제정보 등이 포함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100)의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와 매칭되는 충전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1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1300)는 입출력부(1310), 고객인증 관리부(1320), 플랫폼 제공부(1330), 고객정보 수집부(1340), 충전 스테이션 정보 관리부(1350), 정보 처리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310)는 상기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0) 및 이동식 충전스테이션(1200)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고객인증 관리부(1320)는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사용자 인증 및 전기차 정보를 등록하는 일련의 정보 및 절차를 관리한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1330)는 사용자가 전기차(EV)의 위치정보, 전기차의 기종,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충전예약정보(가령, 시간, 날짜, 장소 등)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충전에 따른 충전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및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기록할 수 있는 커뮤티니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상기 고객정보 수집부(1340)는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0)에서 입력된 고객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 관리부(1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정보, 상태정보(예컨대, 배터리 팩의 수, 각 배터리 팩의 충전상태, 배터리 팩의 총 사용가능량 등)을 수집 및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스테이션 관리부(1350)는 복수 개의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들 각각에 구비한 이차전지 모듈(1230)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부의 상태정보 및 충전 수단부에서 수행가능한 충전방식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상기 결제 처리부(1360)는 충전에 따른 충전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한다.
상기 커뮤니티부(1370)는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기록할 수 있는 커뮤티니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1380)는 사용자 단말(1100)의 이벤트 정보, 예컨대, 충전 서비스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과 가장 인접한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1200)의 상태정보를 추출한 후, 입출력부(1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1370)는 추출한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통신모듈에 충전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충전지시 메시지는 충전결제정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지정한 위치정보, 충전할 전기차의 배터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 모듈의 일 실시 예 및 이차전지 모듈의 냉각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 내의 이차 전지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이동형 캐리어(10)에 복수 개가 적층되게 수납될 수 있다.
즉, 이동형 캐리어(10)에 대하여 복수 개의 이차 전지 모듈(100)이 적층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캐리어(10)의 하부 쪽 양 측면에는 DC 부스터(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성이 우수한 2륜 자동차 등에 적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형 캐리어(10)에는 충전이 완료된 이차 전지 모듈(100)이나 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 충전을 실시하여 방전된 이차 전지 모듈(100) 등이 적층식으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이차 전지 모듈(100)이 적재된 이동형 캐리어(10)를 2륜 자동차 등에 적재한 상태에서 배터리가 방전된 전기 자동차가 위치한 장소로의 이동이 매우 간편하게 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DC 부스터(20)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빠른 시간 내에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 모듈(100)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이차 전지 모듈(100) 자체를 충전시키는 과정에서 이차 전지 모듈(100) 내의 배터리 셀(200)들은 과부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때 배터리 셀(200)들에 의한 승온에 의해 이차 전지 모듈(100)의 온도가 20℃를 넘게 되는 경우, 과열에 따라 이차 전지 모듈(100)을 이루는 각 부속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 전지 모듈(100)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의 경우, 후술되는 냉각 시스템에 의해 이차 전지 모듈(100) 내부로 냉각 오일을 순환시킴에 따라 과열을 방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냉각 오일이 유입 또는 유출되기 위한 구조와, 냉각 오일이 순환하기 위한 유로를 갖출 수 있으며, 특히 냉각 오일과의 접촉 면적을 높임으로써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배터리 셀들에 방열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에 제공되는 방열 유닛의 제1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에 제공되는 방열 유닛의 제2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은, 내부에 직립된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은 대략 환봉 형태로 이루어져서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은 케이스(110)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 내에서 한 쪽 방향의 제1 영역과(A) 다른 한쪽 방향의 제2 영역(B)에 묶음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의 중간 부위에는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구획시키기 위한 차단 막(1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영역(A) 또는 제2 영역(B) 중, 어느 하나의 영역과 연통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영역과 연통되는 케이스(110)의 타측에 유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영역(A)과 연통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제2 영역(B)과 연통되는 케이스(110)의 타측에 유출구(114)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그 위치 관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은 일정 개수가 나란한 횡열로 배치되고, 나란한 횡열의 배터리 셀(200)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종열로도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에서는, 제1 영역(A)에 일정 간격을 두고 3개의 배터리 셀(200)들이 횡열로 배치되고, 이러한 3개의 횡열 배터리 셀(200)들이 종열로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개수 및 배열 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횡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에 대하여 다음 종열에 횡열로 배치되는 다른 횡열의 배터리 셀(200)들은 옆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의 1번 줄에 3개의 배터리 셀(20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열로 배치된 상태에서, 2번 줄에 횡열로 배치되는 3개의 배터리 셀(200)들은, 1번 줄의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3번 줄에 배치되는 3개의 배터리 셀(200)들은 1번 줄에 배치되는 3개의 배터리 셀(200)들과 동일한 종열로 배치되고, 4번 줄에 배치되는 3개의 배터리 셀(200)들은 2분 줄에 배치되는 3개의 배터리 셀(200)들과 동일한 종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1번 줄의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는 2번 줄의 배터리 셀(200)들이 위치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열 관계에 따른 작동 관계는 후에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에 횡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은 방열 유닛(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묶음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열 유닛(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형태의 배터리 셀(200)들을 감쌀 수 있는 방열 커버(310)와, 이 방열 커버(310)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냉각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방열 핀(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열 유닛(300)은 환봉 형태의 배터리 셀(200)들을 감싸게 됨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0)들을 일측 방향에서 감싸도록 조립시키기 위한 제1 방열 부재(350)와, 배터리 셀(200)들을 타측 방향에서 감싸도록 조립시키기 위한 제2 방열 부재(360)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열 부재(350)는 배터리 셀(200)들의 일측 부위를 감싸도록 단면 형상이 반구 형상을 이루는 제1 수용부(312)와, 이 제1 수용부(312)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제1 방열 핀(322)들을 포함하고, 제2 방열 부재(360)는 배터리 셀(200)들의 타측 부위를 감싸도록 단면 형상이 반구 형상을 이루는 제2 수용부(314)와, 이 제2 수용부(314)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제2 방열 핀(3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 방향에서 제1 방열 부재(350)를 결합시키고, 다른 한쪽 방향에서 제2 방열 부재(360)를 포개면서 결합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은 제1 방열 부재(350)의 제1 수용부(312)와 제2 방열 부재(360)의 제2 수용부(314)에 의해 감싸짐에 따라 방열 커버(310)를 이루게 되고, 서로 인접하는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방열 핀(3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 핀(320)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이 이격 공간은 냉각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방열 유닛(300)은 열 교환 효율이 높고 방열 성능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별도의 도며 부호를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방열 커버(310)의 외면 둘레 즉, 제1 수용부(312)와 제2 수용부(314)의 외면 둘레에도 제1 방열 핀(322) 및 제2 방열 핀(324)과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방열 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이차 전지 모듈의 냉각 시스템에 의한 이차 전지 모듈의 냉각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0)의 냉각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의 이차 전지 모듈(100)과, 오일 펌프(510),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 라디에이터(5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차 전지 모듈(100)의 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112)는 오일 펌프(510)와 제1 유로 관(600)으로 연결되고, 이차 전지 모듈(100)의 케이스(110) 타측에 형성되는 유출구(114)는 라디에이터(530)와 제2 유로 관(610)으로 연결되며, 라디에이터(530)와 오일 펌프(510)는 제3 유로 관(6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오일 펌프(510)는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제1 유로 관(600)을 통해 냉각 오일을 이차 전지 모듈(10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은, 냉각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공되는 냉각 오일은 실리콘 재질의 절연 유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지 모듈(100)의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된 온도를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은 이차 전지 모듈(100)에 설치될 수 있는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이차 전지 모듈(100) 내의 온도 감지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온도 값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오일 펌프(5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오일 펌프(5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냉각 오일을 이차 전지 모듈(1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100)의 냉각 시스템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차 전지 모듈(100)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이차 전지 모듈(100)을 자체를 충전하는 경우, 이차 전지 모듈(100) 내에 구비될 수 있는 온도 감지 센서는 이차 전지 모듈(100) 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값을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으로 송신한다.
이때, 배터리 셀(200)들의 과열에 의해 이차 전지 모듈(100)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고, 이에 대한 온도 값을 온도 감지 센서가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으로 송신하게 되는 경우, 오일 펌프 구동 유닛(520)은 오일 펌프(510)에 구동 신호를 입력한다.
구동 신호의 입력으로 오일 펌프(510)가 구동하게 되면, 냉각 오일은 제1 유로 관(600)을 통해 이차 전지 모듈(100)의 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2)로 유입되고,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냉각 오일은 제1 영역(A)에 배치된 배터리 셀(200)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차 전지 모듈(100)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냉각 오일은 제1 영역(ㅁ)의 첫 번째 줄에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200)들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첫 번째 줄에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200)들은 방열 유닛(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바, 각 배터리 셀(200)들을 감싸고 있는 방열 커버(310)들과 접촉이 이루어지고, 각 방열 커버(310)들을 연결하고 있는 방열 핀(320)들 사이를 통해 통과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냉각 오일은 방열 유닛(300)과의 접촉에 의해 열 교환을 이루게 됨으로써, 배터리 셀(200)들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 셀(200)들이 발열을 하게 되는 경우, 그 열은 배터리 셀(200)들을 감싸고 있는 방열 커버(310)들과, 이 방열 커버(310)들을 연결하는 방열 핀(320)들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배터리 셀(200)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냉각 오일이 방열 유닛(300)의 방열 커버(310)들 및 방열 핀(320)들과 직접 접촉을 이루게 됨에 따라 열 교환을 이루게 됨으로써, 배터리 셀(200)들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 번째 횡열의 배터리 셀(200)들을 통과한 냉각 오일은 첫 번째 횡열의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 배치되는 두 번째 횡열의 배터리 셀(200)들과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 열에 횡열로 배치되는 배터리 셀(200)들은, 앞선 열에 횡열로 배치되는 배터리 셀(200)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배터리 셀(200)들 사이의 방열 핀(320) 사이 공간을 통해 통과한 냉각 오일은 배터리 셀(200)을 감싸는 방열 커버(310)와 접촉을 이루면서 측 방향으로 이동 경로를 바꾸어 방열 핀(320)들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 오일은 제1 영역(A)의 배터리 셀(200)들과 접촉 시간 및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배터리 셀(200)들에 대한 냉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A)의 배터리 셀(200)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각시킨 냉각 오일은 이차 전지 모듈(100)의 후방 쪽, 즉 유입구(112)와 유출구(114)가 형성된 부위와 대향되는 반대 쪽에 형성된 연통로(C)를 통과하여 제2 영역(B)의 배터리 셀(200)들을 연결하는 방열 유닛(300) 사이를 통과하면서 계속해서 냉각시키게 된다.
제 2영역(B)의 배터리 셀(200)들 또한 횡열로 배치된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도 방열 유닛(300)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배터리 셀(200)들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200)들과 열 교환에 의해 냉각시킨 냉각 오일은 유입구(112)를 통해 이차 전지 모듈(100)로 유입되었을 경우보다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유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냉각 오일은 제2 유로 관(610)을 통해 라디에이터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라디에이터(530)로 공급된 냉각 오일은 라디에이터(53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 교환을 이루어 다시 냉각된 후, 제3 유로 관(620)을 통해 오일 펌프(510)로 공급되고, 오일 펌프(510)는 다시 냉각된 냉각 오일을 제1 유로 관(600)과 유입구(112)를 통해 이차 전지 모듈(100)로 재 공급을 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 및 장소에 상관없이, 전기차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차 전지 모듈 110 : 케이스
112 : 유입구 114 : 유출구
200 : 배터리 셀 300 : 방열 유닛
310 : 방열 커버 312 : 제1 수용부
324 : 제2 수용부 320 : 방열 핀
322 : 제1 방열 핀 324 : 제2 방열 핀
350 : 제1 부재 360 : 제2 부재
510 : 오일 펌프 520 : 오일 펌프 구동 유닛
530 : 라디에이터 600 : 제1 유로 관
610 : 제2 유로 관 620 : 제3 유로 관
1000: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1100: 사용자 단말 1200: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
1210: 이송수단유닛 1220: 통신모듈
1230: 이차전지 모듈 1231: 배터리 팩
1231a: 배터리 셀 1240: 충전 수단모듈
1241: 기기 연결부 1242: 충전방식 선택부
1250: 배터리 관리모듈 1251: 정보 수집부
1252: 모니터링부 1253: 통신부
1300: 충전 서비스 서버 1310: 입출력부
1320: 고객인증 관리부 1330: 플랫폼 제공부
1340: 고객정보 수집부 1350: 충전 스테이션 관리부
1360: 결제 처리부 1370: 커뮤니티부
1380: 정보처리부

Claims (8)

  1.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전기차의 위치정보,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충전요청정보와 매칭되는 충전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통신모듈;
    각각의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로 구성된 복수 개의 배터리 팩을 저장하는 이차전지 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수단모듈;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팩 및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상태정보 및 교체정보를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상기 이차전지 모듈, 상기 충전 수단모듈 및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을 거치시켜 상기 전기차로 이동하기 위한 2륜 전동기, 4륜 전동기, 비행 가능한 무인 드론 중 어느 하나인 이송수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모듈은
    각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배터리 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저장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저장부의 상태정보를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양단의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잔존 용량, 배터리 용량 퇴화도, 배터리 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사용가능 개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실리콘 재질의 절연 유인 냉각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냉각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일측에 연통로가 형성된 차단막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된 형태로 배열되고, 환봉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일정 개수 씩 한 묶음으로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되고, 상기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들은 일정 간격을 두고 종열로도 배치되고,
    상기 한 묶음으로 나란하게 횡열로 배치된 배터리 셀들은, 상기 배터리 셀들을 감싸는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 커버를 연결하되,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에 상기 냉각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방열 핀으로 구성된 상기 방열 유닛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횡열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에 대하여 다음 종열에 횡열로 배치되는 다른 횡열의 배터리 셀들은 옆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입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사용자 인증 및 전기차 정보를 등록하는 일련의 정보 및 절차를 관리하는 고객인증 관리부;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고객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고객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위치정보, 상태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충전 스테이션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충전 서비스 요청정보에 상응하는 이동식 충전 스테이션의 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전기차의 위치정보, 기종, 배터리 정보 및 충전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전기차의 충전예약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정보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충전에 따른 충전료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 및
    충전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기록할 수 있는 커뮤니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수단모듈은
    상기 배터리 팩과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기 연결부; 및
    충전 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어,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 종류에 적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충전방식 선택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0160182387A 2016-11-23 2016-12-29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1813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24 2016-11-23
KR20160156424 2016-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57B1 true KR101813257B1 (ko) 2018-01-03

Family

ID=6100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387A KR101813257B1 (ko) 2016-11-23 2016-12-29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57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9403A (zh) * 2018-03-13 2018-08-24 万帮充电设备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
CN109649210A (zh) * 2018-12-21 2019-04-19 广西科技大学 一种电动物流车及其预约自助充电管理系统
KR20190099553A (ko) * 2018-02-19 2019-08-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배터리용 순차이동식 스마트 자동교체 장치
KR102046995B1 (ko) 2018-10-31 2019-12-04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20200061806A (ko) * 2018-11-26 2020-06-03 브이젠 주식회사 개별 차량의 충전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차량충방전시스템 및 그 충방전방법
KR102125901B1 (ko) 2019-04-05 2020-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1798589A (zh) * 2019-04-04 2020-10-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10054158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전기차 빅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방법
KR20210054160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69730B1 (ko) * 2020-10-21 2021-06-28 한중근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KR20210083039A (ko) * 2019-12-26 2021-07-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의 가용배터리 조회방법
KR102349816B1 (ko) * 2021-06-21 2022-01-12 이온어스(주) 온라인을 통한 방문형 전기차 충전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7950B1 (ko) 2021-12-16 2023-05-03 김동주 소규모 태양광 전력 거래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30058807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터리 공유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공유 중개 방법
US11648845B2 (en) 2018-02-23 2023-05-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managing system, battery manag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30123302A (ko) 2022-02-16 2023-08-2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율주행 충전 로봇의 충전 서비스 수행을 위한 관제 방법, 관제 장치, 관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01660B1 (ko) * 2023-03-06 2023-11-14 이온어스(주) 이동형 에너지 저장 장치를 활용한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14857A (ko) 2022-07-26 2024-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력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691248B1 (ko) * 2021-12-14 2024-08-05 여영찬 스마트폰 키를 활용한 전기 차량 충전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90B1 (ko) * 2013-05-06 2015-07-14 정윤이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90B1 (ko) * 2013-05-06 2015-07-14 정윤이 배터리 팩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553A (ko) * 2018-02-19 2019-08-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배터리용 순차이동식 스마트 자동교체 장치
KR102093688B1 (ko) * 2018-02-19 2020-03-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배터리용 순차이동식 스마트 자동교체 장치
US11648845B2 (en) 2018-02-23 2023-05-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managing system, battery manag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8449403A (zh) * 2018-03-13 2018-08-24 万帮充电设备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
KR102046995B1 (ko) 2018-10-31 2019-12-04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175006B1 (ko) 2018-11-26 2020-11-05 브이젠 주식회사 개별 차량의 충전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차량충방전시스템 및 그 충방전방법
KR20200061806A (ko) * 2018-11-26 2020-06-03 브이젠 주식회사 개별 차량의 충전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차량충방전시스템 및 그 충방전방법
CN109649210A (zh) * 2018-12-21 2019-04-19 广西科技大学 一种电动物流车及其预约自助充电管理系统
CN111798589B (zh) * 2019-04-04 2023-09-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CN111798589A (zh) * 2019-04-04 2020-10-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KR102125901B1 (ko) 2019-04-05 2020-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이동식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332991B1 (ko) * 2019-05-23 2021-11-30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10054160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4158A (ko)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전기차 빅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방법
KR102138640B1 (ko) * 2019-12-04 2020-07-28 김용균 배달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10083039A (ko) * 2019-12-26 2021-07-0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의 가용배터리 조회방법
KR102315620B1 (ko) * 2019-12-26 2021-10-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소의 가용배터리 조회방법
KR102269730B1 (ko) * 2020-10-21 2021-06-28 한중근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KR102349816B1 (ko) * 2021-06-21 2022-01-12 이온어스(주) 온라인을 통한 방문형 전기차 충전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58807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터리 공유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공유 중개 방법
KR102691248B1 (ko) * 2021-12-14 2024-08-05 여영찬 스마트폰 키를 활용한 전기 차량 충전 서비스 플랫폼 서버 및 방법
KR102527950B1 (ko) 2021-12-16 2023-05-03 김동주 소규모 태양광 전력 거래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30123302A (ko) 2022-02-16 2023-08-2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율주행 충전 로봇의 충전 서비스 수행을 위한 관제 방법, 관제 장치, 관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40014857A (ko) 2022-07-26 2024-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력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601660B1 (ko) * 2023-03-06 2023-11-14 이온어스(주) 이동형 에너지 저장 장치를 활용한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57B1 (ko)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US11673486B2 (e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4025370B (zh) 包括散热支撑构件的电池模块
US8552683B2 (en) Charging apparatus
KR101363684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용 냉각 시스템
ES2692524T3 (es) Aparato, método y artículo para proporcionar datos de diagnóstico de vehículo
CN104640736B (zh) 电动车辆
EP2792539A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alysis and feedback
US20100061061A1 (en) Power source apparatus
US20150050532A1 (en) Battery pack system
ES2959527T3 (es) Monobloque habilitado para conexión inalámbrica
CN102292866A (zh) 温度受控的电池系统ⅱ
WO2013080211A1 (en) Battery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H09266016A (ja) 円筒型電池の冷却方法
CN115210149B (zh) 装载处理设备在存储系统中的稳定性
EP3018731B1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fan in battery pack
CN103492846A (zh) 用于测试储能系统和电力电子设备的热量计、热量计制造方法及使用方法
EP329379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usbar cooling
KR101522164B1 (ko) 온도 조절을 위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20160024187A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
KR20140144802A (ko) 전기차용 배터리의 열관리 장치
KR20210141443A (ko) 스마트 배터리 팩
JP2022130327A (ja) 電気車両内に取り付けられたセグメント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ための外部冷却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4281313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KR20180013460A (ko)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