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21B1 -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21B1
KR101813121B1 KR1020160025129A KR20160025129A KR101813121B1 KR 101813121 B1 KR101813121 B1 KR 101813121B1 KR 1020160025129 A KR1020160025129 A KR 1020160025129A KR 20160025129 A KR20160025129 A KR 20160025129A KR 101813121 B1 KR101813121 B1 KR 10181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film
sticker
gel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689A (ko
Inventor
정영록
Original Assignee
정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록 filed Critical 정영록
Priority to KR102016002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21B1/ko
Priority to PCT/KR2016/004435 priority patent/WO2017150767A1/ko
Priority to JP2018558097A priority patent/JP2019506267A/ja
Publication of KR2017010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C09J7/02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Cosme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는, 원형의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둘레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입부는 상기 메인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도록 구현하여, 기본적으로 손톱 표면 상에 젤 도료를 도포함에 있어 젤 도료와 직접 맞닿는 손톱 표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손톱으로부터 젤 도료를 제거할 시 손톱 표면에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Nail stricker and UV Gel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일 아트 시술 시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워터 데칼 방식의 네일용 스티커와, 이를 젤 네일 시술에 적용하여 젤 네일의 단점인 젤 도료 제거 시의 손톱 표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젤 도료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네일 산업이 하나의 미용 업종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손톱의 외면에 인위적인 디자인을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네일 아트의 기법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종래 에나멜 매니큐어의 단점인 긴 건조 시간, 광택 유지 기간, 인체 유해성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UV 조건 하에서 약 1분 이내의 시간 안에 강도 높게 경화되는 젤 네일 방식이 개발되어 최근 각광받고 있다. 젤 네일 방식에 적용되는 젤 도료는 짧은 건조 시간, 고광택성, 긴 유지 기간 등의 장점을 갖기는 하나, 손톱에서 젤 도료를 제거하는 과정이 일반적으로 손톱 표면을 갈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톱 손상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일정 기간 내 반복적인 시술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 1342492호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 방법'은, 천연 네일 위에 네일 스티커 위에 UV 젤을 도포함으로써, UV 젤층이 지니는 고급스러운 효과를 그대로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V 젤을 벗겨낼 때에도 간편하게 네일 스티커를 제거할 수 있어 유해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UV 젤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젤 네일에 적용되는 네일 스티커의 경우, 경질 스티커의 재질 상 두께감이 있어 굴곡이 있는 손톱 표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지 못해 들뜸 현상, 주름짐 현상이 발생하여 스티커의 상부에 젤 도료가 매끄럽게 발라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손톱 표면에 스티커를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한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도 손쉬운 수정이 불가하여, 접착된 스티커를 떼어내고 새로운 제품으로 재 시술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반면, 손톱 표면에 보다 정교하게 디자인된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네일 스티커가 개발되어 활성화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손톱 표면에 이질감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워터 데칼 방식(물 전사 방식)의 연질 스티커가 더욱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워터 데칼 방식은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된 부위를 오려내고 이를 물에 담군 후 일정 시간을 경과시켜 박리지와 필름이 분리되면 필름을 손톱 상면에 부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 많은 시간과 번거로움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상으로 정교하게 부착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분리된 필름 자체에 접착력이 없어 탑코트 등을 매개로 별도의 코팅 과정이 수행되어야만 손톱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시술 과정을 더욱 간소화시켜 시술의 편의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곡면의 손톱 상에서 필름의 들뜸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네일 스티커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숙련된 네일 아티스트에 의하지 않고도 더욱 완성도 높은 네일 아트 시술이 가능토록 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젤 도료와 손톱 표면 사이 면적 중 일부에 네일 부착막이 삽입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손톱에서 젤 도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던 손톱 표면을 갈아내는 과정으로 인해 야기되던 손톱 손상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터 데칼 방식을 적용하되 종래의 방식과는 다른 간편한 방식으로 손톱 표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숙련된 아티스트 없이도 단시간에 완성도 높은 셀프 네일 시술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일 부착막의 형상이 함입부와 꼬리부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젤 도료가 도포된 상태에서 손톱이 성장하여 곡률이 변하는 경우에도 이질감없이 밀착된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의 형상은, 원형의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둘레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입부는 상기 메인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일용 스티커는, 서로 인접한 두 함입부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꼬리부를 포함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더불어, 상기 함입부는 상기 메인부의 상측 중앙에서 함입 형성된 상단 함입부와, 상기 메인부의 양 측부에서 각 두 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 네 개의 측면 함입부 및, 상기 메인부의 하측 중앙에서 각각 이격된 두 지점에서 형성된 두 개의 하면 함입부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꼬리부는 상기 두 개의 하면 함입부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함입부는, 상기 메인부의 둘레 일 측에서부터 최고 함입 지점에 이르기까지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의 적층 구성은, 상면에 손톱 표면과 맞닿아 점착되는 임시 점착층을 형성한 네일 부착막과, 전분층을 매개로 상기 네일 부착막의 하면과 점착된 흡습 박리지를 포함하는 아트 전사지; 상기 흡습 박리지의 하면에 접착된 이형 필름; 상기 아트 전사지의 임시 점착층을 덮는 것으로, 모서리 일 측이 상기 네일 부착막의 모서리 일 측과 부분적으로 고정 접착된 커버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아트 전사지는, 특정 형상을 갖도록 외곽이 커팅된 부위인 디자인 커팅부를 형성하여, 상기 디자인 커팅부가 상기 아트 전사지 내 타 부위와 별도로 상기 이형 필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자인 커팅부의 상기 네일 부착막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아트 전사지에서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을 차례로 분리하는 필름 분리 단계; 상기 임시 점착층과 손톱 표면이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임시 점착 단계; 상기 흡습 박리지에 소량의 물을 제공하는 수분 공급 단계; 상기 임시 점착층을 매개로 손톱 표면에 점착 배치된 상기 네일 부착막에서 상기 흡습 박리지를 분리시키는 흡습 박리지 분리 단계; 상기 네일 부착막을 손톱 측으로 가압하여 손톱 표면에 밀착시키는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손톱 표면 일부와 상기 네일 부착막의 표면에 젤 도료를 도포하는 젤 도료 도포 단계; 상기 젤 도료를 램프 하에서 경화시키는 큐어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는 소량의 물을 추가로 가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네일 부착막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수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임시 점착 단계는, 상기 네일 부착막의 상기 꼬리부의 연장 방향이 손톱의 성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은,
1) 젤 도료와 손톱 표면 사이 면적 중 일부에 네일 부착막이 삽입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손톱에서 젤 도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던 손톱 표면을 갈아내는 과정으로 인해 야기되던 손톱 손상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2) 워터 데칼 방식을 적용하되 종래의 방식과는 다른 간편한 방식으로 손톱 표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숙련된 아티스트 없이도 단시간에 완성도 높은 셀프 네일이 가능토록 하며,
3) 네일 부착막의 형상이 함입부와 꼬리부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젤 도료가 도포된 상태에서 손톱이 성장하여 곡률이 변하는 경우에도 이질감없이 밀착된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의 적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을 통해 손톱 표면에 형성된 젤 도료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는 손톱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보다 안정적인 밀착성, 고정력 및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평면상에서 드러나는 형상적 특징과, 적층 구성으로 구현되는 기능적 특징을 동시에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 특히 젤 도료 도포 과정에 적용되는 네일용 스티커의 형상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후술할 형상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네일용 스티커(1) 중 디자인되어 커팅됨으로써 후면에 형성된 이형 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위인 디자인 커팅부(200A)의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 전체 형상 자체가 후술할 구성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네일용 스티커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현된 메인부(200-1)와, 메인부(200-1)의 둘레에서 함입 형성된 함입부(200-2) 및 메인부(200-1) 둘레 일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꼬리부(200-3)를 포함한다.
메인부(200-1)는 네일용 스티커, 바람직하게는 디자인 커팅부(200A)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손톱 표면에 대응되어 접착되기 용이하도록 일정 면적을 보장하는 원형으로 구현되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함입부(200-2)는 상기 메인부(200-1)의 둘레에 요철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부(200-1)의 원 둘레 일 측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함입부(200-2)는 손톱 표면에 적용 시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진 부위 없이 전체적으로 라운딩지게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즉, 상기 메인부(200-1)의 둘레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되기 위하여 절곡되는 지점, 즉 함입 시작점에서부터 상기 함입부(200-2)의 최고 함입 지점에 이르기까지 각진 부위가 없도록 모두 라운딩처리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함입부(200-2)는 상기 메인부(200-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꼬리부(200-3)는, 상기 메인부(200-1)의 일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특히 서로 인접한 두 함입부(200-2) 사이에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네일용 스티커가 곡면으로 형성된 손톱의 표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함입부(200-2)와 상기 꼬리부(200-3)의 형성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해 상기 함입부(200-2)는 하나의 상단 함입부(200-2a)와, 총 네 개의 측면 함입부(200-2b) 및 두 개의 하면 함입부(200-2c)로 형성된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부(200-1)를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을 포함하는 네 개의 부위로 구획한 것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단 함입부(200-2a)는 상기 메인부(200-1)의 상측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측면 함입부(200-2b)는 상기 메인부(200-1)의 양 측에서 각 두 개씩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좌측 및 우측 각각의 중앙 부위의 상부 및 하부 지점에서 각각 상기 메인부(200-1)의 중앙 부위를 향해 함입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총 네 개 형성된다.
하면 함입부(200-2c)는, 상기 메인부(200-1)의 하측 중앙 지점의 양 옆 지점에서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상단 함입부(200-2a)와 대칭되는 지점의 양 옆에서 상기 메인부(200-1)의 중앙을 향해 함입 형성된 두 개의 함입부이다.
또한, 상기 꼬리부(200-3)는, 두 개의 하면 함입부(200-2c) 사이에서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단 함입부(200-2a)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의 적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네일용 스티커의 적층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네일용 스티커는 크게 아트 전사지(200)와 이형 필름(300) 및 커버 필름(100)을 포함한다.
아트 전사지(200)는 손톱 표면에 직접 접착되는 연질의 필름인 네일 부착막(210)과, 상기 네일 부착막(210)의 하면과 전분층(220)을 매개로 점착된 흡습 박리지(230)를 포함한다. 상기 아트 전사지(200)는 워터 데칼 방식의 접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종래의 물 전사지에 대응되는 구성인데, 특징적으로 상기 네일 부착막(2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손톱 표면과 직접 맞닿아 점착되는 임시 점착층(210a)을 포함한다.
임시 점착층(210a)은, 시술 과정에서 상기 아트 전사지(200)가 손톱의 표면에 배치된 상태가 일정 수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비교적 적은 접착력을 갖도록 소량의 접착제가 얇게 도포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탄성 중합체인 아크릴화 수지, 뷰틸 고무, 초산 비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고도의 접착력이 요구되지 않는 만큼 변성 전분을 주 원료로 한 전분 접착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형 필름(300)은, 상기 흡습 박리지(230)의 하면에 탈착 가능토록 접착된 것으로, 건식 환경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흡습 박리지(230)와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커버 필름(100)은,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커버와 분리가 가능토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의 하면, 즉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에 별도의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이 형성된 네일 부착막(210)의 일 측과 상기 커버 필름(100)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일 측이 부분적으로 완전 접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커버 필름(100)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분실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트 전사지(200)는,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가 사용자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형상을 갖도록 외곽이 커팅된 부위인 디자인 커팅부(200A)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자인 커팅부(200A)가 아트 전사지(200) 내 타 부위와 별도로 이형 필름(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커팅부(200A)의 네일 부착막(210), 즉 손톱 표면에 올려지는 네일 부착막(210)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테이퍼 처리된 테이퍼부(211)를 포함하여, 손톱과의 접착에 있어 네일 부착막(210)의 테두리 부위의 들뜸 현상을 더욱 예방하여 물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211)는 디자인 커팅부(200A)의 네일 부착막(210)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임시 박막층을 향하도록 상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흡습 박리지(230) 측을 향하도록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면 및 하면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적층 구성을 형성한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는 젤 네일 시술에 있어 젤 도료 도포 전 손톱 표면에 부착되어 젤 도료와 손톱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젤 도료 제거 시 손톱 표면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예방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네일 부착막(210)과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의 사이, 즉 상기 네일 부착막(210)의 상면에 별도의 이미지를 인쇄한 인쇄층(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네일 스티커를 장식용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인쇄층은 상기 임시 점착층(210a)에 의해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되며, 후술하겠지만 기존의 워터 데칼 방식과는 달리 임시 점착층(210a)이 직접 손톱과 맞닿는 방향으로 적용되는 본 발명의 네일 스티커의 특성 상, 손톱 표면에 적용된 이후 상기 인쇄층은 네일 부착막(210)에 의해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인쇄층에 인쇄된 이미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 보다 효율적인 지속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젤 도료 도포 방법은 필름 분리 단계(S1), 임시 점착 단계(S2), 수분 공급 단계(S3), 흡습 박리지 분리 단계(S4),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S5)를 거쳐 네일 스티커를 손톱 표면에 고정하고, 그 후 젤 도료 도포 단계(S6), 큐어링 단계(S7)를 수행하여 젤 네일 시술을 완성하게 된다.
필름 분리 단계(S1)는, 아트 전사지(200)에서 커버 필름(100)과 이형 필름(300)을 차례로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아트 전사지(200)의 상면, 즉 임시 점착층(210a)을 보호하는 커버 필름(100)을 분리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자인 커팅부(200A)를 이형 필름(300)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이다.
임시 점착 단계(S2)는, 분리된 디자인 커팅부(200A)의 임시 점착층(210a)이 손톱 표면과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단계로, 이 때 상술한 형상적 구성, 즉 메인부(200-1), 함입부(200-2) 및 꼬리부(200-3)를 포함하는 상기 디자인 커팅부(200A)는 메인부(200-1)가 손톱 안쪽, 꼬리부(200-3)가 손톱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즉 상기 꼬리부(200-3)의 연장 방향이 손톱의 성장 방향을 향하도록 손톱 표면 상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네일 부착막(210)과 손톱 표면 일부와 각각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도포되는 젤 도료가 더욱 안정적으로 손톱 상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차후 손톱이 길어 나옴에 따라 손톱 끝단 부위의 곡률이 자연스럽게 변화되는바, 해당 부위에 적용되는 스티커 면적을 최소화하여 손톱 성장에 따른 들뜸 현상을 최소화한다.
수분 공급 단계(S3)는 상기 임시 접착 단계를 통해 손톱을 기준으로 상부에 노출된 흡습 박리지(230)에 소량의 물을 적시는 단계로, 이 때 소량의 물은 한 방울로도 충분할 것이다.
흡습 박리지 분리 단계(S4)는, 상기 임시 점착층(210a)을 매개로 손톱 표면에 점착 배치된 상기 네일 부착막(210)에서 상기 흡습 박리지(230)를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즉, 수분을 흡수한 상기 흡습 박리지(230)는 상기 전분층(220)에 수분을 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흡습 박리지(230)는 네일 부착막(21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되는데, 박리 과정은 수 초 이내 완료되게 된다.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S5)는 흡습 박리지(230)가 분리된 상태로 임시 점착층(210a)만으로 불완전하게 고정된 네일 부착막(210)을 손톱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것으로, 네일 부착막(210)을 손톱 측으로 지그시 눌러 가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가압 과정에서의 실수로 네일 부착막(210)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 위치 수정 단계(S5-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수정 단계(S5-1)는, 원치 않은 위치에 배치된 네일 부착막(210)에 소량의 물을 추가로 가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지그시 가압하는 단계로서, 추가로 제공된 소량의 물에 의해 상기 네일 부착막(210)이 손톱 표면과의 밀착력이 떨어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네일 부착막(2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위치 수정 단계가 적용됨에 따라 원치 않는 위치에 네일 부착막(210)이 밀착되더라도 새로운 제품을 적용할 필요 없이 위치 수정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젤 도료 도포 단계(S6)는, 손톱 상의 잔여 수분을 화장솜이나 면봉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닦아낸 후, 상기 네일 부착막(210)의 표면과 네일 부착막(210)이 형성되지 않은 손톱 표면 중 잔여 부위에 젤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일반적인 네일 컬러링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고, 큐어링 단계(S7)는 도포된 젤 도료를 UV 램프 하에 일정 시간동안 배치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을 통해 손톱 표면에 형성된 젤 도료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젤 도료 도포 방법을 통해 손톱 표면에 형성된 젤 도료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손톱 표면 손상 없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젤 도료의 제거를 위하여 큐티클 주변 부위에 오일을 도포하고 소정 시간 방치시켜 젤 도료와 손톱 표면 사이의 원활한 박리를 유도하는 오일 마사지 단계와, 우드 스틱을 활용하여 젤 도료 도포 부위 중 큐티클측 중앙 부위가 손톱 표면과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분리 단계, 상기 부분 분리 단계를 통해 이격된 중앙 부위로부터 테두리 방향으로 밀어내며 전체를 분리하는 전체 분리 단계, 손톱 표면 잔여 이물질을 아세톤 등의 제거 용액을 활용하여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분 분리 단계는 특히 상단 함입부(200-2a) 측과 대응되는 부위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부분 분리된 젤 도료는 전체 분리 단계에서 상기 네일 부착막(210)과 손톱 표면의 자연스러운 분리와 함께 보다 안정적으로 손톱 표면에서 전체적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젤 도료 도포 방법을 이용하면 젤 도료의 용해를 위하여 별도의 용액에 침지시키는 등의 번거롭고 유해한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간단하고 부드럽게 물리적으로 젤 도료를 제거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및 제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네일용 스티커 100: 커버 필름
200: 아트 전사지 200A: 디자인 커팅부
200-1: 메인부 200-2: 함입부
200-2a: 상단 함입부 200-2b: 측면 함입부
200-2c: 하면 함입부 200-3: 꼬리부
210: 네일 부착막 210a: 임시 점착층
211: 테이퍼부 220: 전분층
230: 흡습 박리지 300: 이형 필름
S1: 필름 분리 단계 S2: 임시 점착 단계
S3: 수분 공급 단계 S4: 흡습 박리지 분리 단계
S5: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 S5-1: 위치 수정 단계
S6: 젤 도료 도포 단계 S7: 큐어링 단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면에 손톱 표면과 맞닿아 점착되는 임시 점착층을 형성한 네일 부착막과, 전분층을 매개로 상기 네일 부착막의 하면과 점착된 흡습 박리지를 포함하는 아트 전사지;
    상기 흡습 박리지의 하면에 접착된 이형 필름;
    상기 아트 전사지의 임시 점착층을 덮는 것으로, 모서리 일 측이 상기 네일 부착막의 모서리 일 측과 부분적으로 고정 접착된 커버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아트 전사지는,
    특정 형상을 갖도록 외곽이 커팅된 부위인 디자인 커팅부를 형성하여,
    상기 디자인 커팅부가 상기 아트 전사지 내 타 부위와 별도로 상기 이형 필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스티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커팅부의 상기 네일 부착막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스티커.
  8. 커버 필름, 임시 점착층을 포함한 네일 부착막 및 흡습 박리지를 포함한 아트 전사지, 이형 필름이 차례로 적층 형성된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트 전사지에서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을 차례로 분리하는 필름 분리 단계;
    상기 임시 점착층과 손톱 표면이 맞닿도록 배치시키는 임시 점착 단계;
    상기 흡습 박리지에 소량의 물을 제공하는 수분 공급 단계;
    상기 임시 점착층을 매개로 손톱 표면에 점착 배치된 상기 네일 부착막에서 상기 흡습 박리지를 분리시키는 흡습 박리지 분리 단계;
    상기 네일 부착막을 손톱 측으로 가압하여 손톱 표면에 밀착시키는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손톱 표면 일부와 상기 네일 부착막의 표면에 젤 도료를 도포하는 젤 도료 도포 단계;
    상기 젤 도료를 램프 하에서 경화시키는 큐어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 부착막 고정 단계는,
    소량의 물을 추가로 가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네일 부착막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수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 부착막은,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부가 둘레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 원형의 메인부와, 서로 인접한 두 함입부 사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꼬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점착 단계는,
    상기 네일 부착막의 상기 꼬리부의 연장 방향이 손톱의 성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스티커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KR1020160025129A 2016-03-02 2016-03-02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KR10181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29A KR101813121B1 (ko) 2016-03-02 2016-03-02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PCT/KR2016/004435 WO2017150767A1 (ko) 2016-03-02 2016-04-28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JP2018558097A JP2019506267A (ja) 2016-03-02 2016-04-28 ネイル用ステッカー又はこれを用いたジェル塗料塗布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29A KR101813121B1 (ko) 2016-03-02 2016-03-02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689A KR20170102689A (ko) 2017-09-12
KR101813121B1 true KR101813121B1 (ko) 2017-12-28

Family

ID=5974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129A KR101813121B1 (ko) 2016-03-02 2016-03-02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506267A (ko)
KR (1) KR101813121B1 (ko)
WO (1) WO2017150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86B1 (ko) * 2018-10-24 2021-01-07 디에스글로벌(주)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 기반의 ar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21B1 (ko) 2011-09-02 2013-04-03 장성용 프렌치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865B1 (ko) 2015-03-09 2015-06-17 김영주 투명 베이스 네일 스티커
KR101609177B1 (ko) 2014-02-12 2016-04-05 주식회사 아이엔에스코리아 네일젤 제거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001A (ko) * 2001-12-28 2003-07-04 이정복 부착식 매니큐어
KR101179955B1 (ko) * 2010-11-22 2012-09-0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플로킹 네일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1342492B1 (ko) * 2013-03-05 2013-12-17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KR101388254B1 (ko) * 2013-08-13 2014-05-02 제이씨코리아 주식회사 네일용 스티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21B1 (ko) 2011-09-02 2013-04-03 장성용 프렌치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609177B1 (ko) 2014-02-12 2016-04-05 주식회사 아이엔에스코리아 네일젤 제거용 필름
KR101528865B1 (ko) 2015-03-09 2015-06-17 김영주 투명 베이스 네일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767A1 (ko) 2017-09-08
JP2019506267A (ja) 2019-03-07
KR20170102689A (ko)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154B1 (ko) Uv젤의 네일 도포를 개선하는 방법과 장치
US6634367B2 (en) Sealing enclosure for finger tips
JP4843739B1 (ja) ネイル装飾方法
US6626183B1 (en) Rub-on fingernail art
US117516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ye patch used in eyelash extension procedure
US201303194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ail Decals
US11344098B2 (en) Article for decorating a person's skin or nail and method using such an article
US107020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smetic eyebrows
KR101813121B1 (ko)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KR101412574B1 (ko) 타투 스티커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타투 스티커
JP2015217300A (ja) ネイルアップリケ転写部材、ネイルアップリケ転写紙及びネイルアップリケ転写方法
BRPI1105970A2 (pt) adesivo para unha tipo francesinha e seu mÉtodo de fabricaÇço
KR102293528B1 (ko) 하이브리드 젤네일 스티커
KR20170111293A (ko) 유브이 경화 젤 시트와 이를 이용한 유브이 경화 젤 네일 패치의 제조 방법
KR20240006973A (ko) 네일젤 도포용 복합시트
JP3154909U (ja) マニキュアの簡易落とし具
JP6310977B2 (ja) 爪用シール及びシールシート
JP3190639U (ja) ジェルネイルの簡易落とし具
KR102238577B1 (ko) 물 없이 부착가능한 럽온 타투 스티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9177B1 (ko) 네일젤 제거용 필름
KR102424624B1 (ko) 네일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네일스티커
KR20030057001A (ko) 부착식 매니큐어
KR20150058583A (ko) 네일젤 도포용 복합시트
JP2011036457A (ja) ジェルネイルの簡易落とし方法
KR20170111292A (ko) 유브이 경화 젤 네일 패치와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