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060B1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060B1
KR101813060B1 KR1020127026785A KR20127026785A KR101813060B1 KR 101813060 B1 KR101813060 B1 KR 101813060B1 KR 1020127026785 A KR1020127026785 A KR 1020127026785A KR 20127026785 A KR20127026785 A KR 20127026785A KR 101813060 B1 KR101813060 B1 KR 10181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pri
curre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578A (ko
Inventor
피에르-엠마뉴엘 칼멜
마티아스 모론발레
Original Assignee
드비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3836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130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드비알레 filed Critical 드비알레
Publication of KR2013005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or induc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16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 H02M7/162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219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the switches being synchronously commutated at the same frequency of the AC input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16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 H02M1/0019Control circuits providing compensation of output voltage deviations using feedforward of disturbance parameters the disturbance parameters being load current fluctu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12)는,
- 입력 전압(VPRI) 하의 AC 입력 전류(IPRI)를 위한 입력부(16);
- DC 출력 전류(Isec)를 위한 출력부(36); 및
계속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출력부로,
-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
- 일차 회로(primary circuit)(24)가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21);
- 상기 변압기의 이차 회로(secondary circuit)(26)의 양단에 걸쳐 접속된 정류 회로(28);
- 상기 정류 회로(28)의 출력단의 양단에 걸쳐 병렬 연결된 저장 커패시터(32)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36)는 상기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은 상기 입력부(16)와 상기 출력부(36) 사이에서 스위칭 부재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회로이며, 출력 전류(Isec)의 입력 전압(VPRI)과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sec)의 함수로서 입력 전류(IPRI)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MOD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 입력 전압 하의 AC 입력 전류를 위한 입력부;
- DC 출력 전류를 위한 출력부(36); 및
계속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출력부로,
-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
- 일차 회로(primary circuit)가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
- 상기 변압기의 이차 회로(secondary circuit)의 양 단자에 걸쳐 접속된 정류 회로;
- 상기 정류 회로의 양 출력단(output terminals)에 걸쳐 병렬 연결된 저장 커패시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 회로와 상기 저장 커패시터 간에는 코일이 위치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저장 커패시터의 양 단자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많은 전자기기는 직류 전력 공급 전류를 제공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를 통해 사인파형 신호를 분배하는 그리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하이파이 증폭기의 경우이다.
이러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종래의 구조를 보면, 일반적으로 부스트 타입 회로를 입력부로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인파형 전류 파워 서플라이의 전압보다 큰 전압 하에서 사인파형 전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 다음에는 직류/직류 변환기가 뒤를 잇고 이 직류/직류 변환기는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를 구현하는데 이러한 제어식 스위치 브리지는 다이오드 브리지로 형성된 정류기가 뒤를 잇는다.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 및 다이오드 브리지는 변압기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부스트 회로는 다이오드를 통해 저장 커패시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코일을 포함하며, 다이오드와 저장 커패시터는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에 병렬로 설치된다. 이 브레이커 스위치를 주기율(cyclic ratio)에 따라 개방하면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저장 커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두 개의 스위칭 스테이지(switching stage)를 포함하는데, 하나는 부스트 회로에 있고 다른 하나는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에 있다. 이러한 이중의 스위칭 구조로 인해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이 비교적 낮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출력을 가지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하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은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스위칭 부재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회로이고, 출력 전류의 입력 전압과 저장 커패시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함수로서 입력 전류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서플라이는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파워 서플라이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파워 서플라이는 입력부로부터 저장 커패시터로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만 출력 전류를 추정하기(estimating)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출력 전류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은 저장 커패시터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기간 동안 저장 커패시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강하 ΔU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저장 커패시터의 양단에서의 전압 강하로부터 결정된 전압의 변동 속도(variation speed)로부터 출력 전류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파워 서플라이는 출력부에서 소모된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출력부에서 소모된 전력의 함수로서 입력 전류의 기준 진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입력 전류의 기준 진폭의 함수로서 입력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소모된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은 입력 전류의 각각의 반 주기(half-period) 동안 소모된 전력(P)을 계산할 수 있다.
- 상기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저장 커패시터에 공급된 전력과 충전부에 출력으로서 전송된 전력의 가중된 합으로부터 상기 전력(P)을 계산할 수 있다.
-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은 브리지(bridge)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및 증폭단(amplification stage)을 포함하는 하이파이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시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증폭기에 일체화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서플라이에서 구현된 브레이커 스위치의 제어 모드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전압 및 입력 전류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은 증폭단(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12)를 포함하는 하이파이 증폭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임의의 적응될 수 있는 형태의 증폭단(14)이 특허출원 FR 2,873,872에 예시되어 있다.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12)는 예를 들어 전압이 220V이고 주파수가 50 또는 60Hz인 사인파 전류를 공급하는 파워 서플라이 그리드(18)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부(16)를 가진다.
입력 전압은 VPRI로 표시되고 입력부(16)를 통과하는 전류 강도는 IRPI로 표시된다. 입력부(16)는 부스트 회로가 개입됨이 없이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의 입력부 직접 연결되고,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의 출력부는 변압기(21)에 접속되어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는 두 개의 병렬 브랜치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브랜치는 직렬로 장착된 두 개의 제어 가능한 브레이커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브랜치는 두 개의 입력단(16)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한 브랜치의 브레이커 스위치의 접속점들은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의 출력부를 구성한다.
각각의 브레이커 스위치는 예를 들어 MOS 타입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제어 회로(22)에 의해 제어된다.
변압기(21)는 각각의 브랜치에 직렬 장착된 두 개의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 간에 접속된 일차 회로(24) 및 예를 들어 공지의 다이오드 브리지로 형성된 정류 회로(28)의 양단에 접속된 이차 회로(26)를 포함한다.
다이오드(30)는 다이오드 브리지(28)의 두 개의 출력단 간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브리지(28)의 출력부는 또한 코일(34)을 통해 저장 커패시터(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코일은 커패시터(32)의 양 단자 중 한 단자와 다이오드(30)의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부는 도면부호 36으로 표시되어 있고 커패시터(32)의 양단에 형성된다. 출력 전류는 Isec로 표시되며, 출력 전압은 Vsec로 표시된다.
입력 전류 강도 IPRI 및 출력 전류 강도 Isec를 측정하는 수단은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 및 출력부는 저항(38 및 40)으로부터 각각 형성되고, 입력부 및 출력부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측정되며, 이 전압은 그 저항에서 계산되는 전류 강도에 비례한다.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의 두 개의 브랜치의 대향하는 제어식 회로 브레이커의 베이스들은 C0 및 C1로 표시된 동일한 커맨드를 수신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 회로(22)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입력 전압 VPRI, 입력 전류 강도 IPRI, 출력 전압 Vsec, 및 출력 전류 강도 Isec를 수신한다.
도 2는 제어 회로(22)에 의해 구현되는 레귤레이팅 체인(regulating chain)(100)을 도시하고 있다.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일정한 기준 전압 Vsectarget를 공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50V이다. 이 전압은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한 전압이다.
제어 회로(22)는 두 개의 제어 신호 C0 및 C1을 각각 공급할 수 있으며, 이 두 개의 제어 신호는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의 서로 대각으로 대향하는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에 인가된다.
도 2에 도시된 레귤레이터(100)는 기준 전압 Vsectarget 및 측정된 출력 전압 Vsec를 수신하는 비교기(102)를 입력부로서 포함한다. 레귤레이터는 또한 출력 전류 강도 Isec를 수신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저항(40)을 사용해서 계속 측정된다.
증폭단(104)은 파워 서플라이가 이하에서 설명할 반 주기 동안 소모하는 평균 전력 P를 계산한다. 이 평균 전력은 두 부분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 부분은 현재의 전압 Vsec로부터 기준 전압 Vsectarget로 진행하도록 커패시터(32)에 공급되는 전력을 나타내고, 다른 부분은 충전부(14)에 공급되는 전력의 추정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83147875-pct00001
여기서, λ는 1보다 작은 가중 계수이고, C는 커패시터(32)의 용량이며, A 및 B는 전력 공급 신호의 반 주기 동안 각각 저장 커패시터(32)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기 및 공급하지 않는 주기의 지속기간이다.
그러므로 전력 P는 전력 공급 신호의 각각의 반 주기 동안 한 번 계산되거나, 또는 50Hz 신호에 대해 매 10 밀리초마다 계산된다.
제곱근 피크 전압 ^VPRI를 계산하기 위한 스테이지(106)는 입력 전압 VPRI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등가의 저항 R을 계산하기 위한 스테이지(108)가 스테이지(104 및 106)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곱근 피크 전압 ^VPRI를, 증폭단(104)에서 계산된 전력 P의 2배로 나눈 몫으로부터 등가의 저항 R을 계산할 수 있다.
등가의 저항 R은 입력(18)에서 소모될 수밖에 없는 전류 강도 I를 계산하는 스테이지(112)를 입력부로서 포함하는 이차 레귤레이팅 루프(110)에 도입되어 커패시터(32)의 방전 및 충전부(14)의 전력 공급을 보상한다. 이 전류 강도 I는 입력 전압 VPRI를 이전에 결정된 저항 R로 나눈 몫에 의해 제공된다.
전류 강도 I는 비교기(114)에 송신되는데, 이 비교기는 입력 전류 강도 IPRI를 한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계산된 전류 강도 I를 다른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비교기(114)의 출력부는 제어단(116)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어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류 강도 차 I-IPRI로부터, 제어 신호 C0 및 C1을 규정하고 공급하는 펄스 폭 변조 레귤레이터(118)를 구동한다.
커패시터(32)는 통상적으로 기준 전압 Vsectarget와 같거나 근사한 전압으로 충전되고, 고려 중인 본 예에서는 50볼트의 전압으로 취하고 있으며, 이 커패시터(32)를 배치함으로써, 파워 서플라이 그리드는 자신에게 공급되는 전압의 절댓값이 50볼트보다 높을 때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드의 전압이 -50와 +50 사이에 있으면, 그리드로부터 전류를 취할 수 없다.
도 3에서의 실선은 전력 공급 전압 VPRI를 나타내고, 일점쇄선은 입력부(16)를 통해 순환하는 전류의 전류 강도 IPRF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전력 공급 전압 VPRI이 -50와 +50 사이에 있으면, 전류의 강도 IPRF가 0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전력 공급 신호의 각각의 주기 동안, 지속 기간 A인 두 개의 비전도 단계가 존재하고, 이 단계들은 입력 전압이 50와 +50 볼트 사이에 있는 시간에 대응한다. 이러한 두 개의 비전도 단계는 지속기간 B인 전도 단계에 의해 분리되고, 이 지속기간 B 동안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의 브레이커 스위치는 미리 결정된 주기율의 함수로서 유닛(118)에 의해 제어된다.
레귤레이팅 체인(100)은, 이러한 주기율이 지속기간 A인 각각의 비전도 단계 동안 계산되고 지속기간 B인 후속의 전도 단계 동안 적용되어, 그 전도 단계 동안, 저장 커패시터의 전력 변동 및 충전부에 출력으로 전송된 전력을 정확하게 보상하도록 되어 있다.
비전도 단계 A 동안, 후속의 전도 단계 B 동안 인가되는 전류 I는 식
Figure 112016074821834-pct00002
을 사용해서 스테이지(102 및 112)에 의해 계산되고, 그런 다음 전력 공급 전류 강도 IPRI로부터 스테이지(116)에 의해 주기율이 결정되어, 후속의 전도 단계 B 동안 드라이버 스테이지(driver stage)(118)를 사용해서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20)를 구동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저항(40)은 제거되어 있으며, 전류 Isec는 전력 공급 전류의 각각의 주기 동안 일정하도록 되어 있고 지속기간 A인 각각의 비전도 단계 동안에만 추정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비전도 단계 동안,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서의 전압 강하 ΔU가 측정되고 출력 전류 Isec는 다음 식을 사용해서 결정되며,
Figure 112012083147875-pct00003
여기서, C는 커패시터의 용량이며, Δt는 전압 강하의 관찰 주기(observation period)이다.
다른 제어 단계도 동일하다.
이러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를 사용하므로 출력이 높다. 또한, 이러한 출력은, 브레이커 스위치 브리지가 구현되는 구동 법칙으로 인해, 충전부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만이 실제로 전력 공급 그리드로부터 취해지는 것보다 훨씬 높다.
또한, 이러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그리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항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이유는, B의 전체 주기 내내, 충전부(18)에서 소모된 전류는 충전부(18)에 제공된 전압에 비례하며, 그러므로 전류는 오옴의 법칙(Ohm's law) Ipri = Vpri/R을 따르기 때문이다.

Claims (9)

  1.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12)에 있어서,
    - 입력 전압(VPRI) 하의 AC 입력 전류(IPRI)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6);
    - DC 출력 전류(Isec)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6); 및
    계속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출력부로,
    - 풀 브리지 회로인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
    - 일차 회로(primary circuit)(24)가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21);
    - 상기 변압기의 이차 회로(secondary circuit)(26)의 양 단자에 걸쳐 접속된 정류 회로(28);
    - 상기 정류 회로(28)의 양 출력단(output terminals)에 걸쳐 병렬 연결된 저장 커패시터(32)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36)는 상기 저장 커패시터(32)의 양 단자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은, 상기 입력부(16)와 상기 출력부(36) 사이에서 스위칭 부재들을 포함하는 유일한 회로이고,
    입력 전류(IPRI)의 진폭을, 입력 전압(VPRI), 출력 전류(Isec) 및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Vsec)의 함수에 따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22)을 포함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Isec)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6)로부터 상기 저장 커패시터(32)로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만 출력 전류(Isec)를 추정하기(estimating)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Isec)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저장 커패시터(32)에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는 기간 동안 상기 저장 커패시터(3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강하 ΔU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저장 커패시터의 양단에서의 상기 전압 강하로부터 결정된 전압의 변동 속도(variation speed)로부터 상기 출력 전류(Isec)를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36)에서 소모된 전력(P)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104),
    상기 출력부(36)에서 소모된 전력의 함수로서
    입력 전압(VPRI)을 이전에 결정된 저항(R)으로 나눈 몫으로 주어지는 전류 강도(I)의 진폭인 입력 전류(IPRI)의 기준 진폭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입력 전류(IPRI)의 기준 진폭의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 전류(IPRI)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116)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22)
    을 포함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36)에서 소모된 전력(P)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104)은 상기 입력 전류(IPRI)의 각각의 반 주기(half-period) 동안 소모된 전력(P)을 계산할 수 있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36)에서 소모된 전력(P)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104)은, 상기 저장 커패시터에 공급된 전력과 상기 출력부(36)로부터 충전부(14)에 전송된 전력의 가중된 합으로부터 상기 전력(P)을 계산할 수 있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식 브레이커 스위치의 시스템(20)은 브리지(bridge)를 형성하는,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12) 및 증폭단(amplification stage)(14)을 포함하는 증폭기(10).
KR1020127026785A 2010-03-16 2010-03-16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KR101813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R2010/050471 WO2011114007A1 (fr) 2010-03-16 2010-03-16 Alimentation à découp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578A KR20130055578A (ko) 2013-05-28
KR101813060B1 true KR101813060B1 (ko) 2017-12-28

Family

ID=4338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785A KR101813060B1 (ko) 2010-03-16 2010-03-16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90928B2 (ko)
EP (1) EP2548296B1 (ko)
JP (1) JP2013523068A (ko)
KR (1) KR101813060B1 (ko)
CN (1) CN102948063A (ko)
BR (1) BR112012023239A2 (ko)
WO (1) WO2011114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3102B1 (fr) 2015-02-20 2018-05-11 Devialet Alimentation a decoupage a branches commandees
FR3047856B1 (fr) * 2016-02-16 2020-01-10 Devialet Alimentation a decoupage
CN113394989B (zh) * 2020-03-12 2023-08-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转换装置及充电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1096A1 (en) 2006-10-31 2008-05-01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JP2009504128A (ja) 2005-08-01 2009-01-29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切換可能な推定器を有するdc−dcコンバ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140A (en) * 1973-11-21 1975-01-28 Rca Corp Regulated power supply including forward feed
JPS6022471A (ja) * 1983-07-15 1985-02-04 Kyosan Electric Mfg Co Ltd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GB2179477B (en) * 1985-08-23 1989-03-30 Ferranti Plc Power supply circuit
JPH05122935A (ja) * 1991-10-25 1993-05-18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回路
FR2693321B1 (fr) * 1992-07-03 1994-07-29 Renault Chargeur de batterie.
JP3252598B2 (ja) * 1994-03-23 2002-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ンバータ
JP3318240B2 (ja) * 1997-09-12 2002-08-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1009094B1 (en) * 1998-12-08 2009-05-20 Panasonic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S6246594B1 (en) * 1999-07-23 2001-06-12 Shindengen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low loss characteristics
WO2001071896A1 (fr) * 2000-03-23 2001-09-27 Tdk Corporation Alimentation a decoupage
US6483723B2 (en) * 2000-11-07 2002-1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power supply
US6650552B2 (en) * 2001-05-25 2003-11-18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with series connected converter circuits
JP2004215469A (ja) * 2003-01-09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EP2157684B1 (en) * 2007-06-04 2019-03-06 Panasonic Corporation Power-supply control apparatus and heat pump device using the power-supply control apparatus
KR100966972B1 (ko) * 2008-07-17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스위칭 주파수 방식 전원 공급 장치
EP2395646A4 (en) * 2009-02-06 2017-05-10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Inverter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128A (ja) 2005-08-01 2009-01-29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切換可能な推定器を有するdc−dcコンバータ
US20080101096A1 (en) 2006-10-31 2008-05-01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JP2008118727A (ja) 2006-10-31 2008-05-22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0928B2 (en) 2015-11-17
EP2548296B1 (fr) 2015-05-06
US20130069733A1 (en) 2013-03-21
EP2548296A1 (fr) 2013-01-23
KR20130055578A (ko) 2013-05-28
BR112012023239A2 (pt) 2016-05-17
JP2013523068A (ja) 2013-06-13
CN102948063A (zh) 2013-02-27
WO2011114007A1 (fr)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757B2 (en) AC/DC converter with a PFC and a DC/DC converter
EP3503369B1 (en) Direct current voltage conversion circuit
US6556462B1 (en) High power factor converter with a boost circuit having continuous/discontinuous modes
US20130033910A1 (en) Power Converter Circuit
EP2438673A1 (en) Input current generating scheme for buck-boost controller
EP2438674A2 (en) Controller for a buck-boost circuit
US20110194316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20190041094A (ko) 차량 탑재형 충전 시스템
US8988039B2 (en) Power converter circuit
US7869232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suppressing output voltage variation due to input voltage fluctuation
JP2004528000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30060039A (ko) 교류-직류 컨버터
JP4854556B2 (ja) 電源装置
KR101813060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KR20220020955A (ko) 멀티레벨 변환기를 위한 전압 밸런스 시스템 및 방법
CN108521848B (zh) 网络反馈单元和电驱动系统
US9887643B2 (en) Bidirectional electrical signal converter
US9106143B2 (en) AC/DC converter with galvanic insulation and signal corrector
EP2421134A1 (en) Current-fed quadratic buck converter
US9467069B2 (en) Feed-in/feedback converter with phase current transform
US2023020828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nwanted Harmonic Content Removal for Power Conversion
EP3285386A1 (en) Matrix direct ac/ac converter
Petrone et al. Digital implementation of one cycle control in back to back converters
EP321752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 current path dc/dc converter and multi current path dc/dc converter
Bortis et al. 25kW 3-phase unity power factor buck boost rectifier with wide input and output range for pulse loa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