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930B1 -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 Google Patents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930B1
KR101812930B1 KR1020170102583A KR20170102583A KR101812930B1 KR 101812930 B1 KR101812930 B1 KR 101812930B1 KR 1020170102583 A KR1020170102583 A KR 1020170102583A KR 20170102583 A KR20170102583 A KR 20170102583A KR 101812930 B1 KR101812930 B1 KR 10181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d
seedlings
mud powder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7010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머드를 물에 희석하여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머드의 유효성분이 버섯에 포함되도록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은 머드 분말을 준비하는 머드분말 준비단계;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머드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살수액을 제조하는 살수액 준비단계; 원목에 종균구멍을 형성하고 버섯 종균을 삽입하여 재배하는 원목재배방식 또는 톱밥을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배지를 용기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용기재배방식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재배단계; 및 상기 살수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살수액을 상기 버섯 재배단계에서 발아된 버섯에 살수하는 살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CULTIVATING METHOD OF MUSHROOM CONTAINING EFFECTIVE INGREDIENT OF MUD AND MUSHROOM MANUFACTURED BY THEREBY}
본 발명은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머드를 물에 희석하여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머드의 유효성분이 버섯에 포함되도록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유기물 형태의 탄소를 이용하는 영양 요구성 미생물로서 분류학상 담자균류에 속한다.
담자균류에 속하는 버섯(mushroom)은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성장 발육하는 자실체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 채소류에 비해 높은 영양가가 있는 식품재료이면서, 고혈압, 당뇨 및 항암효과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의 하나이다.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버섯의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버섯의 소요량은 매년 17%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재배되는 버섯류에는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표고버섯, 새송이버섯, 버들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및 만가닥버섯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담자균과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서, 봄부터 가을에 참나무류, 활엽수의 나무토막, 그루터기 위에 단생하거나 군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균으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 아시아, 뉴질랜드 등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표고버섯의 성분은 수분이 81.8~9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과 아미노산, 지방, 회분,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버섯의 세포벽에 섬유질 성분과 다양한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표고버섯의 생리적인 특징으로 항암효과, 항균성, B형 간염치료 효과, 항 바이러스 등에 대한 연구의 보고가 있다.
그리고 표고버섯의 재배방식에는 그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원목재배방식, 폐면과 볏짚 등을 이용한 균상재배방식, 톱밥과 면실피 및 미강 등 다수의 배지를 혼합하여 용기 또는 봉지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용기재배방식 등이 있다. 근래에는 연중 지속적인 생산과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계화된 봉투재배 및 봉지재배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표고버섯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81711호가 개시되었다.
또한, 영양액으로 목초액을 사용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401791호에 개시되었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화 물질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9402호가 개시되었다.
한편, 머드(MUD)는 진흙을 함유한 점토성 물질과 동식물들의 분해산물과 토양 및 염류 등이 퇴적되어 오랜 세월동안 지질학적, 화학적 작용을 받고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머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이스라엘 사해산, 캐나다나 콜롬비아 해안의 빙하토, 러시아 바이칼, 캘리포니아 클레어 머드, 뉴질랜드 화산머드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1996년 보령의 머드가 국내 최초로 머드원료로 국산화되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머드에는 탄소, 질소, 인, 유황, 철 및 규산화합물 등 수많은 무기물질과 미량원소들이 들어있다. 또한,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프롤란, 에스트로겐 등 호르몬 유사물질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티아민, 아스코르빈산, 염산, 비타민B12, 리보플라민 등과 같은 비타민류도 풍부하다.
이에, 머드의 유효성분을 표고버섯뿐만 아니라 재배되는 버섯에 부여하는 기술은 전무하며, 이에 따라 버섯에 머드의 유효성분을 부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1381711 B1 (2014. 03. 31.) KR 10-1401791 B1 (2014. 05. 23.) KR 10-2017-0089402 A (2017. 08. 0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섯 재배에 사용되는 분사액으로 살수액을 이용하여 생육시켜서, 버섯에 머드의 유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은 머드 분말을 준비하는 머드분말 준비단계;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머드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살수액을 제조하는 살수액 준비단계; 원목에 종균구멍을 형성하고 버섯 종균을 삽입하여 재배하는 원목재배방식 또는 톱밥을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배지를 용기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용기재배방식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재배단계; 및 상기 살수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살수액을 상기 버섯 재배단계에서 발아된 버섯에 살수하는 살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머드분말은 채취한 머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머드를 정제수에 혼합하여 염분을 희석하는 염분희석단계; 상기 염분희석단계에서 염분이 희석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소다(NaOCl)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아염소산소다에 의해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해양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물을 제거한 후 머드를 추출하는 머드추출단계; 및 상기 머드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머드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머드분말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목재배방식은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준비단계; 준비된 상기 원목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원목타공단계; 상기 원목타공단계에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하는 머드분말 삽입단계; 상기 머드분말 삽입단계에서 머드 분말이 삽입된 구멍에 버섯 종균을 밀어넣는 종균삽입단계; 상기 종균삽입단계에서 종균이 삽입된 원목을 재배지에 적재하여 배양하는 배양단계; 및 상기 배양된 원목을 세워서 재배지에 배열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재배방식은 참나무톱밥, 미강, 왕겨, 소맥피, 포도당 및 칼슘을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제조단계; 상기 배지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배지를 봉지에 투입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 상기 밀봉단계에서 밀봉된 봉지를 타공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한 후,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접종단계; 및 상기 접종단계에서 버섯 종균이 접종된 봉지를 재배지로 이송하고 배양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드가 희석된 살수액을 버섯의 생육과정에 살수함에 따라 머드에 포함된 풍부한 광물질이 버섯에 흡수되고, 이에 따라 버섯을 섭취하는 것으로 머드의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드에 포함된 광물질을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섯의 생육에 이용하고, 머드에 포함된 광물질이 버섯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하여 식용에 안전한 버섯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머드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목초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버섯 재배단계의 원목재배방식과 용기재배방식의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양송이버섯과 표고버섯의 게르마늄 검출을 의뢰한 시험성적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섯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머드를 물에 희석하여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머드의 유효성분이 버섯에 포함되도록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은 머드분말 준비단계(S10), 살수액 준비단계(S20), 버섯 재배단계(S30) 및 살수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머드분말 준비단계(S10)
머드분말 준비단계(S10)는 해변에서 채취된 머드를 정제하여 분말화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머드는 예를 들면,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생산되는 머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령산 머드에는 Na 1.47%, Mg 0.71%, Al 8.89%, Si 31.52%, K 3.61%, Ca 0.70%, Ti 0.54%, Fe 4.46%, O 48.10%의 성분을 갖는다. 그리고 일반 머드에 비해 뛰어난 원적외선 발생효과가 있어, 피부진정과 기미,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며 피부재생 및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원적외선이 발생됨에 따라 곡물의 발아 과정에서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곡물의 발아를 촉진시켜 발아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머드 분말의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머드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머드 분말의 제조과정은 이물질제거단계(S11), 염분희석단계(S12), 살균단계(S13), 머드추출단계(S14) 및 머드분말화단계(S15)로 이루어진다.
1-1. 이물질제거단계(S11)
이물질제거단계(S11)는 채취한 머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채취된 머드에는 금속, 합성수지 및 기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머드 이외의 이물질은 금속탐지기 또는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1-2. 염분희석단계(S12)
염분희석단계(S12)는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11)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머드를 정제수에 혼합하여 염분을 희석하는 단계이다.
머드를 정제수에 투입하게 되면, 머드에 포함된 염분은 정제수에 용융되고, 후에 원심분리기 등을 이용하여 물을 분리 제거하면 염분이 함께 제거된다.
1-3. 살균단계(S13)
살균단계(S13)는 상기 염분희석단계(S12)에서 염분이 희석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소다(NaOCl)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아염소산소다에 의해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해양생물을 살균하는 단계이다.
바다에서 채취된 머드에는 해수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생물인 담치류 및 해조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해양생물은 저장탱크 또는 공급관 등에 부착된 채 수질을 오염시키거나 유로를 폐색시키고, 부식을 촉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염분이 희석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게 되면, 양극(Anode, +극)에서는 염소(Cl2)가 발생되고, 음극(Cathode, -극)에서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과 수산화나트륨(NaOH)이 생성된다. 이에,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음극에서 생성된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소다(NaOCl)가 생성된다.
생성된 차아염소산소다는 분해되면서 산소를 방출하여 강한 산화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살균제, 소독제, 산화제 및 표백제 등으로 사용된다.
이에, 생성된 차아염소산소다에 의해서 해양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1-4. 머드추출단계(S14)
머드추출단계(S14)는 상기 살균단계(S13)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물을 제거 후 머드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원심분리에 따라 머드와 물이 분리되는 데, 이때 물에 포함된 염분도 제거되게 된다.
1-5. 머드분말화단계(S15)
머드분말화단계(S15)는 상기 머드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머드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머드분말화단계(S15)에서는 스크린을 통해 일정이상 큰 입도를 가진 머드 덩어리가 제거되는 선별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머드분말은 염분이 제거되고, 해양생물이 사멸되어 제거된 상태로서, 이를 버섯재배에 사용할 경우 머드분말에 의해 버섯이 오염되거나 또는 생육이 방해되지 않게 되며, 오히려 머드의 유효성분을 버섯이 흡수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2. 살수액 준비단계(S20)
살수액 준비단계(S20)는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머드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살수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살수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머드분말 5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수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머드분말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 살수액의 머드 농도가 낮아 버섯 내부로 머드의 유효 성분 흡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물 100 중량부에 대해 머드분말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 살수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폐색시킬 수 있고, 버섯이 머드의 유효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포화상태가 되어 의미가 없고 경제적인 손해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살수액에는 제조된 살수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초액 10 ~ 15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목초액은 참나무류를 공기가 없거나 제한된 상태로 하여 숯으로 굽는 탄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포집하여 냉각 응축시킨 조목초액을 6개월 ∼ 1년간 정치 숙성한 후 여과 또는 증류하여 제조한 액체로 초산의 신맛과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초액은 초산을 주성분으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철 등의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 B1, B2 등 각종 비타민 군을 포함한 200여 가지의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상 원적외선 방사체 물질로서 침투, 흡수력이 빠르며 살균, 해독력이 강하여 농업, 축산,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소재 자연 물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목초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목초액 제조과정은 조목초액 숙성단계(S21), 분리단계(S22) 및 정제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1. 조목초액 정치단계(S21)
조목초액 정치단계(S21)는 조목초액을 6 ~ 10 개월 동안 정치시키는 단계이다.
목재를 연기 중에서 가열하면 타서 재가 되는데, 예를 들면 숯가마 속과 같이 공기가 적은 곳에서 가열하면 '탄화' 현상이 일어나 목재는 숯으로 된다. 그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되는 데, 초기의 백색연기는 배제하고 그 뒤에 발생되는 황백연기를 포집하여 냉각시키면 액상화된 조목초액을 수득할 수 있다.
목재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인 셀롤로오스성분(헤미세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로 전체의 70 ~ 75%)과 탄화수소인 리그닌(전체의 20 ~ 25%)인데, 이것이 전체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숯가마에 목재를 넣고 가마 속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이들 성분의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대략 200℃에서 셀룰로오스 성분이 탄화되고, 300 ~ 400℃에서 리그닌이 탄화된다.
황백 연기는 가마 속의 탄재가 탄화를 시작했다는 신호로서, 이 단계에서 작은 통기구만을 남기고 가마 입구를 폐쇄하면 온도는 더욱 상승하여 리그닌의 열분해가 시작되면서 연기는 옅은 황색을 띤다.
상기 연기를 냉각하여 수득된 조목초액에는 타르, 메탄올, 페놀 성분이 많으며 또한 발암성 물질인 벤조피렌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조목초액 정치단계(S21)는 상기 조목초액을 6 ~ 10 개월 동안 정치시키면, 상층, 중층 및 하층의 3개의 층으로 분리되는데, 중층의 물에 녹는 액이 목초액이다. 그리고 상층과 하층의 기름에 녹는 액이 각각 '경유질' 과 '타르' 이다.
2-2. 분리단계(S22)
분리단계(S22)는 조목초액 정치단계(S22)를 통해 상층, 중층 및 하층으로 분리된 조목초액에서 중층의 목초액을 분리하여 목초액을 얻는 단계이다.
정치된 조목초액은 상층의 경유질(15 ~20부피%), 중층의 목초액(50 ~ 65부피%) 및 하층의 타르(20 ~ 30부피%)로 분리되고, 이를 통해서 목초액을 얻는다.
경유질은 목초액과 혼합하여 농업용으로 사용되며, 목초액은 정제한 후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식용 또는 의약용 원료로 사용되며, 타르는 목초액과 경유질을 혼합하여 농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2-3. 정제단계(S23)
정제단계(S23)는 상기 분리된 목초액을 정제하는 단계이다.
조목초액으로부터 분리된 목초액에는 목타르, 페놀, 메탄올, 크레졸 및 벤졸피렌 등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이를 식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에, 상기의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본 발명의 살수액에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조목초액과 과산화수소수를 인산 존재하에서 30 ~ 70℃에서 8 ~ 12시간 동안 산화반응시켜 이루어진다. 산화반응 후, 36 ~ 40시간 방치하고 방치시 형성되는 응집물을 제거한 후, 90 ~ 120℃로 3.5 ~ 4.5시간 동안 증류하는 방식으로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정제된 목초액은 산도, 벤조피렌, 디에틸에테르, 메탄올, 페놀, 카르보닐, 고형분 함량 및 납에 대한 성분시험을 통해 소정의 성분 이하로 검출되어야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산도 3.5pH 이하, 벤조피렌 0.002ppm 이하, 디에틸에테르 20ppm 이하, 메탄올 50ppm 이하로 검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살수액에 목초액을 첨가함으로써, 버섯 재배시 민달팽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민달팽이는 농작물을 훼손하는 해충으로서, 버섯 등의 농작물을 먹고 자란다. 버섯은 살충제 등의 농약을 살포하게 되면 살포된 농약이 버섯 내부에 침투하게 되어 세척에 의해서도 살포된 농약을 완전히 세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버섯 등의 농작물에는 살충제를 살포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미달팽이와 같은 해충은 직접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살수액에 목초액을 첨가하게 되면, 모초액의 스모크향이 민달팽이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목초액에는 살균기능이 있어, 버섯에 유도하지 않은 미생물의 접근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버섯 재배단계(S30)
버섯 재배단계(S30)는 원목재배방식 또는 용기재배방식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원목재배방식은 원목에 종균구멍을 형성하고 버섯 종균을 삽입하여 재배하는 방식이고, 용기재배방식은 톱밥을 포함한 배지를 혼합하고 이를 용기(또는 봉지)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버섯의 재배방식은 상기 2가지의 방식 이외에도 폐면과 볏짚 등을 이용한 균상재배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에 적용된 버섯 재배단계의 원목재배방식과 용기재배방식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원목재배방식은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준비단계(S31a); 준비된 상기 원목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원목타공단계(S31b); 상기 원목타공단계(S31b)에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하는 머드분말 삽입단계(S31c); 상기 머드분말 삽입단계(S31c)에서 머드 분말이 삽입된 구멍에 버섯 종균을 밀어넣는 종균삽입단계(S31d); 및 상기 종균삽입단계(S31d)에서 종균이 삽입된 원목을 재배지에 적재하여 배양하는 배양단계(S31e); 및 상기 배양된 원목을 세워서 재배지에 배열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31f)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목은 껍질이 온전한 참나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재배지는 통풍과 배수가 잘되는 장소, 습도 70~80%가 유지되고, 온도 20~28℃가 유지될 수 있는 동향 내지 남향의 경사지가 적합하다. 그리고 재배 과정에서 원목에 대해 소정의 주기에 맞춰 상하를 뒤집는 뒤집기 작업이 진행되어야 버섯의 발아가 증가된다.
상기 원목타공단계(S31b)에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소량 투입한다. 즉, 버섯 종균의 하단부에 머드분말이 충전되어 버섯이 발아되면서 머드의 유효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투입되는 머드 분말의 양은 타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버섯 종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버섯 종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입되는 머드 분말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버섯 종균이 머드 분말의 유효 성분을 흡수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머드 분말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공된 구멍에 버섯 종균이 깊숙히 삽입되지 못하여 취급하는 과정에서 버섯 종균이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재배방식은 참나무톱밥, 미강, 왕겨, 소맥피, 포도당 및 칼슘을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제조단계(S32a); 상기 배지제조단계(S32a)에서 제조된 배지를 봉지에 투입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S32b); 상기 밀봉단계(S32b)에서 밀봉된 봉지를 타공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머드분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한 후,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접종단계(S32c); 및 상기 접종단계(S32c)에서 버섯 종균이 접종된 봉지를 재배지로 이송하고 배양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32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지의 혼합비율은 참나무톱밥 80.8 중량%, 미강 7 중량%, 왕겨 6 중량%, 소맥피(밀기울) 6 중량%, 포도당 0.1 중량% 및 칼슘 0.1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맥피는 밀에서 밀가루를 얻고 난 찌꺼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소맥피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용기재배방식에서도 타공된 구멍에 머드분말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한 후, 버섯 종균을 접종함에 따라 버섯이 발아되면서 머드의 유효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4. 살수단계(S40)
상기 살수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살수액을 살수하는 단계이다.
버섯을 발아시키기 위해, 버섯이 발아되는 온도에서 살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 20 ~ 50일 전후로 버섯이 발아하게 된다.
상기 살수액 준비단계(S20)에서 준비된 살수액은 버섯을 발아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버섯이 발아된 후에 버섯에 대해 직접 살포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즉, 준비된 살수액이 버섯을 발아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많은 량의 살수액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살포된 살수액의 대부분이 버섯에 살수되지 않고 원목 또는 용기 등에 살포됨에 따라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상기 살수단계(S40)에서의 살수는 분무기 또는 소량 분사되는 살수장치 등을 이용하여 발아된 버섯에만 직접 분사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양송이 버섯과 표고버섯의 게르마늄 검출을 의뢰한 시험성적서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양송이 버섯 및 표고버섯에는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다. 즉, 시험성적서에 의하면, 양송이 버섯의 경우 100g당 5.51㎍의 게르마늄이 포함되어 있고, 표고버섯의 경우 100g당 60.79㎍의 게르마늄이 포함된 것으로 검출되었다.
상기 시험성적서는 양송이 버섯과 표고버섯에 포함된 게르마늄의 성분을 유무 및 성분량을 의뢰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버섯이 발아되어 생육되면서 머드로부터 게르마늄뿐만 아니라 머드의 다른 유효성분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버섯은 머드의 다른 성분도 포함된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드가 희석된 살수액를 버섯의 생육과정에 살수함에 따라 머드에 포함된 풍부한 광물질이 버섯에 흡수되고, 이에 따라 버섯을 섭취하는 것으로 머드의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드에 포함된 광물질을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섯의 생육에 이용하고, 머드에 포함된 광물질이 버섯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도록 하여 섭취에 안전한 버섯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5)

  1. 머드 분말을 준비하는 머드분말 준비단계;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머드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살수액을 제조하는 살수액 준비단계;
    원목에 종균구멍을 형성하고 버섯 종균을 삽입하여 재배하는 원목재배방식 또는 톱밥을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고 제조된 배지를 용기에 충진하여 재배하는 용기재배방식으로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재배단계; 및
    상기 살수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살수액을 상기 버섯 재배단계에서 발아된 버섯에 살수하는 살수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머드분말은,
    채취한 머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머드를 정제수에 혼합하여 염분을 희석하는 염분희석단계;
    상기 염분희석단계에서 염분이 희석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소다(NaOCl)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차아염소산소다에 의해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해양생물을 살균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물을 제거한 후 머드를 추출하는 머드추출단계; 및
    상기 머드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머드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시키는 머드분말화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목재배방식은,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준비단계;
    준비된 상기 원목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원목타공단계;
    상기 원목타공단계에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하는 머드분말 삽입단계;
    상기 머드분말 삽입단계에서 머드 분말이 삽입된 구멍에 버섯 종균을 밀어넣는 종균삽입단계;
    상기 종균삽입단계에서 종균이 삽입된 원목을 재배지에 적재하여 배양하는 배양단계; 및
    상기 배양된 원목을 세워서 재배지에 배열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재배방식은,
    참나무톱밥, 미강, 왕겨, 소맥피, 포도당 및 칼슘을 포함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배지제조단계;
    상기 배지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배지를 봉지에 투입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
    상기 밀봉단계에서 밀봉된 봉지를 타공하고, 상기 타공된 구멍에 상기 머드분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머드 분말을 삽입한 후,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접종단계; 및
    상기 접종단계에서 버섯 종균이 접종된 봉지를 재배지로 이송하고 배양하여 버섯 종균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5.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재배방법에 의해서 생산된 버섯.
KR1020170102583A 2017-08-11 2017-08-11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KR10181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83A KR101812930B1 (ko) 2017-08-11 2017-08-11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83A KR101812930B1 (ko) 2017-08-11 2017-08-11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930B1 true KR101812930B1 (ko) 2017-12-28

Family

ID=6093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83A KR101812930B1 (ko) 2017-08-11 2017-08-11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9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214B2 (ja) * 2004-10-25 2012-02-08 株式会社エヌ・オー・エス 植物育成方法
KR101281144B1 (ko) * 2012-11-08 2013-07-02 가평군청 버섯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한 배지봉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214B2 (ja) * 2004-10-25 2012-02-08 株式会社エヌ・オー・エス 植物育成方法
KR101281144B1 (ko) * 2012-11-08 2013-07-02 가평군청 버섯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한 배지봉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3502C (en) Method for producing fulvic acid
KR101431787B1 (ko) 유기농 인삼 및 그의 재배방법
CN105900692B (zh) 一种利用玉米芯栽培猴头菇的方法
CN106831238A (zh) 土著微生物益生菌制作微生物肥料、营养液、饲料、农药、发酵床养殖方法
CN103848687B (zh) 一种固体有机废弃物制植物生长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3524253A (zh) 一种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6986678A (zh) 一种油茶的种植方法
CN104311334A (zh) 用于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复合改良剂及制备工艺
KR101065484B1 (ko) 작물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CN100417326C (zh) 对环境安全的农用添加剂
CN107996242A (zh) 一种辣木容器育苗方法
CN102972192A (zh) 在田间施用芥子酶制剂提高菜粕抑菌防病药效的方法
CN107242045A (zh) 具促进植物生长功效的可降解育苗钵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812930B1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버섯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버섯
CN103371155A (zh) 治疗果树根癌的印楝素水溶剂及其制备方法
KR100781388B1 (ko) 방사선조사기술을 이용한 육묘상토의 제조방법
NL2024759B1 (en) All-organic straw granular fertiliz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90050571A (ko)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20220057782A (ko) 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활성을 가지는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20210054624A (ko) 수용성 게르마늄과 각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를 이용한 인삼 재배 방법
CN108264406A (zh) 一种百香果的土壤配方
CN109279979A (zh) 一种含腐植酸的桃树专用基肥
CN115007638B (zh) 一种利用能源植物甜高梁及其衍生产品可持续性修复含镉盐碱地的方法
KR200179665Y1 (ko)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Cocîrlea et al. RHUS TYPHINA–FROM ENVIRONMENTAL THREAT TO INDUSTRY DEVELOPMENT OPPORT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