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263B1 -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263B1
KR101812263B1 KR1020150190872A KR20150190872A KR101812263B1 KR 101812263 B1 KR101812263 B1 KR 101812263B1 KR 1020150190872 A KR1020150190872 A KR 1020150190872A KR 20150190872 A KR20150190872 A KR 20150190872A KR 101812263 B1 KR101812263 B1 KR 10181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heat exchange
pip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861A (ko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150190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과 열교환관 내부를 순환하는 저온수의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전기 보일러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Electric boiler using Indirect heating type electric water heater}
본 발명은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과 열교환관 내부를 순환하는 저온수의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전기 보일러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각종 업무용 빌딩 및 상가 건물들에서는 환절기나 동절기에 대비하여 그 크기가 작아 벽면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기 온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기 온수기는 몸체 내부의 수실에 보충된 물을 전기 히터로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물을 빠르게 가열하여 출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7361호 '타이머가 구비된 절전형 저장식 전기온수기'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3976호 '저장식 전기온수기'에서는 소형 전기 온수기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입수구(10)를 통해 온수기 몸체(20)로 공급된 물을 전기 히터(30)로 가열 후, 출수구(40)를 통해 부하측인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따라서, 이물질이나 부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 포함된 직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출탕되는 구조에 의해 범랑 재질로 이루어진 온수기 몸체가 부식되고 수축/팽창의 반복으로 파괴되어 녹물 발생이나 누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전기 히터(30) 표면에 스케일이 지속적으로 축적됨에 따라 열전도를 방해하고 이로 인해 전기 히터와 저온의 직수 사이에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어 결국 전기 온수기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 온수기는 공급된 저온수를 가열함에 따른 물의 팽창을 수용할 수 있는 팽창탱크를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구비하고 있다고 하여도 온수기 몸체의 상단에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전기 온수기는 벽면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기 온수기로써 오직 온수를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난방용 보일러로는 사용할 수 없어서 별도의 보일러를 추가로 구비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종래의 일반적인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도 난방과 온수를 겸용하여 제공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그 용량이 10,000kcal/h 이상으로 전체 용량 대비 난방과 온수의 비중이 7:3 정도이다.
따라서, 종래의 보일러는 소형 난방 부하에는 적합하지 않다. 예컨대, 약 20평 이상의 주택 난방에는 적합지만 원룸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원룸의 경우에는 난방 평수가 작기 때문에 난방과 온수의 비중이 3:7로 온수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위와 같은 취지로 종래의 보일러로는 온수를 주로 공급함과 동시에 용량이 작은 소형 라지에이터, 팬코일 유닛, 엑셀 파이프 및 온수 판넬 등에 보조적으로 난방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7361호 '타이머가 구비된 절전형 저장식 전기온수기'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3976호 '저장식 전기온수기'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용 물을 이용하여 열교환관 내부를 순환하는 저온수를 간접 가열하되, 온수기의 내구성 및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별도의 팽창탱크 없이도 팽창공간을 제공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에 펌프 등을 더 설치하여 비교적 부하 용량이 작은 난방부하에 난방수를 공급함으로써 전기 온수기를 전기 보일러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는 내부에 수실이 구비된 온수기 몸체와; 상기 수실에 가열용 물을 자동으로 보충하되, 상기 온수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위를 제한하는 자동급수장치와; 발열부가 상기 수실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 물의 온도를 높이는 전기 히터와; 상기 수실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가 높아진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관과; 상기 열교환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관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 입수구; 및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저온수가 열교환관을 통과하며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하여 생성된 온수를 부하측에 공급하는 온수 출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수기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팽창공간과 연결되도록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설치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가 상기 팽창공간까지 상승시, 상기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플로팅 단속장치; 및 상기 플로팅 단속장치로 가열용 물을 공급하는 가열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수 공급관의 입수측은 상기 저온수 입수구의 분기로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수 공급관의 출수측은 상기 플로팅 단속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가열용 물의 수위가 상기 팽창공간까지 도달시, 상기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자식 단속장치; 및 상기 전자식 단속장치까지 상기 가열용 물을 공급하는 가열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온수 입수구 및 온수 출수구는 각각 상기 온수기 몸체에 관통 설치된 니플; 및 상기 니플과 열교환관 사이를 연결하는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기 몸체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성형된 것이고, 상기 열교환관은 코일 형상의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은 상기 온수기 몸체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난방부하의 공급측에 연결되도록 연장 설치된 난방 공급관과; 일단은 상기 온수기 몸체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부하의 환수측에 연결되도록 연장 설치된 난방 환수관; 및 상기 난방 공급관 및 난방 환수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난방수 순환용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수 입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저온수 입수구를 통해 저온수가 공급 중인지를 검출하는 흐름감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하측에서 온수를 사용하는지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충된 가열용 물을 이용하여 열교환관을 순환하는 저온수를 계속해서 간접 가열하므로 이물질이나 부식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온수기의 내구성 및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자동급수장치를 이용하여 온수기 몸체 내부의 수위를 제한함으로써 온수기 몸체 내부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므로, 별도의 팽창탱크 없이도 물의 팽창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에 펌프 등을 더 설치하여 다양한 타입의 난방기에 난방수를 공급함으로써 전기 보일러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온수기를 전기 보일러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난방을 위한 별도의 보일러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로 온수와 난방을 모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나타낸 우측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나타낸 좌측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수기 겸용 전기 보일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따른 전기 보일러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따른 전기 보일러의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100)는 온수기 몸체(110), 자동급수장치(120), 전기 히터(130), 열교환관(140), 저온수 입수구(150) 및 온수 출수구(160)를 포함한다.
이때, 온수기 몸체(110)는 그 내부에 수실(water tank)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온수기 몸체(110)는 조립이 쉽도록 2개의 조립체 이루어지며 전방부는 커버로 사용되고, 후방부는 베이스로 사용된다.
이러한 온수기 몸체(110)는 그 후방부의 베이스에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BK)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의 전기 온수기(100)를 벽면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온수기 몸체(110)는 복합 PP(composite polypropylene)와 같이 사출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온수기가 범랑 재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부식이나 핀 홀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써 대기 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온수기 몸체(110)의 상단부(예: 천정면)에 배기공(도시생략)을 형성하여, 가열용 물이 팽창하여도 전혀 압력을 받지 않게 한다. 따라서, 온수기 몸체(110)에 녹 발생이 없는 플라스틱 일체형 수실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자동급수장치(120)는 온수기 몸체(110) 내부의 수실에 가열용 물을 자동으로 보충한다. 본 발명은 수실에 가열용 물(가열수)을 채운 후 이를 온수 가열에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물 보충은 최초 사용시, 청소나 점검시 혹은 자연 증발로 인한 수위 저하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120)는 온수기 몸체(110)의 내부 상측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위를 제한한다. 수위 제한은 온수기 몸체(110)의 용량 등에 따라 고수위 레벨을 설정 후 그 이하까지만 가열용 물을 보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수기 몸체(110) 내부 중 가열용 물이 보충된 수위까지는 수실로 사용되고, 가열용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부의 빈 공간(고수위 레벨부터 온수기 몸체의 천정까지)은 가열된 물의 팽창을 수용하는 팽창공간으로 사용된다.
위와 같은 자동급수장치(120)로써 채택 가능한 급수기는 부력을 이용한 플로트 방식의 자동급수장치(120) 및 수위 센서와 제어기를 이용한 전자식 자동급수장치(도시 생략)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방식의 자동급수장치(120)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급수장치(120)는 플로트(121)(float), 플로팅 단속장치(122) 및 가열수 공급관(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플로트(121)는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부력체인 플로트(121)는 회동암을 통해 플로팅 단속장치(122)에 힌지 결합된다.
플로팅 단속장치(122)는 플로트(121)가 팽창공간까지 상승시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하고, 가열수 공급관(123)은 플로팅 단속장치(122)로 가열용 물을 공급함으로써 설정된 팽창공간의 하부까지만 가열용 물이 채워진다.
반면,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자동급수장치로써 전자식 자동급수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자동급수장치(120)는 수위 센서, 전자식 단속장치 및 가열수 공급관(123)을 포함한다.
수위 센서는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저수위 센서 및 고수위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을 비롯하여 가열용 물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전자식 단속장치는 수위 센서로부터 검출값을 제공받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전동식 밸브 등을 구비하여 가열용 물의 수위가 팽창공간까지 도달시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한다.
따라서, 가열수 공급관(123)에 의해 전자식 단속장치까지 가열용 물을 공급하면, 전자식 단속장치의 제어하에 온수기 몸체(110)의 팽창공간 하부까지만 가열용 물이 채워지게 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수장치(120)의 가열수 공급관(123)은 저온수 입수구(150)를 통해 가열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줄이고 설비 사이즈를 줄인다.
이를 위해 가열수 공급관(123)의 입수측은 저온수 입수구(150)의 분기로에 연결되고, 가열수 공급관(123)의 출수측은 플로팅 단속장치(122)에 연결된다. 이는 전자식 자동급수장치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기 히터(130)는 발열부가 수실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온도를 높이며, 바람직하게 발열부는 스테인레스 히터가 사용된다.
또한, 전기 히터(130)의 단자부는 전원을 공급받도록 온수기 몸체(110)의 외부에 조립되며, 누전을 방지하도록 실링 수단을 통해 수실로부터 절연된다.
이러한 전기 히터(130)는 일 예로 온수기 몸체(110)의 전방부에 다이얼 타입의 온도조절레버를 통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전기 히터(130)에 과열 방지 센서 등을 설치하여 가열용 물이 없거나 부족한 상태에서 전기 히터(130)가 작동하여 온수기 몸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온수기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 밸브(SV) 등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관(140)은 온수기 몸체(110) 내부의 수실에 설치되며, 전기 히터(130)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한다. 즉, 가열용 물에 의해 열교환관(140)을 따라 순환하는 저온수가 가열되는 간접 가열이 이루어진다.
열교환관(140)은 통상적으로 '온수관'이라고도 불리며 본 발명에서는 코일 형상의 단위 열교환관(140)을 다수개(예: 2개) 나란히 배치하여 전열면적을 늘리고 풍부한 출탕 용량을 제공한다.
또한, 열교환관(140)은 스테인레스 재질(예: STS 304)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표면에 스케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뛰어난 내구성과 함께 항상 깨끗한 상태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저온수 입수구(150)는 열교환관(140)의 일단(즉, 입수측)에 연결되어 열교환관(140)에 저온수를 공급한다. 저온수 입수구(150)를 통해 공급되는 저온수로는 대표적으로 직수인 수돗물이 있다.
일 예로 저온수 입수구(150)는 온수기 몸체(110)에 관통 설치된 니플(NP)(nipple) 및 상기 니플(NP)과 열교환관(140) 사이를 연결하는 스테인레스 주름관(SP)을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저온수 입수구(150)의 스테인레스 주름관(SP)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단위 코일형 열교환관(140)의 입수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수 공급관(123)은 일 예로 니플(NP)에 형성된 분기로에 연결되어 저온의 직수를 가열용 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온수 출수구(160)는 열교환관(140)의 타단(즉, 출수측)에 연결되며, 저온수가 열교환관(140)을 통과하며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하여 생성된 온수를 부하측(예: 온수 꼭지 등)에 공급한다.
온수 출수구(160) 역시 일 실시예로써 온수기 몸체(110)에 관통 설치된 니플(NP) 및 니플(NP)과 열교환관(140) 사이를 연결하는 스테인레스 주름관(SP)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주름관(SP)에 의해 가열용 물과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면서 깨끗한 온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보일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전기 보일러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전기 온수기 겸용 전기 보일러를 제공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보일러는 온수기 몸체(110), 자동급수장치(120), 전기 히터(130), 열교환관(140), 저온수 입수구(150) 및 온수 출수구(160)를 포함하며, 이점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는 위와 같은 구성에 더해 난방 공급관(170a), 난방 환수관(170b) 및 난방수 순환용 펌프(180)가 추가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는 흐름감지 스위치(190) 및 난방수 센서(S)를 더 포함한다.
이때, 난방 공급관(170a)은 간접 가열식 온수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난방수로써 각종의 난방부하에 공급하고, 난방 환수관(170b)은 난방부하에서 난방을 마친 난방 환수를 다시 간접 가열식 온수기로 순환시킨다.
상술한 난방부하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0평 이상의 일반 주택과 비교하여 난방 평수가 작은 원룸의 바닥 난방이나 소형 팬코일 유닛과 같은 각종의 난방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난방 공급관(170a)의 일단은 온수기 몸체(110)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난방부하의 공급측에 연결된다. 난방 환수관(170b)의 일단은 온수기 몸체(110)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난방부하의 환수측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난방 공급관(170a)은 온수기 몸체(110) 내부의 수실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길이 더 연장되어 난방 환수관(170b)보다 길게 구성하고, 그에 따라 충분히 가열된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난방수 순환용 펌프(180)는 이상과 같은 난방 공급관(170a) 및 난방 환수관(17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난방부하와 온수기 몸체(110) 사이에서 난방수의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흐름감지 스위치(190)는 일종의 유량 감지 센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저온수 입수구(150)에 설치되어 저온수 입수구(150)를 통해 저온수가 공급 중인지를 검출한다. 따라서, 부하측에서 온수를 사용하는지 감지한다.
부하측에서 온수를 사용하면 온수기 몸체(110)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서 자동급수장치(120)가 작동되며, 이때 저온수 입수구(150)를 통해 저온수가 보충된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난방에 적합하지 않은 온수 온도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난방 공급을 일시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기(미도시)는 난방수 순환용 펌프(18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부하측에서의 온수 사용이 중단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재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온수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난방수 센서(S)를 통해 온수/난방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수 공급은 물론 난방수 공급 역시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부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난방 평수가 작은 원룸의 바닥 난방이나 소형 팬코일 유닛과 같은 각종의 난방기를 포함한다. 이때, 난방기로는 라지에이터, 팬코일 유닛, 엑셀 파이프, 온수 판넬 및 온수 매트 등이 있다.
이러한 난방기들은 난방수를 열원으로 하는 소형의 난방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로부 온수 즉, 난방수를 공급받아 실내에 난방을 제공한다. 물론, 난방과 함께 온수 부하측(예: 온수 꼭지)에 온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기 겸용) 전기 보일러에 소형 팬코일 유닛(FCU)이 적용된 것을 예로 들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전기 보일러 본체에 팬코일 유닛(FCU)이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 온수 공급과 난방 공급을 모두 가능하게 하면서도 설비 사이즈를 월등히 줄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이고 공간 활용도 역시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5와 같이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기 보일러에 소형 팬코일 유닛(FCU)이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전기 보일러의 전용(diversion) 가능성에 다소 제약이 있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전기 보일러의 하부에 소형 팬코일 유닛(FCU)을 탈부탁 가능하게 설치하면 전기 보일러가 주된 장치가 되고, 난방부하인 소형 팬코일 유닛(FCU)은 종된 장치로써 전기 보일러의 전용 가능성이 향상된다.
이때, 소형 팬코일 유닛(FCU)은 난방 공급관(170a) 및 순환펌프(180)를 통해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관(혹은 열교환 코일)(HE)에 난방수를 공급받고, 송풍팬(FAN)이 작동하면 전면 그릴(G)을 통해 온풍을 공급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난방 공급관(170a)은 상기 팬코일 유닛(FCU)의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관(HE)으로 난방수를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관(HE)의 후방에 위치되는 송풍팬(FAN)이 작동하면, 상기 열교환관(HE)의 전방에 위치되는 그릴(G)을 통해 온풍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온풍을 공급하는 동안 열을 빼앗긴 난방수는 난방 환수관(170b)을 통해 전기 보일러로 환수된 후 재가열되고, 재가열된 난방수는 소형 팬코일 유닛(FCU)으로 재순환되어 지속적인 난방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온수기 몸체
120: 자동급수장치
121: 플로트
122: 플로팅 단속장치
123: 가열수 공급관
130: 전기 히터
140: 열교환관
150: 저온수 입수구
160: 온수 출수구
170a: 난방 공급관
170b: 난방 환수관
180: 난방수 순환용 펌프
190: 흐름감지 스위치
S: 난방수 센서
NP: 니플(nipple)
SP: 스테인레스 주름관
BK: 브라켓

Claims (9)

  1. 내부에 수실이 구비된 온수기 몸체(110)와;
    상기 수실에 가열용 물을 자동으로 보충하되, 상기 온수기 몸체(110)의 내부 상측에 팽창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위를 제한하는 자동급수장치(120)와;
    발열부가 상기 수실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 물의 온도를 높이는 전기 히터(130)와;
    상기 수실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가 높아진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관(140)과;
    상기 열교환관(14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관(140)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 입수구(150)와;
    상기 열교환관(140)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저온수가 열교환관(140)을 통과하며 가열용 물과 열교환을 하여 생성된 온수를 부하측에 공급하는 온수 출수구(160)와;
    일단은 상기 온수기 몸체(110)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난방부하의 공급측에 연결되도록 연장 설치된 난방 공급관(170a)과;
    일단은 상기 온수기 몸체(110)의 수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부하의 환수측에 연결되도록 연장 설치된 난방 환수관(170b); 및
    상기 난방 공급관(170a) 및 난방 환수관(17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난방수 순환용 펌프(180);를 포함하되 상기 난방부하는 실내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팬코일 유닛(FCU)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난방 공급관(170a)은 상기 팬코일 유닛(FCU)의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관(HE)으로 난방수를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관(HE)의 후방에 위치되는 송풍팬(FAN)이 작동하면, 상기 열교환관(HE)의 전방에 위치되는 그릴(G)을 통해 온풍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팽창공간과 연결되도록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장치(120)는,
    상기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설치된 플로트(121)(float)와;
    상기 플로트(121)가 상기 팽창공간까지 상승시, 상기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플로팅 단속장치(122); 및
    상기 플로팅 단속장치(122)로 가열용 물을 공급하는 가열수 공급관(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 공급관(123)의 입수측은 상기 저온수 입수구(150)의 분기로에 연결되고, 상기 가열수 공급관(123)의 출수측은 상기 플로팅 단속장치(12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장치(120)는,
    상기 수실에 채워진 가열용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가열용 물의 수위가 상기 팽창공간까지 도달시, 상기 가열용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자식 단속장치; 및
    상기 전자식 단속장치까지 상기 가열용 물을 공급하는 가열수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입수구(150) 및 온수 출수구(160)는 각각
    상기 온수기 몸체(110)에 관통 설치된 니플(NP)(nipple); 및
    상기 니플(NP)과 열교환관(140) 사이를 연결하는 스테인레스 주름관(S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 몸체(110)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성형된 것이고, 상기 열교환관(140)은 코일 형상의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입수구(150)에 설치되어 상기 저온수 입수구(150)를 통해 저온수가 공급 중인지를 검출하는 흐름감지 스위치(19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하측에서 온수를 사용하는지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1020150190872A 2015-12-31 2015-12-31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10181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72A KR101812263B1 (ko) 2015-12-31 2015-12-31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872A KR101812263B1 (ko) 2015-12-31 2015-12-31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61A KR20170079861A (ko) 2017-07-10
KR101812263B1 true KR101812263B1 (ko) 2017-12-27

Family

ID=5935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872A KR101812263B1 (ko) 2015-12-31 2015-12-31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855A1 (en) 2021-02-24 2022-09-01 Heatworks Technologies, Inc. Dynamic fluid heater and wash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688B1 (ko) 2017-10-16 2019-06-21 최영환 온풍 발생 기능을 갖는 저탕식 전기 온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04B1 (ko) * 2007-05-31 2008-03-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열교환기구조
KR101087063B1 (ko) * 2011-06-24 2011-11-25 이기욱 무압력식 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04B1 (ko) * 2007-05-31 2008-03-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열교환기구조
KR101087063B1 (ko) * 2011-06-24 2011-11-25 이기욱 무압력식 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855A1 (en) 2021-02-24 2022-09-01 Heatworks Technologies, Inc. Dynamic fluid heater and wash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61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5533B2 (en) Hot water heat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60003468A1 (en) Indirectly Heated, Storage Water Heater System
JP5462009B2 (ja) 太陽熱給湯システム
WO2009011476A1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KR101812264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KR101812263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JP6450208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0943443B1 (ko) 가열조 내장 보일러
JP6410251B2 (ja) 熱融通ユニット
US20050235984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CN102384584B (zh) 集中供热储热式燃气热水炉
KR100626540B1 (ko) 열매체유 보일러와 온수기를 하나로 결합한 열매체온수저장식 보일러
CN208222627U (zh) 一种组合热水系统
JP3944434B2 (ja) 給湯暖房システム
KR101758012B1 (ko) 전기 온수기 겸용 온풍기
CN106979547A (zh) 一种多能源集成热水系统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KR101248770B1 (ko) 아파트용 중앙난방 시스템
KR101156109B1 (ko) 전기보일러
JP4867282B2 (ja) 給湯装置
JP2005133973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KR100738374B1 (ko) 진공 전기 보일러
CN215490315U (zh) 一种循环热水壁挂炉
CN207230702U (zh) 一种养殖场绿色环保的水暖装置
JP5988704B2 (ja) 熱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