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068B1 -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068B1
KR101812068B1 KR1020160030537A KR20160030537A KR101812068B1 KR 101812068 B1 KR101812068 B1 KR 101812068B1 KR 1020160030537 A KR1020160030537 A KR 1020160030537A KR 20160030537 A KR20160030537 A KR 20160030537A KR 101812068 B1 KR101812068 B1 KR 10181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nveyance body
substr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143A (ko
Inventor
김동수
김도일
이영호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스팩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스팩,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스팩
Priority to KR102016003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06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는 기판에 설정된 열을 제공하여 부품을 솔더링하는 리플로우 영역에서 상기 기판을 이송 및 위치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마련되며, 상기 솔더링 시 발생되는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GAS EXHAUST APPARATUS FOR REFLOW APPARATUS}
본 발명은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통해 리플로우 공정시 발생되는 납 연기 등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기판 솔더링 설비는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플로우(Reflow) 장치에 의해 솔더링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이러한 리플로우 장치는 기판에 솔더링이 진행되기 전 공정인 예열 영역과 실제로 부품이 실장되는 리플로우 영역 그리고 쿨링 영역으로 구분된다.
예열 영역과 리플로우 영역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히터와 팬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열 영역과 리플로우 영역에는 이들 영역을 통과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예열 영역과 리플로우 영역에서 히터의 열원을 통해 전자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기판은 가열기가 설치되는 리플로우 영역을 거치면서 납땜 페이스트의 용융에 의해서 플럭스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플럭스 가스가 포함된 고온의 에어는 장치 내에서 순환되면서 장치의 양측부에 구비된 별도의 배기장치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통상, 장치의 상부로 노출되어 회전 구동되는 배기팬과, 그 상부의 배기구 및 상기 배기팬의 하부와 가열기의 상부노즐 상단를 연결하는 자바라 형태의 배기관으로 구성된다.
이어, 장치 내의 플럭스 가스는 장치의 상부에서 회전 구동되는 배기팬에 의해서 배기관으로 흡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기장치는 플럭스 가스가 포함된 고온의 에어에 의해서 고속 회전하는 배기팬이 쉽게 과열됨에 따라 배기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플럭스 가스가 배기팬의 날개에 달라붙게 되면 원할한 회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달라붙는 양이 많아지게 되면 팬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리플로우 장치를 소형화를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별도의 구성을 갖는 배기 장치를 더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어 장치 소형화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2002-0013712호(공개일 : 2002.02.21)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리플로우 납땜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통해 리플로우 공정시 발생되는 납 연기 등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는 기판에 설정된 열을 제공하여 부품을 솔더링하는 리플로우 영역에서 상기 기판을 이송 및 위치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마련되며, 상기 솔더링 시 발생되는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배기 가스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기홀과,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홀과 연결되며, 배기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배기 라인과, 상기 배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 각각에 배치되며, 해당 이송부 몸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라인에는, 배출되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트랩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다수의 배기홀들이 형성되는 배기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블록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블록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배기홀의 위치를 가변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와류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 측부 및 하단 측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통해 리플로우 공정시 발생되는 납 연기 등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의 폭 조절이 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배기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기 블록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배기홀이 이송부 몸체의 상단 측부 및 하단 측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홀이 상향 경사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의 폭 조절이 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배기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400)는 크게, 이송부(410)와, 가스 배출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
이송부(410)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420)는 기판에 설정된 열을 제공하여 부품을 솔더링하는 리플로우 영역에서 상기 기판을 이송 및 위치시키며, 상기 기판의 폭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410)는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는 길이를 갖는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판의 이동을 위해, 기판 양측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는 일정의 폭을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는 폭 조절부를 통해 상기 폭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폭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에 연결되어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신축되는 실린더 축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는 상기 실린더 축(미도시)의 신축 작용에 의해 그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은, 기판의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스 배출부(420)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420)는 이송부(410)에 마련되며, 상기 솔더링 시 발생되는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420)는 다수의 배기홀(421)과, 배기 라인(422)과, 배기 펌프(423)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배기홀(421)은, 상기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양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기홀(421)은 기판에서 솔더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발생되는 납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배출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기 라인(422)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홀(421)과 연결되며, 배기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기 펌프(423)는 상기 배기 라인(422)과 연결되며,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배기 라인(422)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 각각에 배치되며, 해당 이송부 몸체(411)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421)과 연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배기 라인(422)은 한 쌍의 이송부 몸체(411) 각각에 설치되고, 해당 배기 라인(422)은 이와 연결되는 배기 펌프(4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 라인(422) 상에는 배출되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트랩(424)이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기판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부(410)에 의해 리플로우 영역으로 이송 및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은 고온의 분위기에 노출되고, 상기 고온의 분위기에서 솔더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솔더링이 이루어지면서, 즉, 납땜으로 인한 연기가 발생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 펌프(423)는 구동되고, 이에 의해 배기 라인(422) 및 각 이송부 몸체(411)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421)에는 진공 흡입력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 흡입력에 의해, 기판의 양측부에서는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는 다수의 배기홀(421)로 강제 유입된다.
이어, 강제 유입되는 배기 가스는 해당 배기홀들(421)과 연결되는 배기 라인(422)을 따라 유동된다.
그리고,유동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해당 배기 라인(422) 상에 설치되는 트랩(424)에 의해 포집된다.
이물질이 걸러진 배기 가스는 배기 펌프(423)의 구동에 의해 배기 라인(422)을 따라 유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기판의 양측부에 위치되는 이송부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별도의 배기 장치를 설치함에 따르는 장치 사이즈 대형화를 줄여, 장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스 배출부(420)는 다수의 배기홀들(421)이 형성되는 배기 블록(4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블록(425)은, 상기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상기 배기 블록(425)은, 상기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에 끼움 결합 될 수도 있고, 측부에서 슬라이딩 결합 가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 블록(425)은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배기 블록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 블록(425)은, 각각의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과 힌지단(H)을 통해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힌지단(H)은 회전 모터(43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배기 블록(425)의 상하 회전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기홀의 상하 위치를 가변시켜, 배기 가스의 배기 위치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홀은 와류 형상의 홀로 형성되어, 배기 가스 유입시 유동 속도를 증가지켜 빠른 시간 내에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배기홀이 이송부 몸체의 상단 측부 및 하단 측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홀들(421)은,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어, 각 상단 측부 및 하단 측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본 발명에서는 리플로우 공정시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기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배출하여 배출되지 않고 기판의 하부에서 잔류되는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홀이 상향 경사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배기홀들(421')은, 이송부 몸체(411)의 상단 측부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따라, 납땜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는 상부로 유동되며, 이때, 상부로 유동되는 연기를 더 용이하게 강제 유입시켜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410 : 이송부
411 : 이송부 몸체
420 : 가스 배출부
421 : 배기홀

Claims (10)

  1. 기판에 설정된 열을 제공하여 부품을 솔더링하는 리플로우 영역에서 상기 기판을 이송 및 위치시키며, 상기 기판의 폭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마련되며, 상기 솔더링 시 발생되는 연기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를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설정된 길이를 이루며, 상기 기판의 양측부를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배기 가스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배기홀과,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기홀과 연결되며, 배기되는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배기 라인과,
    상기 배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기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다수의 배기홀들이 형성되는 배기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 블록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기 블록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측부에서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고,
    상기 배기 블록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과 힌지단을 통해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기 블록의 상하 회전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배기홀의 상하 위치를 가변 조정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배기 가스 유입시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와류 형상의 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이송부 몸체의 상단 측부 및 하단 측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라인은,
    상기 한 쌍의 이송부 몸체 각각에 배치되며, 해당 이송부 몸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라인에는,
    배출되는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트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30537A 2016-03-14 2016-03-14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KR10181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37A KR101812068B1 (ko) 2016-03-14 2016-03-14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37A KR101812068B1 (ko) 2016-03-14 2016-03-14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43A KR20170107143A (ko) 2017-09-25
KR101812068B1 true KR101812068B1 (ko) 2017-12-27

Family

ID=6003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537A KR101812068B1 (ko) 2016-03-14 2016-03-14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0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70B1 (ko) * 2005-09-20 2006-12-19 주식회사 티에스엠 리플로우 납땜기의 플럭스 가스 배기장치
KR101468599B1 (ko) * 2008-10-22 2014-12-04 주식회사 케이씨텍 플라즈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70B1 (ko) * 2005-09-20 2006-12-19 주식회사 티에스엠 리플로우 납땜기의 플럭스 가스 배기장치
KR101468599B1 (ko) * 2008-10-22 2014-12-04 주식회사 케이씨텍 플라즈마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43A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9646B2 (ja) リフロー炉
JP6889148B2 (ja) 工作物を処理する処理設備及び方法
CN101996914B (zh) 基板的液体处理装置和液体处理方法
JP2018529919A (ja) 工作物を処理する処理設備及び方法
JP4082462B1 (ja) リフロー炉
JP2007165472A (ja) フラットディップ装置およびフラットディップ装置のはんだ付け方法
KR101812068B1 (ko) 리플로우 장치용 가스 배기 장치
JP5075806B2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CN107999918B (zh) 回流焊装置
US643143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ave soldering
JP2023538005A (ja) 自動化された出口翼を有するウェーブはんだノズル
JP4978723B2 (ja) はんだ付け装置
JPH10284832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WO2015093199A1 (ja) 溶射方法及び溶射装置
KR101791868B1 (ko) 리플로우 장치
CN101648306A (zh) 波峰焊选择性去桥连装置
JPH067923A (ja) チッソリフロー装置
JP4017388B2 (ja) リフローはんだ付け装置
JP2002241803A (ja) 焼結装置および雰囲気炉装置
JP2005175286A (ja) 回路基板の加熱装置、加熱方法及び該加熱装置を備えたリフロー炉
JP7445180B2 (ja) はんだ付け装置
JP2005028424A (ja) リフロー装置
CN116551102A (zh) 回流焊炉
JP2006313807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JP6028607B2 (ja) フラックスヒューム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