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44B1 -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44B1
KR101811844B1 KR1020160129689A KR20160129689A KR101811844B1 KR 101811844 B1 KR101811844 B1 KR 101811844B1 KR 1020160129689 A KR1020160129689 A KR 1020160129689A KR 20160129689 A KR20160129689 A KR 20160129689A KR 101811844 B1 KR101811844 B1 KR 10181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winding
coil
metal tu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석
이정연
이재순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 금속관을 나선 형태로 권취하여 열교환코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교환코일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열교환코일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그고정부와 코일말단부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며, 열교환기와 열교환코일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코일부와, 코일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그고정부 및 코일말단부를 포함하는 열교환코일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관이 권취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이다. 이러한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지그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관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구비되는 고정지그부 및 고정지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금속관이 권취되는 권취지그부를 포함하며, 안착공간에는 금속관이 안착되는 관고정부 및 지그고정부와 코일부를 연결하기 위해 금속관이 절곡되는 관절곡부가 구비되고, 권취지그부의 외주면에는 금속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면서 금속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금속관의 권취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권취나선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JIG FOR WINDING METAL PIPE AND HEAT EXCHANGING COIL WINDING DEVICE USING THE JIG AND HEAT EXCHANGING COIL WINDING METHOD USING THE JIG}
본 발명은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음매 없는 금속관을 나선 형태로 권취하여 열교환코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교환코일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열교환코일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그고정부와 코일말단부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며, 열교환기와 열교환코일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관은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중공의 관으로, 단면은 보통 원형을 띠고 있다. 이러한 금속관은 열교환기에서 유체가 흐르는 열교환코일로 사용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선 형태로 권취된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코일은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지그고정부 및 코일말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그고정부와 상기 코일말단부는 각각 유체의 입구와 출구로 구현되어 열교환기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코일은 지그에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을 권취하여 상기 코일부를 나선 형태로 형성하는데, 완성된 열교환코일에 대하여 상기 코일부의 탄성 및 상기 코일부의 간극 등에 의해 나선 형태인 상기 코일부가 풀리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코일에서 상기 코일부는 금속관이 밀착되는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코일부의 풀림 현상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의 풀림 현상으로 인해 상기 지그고정부와 상기 코일말단부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열교환기와의 결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도 나타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8853호(발명의 명칭 : 열교환기용 냉매관의 제조 방법, 2005. 09. 3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음매 없는 금속관을 나선 형태로 권취하여 열교환코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교환코일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열교환코일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그고정부와 코일말단부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며, 열교환기와 열교환코일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그고정부 및 코일말단부를 포함하는 열교환코일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관이 권취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이고, 상기 지그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구비되는 고정지그부; 및 상기 고정지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관이 권취되는 권취지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공간에는, 상기 금속관이 안착되는 관고정부; 및 상기 지그고정부와 상기 코일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이 절곡되는 관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지그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금속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면서 상기 금속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관의 권취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권취나선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상기 금속관의 권취 종료를 표시하거나,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바꾸도록, 상기 고정지그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권취지그부에 구비되는 마감지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그부와 상기 마감지그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코일말단부가 연결되거나, 상기 코일부의 권취 진행 방향이 바뀌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일부의 말단부를 안내하는 마감나선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상기 고정지그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금속관을 고정시키는 관파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부에는, 회전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권취지그부에는, 상기 회전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는 상술한 금속관 권취용 지그로 이루어진 권취지그유닛; 상기 금속관이 상기 권취지그부에 권취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을 회전시키는 지그구동유닛; 및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관을 이동시키는 금속관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관전달유닛은, 상기 권취지그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관을 상기 권취지그유닛에 구비된 상기 권취나선부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관전달유닛은, 상기 금속관의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관을 파지하는 관파지부;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관파지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권취가이드; 및 상기 권취지그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가이드를 따라 상기 관파지부를 이동시키는 전달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은 상술한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코일을 가공하는 방법이고, 가공하고자 하는 상기 열교환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지그유닛을 상기 지그구동유닛에 결합하는 지그장착단계; 상기 지그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관을 상기 안착공간에 고정시키는 금속관결합단계; 상기 코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에 상기 금속관을 권취하는 금속관권취단계; 및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쳐 상기 코일부가 완성되면, 상기 권취지그유닛으로부터 상기 열교환코일을 분리하는 코일분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은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코일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금속관을 절단하는 금속관절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은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코일말단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코일부의 말단부에서 상기 금속관을 절곡시키는 말단부절곡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에 따르면, 이음매 없는 금속관을 나선 형태로 권취하여 열교환코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교환코일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열교환코일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그고정부와 코일말단부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며, 열교환기와 열교환코일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관 권취용 지그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이음매 없는 금속관의 꺽임을 방지하고, 금속관의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열교환코일에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부에서 금속관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코일부를 형성할 때, 인접한 금속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코일부를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부의 말단부가 코일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2겹의 코일부를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코일의 지그고정부가 안착공간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그고정부가 안착공간에서 유동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관이 이음매 없이 지그고정부에서 연장되도록 하여 코일부와 코일말단부의 형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지그부로부터 열교환코일의 코일부 분리를 간편하게 하고, 코일부가 권취지그부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부 형성에 있어서 이음매 없는 금속관이 권취지그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열교환코일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에 대하여 금속관의 등속 이동을 유도하고, 금속관이 파지된 관파지부를 매개로 금속관을 권취지그부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나선부에 안착된 코일부를 권취지그부로부터 안정되게 분리할 수 있고, 권취지그부와 코일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코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코일이 권취지그부에서 분리되기 전에 열교환코일의 코일말단부를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을 통해 열교환코일의 최종 형상을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에서 고정지그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에서 권취지그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파이프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1)은 나선 형태로 권취되어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코일부(1a)와, 상기 코일부(1a)의 양단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지그고정부(1b) 및 코일말단부(1c)를 포함한다. 도 1에서 (a)는 1겹의 상기 코일부(1a)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b)는 2겹의 상기 코일부(1a)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지그고정부(1b)와 상기 코일말단부(1c)는 각각 유체의 입구와 출구로 구현되어 열교환기의 기설정된 결합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지그고정부(1b)와 상기 코일말단부(1c)는 각각 상기 코일부(1a)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열교환기의 기설정된 결합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에서 고정지그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상술한 열교환코일(1)을 제조하기 위해 이음매 없는 금속관(61, 도 7 참조)이 권취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는 고정지그부(110)와, 권취지그부(120)를 포함하고, 마감지그부(130)와, 관파지유닛(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부(110)는 상기 금속관(61)의 결합에 따라 상기 지그고정부(1b)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지그부(110)에는 상기 금속관(61)이 삽입되는 안착공간(11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공간(111)에는 상기 금속관(61)이 안착되는 관고정부(112)와, 상기 지그고정부(1b)와 상기 코일부(1a)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61)이 절곡되는 관절곡부(113)가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관고정부(112)에서 직선 형태로 안정되게 안착되고, 상기 관절곡부(113)에서 곡선 형태로 안정되게 절곡되어 상기 지그고정부(1b) 및 상기 지그고정부(1b)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코일부(1a)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관(61)이 권취된다.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금속관(61)의 권취에 따라 상기 코일부(1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권취나선부(121)가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 권취나선부(121)에는 상기 금속관(6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면서 상기 금속관(6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권취나선부(121)는 상기 금속관(61)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외주면에서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61)이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권취될 때,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권취나선부(121)를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권취나선부(121)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권취되는 상기 금속관(61) 사이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권취에 따라 인접되는 상기 금속관(61)끼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관(61)은 가공 오차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나선부(121)로 유도되므로 상기 코일부(1a)를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에서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상기 코일부(1a)의 분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구비된다.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마감체결부재(133)를 통한 나사 결합으로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1겹의 상기 코일부(1a)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지그부(130)에는 상기 코일부(1a)에서 상기 코일말단부(1c)가 연결되기 위해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를 안내하는 마감나선부(131)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마감나선부(131)는 나선 형태로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방향을 따라 상기 마감지그부(130)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지그부(130)에는 상기 코일부(1a)와 상기 코일말단부(1c)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61)이 절곡되는 절곡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턱(132)에서 곡선 형태로 안정되게 절곡되므로, 상기 코일부(1a) 및 상기 코일부(1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코일말단부(1c)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감지그부(130)는 2겹의 상기 코일부(1a)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지그부(130)에는 상기 코일부(1a)의 권취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해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를 안내하는 마감나선부(131)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마감나선부(131)는 나선 형태로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방향을 따라 상기 마감지그부(130)에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지그부(110)에는 상기 코일부(1a)와 상기 코일말단부(1c)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61)이 절곡되는 상기 절곡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턱(132)에서 곡선 형태로 안정되게 절곡되어 상기 코일부(1a) 및 상기 코일부(1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코일말단부(1c)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파지유닛(140)은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111)에 삽입된 상기 금속관(61)을 고정시킨다. 상기 관파지유닛(140)은 상기 고정지그부(1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관파지유닛(140)은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지체결부재(143)를 통한 나사 결합으로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파지유닛(140)은 상기 관고정부(112)에 안착된 상기 금속관(61)을 지지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111)에 삽입되는 파지블럭(141)과, 상기 파지블럭(141)과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탈부착 결합을 위해 상기 파지블럭(141)에서 연장되는 결합블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블럭(142)은 상기 안착공간(111)에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파지체결부재(143)를 매개로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5는 일체형인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대하여, 상기 고정지그부(110)를 후술하는 가공장치의 지그구동유닛(20)에 결합하기 위해, 후술하는 파지척(21)이 결합되는 척결합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에서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상기 코일부(1a)의 분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그부(110)에는 회전홀부(11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권취지그부(120)에는 상기 회전홀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회전지지부(122)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부(122)는 상기 회전홀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홀부(114)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홀부(114)와 상기 회전지지부(122)는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정회전에 대하여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역회전에 대하여 상기 권취지그부(120)는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부(110)의 정회전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상기 코일부(1a)를 형성하기 위한 회전이다.
또한,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정회전에 대하여 상기 고정지그부(110)는 정지되고,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역회전에 대하여 상기 고정지그부(110)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권취지그부(120)의 정회전은 상기 권취지그부(120)로부터 상기 코일부(1a)를 분리하기 위한 회전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홀부(114)와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에는 동시회전과 상대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회전방향선택모듈(미도시)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5a는 상대 회전되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대하여, 상기 고정지그부(110)를 후술하는 가공장치의 제1구동유닛(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1파지척(미도시)이 결합되는 제1척결합부이다.
또한, 미설명부호 115b는 상대 회전되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대하여, 상기 권취지그부(120) 또는 상기 회전지지부(122)를 후술하는 가공장치의 제2구동유닛(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2파지척(미도시)이 결합되는 제2척결합부이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에서 권취지그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6 그리고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는 상술한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이용하여 열교환코일(1)을 가공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는 권취지그유닛(10)과, 지그구동유닛(20)과, 금속관전달유닛(30)을 포함하고, 말단절곡유닛(40)과, 금속관절단유닛(50)과, 금속관장착유닛(60)과, 스테이지(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에서 각 유닛들은 스테이지(70)에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지(70)에는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권취되는 상기 금속관(6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럭(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럭(71)은 상기 스테이지(70)와 상기 권취지그유닛(10)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테이지(7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럭(71)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부(1a)를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상기 금속관(61)이 권취될 때, 상기 지지블럭(71)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권취되는 상기 금속관(6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부(1a)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권취지그유닛(10)으로부터 완성된 상기 코일부(1a)를 분리할 때, 상기 지지블럭(71)은 상기 코일부(1a)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처지거나 형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교환코일(1)을 보호하고, 상기 열교환코일(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은 상기 열교환코일(1)을 제조하기 위해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이 권취된다.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권취용 지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그구동유닛(20)은 상기 금속관(61)이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권취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회전시킨다. 상기 지그구동유닛(20)은 상기 권취지그유닛(10)과 결합되어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지그구동유닛(20)은 유닛지지대(22)를 매개로 상기 스테이지(7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그구동유닛(20)에는 상기 권취지그유닛(10)과의 결합을 위한 파지척(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척(21)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의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구비된 상기 척결합부(115)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상기 지그구동유닛(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그구동유닛(20)이 동작되면,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이 회전되므로,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상기 금속관을 권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지그구동유닛(20)은 상기 고정지그부(11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유닛(미도시)과, 상기 권취지그부(12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유닛(미도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유닛(미도시)에는 상기 고정지그부(110)와의 결합을 위한 제1파지척(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미도시)에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구비된 상기 회전지지부(122)와의 결합을 위한 제2파지척(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제1파지척(미도시)은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구비된 상기 제1척결합부(115a)와 결합되고, 상기 제2파지척(미도시)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구비된 상기 제2척결합부(115b)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상기 지그구동유닛(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유닛(미도시)만 동작되거나, 상기 제1구동유닛(미도시)과 상기 제2구동유닛(미도시)이 모두 동작되면,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상기 금속관(61)을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유닛(미도시)만 동작되면, 상기 고정지그부(110)에서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로부터 상기 코일부(1a)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관(61)을 이동시킨다.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관(61)을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구비된 상기 권취나선부(121)에 전달한다.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상기 금속관(61)의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관(61)을 파지하는 관파지부(31)와,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관파지부(31)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권취가이드(32)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가이드(32)를 따라 상기 관파지부(31)를 이동시키는 전달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나선부(121)에 전달된다. 상기 권취가이드(32)는 상기 스테이지(70)에 구비되는 가이드지지대(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실린더 구동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권취가이드(32)는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구동부(33)는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왕복 이동되어 상기 관파지부(3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리니어 구동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달구동부(33)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리니어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권취가이드(32)가 왕복 이동되어 상기 관파지부(31)를 왕복 이동시키거나, 상기 권취가이드(32)가 회전되어 상기 관파지부(3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은 볼스크류 구동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관파지부(31)는 볼스크류의 볼부로 구성되고, 상기 권취가이드(32)는 볼스크류의 스크류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달구동부(3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크류부가 회전되어 상기 볼부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말단절곡유닛(40)은 상기 코일말단부(1c)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지(70)에 설치된다. 상기 말단절곡유닛(40)은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서 상기 금속관(61)을 절곡한다. 상기 말단절곡유닛(40)은 상기 절곡턱(132)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관(61)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코일부(1a)에서 연장되는 상기 코일말단부(1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관절단유닛(50)은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절단한다. 상기 금속관절단유닛(50)은 상기 코일부(1a)의 완성에 대응하여 상기 관파지부(31)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절단한다. 상기 금속관절단유닛(50)은 상기 코일부(1a)에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코일말단부(1c)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 여유분의 상기 금속관(61)이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관장착유닛(60)은 상기 스테이지(70)에 설치되어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이 수용된다. 상기 금속관장착유닛(60)에는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이 감겨져 있다.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의 회전 또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상기 금속관장착유닛(60)에서 풀림에 따라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전달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7과 도 8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은 상술한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코일(1)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은 지그장착단계(S1)와, 금속관결합단계(S2)와, 금속관권취단계(S3)와, 코일분리단계(S5)를 포함하고, 금속관절단단계(S4)를 더 포함하며, 말단부절곡단계(S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장착단계(S1)는 가공하고자 하는 상기 열교환코일(1)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상기 지그구동유닛(20)에 결합한다. 상기 지그장착단계(S1)는 상기 파지척(21)과 상기 척결합부(115)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권취지그유닛(10)을 상기 지그구동유닛(2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금속관결합단계(S2)는 상기 지그고정부(1b)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관(61)을 상기 안착공간(111)에 고정시킨다. 상기 금속관결합단계(S2)는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의 자유단부를 상기 안착공간(111)에 삽입하고, 상기 안착공간(111)에 상기 관파지유닛(14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금속관(61)을 상기 안착공간(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관고정부(112)에 안착되는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지그고정부(1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관결합단계(S2)에는 상기 관파지부(31)에 상기 금속관(61)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관권취단계(S3)는 상기 코일부(1a)가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상기 금속관(61)을 권취한다. 상기 금속관권취단계(S3)는 상기 지그구동유닛(20)과 상기 금속관전달유닛(30)을 동작에 따라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이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금속관(61)은 상기 권취나선부(121)를 따라 상기 권취지그유닛(10)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분리단계(S5)는 상기 금속관권취단계(S3)를 거쳐 상기 코일부(1a)가 완성되면, 상기 권취지그유닛(10)으로부터 상기 열교환코일(1)을 분리한다. 상기 고정지그부(110)와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그부(130)를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분리하고, 상기 관파지유닛(140)을 상기 안착공간(111)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코일부(1a)를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상기 권취지그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그부(130)를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분리하고, 상기 관파지유닛(140)을 상기 안착공간(111)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고정지그부(110)에 대하여 상기 권취지그부(120)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권취나선부(121)를 매개로 하는 상기 권취지그부(120)와 상기 코일부(1a) 사이의 나사 결합 형태가 해제되고, 상기 코일부(1a)를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금속관절단단계(S4)는 상기 금속관권취단계(S3)를 거쳐 상기 코일부(1a)가 완성되면, 상기 코일분리단계(S5)에 앞서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절단한다. 상기 금속관절단단계(S4)는 상기 코일부(1a)의 완성에 대응하여 상기 관파지부(31)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절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코일말단부(1c)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 여유분의 상기 금속관(61)이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말단부절곡단계(S6)는 상기 코일말단부(1c)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에서 상기 금속관(61)을 절곡한다. 일예로, 상기 말단부절곡단계(S6)는 상기 금속관권취단계(S3) 또는 상기 금속관절단단계(S4)를 거친 다음, 상기 코일분리단계(S5)에 앞서 상기 금속관절단유닛(50)을 이용하고, 상기 절곡턱(132)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관(61)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형성된 상기 코일부(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코일말단부(1c)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말단부절곡단계(S6)는 상기 코일분리단계(S5)를 거친 다음, 별도로 마련된 절단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관(61)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권취지그부(120)로부터 분리된 상기 코일부(1a)에서 상기 코일말단부(1c)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상기 열교환코일(1)이 제작되면, 부식 방지 및 열교환 성능 향상을 위한 산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열교환코일(1)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완성된 상기 열교환코일(1)은 상기 코일부(1a)의 풀림 현상이 억제 또는 방지되고, 상기 지그고정부(1b)와 상기 코일말단부(1c) 사이의 간격 벌어짐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에 따르면,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을 나선 형태로 권취하여 상기 열교환코일(1)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코일(1)의 풀림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기 열교환코일(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지그고정부(1b)와 상기 코일말단부(1c)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하며,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코일(1)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관 권취용 지그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의 꺽임을 방지하고, 상기 금속관(61)의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코일(1)에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1a)에서 상기 금속관(61)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코일부(1a)를 형성할 때, 인접한 상기 금속관(61)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상기 코일부(1a)를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1a)의 말단부가 상기 코일부(1a)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2겹의 상기 코일부(1a)를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코일(1)의 상기 지그고정부(1b)가 상기 안착공간(111)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그고정부(1b)가 상기 안착공간(111)에서 유동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금속관(61)이 이음매 없이 상기 지그고정부(1b)에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코일부(1a)와 상기 코일말단부(1c)의 형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지그부(120)로부터 상기 열교환코일(1)의 상기 코일부(1a) 분리를 간편하게 하고, 상기 코일부(1a)가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1a) 형성에 있어서 이음매 없는 상기 금속관(61)이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열교환코일(1)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관(61)의 권취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금속관(61)의 등속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금속관(61)이 파지된 상기 관파지부(31)를 매개로 상기 금속관(61)을 상기 권취지그부(12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나선부(121)에 안착된 상기 코일부(1a)를 상기 권취지그부(120)로부터 안정되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권취지그부(120)와 상기 코일부(1a)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코일부(1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코일(1)이 상기 권취지그부(120)에서 분리되기 전에 상기 열교환코일(1)의 상기 코일말단부(1c)를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고,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을 통해 상기 열교환코일의 최종 형상을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열교환코일 1a: 코일부 1b: 지그고정부
1c: 코일말단부 110: 고정지그부 111: 안착공간
112: 관고정부 113: 관절곡부 114: 회전홀부
115: 척결합부 120: 권취지그부 121: 권취나선부
122: 회전지지부 130: 마감지그부 131: 마감나선부
132: 절곡턱 133: 마감체결부재 140: 관파지유닛
141: 파지블럭 142: 결합블럭 143: 파지체결부재
10: 권취지그유닛 20: 지그구동유닛 21: 파지척
30: 금속관전달유닛 31: 관파지부 32: 권취가이드
33: 전달구동부 34: 가이드지지대 40: 말단절곡유닛
50: 금속관절단유닛 60: 스테이지 61: 지지블럭
62: 유닛지지대 70: 금속관장착유닛 71: 금속관
S1: 지그장착단계 S2: 금속관결합단계 S3: 금속관권취단계
S4: 금속관절단단계 S5: 코일분리단계 S6: 말단부절곡단계

Claims (9)

  1.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그고정부 및 코일말단부를 포함하는 열교환코일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관이 권취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이고,
    상기 지그고정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이 삽입되는 안착공간이 구비되는 고정지그부; 및
    상기 고정지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관이 권취되는 권취지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공간에는,
    상기 금속관이 안착되는 관고정부; 및
    상기 지그고정부와 상기 코일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금속관이 절곡되는 관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지그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금속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면서 상기 금속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금속관의 권취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권취나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의 권취 종료를 표시하거나,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바꾸도록, 상기 고정지그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권취지그부에 구비되는 마감지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그부와 상기 마감지그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코일부에서 상기 코일말단부가 연결되거나, 상기 코일부의 권취 진행 방향이 바뀌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일부의 말단부를 안내하는 마감나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된 상기 금속관을 고정시키는 관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부에는, 회전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권취지그부에는, 상기 회전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권취용 지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금속관 권취용 지그로 이루어진 권취지그유닛;
    상기 금속관이 상기 권취지그부에 권취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을 회전시키는 지그구동유닛; 및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금속관을 이동시키는 금속관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관전달유닛은, 상기 권취지그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관을 상기 권취지그유닛에 구비된 상기 권취나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전달유닛은,
    상기 금속관의 길이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관을 파지하는 관파지부;
    상기 금속관의 권취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관파지부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권취가이드; 및
    상기 권취지그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가이드를 따라 상기 관파지부를 이동시키는 전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
  7. 제5항에 기재된 열교환코일의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열교환코일을 가공하는 방법이고,
    가공하고자 하는 상기 열교환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지그유닛을 상기 지그구동유닛에 결합하는 지그장착단계;
    상기 지그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금속관을 상기 안착공간에 고정시키는 금속관결합단계;
    상기 코일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권취지그유닛에 상기 금속관을 권취하는 금속관권취단계; 및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쳐 상기 코일부가 완성되면, 상기 권취지그유닛으로부터 상기 열교환코일을 분리하는 코일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코일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된 부분에서 상기 금속관을 절단하는 금속관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권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코일말단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코일부의 말단부에서 상기 금속관을 절곡시키는 말단부절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코일의 가공방법.
KR1020160129689A 2016-10-07 2016-10-07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KR10181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89A KR101811844B1 (ko) 2016-10-07 2016-10-07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89A KR101811844B1 (ko) 2016-10-07 2016-10-07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844B1 true KR101811844B1 (ko) 2017-12-26

Family

ID=6093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89A KR101811844B1 (ko) 2016-10-07 2016-10-07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8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009A (zh) * 2020-08-22 2020-12-08 欧阳福鑫 一种风机盘管成型机
CN114346019A (zh) * 2021-12-30 2022-04-15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螺旋盘管成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121718A (zh) * 2022-05-31 2022-09-30 广州英诺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d形换热管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35B1 (ko) 2012-01-26 2012-08-16 이성재 와이어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35B1 (ko) 2012-01-26 2012-08-16 이성재 와이어 감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009A (zh) * 2020-08-22 2020-12-08 欧阳福鑫 一种风机盘管成型机
CN114346019A (zh) * 2021-12-30 2022-04-15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螺旋盘管成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346019B (zh) * 2021-12-30 2022-12-02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螺旋盘管成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121718A (zh) * 2022-05-31 2022-09-30 广州英诺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d形换热管成型装置
CN115121718B (zh) * 2022-05-31 2023-09-19 佛山英诺低温设备有限公司 一种d形换热管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44B1 (ko) 금속관 권취용 지그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코일 가공장치와 열교환코일 가공방법
US6155091A (en) Mandrel assembly for tube-bending apparatus
KR100785857B1 (ko) 홈형성파이프 제조방법과 장치, 및 홈형성파이프 구조
JPWO2015190465A1 (ja) パイプ曲げ型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パイプ曲げ加工装置
US20060108792A1 (en) Pipe arrangement branching structure, method for working perforated pipe and method for working branch pipe
US5765285A (en) Method of bending a rigid thermoplastic pipe
JP2007319904A (ja) 二重管の曲げ加工用芯金
JP4999468B2 (ja) スパイラル管の製造方法及びスパイラル管の製造装置
MX2012009097A (es) Aparato y metodo mejorado de manufactura de conector dividido para uso de mandril de doblado de tubo flexible.
JP2007010199A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製造方法
EP3508808B1 (en) Method for producing pipe having built-in fin, and method for producing double-walled pipe
CN105107899B (zh) 螺旋铜弯管制作方法
US6782728B2 (en) Tube bending machine
JP4628858B2 (ja) 二重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55130B2 (ja) フランジ成形機
US10955198B2 (en) Fin-assembled tube
JP4625320B2 (ja) 曲げ加工装置
JP3918829B2 (ja) 熱交換装置の製造方法
CN1953827B (zh) 用于制造co2制冷装置中流体管道的方法
KR100424276B1 (ko) 확관과 그 제조장치
JP6180193B2 (ja) 複合管製造装置および複合管製造方法
JP6502914B2 (ja) 二重管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9130595A (ja) 二重管の製造方法
KR20140085109A (ko) 열교환기 배관용 파이프
JP2018075621A (ja) フィン内蔵管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