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13B1 -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13B1
KR101811813B1 KR1020167015432A KR20167015432A KR101811813B1 KR 101811813 B1 KR101811813 B1 KR 101811813B1 KR 1020167015432 A KR1020167015432 A KR 1020167015432A KR 20167015432 A KR20167015432 A KR 20167015432A KR 101811813 B1 KR101811813 B1 KR 10181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nection
image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451A (ko
Inventor
나오토 아루가
신이치 고바야시
케이이치 오카노
켄로 야지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82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07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84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28071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N13/04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장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대하여,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를 행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영상 송신 장치는,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는 제1 접속과,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 접속하는 제2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접속 제어부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契機)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VIDEO DISPLAY SYSTEM, CONNECTION METHOD CONFORMING TO VIDEO RADIO TRANSMISSION STANDARD BETWEEN VIDEO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RECEPTION AND DISPLAY DEVICE CONFIGURING VIDEO DISPLAY SYSTE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VIDEO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RECEPTION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그리고,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으로서, 예를 들면,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 의해 책정된 "미라캐스트(Miracast)"가 있다. 미라캐스트("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WFD)"라고도 함)에 대응한(compliant) 장치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텔레비전 세트(이하, 단순히 "텔레비전"이라고 함), 디스플레이, 게임기, 어댑터 등의 여러 가지의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 등의 영상의 출력 기능을 갖는 장치("소스 디바이스"라고도 함)는, 텔레비전 또는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혹은 "싱크 디바이스"라고도 함)에, 영상("화상"이라고도 함)에 관한 정보를,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미라캐스트에 비대응(noncompliant)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미라캐스트 비대응 싱크 디바이스"라고도 함)에, 미라캐스트에 대응하는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어댑터를 중개 장치로서 사용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본공표특허공보 2013-51123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44429호
미라캐스트에 비대응인 영상 재생 장치("미라캐스트 비대응 소스 디바이스"라고도 함)로 재생한 영상을, 싱크 디바이스로 표시하는 경우에, 미라캐스트 비대응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중개 장치로서,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k) 레코더,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k; BD) 레코더, BD 플레이어, HDD(Hard Disk Drive) 레코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여러 가지의 장치를 들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로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PC, 휴대형 정보 단말기, 프로젝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의, 표시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장치를 들 수 있다.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어댑터는, 미라캐스트 비대응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중개를 행하는 기능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과 같은 종래의 소스 디바이스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고도의 유저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 이후, 유저 인터페이스를 단순히 "UI"라고 함)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나 조작부를 생략하고, 소형화 및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라캐스트의 순서에 따른 접속을 확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가령, 싱크 디바이스에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 및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다고 해도,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하여는, 소스 디바이스측에서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미라캐스트의 순서에 따라 싱크 다바이스에 접속하는 순서를 채용한 구성밖에 없다. 싱크 디바이스측에서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에는,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2 WFD 디바이스에 있어서 지원하는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서비스의,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WFD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검색 방법 및 그 검색 방법을 위한 장치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미라캐스트의 순서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에 관한 어떠한 기재도 시사도 없다.
특허문헌 2에는, 휴대 정보 처리 장치와 HMD의 사이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고, 무선 통신으로서는, 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 예시되어 있기만 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는, 특허문헌 1과 동일하게,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라캐스트의 순서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에 관한 어떠한 기재도 시사도 없다.
이상에서는, 미라캐스트를 예로 과제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과제는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접속하고, 영상과 음성을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공통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의 여러 형태의 장점은, 전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를 행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는 제1 접속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접속하는 제2 접속의 확립을 제어한다.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opportunity)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한다. 이 형태의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의 접속 제어부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 중 어느 한쪽에 따라서,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한다. 제2 접속은,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행해지는 피어 투 피어 접속이다.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영상 송신 장치의 접속 제어부는, 요구의 송신원의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제2 및 제1 접속의 상대방, 즉,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에 따라서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영상 송신 장치의 접속 제어부는, 예를 들면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 임의의 방법으로 정해진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제2 및 제1 접속의 상대방, 즉,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송신 장치라도, 영상 무선 통신의 상대방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여도 좋다.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하여도 좋다.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여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식별 정보가,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영상 송신 장치는 그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의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서 선택하여,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송신 장치가, 영상 송신 장치에 접속해야 할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영상의 전송에는,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만의 전송에 제한되지 않으며, 영상 신호 및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이라도 좋다.
(3)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되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로 할 수 있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접속 식별 정보로 설정함으로써, 영상 송신 장치에서는, 피어 투 피어의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 중에서, 영상 송신 장치로 필연적으로 송신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의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에서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 정보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이어도 좋다.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고유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의 개시 전에,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상기 고유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취득한 상기 고유 정보를 상기 접속 식별 정보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피어 투 피어의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영상 송신 장치는, 미리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의해 취득되어 있던,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를 접속 식별 정보로서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영상 송신 장치는, 접속 식별 정보로서의 수신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고유 정보를 송신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의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에서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의 취득은,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QR 코드(등록 상표)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특정 표시 패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RF 태그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발광부의 발광의 특정 발광 패턴에 의해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이어도 좋다.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상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에 시스루 표시될 때에, 상기 고유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 위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접속 식별 정보로서 기능하는 고유 정보가 제공되는 영상 송신 장치를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고유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상기 고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유 정보의 수신을, 상기 계기로 하여,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유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고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고유 정보가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영상 수신 장치는 그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의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서 선택하여, 그 영상 송신 장치와 그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송신 장치가, 그 영상 송신 장치와 접속해야 할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접속의 대상이 되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의 대상의 결정을 상기 계기로 하여,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결정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영상 송신 장치와 결정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는, 접속의 대상이 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수신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접속해야 할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9) 상기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접속의 대상의 결정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우선 순위와,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수신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전파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와, 상기 우선 순위, 상기 전파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과거의 정보 중 2개 이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 송신 장치는, 영상 송신 장치 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즉, 영상 송신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우선 순위)와, 영상 송신 장치가 자동적으로 취득 가능한 정보(즉, 영상 송신 장치가 수신한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전파에 관한 정보 및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의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영상 송신 장치가, 영상 송신 장치에 접속해야 할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영상 표시 방법.
(b)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c)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응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표시 시스템에 대응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에게 시인(visually recognized)되는 허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미라캐스트 어댑터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와 HMD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소스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 검출된 접속 가능 소스 디바이스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HMD로 표시되는 영상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종료 아이콘의 탭(tap) 시에 표시되는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패스 스루 모드에 있어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와 HMD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우선도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결정 방법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와 HMD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종합"이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A. 제1 실시 형태
Al.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은,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와,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영상 기기(400)와, 표시 장치(500)와, 컴퓨터(600)를 구비하고 있다.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 및 표시 장치(500)는, "영상 표시 장치"혹은 "화상 표시 장치"라고도 불린다.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라캐스트에 비대응의 영상 기기(400)로 재생되는 영상을, 미라캐스트에 대응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대응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로 무선 전송하고,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가 영상을 표시시키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은, 또한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또는 재생되는 영상을,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무선 전송하고, 미라캐스트에 비대응의 TV(500)가 그 영상을 표시시키게 하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미라캐스트는,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이하, 단순히 "영상 등"이라고 축약함)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의 하나로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 의해 책정된 규격이다. 미라캐스트에 의한 전송은, 영상의 전송(구체적으로는 영상 정보의 전송)만의 경우와, 영상 및 음성의 전송(구체적으로는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의 경우와, 음성의 전송만의 경우의, 모든 것에 적용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는 영상 송신 장치에 상당한다. HMD(100)는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있어서는, 종래의 소스 디바이스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고도의 유저 인터페이스(이후, 유저 인터페이스를 단순히 "UI"라고도 부름)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 및 조작부가 생략되어 있다. 고도의 UI란, 예를 들면,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 텍스트 유저 인터페이스, 캐릭터 유저 인터페이스 등, 이용자가 문자열이나 화상을 보면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전반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예를 들면 액정 및 유기 EL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시스템을 이용한 터치 패널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전원 버튼(301)과, 패스 스루(Pass Through) 버튼(303)과,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 점등부(307)와, 도시하지 않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록 상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와, 도시하지 않는 2개의 Micro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Micro USB(이하, 단순히 "USB"라고 축약함) 단자에는, USB 케이블(334)을 통하여 AC 어댑터(332)가 접속되어 있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이 행해진다. 다른 한쪽의 USB 단자에는, USB 케이블(602)을 통하여 컴퓨터(600)의 USB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컴퓨터(600)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컴퓨터(600)를 사용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600)는, 정보 통신 단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컴퓨터(600)로서 노트북 컴퓨터를 예시하고 있다. 컴퓨터(600)는, 데스크톱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휴대 전화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다른 정보 통신 단말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HDMI 입력 단자에는, HDMI 케이블(402)을 통하여 영상 기기(400)의 HDMI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영상 기기(400)로 재생되는 영상 등이 HDMI 케이블(402)을 통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전송 가능하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HDMI 출력 단자에는, HDMI 케이블(502)을 통하여 표시 장치(500)의 HDMI 입력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500)에서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부터 HDMI 케이블(502)을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의 표시 및 음성의 출력(이하, "영상 등의 재생"이라고도 함)이 가능하다.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는, 소스 모드 MTx 혹은 싱크 모드 MRx의 2개의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소스 모드 MTx를 선택한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외부 기기로부터 HDMI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등을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송신하는 기능(이하, "소스 기능" 혹은 "소스 모드"라고도 함)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싱크 모드 MRx를 선택한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수신된 영상 등을, HDMI에 따라 외부 기기에 유선 송신하는 기능(이하, "싱크 기능" 혹은 "싱크 모드"라고도 함)이 실행 가능해진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에, 미라캐스트에 따라 소스 모드 혹은 싱크 모드로 무선 접속된다.
점등부(307)는, 2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307A, 307B)를 구비하고 있다. 점등부(307)는, 2개의 LED(307A, 307B)의 발광 상태 사용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동작 상태,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ON/OFF) 및 모드 상태 등을 통지한다. 전원 버튼(301)은, 버튼의 온/오프에 따라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동작 상태(동작/정지)를 전환한다. 패스 스루 버튼(303)은, 버튼의 온/오프에 따라서, 패스 스루 모드의 선택/비선택을 전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스 스루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HDMI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영상 등이 HDMI 출력 단자로부터 바로 출력된다.
영상 기기(400)는, DVD 레코더나, DVD 플레이어, BD 레코더, BD 플레이어, HDD 레코더, 비디오 카메라 및 정보 통신 단말 등의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록 상표)에 대응한 여러 가지의 영상 재생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영상 기기(400)로 재생되는 영상 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HDMI 케이블(402)을 통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전송되고, 미라캐스트에 따라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에 무선 전송되어,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서 재생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기기(400)는 BD 레코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영상 기기(40O)는 "BD 레코더(400)"이라고도 한다.
표시 장치(500)는, 텔레비전(이하, "TV"라고도 함), 디스플레이 및 프로젝터 등의 HDMI에 대응한 여러 가지의 영상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 장치(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라캐스트에 따라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O)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무선 전송되고, HDMI 케이블(502)을 통하여 표시 장치(500)에 유선 전송되는 영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장치(500)는, 영상 기기(400)로부터 HDMI 케이블(402)을 통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유선 전송되고, HDMI 케이블(502)을 통하여 표시 장치(500)에 유선 전송되는 영상 등을 재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500)는 TV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 장치(500)는 "TV (500)"라고도 한다.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100)는, 두부에 장착하는 화상 표시 장치(영상 표시 장치)이다. 두부 장착 표시 장치(10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라고도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100)는, 사용자가, 허상을 시인함과 동시에 외경(outside scene)도 직접 시인 가능한 광학 투과형의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이다. HMD(10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허상을 시인시키는 화상 표시부(20)와, 화상 표시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컨트롤러; 1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장착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표시부(21)는 안경 형상을 갖고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오른쪽 보유지지부(21)와,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왼쪽 표시 구동부(24)와, 왼쪽 보유지지부(23)와,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와,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를 포함하고 있다.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 및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는, 각각, 사용자가 화상 표시부(20)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오른쪽 및 왼쪽의 눈 앞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의 일 단부와 왼쪽 광학상 표시부(28)의 일 단부는, 사용자가 화상 표시부(20)를 장착했을 때의 사용자의 미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부에는 카메라(67)가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 보유지지부(21) 및 왼쪽 보유지지부(23)는, 안경의 템플(temple)처럼, 사용자의 두부에 화상 표시부(20)를 보유지지하는 부재이다. 오른쪽 표시 구동부(22)는, 오른쪽 보유지지부(21)의 내측, 환언하면, 사용자가 화상 표시부(20)를 장착했을 때의 사용자의 두부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왼쪽 표시 구동부(24)는, 왼쪽 보유지지부(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후에서는, 오른쪽 보유지지부(21) 및 왼쪽 보유지지부(23)를 구별하지 않고 "보유지지부"로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표시 구동부(22) 및 왼쪽 표시 구동부(24)를 구별하지 않고 "표시 구동부"로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 및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를 구별하지 않고 "광학상 표시부"로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추가로, 화상 표시부(20)를 제어부(1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40)를 갖고 있다. 접속부(40)는, 제어부(10)에 접속되는 본체 코드(48)와, 본체 코드(48)가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된 오른쪽 코드(42) 및 왼쪽 코드(44)와, 분기점에 형성된 연결 부재(46)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 부재(46)에는, 이어폰 플러그(30)를 접속하기 위한 잭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폰 플러그(30)로부터는, 오른쪽 이어폰(32) 및 왼쪽 이어폰(34)이 연장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20)와 제어부(10)는, 접속부(40)를 통하여 각종 신호의 전송을 행한다. 본체 코드(48)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46)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제어부(10)에는, 서로 끼워 맞추는 커넥터(도시 생략)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체 코드(48)의 커넥터와 제어부(10)의 커넥터의 끼워 맞춤/끼워 맞춤 해제에 의해, 제어부(10)와 화상 표시부(20)가 접속되거나 분리된다. 접속부(40)에는, 금속 케이블이나 광파이버를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HMD(1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어부(10)는, 점등부(12)와, 터치 패드(14)와, 십자 키(16)와, 전원 스위치(18)를 포함하고 있다. 점등부(12)는, HMD(100)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등)를, 점등부(12)의 그 발광 상태를 사용하여 통지한다. 점등부(12)로서는, 예를 들면, LED를 이용할 수 있다. 터치 패드(14)는, 터치 패드(14)의 조작면 상에서의 접촉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내용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패드(14)로서는, 정전식, 압력 검출식 및 광학식 등의 여러 가지의 터치 패드를 채용할 수 있다. 십자 키(16)는, 상하 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키의 압하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내용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스위치(18)는, 스위치의 슬라이드 조작을 검출하여, HMD(100)의 전원의 상태를 전환한다.
제어부(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소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전송되어 오는 영상 등을 수신하고, 접속부(40)를 통하여 영상을 화상 표시부(20)로 전송하고, 음성을 이어폰(32, 34)으로부터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싱크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화상 표시부(20)로부터 접속부(40)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등을,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전송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HMD(100)의 제어부(10)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확립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A2.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구성:
도 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10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는, 입력 정보 취득부(110)와, 기억부(120)와, 전원(130)과, 무선 통신부(132)와, GPS 모듈(134)과, CPU(140)와, 인터페이스(18O)와, 송신부(Tx; 51 및 52)를 구비한다. 각 부는 도시하지 않는 버스(bus)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정보 취득부(110)는, 상기한 터치 패드(14), 십자 키(16), 전원 스위치(18) 등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취득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입력 정보 취득부(110)는, 시선 검출, 터치 검출 및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시선 검출에서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한다. 이 경우, 시선의 움직임과 커맨드는 미리 서로 관계 지워져 있다. 터치 검출에서는, HMD(100)의 하우징의 임의의 장소(예를 들면, 화상 표시부(20)의 오른쪽 보유지지부(21) 및 왼쪽 보유지지부(23)(도 1)의 외측)에 형성된 접촉 센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기억부(120)는, ROM, RAM, DRAM,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CPU(140)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각종의 데이터 정보가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다. 전원(130)은, HMD(10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130)으로서는, 예를 들면 2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2)는, 소정의 무선 통신 규격(예를 들면, 적외선, Bluetooth(등록 상표)로 예시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와이파이(IEEE802.11)로 예시되는 무선 LAN 등)에 따라, 무선 통신부(132)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132)는, 적어도,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 의해 책정된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미라캐스트"에 대응한다. GPS 모듈(134)은,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HMD(1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현재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좌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CPU(140)는, 기억부(120)에 격납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오퍼레이팅 시스템(OS; 150), 화상 처리부(160), 음성 처리부(170), 카메라 제어부(175), 표시 제어부(190),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로서 기능한다.
화상 처리부(160)는, 인터페이스(180), 무선 통신부(132), 카메라(6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60)는, 생성된 신호를, 접속부(40)를 통하여 화상 표시부(20)에 공급함으로써, 화상 표시부(20)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화상 표시부(20)에 공급하기 위한 신호는, 아날로그 형식과 디지털 형식의 경우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디지털 형식의 경우, 디지털 R 신호와, 디지털 G 신호와, 디지털 B 신호와, 클럭 신호(PCLK)가 동기(同期)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160)는, 디지털 R 신호, 디지털 G 신호 및 디지털 B 신호로 이루어지는 화상 데이터(Data)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해상도 변환 처리, 휘도 및 채도의 조정 등의 여러 가지의 색조 보정 처리, 키스톤 보정 처리 등의 주지의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화상 처리부(16O)는, 클럭 신호(PCLK)와, 화상 데이터(Data)를, 송신부(51 및 52)를 통하여 송신한다.
아날로그 형식의 경우, 아날로그 R 신호와, 아날로그 G 신호와, 아날로그 B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160)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분리하고,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기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는 PLL 회로 등을 이용하여 클럭 신호(PCLK)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60)는, 아날로그 R 신호와, 아날로그 G 신호와, 아날로그 B 신호를, A/D 변환 회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16O)는, 변환 후의 디지털 R 신호, 디지털 G 신호, 디지털 B 신호로 이루어지는 화상 데이터(Data)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주지의 화상 처리를 실행한 후, 클럭 신호(PCLK)와, 화상 데이터(Data)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송신부(51 및 52)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송신부(51)를 통하여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Data)를 "우안용 화상 데이터(Data 1)"라고 하고, 송신부(52)를 통하여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Data)를 "좌안용 화상 데이터(Data 2)"라고 한다.
표시 제어부(190)는, 오른쪽 표시 구동부(22) 및 왼쪽 표시 구동부(24)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오른쪽 LCD 제어부(211)에 의한 오른쪽 LCD(241)의 구동 온/오프, 오른쪽 백라이트 제어부(201)에 의한 오른쪽 백라이트(221)의 구동 온/오프, 왼쪽 LCD 제어부(212)에 의한 왼쪽 LCD(242)의 구동 온/오프, 왼쪽 백라이트 제어부(202)에 의한 왼쪽 백라이트(222)의 구동 온/오프를 개별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이다. 표시 제어부(190)는, 이들 제어 신호에 의해,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왼쪽 표시 구동부(24)에 있어서의 화상광의 생성 및 사출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90)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송신부(51, 52)를 통하여 송신한다.
음성 처리부(170)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오른쪽 이어폰(32)의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와, 왼쪽 이어폰(34)의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에 그 음성 신호를 공급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성 처리부(170)는 제어부(10)와 화상 표시부(20)의 적어도 한쪽에 구비하는 마이크로폰이 검출한 소리를 샘플링하여 음성 신호를 취득할 수도 있다.
카메라 제어부(175)는, 카메라(67)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시인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한 영상은 기억부(120)에 기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80)는, 소정의 유선 통신 규격(예를 들면, Micro USB, USB HDMI, DVI(Digital Visual Interface), VGA(Video Graphics Array), 콤포짓(composite),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및 IEEE 802.3으로 예시되는 유선 LAN 등)에 따라, 인터페이스(180)와 외부 장치(OA)와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한다. 외부 장치(OA)로서는, 예를 들면, PC, 휴대 전화(스마트폰을 포함함), 게임 단말 등이 있다.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32)를 통하여 미라캐스트 제어부(195)와 HMD(100) 사이에서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을 확립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싱크 모드의 경우에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전송되어 오는 영상 등을 무선 통신부(132)로 수신하고, 화상 처리부(160) 및 표시 제어부(190)를 통하여 화상 표시부(20)에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 처리부(170)를 통하여 이어폰(32, 34)으로 음성을 출력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소스 모드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32)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O)로 미라캐스트에 따라 영상 등을 무선 전송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 무선 전송되는 영상 등으로서는, 카메라(67)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로폰으로 집음된 음성 및 인터페이스(180)를 통하여 외부 장치(OA)로부터 공급되는 여러 가지의 콘텐츠를 들 수 있다.
화상 표시부(20)는,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왼쪽 표시 구동부(24)와,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도 1)로서의 오른쪽 도광판(261)과,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도 1)로서의 왼쪽 도광판(262)과, 9축 센서(66)를 구비하고 있다. 9축 센서(66)는, 가속도(3축), 각 속도(3축), 지자기(3축)를 검출하는 모션 센서이다.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왼쪽 표시 구동부(2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고 함) 및 투사 광학계를 이용하여,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광을 생성하고 사출한다. 오른쪽 표시 구동부(22)는, 수신부(Rx; 53)와,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오른쪽 백라이트(BL) 제어부(201) 및 오른쪽 백라이트(BL; 221)와, 표시 소자로서 기능하는 오른쪽 LCD 제어부(211) 및 오른쪽 LCD(241)와, 오른쪽 투사 광학계(251)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부(53)는, 송신부(5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른쪽 백라이트 제어부(201)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오른쪽 백라이트(221)를 구동한다. 오른쪽 백라이트(221)는, 예를 들면, LED 또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장치 등의 발광체이다. 오른쪽 LCD 제어부(211)는, 입력된 클럭 신호(PCLK)와 우안용 화상 데이터(Data 1)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기초하여, 오른쪽 LCD(241)를 구동한다. 오른쪽 LCD(241)는,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투과형 액정 패널이다. 오른쪽 LCD(241)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각 화소 위치의 액정을 구동함으로써, 오른쪽 LCD(241)를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서, 오른쪽 백라이트(221)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을, 화상을 나타내는 유효한 화상광으로 변조한다. 오른쪽 투사 광학계(251)는, 오른쪽 LCD(241)로부터 사출된 화상광을 평행 상태의 광속(light beam)으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에 의해 구성된다.
왼쪽 표시 구동부(24)는,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오른쪽 표시 구동부(22)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왼쪽 표시 구동부(24)는, 수신부(Rx; 54)와,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왼쪽 백라이트(BL) 제어부(202) 및 왼쪽 백라이트(BL; 222)와, 표시 소자로서 기능하는 왼쪽 LCD 제어부(212) 및 왼쪽 LCD(242)와, 왼쪽 투사 광학계(252)를 포함하고 있다. 왼쪽 표시 구동부(24)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 방식을 채용한다. 그러나, 프런트 라이트 방식 및 반사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광을 사출해도 좋다.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와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는, 사용자가 화상 표시부(20)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좌우의 눈 앞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는, 오른쪽 도광판(261)과, 도시하지 않는 조광판을 포함하고 있다. 오른쪽 도광판(261)은, 광투과성의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 도광판(261)은, 오른쪽 표시 구동부(22)로부터 출력된 화상광을, 소정의 광로를 따라 화상광을 반사시키면서 사용자의 우안(RE)으로 유도한다. 오른쪽 도광판(261)에는, 회절 격자를 이용해도 좋고 또는 반투과 반사막을 이용해도 좋다. 조광판은, 박판(薄板) 형상의 광학 소자이며, 화상 표시부(20)의 표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조광판은, 오른쪽 도광판(261)을 보호하고, 오른쪽 도광판(261)의 손상이나 오물의 부착 등을 억제한다. 조광판의 광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는 외광량을 조정하여 허상의 시인의 용이함을 조정할 수 있다. 조광판은 생략 가능하다.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는,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즉,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는, 왼쪽 도광판(262)과, 도시하지 않는 조광판을 포함한다.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는, 왼쪽 표시 구동부(24)로부터 출력된 화상광을, 사용자의 좌안(LE)으로 유도한다. 왼쪽 광학상 표시부(28)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사용자가 시인하는 허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서는, 사용자의 시야(VR)를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HMD(100)의 사용자의 양 눈에 유도된 화상광은 사용자의 망막에 결상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허상(VI)을 시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허상(VI)은, HMD(100)의 OS의 대기 화면이다. 사용자는,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 및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를 투과하여 외경(SC)을 시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HMD(100)의 사용자는, 시야(VR) 중 허상(VI)이 표시된 부분에 대해서는, 허상(VI)과, 허상(VI)의 배후의 외경(SC)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시야(VR) 중 허상(VI)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26) 및 왼쪽 광학상 표시부(28)를 투과하여 외경(SC)을 직접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외경(SC)을 차단하여 허상(VI)만을 볼 수 있고,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전송된 영상을 허상(VI)으로서 볼 수 있다. 명세서에 있어서, "HMD(100)가 영상(화상)을 표시하는" 것에는, HMD(l00)의 사용자에 대하여 허상을 시인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A3. 미라캐스트 어댑터의 구성:
도 4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도 1에 나타낸, 전원 버튼(301)과, 패스 스루 버튼(303)과,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와, 점등부(307; LED(307A, 307B))에 더하여, CPU(310)와, 기억부(320)와, 전원(330)과, USB 인터페이스(340)와, HDMI 송수신부(350)와, 와이파이 송수신부(360)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부는 도시하지 않는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320)는,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CPU(310)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 정보가 기억부(320)에 기억되어 있다. 도 4에서는, 기억부(320)에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가 기억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에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에 의해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이 확립될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용되는 정보 이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비디오의 형식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전원(330)은, 전원 버튼(301)이 온(ON)인 경우에,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330)으로서는, 예를 들면, 2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330)에는, AC 어댑터(332)로부터 USB 인터페이스(340)를 통하여 직류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충전이 가능하다.
CPU(310)는, 기억부(320)에 격납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OS; 311), USB 제어부(312), HDMI 제어부(313), 와이파이 제어부(314), 패스 스루 제어부(315), 미라캐스트 제어부(316), LED 제어부(317) 등의 각종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USB 제어부(312)는, USB 인터페이스(340)의 USB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340)는, USB 인터페이스(340)와 컴퓨터(600) 사이에서 USB에 따른 통신을 실행한다. USB 인터페이스(340)는, AC 어댑터(332)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전원(330)으로 공급하는 것을 행한다.
HDMI 제어부(313)는, HDMI 송수신부(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HDMI 송수신부(350)는, BD 레코더(400)로부터 HDMI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 등을 수신한다. HDMI 송수신부(3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BD 레코더(4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등, 혹은, 미라캐스트에 따라 HMD(100)로부터 무선 수신한 영상 등을 HDMI에 따라 송신한다.
패스 스루 제어부(315)는, 패스 스루 버튼(303)이 온인 경우에 있어서, HDMI 송수신부(350)의 동작을 제어하고, HDMI 송수신부(350)가, HDMI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등을, 바로 HDMI 출력 단자로 출력시키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스 스루 제어부(315)는 BD 레코더(400)로부터 수신한 HDMI에 따른 영상 등을, HDMI에 따라 TV(500)에 송신하고, TV(500)가 그 영상을 표시하게 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파이 제어부(314)를 통하여 와이파이 송수신부(360)를 제어하고, 와이파이 송수신부(360)와 HMD(100) 사이에서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을 확립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소스 모드의 경우에는, HDMI 송수신부(350)의 HDMI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BD 레코더(4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등을, 와이파이 송수신부(36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따라 HMD(100)에 무선 전송한다. HMD(100)에서는, BD 레코더(400)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통하여 무선 전송되어 온 영상의 표시나 음성의 출력이 실행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싱크 모드의 경우에는, HMD(100)로부터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 전송되어 오는 영상 등을 와이파이 송수신부(360)에서 수신하고, HDMI 송수신부(350)의 HDMI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TV(500)로 영상 등을 출력한다. TV(500)에서는, HMD(100)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무선 전송되어 온 영상의 표시나 음성의 출력이 실행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라캐스트 어뎁터(300)와 HMD(100) 사이에서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확립의 순서, 특히, 소스 모드에 있어서의 접속의 확립의 순서에 특징을 갖고 있다.
A4.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
(l)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소스 모드인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소스 모드인 경우, 즉,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영상 송신측의 소스 디바이스이며, HMD(100)가 영상 수신측의 싱크 디바이스인 경우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행해지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이하, "미라캐스트 접속"이라고도 함)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HMD(100)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301)을 온으로 설정함으로써 기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소스 모드 MTx를 선택함으로써,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소스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고(스텝 S302), 영상 수신측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의 검출 및 싱크 디바이스의 미라캐스트에 의해 가능한 능력("서비스"라고도 불림)의 검출을 행한다(스텝 S304). 이들 검출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 의해 책정된 와이파이 피어 투 피어(이하, "P2P"라고도 함) 사양의 규정에 따라 행해진다.
한편,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에서는,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실행용 아이콘(도 3의 "미라캐스트"라고 표기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미라캐스트 제어부(195)가 동작을 개시하고, 화상 표시부(20)에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은,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메뉴 화면(MV)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MV)의 모드 전환 스위치(MS)를 싱크 모드(Sink)측으로 설정하고 개시 버튼(ST)을 탭(선택)하면,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싱크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하고(스텝 S102), 영상 송신측이 되는 소스 디바이스의 검출 및 소스 디바이스의 미라캐스트에 의해 가능한 능력("서비스"라고도 함)의 검출을 행한다(스텝 S104). 이들 검출은, 소스 디바이스측과 동일하게, P2P 사양의 규정에 따라 실행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 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순하게 "소스 디바이스"라고도 함)는, 싱크 디바이스의 검출을 행한(스텝 S304) 후,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미라캐스트로의 접속의 설정의 개시가 이루어질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08). 한편, 소스 디바이스의 검출을 행한(스텝 S104) 후, 사용자가 접속 대상의 소스 디바이스의 선택을 행함(스텝 S106)으로써, HMD(1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195; 이하, 설명의 편의상 단순히 "싱크 디바이스"라고도 함)는, 그 소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커넥션의 셋업)을 개시한다(스텝 S108). 또한, 커넥션의 셋업의 개시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 의해 책정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혹은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사양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P2P 접속의 개시에 의해 트리거 된다.
도 7(A) 및 도 7(B)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소스 디바이스 검출에 의해 검출된 접속 가능 소스 디바이스의 표시 화면(SD)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SD)에는, 소스 디바이스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 가능 소스 디바이스(AVAILABLE DEVICES)의 표시란에, 디바이스 네임(도면의 예에서는, "**-WFD_****"로 기재)과, 그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의 상태로서 접속 가능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표기(도 7(A)의 예에서는, 접속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Available"로 표기)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접속 가능(Available) 소스 디바이스 중으로부터, 접속 대상이 되는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을 탭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개시하면,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는 서로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을 위한 네고시에이션을 행하고(스텝 S310 및 Sl10),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S312 및 S112).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이 확립되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의 소스 디바이스 상태의 표기가 접속 상태("Connected")가 된다. 네고시에이션에 있어서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도 7(A) 참조) 및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네고시에이션시에 있어서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취한 디바이스 네임을,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 안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접속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의 리스트(이하,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라고 함)와 맞추어 본다(스텝 S316). 도 8은,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는, 제품 출하시에 미리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 안에 격납된다. 컴퓨터(600)로부터 USB를 통하여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를 갱신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네임과 일치하는 디바이스 네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316: 아니오),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의 접속은 불가능이라고 판단하고, 미라캐스트 접속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네임과 일치하는 디바이스 네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316: 예),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setting)을 계속시킨다(스텝 S318).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의 계속에 응답하여, 싱크 디바이스도,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계속시킨다(스텝 S118). 이 결과,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는, 미라캐스트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S320 및 S120).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미라캐스트 접속이 확립되면, 싱크 디바이스인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소스 디바이스인 HMD(100)에 대하여, 영상 기기로서 기능하는 BD 레코더(400)로 재생되는 영상 등을, 미라캐스트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하는(스텝 S322 및 S122)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HMD(100)로 표시되는 영상 재생 화면(SP)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MD(100)에서는, 수신한 영상을 영상 재생 화면(SP)에 재생 표시하고, 수신한 음성을 이어폰(32 및 34)으로 출력한다.
미라캐스트에 따른 영상 등의 무선 전송은, 소스 디바이스 혹은 싱크 디바이스로 미라캐스트에서의 세션(session)의 종료 수속이 행해질 때까지 계속된다(스텝 S324 또는 S124). 소스 디바이스인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서는, 예를 들면, 전원 버튼(301)을 오프(OFF)로 설정함으로써 종료 수속이 실행된다. HMD(100)에서는, 도 9의 왼쪽 위에 있는 종료 아이콘(EA)이 탭(선택)됨으로써 종료 수속이 실행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종료 아이콘(EA)의 탭시에 표시되는 확인 화면(CP)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료 아이콘(EA)이 탭 되면, 확인 화면(CP)으로서, "정말로 종료합니까?(Are you sure to exit?)"라는 확인 표시와, 캔슬(cancel) 버튼과, OK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OK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미라캐스트에서의 세션의 종료 수속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캔슬 버튼을 선택하면, 미라캐스트에서의 세션은 계속된다.
HMD(100)의 디바이스 네임이, 본 발명에 따르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이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허가 대상("접속 대상"이라고도 함)임을 나타내는 접속 허가 식별 정보("접속 식별 정보"라고도 함)에 상당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영상 송신 장치의 접속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HMD(1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수신측 접속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접속은 "제1 접속"에 상당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은 "제2 접속"에 상당한다. 미라캐스트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프로토콜이다. 즉,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하위 프로토콜이고, 미라캐스트가 상위의 프로토콜이다.
(2)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패스 스루 모드인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패스 스루 모드인 경우, 즉,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소스 모드 MTx를 선택하는 상태에서, 패스 스루 버튼(303)이 온으로 설정되어 패스 스루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실행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패스 스루 모드에 있어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패스 스루 모드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나타낸다. 다른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를 사용하여 소스 모드 MTx를 선택한 상태(도 1 및 4 참조)에서, 패스 스루 버튼(303)이 온으로 설정되어 패스 스루 모드가 선택된 경우, 패스 스루 제어부(315)는 HDMI 송수신부(350)의 동작을 제어하여, HDMI 송수신부(350)가 HDMI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등의 신호를, 바로 HDMI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BD 레코더(4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등을,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통하여 바로 TV(500)로 출력하여, TV(500)에서 그 영상 등을 재생할 수 있다.
(3) 미라캐스트 어댑터가 싱크 모드인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싱크 모드인 경우, 즉,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영상 수신측의 싱크 디바이스이고, HMD(100)가 영상 송신측의 소스 디바이스인 경우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설명한다.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HDM(100) 사이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순서는, 종래의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어댑터와 종래의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소스 디바이스 사이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순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HDM(100) 사이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순서의 개략을 설명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 도 1 및 4 참조)를 사용하여 싱크 모드 MRx를 선택함으로써, 싱크 디바이스의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실행용 아이콘(도 3)을 선택 실행하고, 미라캐스트 접속의 메뉴 화면(도 6 참조)의 모드 전환 스위치(MS)를 소스 모드(Source)측으로 설정하고 스타트 버튼(ST)을 탭함으로써, HMD(100)는,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을 개시한다.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에서는, 서로, 미라캐스트 접속의 순서에 따라, 디바이스의 검출 및 서비스의 검출을 행한다. 소스 디바이스인 HDM(10O)에서는, 싱크 디바이스 검출의 결과가, 싱크 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표시 화면(SD; 도 7(A) 및 도 7(B) 참조)의 접속 가능 싱크 디바이스의 표시란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접속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디바이스 네임을 탭함으로써,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접속 대상의 싱크 디바이스로서 선택하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이 개시되어, 미라캐스트 접속이 확립된다. 이 결과, 소스 디바이스인 HMD(10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인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대하여, 미라캐스트에 따라 영상이나 음성의 무선 전송이 가능해진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통하여 TV(500)에서 영상의 표시 및 음성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HMD(100)로부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통하여 TV(500)로 영상 등을 전송하는 경우, HMD(100)에서는 영상 등의 재생을 행하지 않고, 전송하는 것("스트리밍"이라고도 함)으로 해도 좋다. 영상 등은 HMD(100)에서 재생하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통하여 TV(500)에도 전송하여, TV(500)에서 재생하는 것("미러링"이라고도 함)으로 해도 좋다.
A5. 효과: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종래의 소스 디바이스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고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나 조작부(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방식을 이용한 터치 패널)를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영상 전송측의 소스 디바이스가 되고, HMD(100)가 영상 수신측의 싱크 디바이스가 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측에서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도모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의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제2 접속)의 확립을 위한 처리 중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스 디바이스로 송신된 싱크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을,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의 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와 맞추어 봄으로써, 소스 디바이스는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는, 특정한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제1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기 위한 수속을 계속하여 실행하고,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수속을, 소스 디바이스측에서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경우 실행되는 수속으로부터 변경하는 일 없이,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같이 고도의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영상 무선 통신 규격)의 순서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예시한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위한 수속과는 상이한 새로운 수속이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표시 시스템(1000)과 동일하다. 영상 표시 시스템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HMD(100)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의 순서에 대하여,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스텝 S101 및 S113이 추가되어 있는 점과,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스텝 S313이 추가되어 있고, 스텝 S314 및 S316이 스텝 S314b 및 S316b로 변경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에서는, 사용자가 미라캐스트 실행용 아이콘(도 3 참조)을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미라캐스트 제어부(195)가 동작을 개시한다. 우선,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의 취득 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101).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그 취득 동작은, 고유 정보 취득 장치로서 카메라(67; 도 1 및 2 참조) 및 카메라 제어부(175)를 동작시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하우징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이하, "QR 코드 등"이라고 함)에 포함되는 고유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고유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취득한 고유 정보는, HMD(100)의 시야(VR)에서 시스루 표시되는 외경(SC; 도 3 참조)에 포함되어 있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위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 표시는, 예를 들면, 고유 정보 취득부의 동작을 계속하고, 취득한 고유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화상 인식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및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가 실행된다(스텝 S302 내지 S312, 스텝 S102 내지 112).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이 확립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가 취득한 고유 정보를 송신하도록 싱크 디바이스에게 요구한다(스텝 S313). 이 경우에,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텝 S101에서 취득한 고유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송신한다(스텝 S113). 소스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가 취득한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이 취득 요구 및 응답은, 확립된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에서, 새롭게 형성한 수속(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고유 정보를 수신한 소스 디바이스는,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 안에 미리 격납하고 있는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QR 코드 등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정보와 동일한 정보)와, 수신한 고유 정보를 맞추어 본다(스텝 S314b). 고유 정보의 종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316b에서 아니오), 소스 디바이스는, 미라캐스트 접속에 의하여 접속이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미라캐스트 접속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고유 정보의 종류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스텝 S316b에서 예), 소스 디바이스는, 그 고유 정보를 송신한 싱크 디바이스가, 미라캐스트 접속이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라고 판정하고, 접속 대상 디바이스로서 그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계속시킨다(스텝 S318). 그 설정의 계속에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도,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의 사이에서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계속시킨다(스텝 S118). 이 결과, 소스 디바이스 및 싱크 디바이스는, 미라캐스트 접속을 확립한다(스텝 S320 및 S120).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의 영상의 무선 전송을 실행하는(스텝 S322, S122)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는, 미리 소스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고유 정보로서 취득하여 둔다.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의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의 후에, 새롭게 형성된 수속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요구한 응답으로서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고유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와 맞추어 봄으로써,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는, 선택한 싱크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미라캐스트로의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경우의 수속을 계속하여 실행하고, 미라캐스트로의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 후에,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고유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새로운 수속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에서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확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같이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의 순서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는,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는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이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에 상당한다.
C.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및 동작과는 상이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참조번호 및 부호와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설명한다. 그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마리캐스트 어댑터(300)는 도 4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는, 기억부(320)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322)를 대신하여, 우선도 정보(324)와 결정 방법 정보(326)가 기억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3 실시 형태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에서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가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접속 순서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14는, 우선도 정보(324)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도 정보(324)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싱크 디바이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이다. 우선도 정보(324)에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에 대해서, 각 장치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도 정보(324)에는, 장치 식별자와, 장치 명칭과, 소정의 우선 순위와, 전파 강도와, 접속 횟수와,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의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장치 식별자"에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격납되어 있다. 식별자로서는, 문자열 및 영숫자 문자 등의 임의의 형태가 이용 가능하다. "장치 명칭"에는, 장치 식별자에 의해 나타나는 장치의 명칭이 격납되어 있다.
"소정의 우선 순위"에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문자열(도면의 예에서는 숫자)이 격납되어 있다.
"전파 강도"에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장치와,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문자열(도면의 예에서는 숫자)이 격납되어 있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와이파이 송수신부(360)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파의 강도를 주기적으로 취득하여, 전파 강도를 갱신해도 좋다. 전파 강도의 란은, 생략해도 좋다. 전파 강도는, "전파에 관한 정보"로서 기능한다.
"접속 횟수"에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장치와,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사이에 있어서, 과거에 미라캐스트 접속이 된 횟수의 적산값이 격납되어 있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을 실시할 때마다, 접속 횟수를 인크리먼트해도 좋다. 접속 횟수는,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로서 기능한다.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에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장치에 있어서, 최종회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대상이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문자열이 격납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Y"는 그 장치가 최종회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대상이었던 것을 나타내고, "N"은 최종회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을 나타낸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마다,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를 갱신해도 좋다.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는,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로서 기능한다.
우선도 정보(324) 내의 정보의 종류는,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의 이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장치 명칭에 격납되어 있는 값 및 소정의 우선 순위에 격납되어 있는 값은,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의 이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해도 좋다. 변경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우선도 정보(324)를 HMD(100)의 화상 표시부(20)에 표시시키게 하여, HMD(100)의 제어부(10)를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는, 사용자가, 우선도 정보(324)를 TV(500)에 표시시키게 하여, TV(500)의 도시하지 않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 15는, 결정 방법 정보(326)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결정 방법 정보(326)에는, 제3 실시 형태의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처리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가,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싱크 디바이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정 방법 정보(326)에는, "소정의 우선 순위"와, "전파 강도"와, "접속 횟수"와,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와, "종합" 중 어느 하나가 격납된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소스 모드인 경우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HMD(100) 사이에서 행해지는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순서는, 도 5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와,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순서에 스텝 S400 및 S402를 포함하는 점과, 순서에 스텝 S308을 대신하여 스텝 S308a를 포함한다는 점과, 순서에 스텝 S314 및 S316을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순서에,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스텝 S106을 포함하지 않는 점과, 스텝 S108을 대신하여 스텝 S108a를 구비하는 점에서, 본 순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순서와 상이하다.
소스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스텝 S40O 및 S402를 실행함으로써, 스텝 S304에서 검출된 디바이스 중에서,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 즉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400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결정 방법 정보(326)에 격납되어 있는 값을 참조함으로써,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을 특정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400에서 특정한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소정의 우선 순위"였을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우선도 정보(324)의 "소정의 우선 순위"를 참조하여,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문자열의 오름차순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경우는 "1"이나 "A")이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행)를 추출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추출한 엔트리의 장치 식별자 또는 장치 명칭에 의해 특정되는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HMD(100)가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전파 강도"였을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우선도 정보(324)의 "전파 강도"를 참조하여,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를 추출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추출한 엔트리의 장치 식별자 또는 장치 명칭에 의해 특정되는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HMD(100)가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전파 강도의 란이 우선도 정보(324)에서 생략되는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와이파이 송수신부(360)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파의 강도를 취득하고, 강도가 가장 강한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해도 좋다.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접속 횟수"였을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우선도 정보(324)의 "접속 횟수"를 참조하여, 접속 횟수가 가장 많은 것을 나타내는 값이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를 추출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추출한 엔트리의 장치 식별자 또는 장치 명칭에 의해 특정되는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HMD(100)가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였을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우선도 정보(324)의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를 참조하여, 장치가 최종회의 미라캐스트 접속의 대상이었던 것을 나타내는 값, 즉 "Y"가 격납되어 있는 엔트리를 추출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추출한 엔트리의 장치 식별자 또는 장치 명칭에 의해 특정되는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TV(500)가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7은,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종합"이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스텝 S400에서 특정한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이 "종합"이었을 경우,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한 소정의 우선 순위와, 전파 강도와, 접속 횟수와,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를 채용한 경우에서 유도되는 우선 순위를 각각 구한다(도 17).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각각 구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숫자를, 엔트리마다(환언하면 장치마다) 합계하여, 각 장치에 있어서의 종합 우선 순위를 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문자열의 오름차순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구한 종합 우선 순위의 값이 가장 작은 장치를,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도 17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HMD(100)가 싱크 디바이스라고 결정한다.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우선 순위의 합계값을 대신하여, 다른 통계적 수법(예를 들면, 평균값, 최빈값)을 이용해도 좋다.
도 16의 스텝 S108a에 있어서, HMD(1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195)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미라캐스트에서의 접속의 설정의 개시가 행해질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스텝 S402)을 계기로 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스텝 S402에서 결정된 싱크 디바이스에 대한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커넥션의 셋업)을 개시한다(스텝 S308a).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의 상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16의 예는, 스텝 S402에 있어서 싱크 디바이스로서 HMD(100)가 결정된 경우의 예시이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싱크 디바이스로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면 TV(500))가 결정되면, HMD(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스텝 S108a 이후의 처리는, 결정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된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가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개시하는 계기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싱크 모드 온으로 설정, 즉,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305)에 의해 싱크 모드 MRx가 선택된 것을 계기로 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의 설정을 개시해도 좋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전원이 켜지는 것을 계기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영상 송신 장치)는, 미라캐스트 접속의 대상으로 설정되는 싱크 디바이스(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영상 송신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 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즉, 소스 디바이스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우선 순위)와, 소스 디바이스가 자동적으로 취득 가능한 정보(즉,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한 싱크 디바이스(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전파에 관한 정보 및,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의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접속의 대상의 결정에 있어서 영상 표시 시스템(1000)의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결과,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영상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의하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영상 송신 장치 또는 소스 디바이스)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HMD(100; 영상 수신 표시 장치 또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 중 어느 한쪽에 따라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HMD(100)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한다. 제2 접속은, 미라캐스트(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행해지는 피어 투 피어 접속이다.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HMD(100)로부터의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요구의 송신원의 HMD(100)를, 제2 및 제1 접속의 상대방, 즉, 미라캐스트 접속의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즉, 싱크 디바이스의 결정)에 따라서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미라캐스트 제어부(316)는,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내에 있어서 임의의 방법으로 정해진 싱크 디바이스를, 제2 및 제1 접속의 상대방, 즉, 미라캐스트 접속의 상대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영상 표시 시스템(1000)에 의하면,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미라캐스트 어댑터(300; 영상 송신 장치 또는 소스 디바이스)라도, 미라캐스트 통신의 상대방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 변형예:
Dl. 변형예 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HMD(100)의 고유 식별 정보인 디바이스 네임을, HMD(100)가 미라캐스트에 따르는 접속 허가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접속 허가 식별 정보로 설정하고 있다.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을 위한 처리 중에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로부터 송신되는 디바이스 네임을,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DL)와 맞추어 봄으로써, HMD가 접속 가능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그러나,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 가능한지 아닌지에 대한 판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한 P2P의 접속의 확립의 처리 중에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다른 고유한 식별 정보를 접속 허가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고, 그 식별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가 접속 가능한지 아닌지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MAC 어드레스를 HMD(100)의 고유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고, 접속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로서 미리 등록된 MAC 어드레스에 의한 필터를 통과하는지 아닌지, 즉, MAC 어드레스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MAC 어드레스와 정합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HMD(100)가 접속 가능인가 아닌가 판정할 수 있다.
D2. 변형예 2: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예에서는,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제공하는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하우징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 등을 판독함으로써 취득한다. 그러나, 고유 정보의 취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하우징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특정 표시 패턴,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인정 표시, 장치의 로고, 장치의 제조 번호 등을,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로서 카메라(67)에 의해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점등부(307)에서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발광 패턴을 발광시켜, HMD(100)에서 이 특정의 발광 패턴을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적외선 발광부를 형성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그 적외선 발광부에서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의 발광 패턴을, 예를 들면,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 따라 발광시켜, HMD(100)에서 이 발광 패턴을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iBeacon을 형성하여, HMD(100)에서 RFID 태그 또는 iBeacon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에 스피커를 형성하여, 스피커가 방출되는 고유 정보를, HMD(100)의 마이크로폰으로 집음하여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즉,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제공하는 접속 허가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고유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HMD(100)에서 취득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예에서는, 고유 정보 취득 장치로서, 카메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고유 정보 취득 장치는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유 정보 취득 장치로서는, 적외광 등의 수광 장치,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마이크로폰을 채용할 수 있다.
D3. 변형예 3: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후에,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의 취득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도 12의 스텝 S101). 그러나, 우선,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QR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의 취득을 트리거(계기)로 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3에 의하면,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싱크 디바이스에 고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고유 정보가 소스 디바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그 싱크 디바이스를 미라캐스트(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 싱크 디바이스로서 선택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와 그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미라캐스트에 따른 제1 접속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UI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은 소스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해야 할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의 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4. 변형예 4: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의 취득 동작을 추가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유 정보가 소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네임 혹은 MAC 어드레스이기만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대상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할(스텝 S106) 필요는 없다. 사용자는 취득한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대상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 3과 동일하게,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의 취득을 트리거로 하여, 미라캐스트 접속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D5. 변형예 5: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미라캐스트 어댑터(300)가, 싱크 디바이스(미라캐스트에 따른 접속의 상대방)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방법 이외의 방법을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제3 실시 형태로 예시한 "전파 강도" 이외의, 여러 가지의 전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해도 좋다. 전파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 및,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내용의 암호화의 유무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제3 실시 형태로 예시한 "접속 횟수" 및 "가장 최근의 접속 장치" 외의, 여러 가지의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를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해도 좋다.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과거에 미라캐스트 접속이 유지된(커넥션이 유지된) 시간의 합계값을 이용해도 좋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와, 전파에 관한 정보와,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 중 2개 이상을 조합을 이용하여,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해도 좋다.
D6.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HMD(100)는, 제어부(10)와 화상 표시부(20)가 접속부(4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별체형의 구조를 예로서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HMD(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HMD(100)의 구조는, 화상 표시부(20) 내에 제어부(10)가 모두 포함된 일체형의 구조라도 좋고, 또는 제어부(10)의 일부가 화상 표시부(20) 내에 포함된 구조라도 좋다. HMD(100)의 구조는, 제어부(10) 내에 구비하는 전원(130)을 독립하여 형성하고, 교환 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다. 제어부에 형성된 구성부품이 화상 표시부 내에 중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CPU가 제어부와 화상 표시부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의 CPU와, HMD의 CPU로, 각각이 행하는 기능이 구별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제어부를 퍼스널 컴퓨터(PC)에 내장하고, PC의 모니터를 대신하여 화상 표시부가 사용되는 형태라도 좋다. 제어부와 화상 표시부를 일체화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형태라도 좋다.
D7. 변형예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라캐스트에 비대응의 영상 기기(400)와 표시 장치(500)에 HDMI 케이블을 통하여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접속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미라캐스트 어댑터(300)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는 미라캐스트에 비대응의 영상 기기나 표시 장치 등의 HDMI의 입출력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형 구조의 어댑터로 해도 좋다.
D8.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라캐스트에 대응한 HMD(100)와, 미라캐스트 어댑터(300)를 예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HMD 대신에, 프로젝터나,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단말, 휴대형 전자 기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 전화 등) 등의 여러 가지의 미라캐스트에 대응하고 싱크 디바이스로서 기능 가능한 여러 가지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D9. 변형예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 의해 책정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의 하나인 미라캐스트를 예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등을 전송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전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전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 또는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기술적 특징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제어부
12 : 점등부
14 : 터치 패드
16 : 십자 키
18 : 전원 스위치
20 : 화상 표시부
21 : 오른쪽 보유지지부
22 : 오른쪽 표시 구동부
23 : 왼쪽 보유지지부
24 : 왼쪽 표시 구동부
26 : 오른쪽 광학상 표시부
28 : 왼쪽 광학상 표시부
30 : 이어폰 플러그
32 : 오른쪽 이어폰
34 : 왼쪽 이어폰
40 : 접속부
42 : 오른쪽 코드
44 : 왼쪽 코드
46 : 연결 부재
48 : 본체 코드
51 : 송신부
52 : 송신부
53 : 수신부
67 : 카메라
100 :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영상 수신 표시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HMD)
110 : 입력 정보 취득부(조작 취득부)
120 : 기억부
130 : 전원
132 : 무선 통신부
140 : CPU
160 : 화상 처리부
170 : 음성 처리부
175 : 카메라 제어부
180 : 인터페이스
190 : 표시 제어부
195 : 미라캐스트 제어부(수신측 접속 제어부)
201 : 오른쪽 백라이트 제어부(표시 구동부)
202 : 왼쪽 백라이트 제어부(표시 구동부)
221 : 오른쪽 백라이트(표시 구동부)
222 : 왼쪽 백라이트(표시 구동부)
251 : 오른쪽 투사 광학계(표시 구동부)
252 : 왼쪽 투사 광학계(표시 구동부)
261 : 오른쪽 도광판
262 : 왼쪽 도광판
300 : 미라캐스트 어댑터(영상 송신 장치)
301 : 전원 버튼
303 : 패스 스루 버튼
305 : 미라캐스트 전환 스위치
307 : 점등부
307A, 307B : LED
310 : CPU
311 : 0S
312 : USB 제어부
313 : HDMI 제어부
314 : 와이파이 제어부
315 : 패스 스루 제어부
316 : 미라캐스트 제어부(접속 제어부)
320 : 기억부
322 : 미라캐스트 설정 정보
324 : 우선도 정보
326 : 결정 방법 정보
330 : 전원
332 : AC 어댑터
340 : USB 인터페이스
350 : HDMI 송수신부
360 : 와이파이 송수신부
400 : 영상 기기(BD 레코더)
500 : 표시 장치(TV)
600 : 컴퓨터
1000 : 영상 표시 시스템
DL : 접속 가능 디바이스 리스트
PCLK : 클럭 신호
Data : 화상 데이터
VSync : 수직 동기 신호
HSync : 수평 동기 신호
Datal : 우안용 화상 데이터
Data2 : 좌안용 화상 데이터
EA : 종료 아이콘
OA : 외부 장치
SC : 외경
SD : 표시 화면
RE : 우안
LE : 좌안
VI : 허상
CP : 확인 화면
SP : 영상 재생 화면
VR : 시야
ST : 스타트 버튼
MV : 메뉴 화면

Claims (16)

  1.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대하여,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를 행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는 제1 접속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접속하는 제2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opportunity)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접속 제어부가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송신되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식별 정보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이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고유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의 개시 전에,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상기 고유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취득한 상기 고유 정보를 상기 접속 식별 정보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의 취득은,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QR 코드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특정 표시 패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RF 태그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발광부의 발광의 특정 발광 패턴이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상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에 시스루 표시될 때에, 상기 영상 송신 장치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고유 정보 취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상기 고유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유 정보의 수신을 상기 계기로 하여,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고유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의 취득은,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설치된 QR 코드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특정 표시 패턴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RF 태그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형성된 발광부의 발광의 특정 발광 패턴이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상기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에 시스루 표시될 때에, 상기 영상 송신 장치 위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의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접속의 대상이 되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의 대상의 결정을 상기 계기로 하여,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결정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결정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의 대상의 결정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우선 순위와,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수신한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전파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접속에 관한 과거의 정보와, 상기 우선 순위와, 상기 전파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과거의 정보 중 2개 이상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2.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대하여,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를 행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의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으로서,
    (a)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여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공정과,
    (b) 상기 영상 송신 장치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 접속하여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공정 (b)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개시되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 (a)에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13.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로부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에 대하여,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를 행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를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여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기능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 접속하여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기능
    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며,
    상기 제2 접속을 확립하는 기능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개시되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기 위한 표시부도 조작부도 구비하지 않는 영상 송신 장치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는,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속 제어부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는 제1 접속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 접속하는 제2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요구의 취득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 내에 있어서의 계기의 발생 중의 어느 한쪽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접속 제어부가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송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영상 송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제어부는,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구의 취득에 따라서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시에,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식별 정보와 정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송신 장치.
  16. 영상 수신 표시 장치로서,
    영상 송신 장치가 제공하는 고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고유 정보 취득 장치와,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수신측 접속 제어부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1대1의 직접적인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라 접속하는 제1 접속과, 상기 영상 송신 장치와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를 상기 제1 접속의 확립에 앞서 피어 투 피어 접속하는 제2 접속의 확립을 제어하는 수신측 접속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측 접속 제어부는, 상기 제2 접속의 확립의 처리의 개시 전에, 상기 고유 정보 취득 장치에 의해 상기 고유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2 접속의 확립 후에, 취득한 상기 고유 정보를, 상기 영상 수신 표시 장치가 상기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대상임을 나타내는 접속 식별 정보로서 상기 영상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수신 표시 장치.
KR1020167015432A 2013-12-26 2014-12-11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KR101811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8217A JP6340792B2 (ja) 2013-12-26 2013-12-26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映像送信装置と映像受信表示装置との間の映像無線伝送規格に従った接続方法、並びに、映像送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表示装置
JPJP-P-2013-268217 2013-12-26
JPJP-P-2014-184367 2014-09-10
JP2014184367A JP6428071B2 (ja) 2014-09-10 2014-09-10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映像送信装置と頭部装着型表示装置との間の映像無線伝送規格に従った接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
PCT/JP2014/006176 WO2015098016A1 (en) 2013-12-26 2014-12-11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51A KR20160084451A (ko) 2016-07-13
KR101811813B1 true KR101811813B1 (ko) 2017-12-22

Family

ID=5239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432A KR101811813B1 (ko) 2013-12-26 2014-12-11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61905A1 (ko)
EP (1) EP3087751A1 (ko)
KR (1) KR101811813B1 (ko)
CN (1) CN105850148B (ko)
BR (1) BR112016015126A2 (ko)
RU (1) RU2629562C1 (ko)
TW (1) TW201526608A (ko)
WO (1) WO2015098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167A1 (en) * 2015-02-23 2016-09-0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KR102443999B1 (ko) * 2015-03-13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링크를 통해 영구 미라캐스트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
CN107925791B (zh) * 2015-07-02 2021-12-14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移动终端
US20170055235A1 (en) * 2015-08-21 2017-02-23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precision timing protocol (ptp) timing and clock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multimedia devices
CN106385348A (zh) * 2016-09-21 2017-02-08 平越 分步辨别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85682A (zh) * 2016-09-21 2017-02-08 平越 多功能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39098A (zh) * 2016-09-21 2017-01-18 平越 增强正确性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83581A (zh) * 2016-09-21 2017-02-08 平越 再现型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85681A (zh) * 2016-09-21 2017-02-08 平越 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411875A (zh) * 2016-09-21 2017-02-15 平越 历史记录下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85680A (zh) * 2016-09-21 2017-02-08 平越 增强娱乐性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71609A (zh) * 2016-09-21 2017-02-01 平越 带有时长标记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412895A (zh) * 2016-09-21 2017-02-15 平越 高效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411874A (zh) * 2016-09-21 2017-02-15 平越 若干标记下的虚拟现实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375840A (zh) * 2016-09-30 2017-02-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投影设备、移动终端及屏幕投影连接方法
CN107870264B (zh) * 2016-10-12 2020-09-11 成武县晨晖环保科技有限公司 电线电缆测试仪及其方法
CN106453569A (zh) * 2016-10-18 2017-02-22 金陵科技学院 一种再现型智慧城市娱乐系统及其方法
CN106527713B (zh) * 2016-11-07 2019-11-08 金陵科技学院 Vr的三维数据渲染系统及其方法
CN106527714B (zh) * 2016-11-07 2020-04-28 金陵科技学院 基于虚拟现实下的图像识别系统及其方法
CN106657718B (zh) * 2016-11-07 2019-12-06 金陵科技学院 实现虚拟现实的数据传送系统及其方法
CN106454322A (zh) * 2016-11-07 2017-02-22 金陵科技学院 Vr的图像处理系统及其方法
JP6919222B2 (ja) * 2017-02-27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10810773B2 (en) * 2017-06-14 2020-10-20 Dell Products, L.P. Headset display control based upon a user's pupil state
US10897491B2 (en) * 2017-12-28 2021-01-19 Intel Corporation Content provision based on usage analytics for multiple display receiver devices
DK180186B1 (en) * 2018-05-08 2020-07-23 Maersk Drilling As Augmented reality apparatus
WO2019221105A1 (ja) 2018-05-15 2019-11-2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
US11422764B1 (en) * 2018-06-03 2022-08-23 Epic Optix, Inc. Multi-platform integrated display
CN109474858A (zh) * 2018-12-04 2019-03-15 深圳市诺信连接科技有限责任公司 Vr的远程控制方法及vr
JP7234025B2 (ja) 2019-04-23 2023-03-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CN112419999A (zh) * 2019-08-21 2021-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内容分享方法和终端设备
KR20210103880A (ko) * 2020-02-14 202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N113642345B (zh) * 2020-05-11 2023-12-08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二维码设备提高有效数据传输速率的方法
EP4191397A4 (en) * 2020-10-28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888A1 (ja) * 2012-04-13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3721A (ja) * 2006-04-26 2007-11-08 Shimadzu Corp 巡回点検支援システム
US10908421B2 (en) * 2006-11-02 2021-02-02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viewing devices
US20100274671A1 (en) * 2009-04-27 2010-10-28 Sony Corporation And Sony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xtual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network
KR101732057B1 (ko) * 2009-11-02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US8599773B2 (en) 2009-11-17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scalable channel-based station enablement and de-enablement in television band white spaces
JP5630141B2 (ja) 2010-08-18 2014-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に含まれる携帯型情報処理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像表示システムに含まれ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画像表示方法
US8918719B2 (en) * 2011-02-14 2014-12-23 Universal Electron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CN102647245B (zh) * 2011-02-22 2015-07-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203105039U (zh) * 2013-02-07 2013-07-31 协创立科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WiFi无线影音分享器
CN203181128U (zh) * 2013-02-22 2013-09-04 协创立科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WiFi无线影音分享设备
CN103475907B (zh) * 2013-09-23 2017-01-25 珠海迈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屏控制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888A1 (ja) * 2012-04-13 2013-10-1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fi certified miracast 표준문서(2012.09.19.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51A (ko) 2016-07-13
WO2015098016A1 (en) 2015-07-02
US20160261905A1 (en) 2016-09-08
RU2629562C1 (ru) 2017-08-30
CN105850148B (zh) 2019-04-02
BR112016015126A2 (pt) 2017-08-08
CN105850148A (zh) 2016-08-10
TW201526608A (zh) 2015-07-01
EP3087751A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13B1 (ko)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사이의 영상 무선 전송 규격에 따른 접속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송신 장치, 및 영상 수신 표시 장치
TWI615631B (zh) 頭部配戴型顯示裝置及頭部配戴型顯示裝置之控制方法
JP606603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97927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9411160B2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and image display system
US201602916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KR101791494B1 (ko)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 및 두부 장착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JP5834439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50168729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20150363974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head mounted display, method for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JP6340792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映像送信装置と映像受信表示装置との間の映像無線伝送規格に従った接続方法、並びに、映像送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表示装置
JP594880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10082671B2 (en) Head-mounted display,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to measure the distance from a user to a target
US20160021360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20170030632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1701018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68728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6428071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映像送信装置と頭部装着型表示装置との間の映像無線伝送規格に従った接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60077340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205990B2 (en) Device for sending or receiving video,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1844231B1 (ko)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JP600405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887983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