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415B1 - 플로팅 롤러 - Google Patents

플로팅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415B1
KR101811415B1 KR1020160063621A KR20160063621A KR101811415B1 KR 101811415 B1 KR101811415 B1 KR 101811415B1 KR 1020160063621 A KR1020160063621 A KR 1020160063621A KR 20160063621 A KR20160063621 A KR 20160063621A KR 101811415 B1 KR101811415 B1 KR 10181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ating
interval
inlet
flo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575A (ko
Inventor
남한우
Original Assignee
남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한우 filed Critical 남한우
Priority to KR102016006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41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4Advancing webs by direct action on web of mov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6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 B65H2301/4461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by blowing air towards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3Details of the part distributing the air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gas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4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with selectively operated air supply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40Fluid power drive; Fluid supply element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플로팅 롤러는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생성 부재, 상기 공기 생성 부재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1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프레임 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1 공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대상물이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다면을 갖도록 인입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팅 롤러{Floating roller}
본 발명은 플로팅 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이격시켜서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플로팅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로팅 롤러는 제조중인 필름의 건조에 사용되거나, 필름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필름이 플로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필름이 플로팅 롤러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방지하기도 한다.
한편, 플로팅 롤러가 대상물에 공기를 균일하게 분사하지 못하는 경우, 필름이 안정적으로 이동되지 않거나, 이동중인 필름과 플로팅 롤러가 접촉되면서 필름에 흠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름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 플로팅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로팅 롤러는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생성 부재, 상기 공기 생성 부재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1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프레임 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1 공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대상물이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다면을 갖도록 인입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입부는 사면체 형상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부는 삼각형 형상의 3개의 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인입부를 구성하는 3개의 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팅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로팅 부재의 제2 공기 주입구의 개방된 정도를 제어하는 공기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 공기 주입구의 개방된 정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공기 제어 부재를 이동시키는 플로팅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팅 제어 유닛은, 상기 공기 제어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제어 부재가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 측정부 및 상기 간격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동력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팅 부재는, 이동중인 대상물이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부는 상기 곡면부에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팅 부재의 베이스부의 둘레면에 섬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는 인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기가 베이스부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인입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층이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대상물이 플로팅 부재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비접촉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는 플로팅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팅 제어 유닛에 의해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으로 꾸준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대상물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는 접촉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방지 부재는 대상물과 플로팅 롤러가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팅 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플로팅 부재의 외면을 발췌하여 전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플로팅 부재에서 F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로팅 롤러에 의해 필름이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플로팅 롤러에 포함된 플로팅 제어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로팅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플로팅 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는 공기 생성 부재(110), 프레임 부재(120) 및 플로팅 부재(130)를 포함한다.
공기 생성 부재(110)는 공기를 생성한다. 공기 생성 부재(110)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가 공기를 가열하여 공기 생성 부재(110)에서 고온의 열풍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의 열풍은 대상물(10)이 될 수 있는 필름을 건조시킬 수 있다. 단, 공기 생성 부재(110)가 반드시 히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공기 생성 부재(110)가 소정의 압력의 공기만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20)는 공기 생성 부재(110)에 연결된다. 프레임 부재(120)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제1 공기 주입구(121)가 형성된다. 공기 생성 부재(110)에서 생성된 공기가 제1 공기 주입구(121)로 주입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20)의 일측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장치 또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로팅 부재(130)는 대상물(10)로 공기를 분사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한 플로팅 부재(130)는 일례로 베이스부(131)와, 인입부(132)와, 배출부(13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31)는 일측에 제1 공기 주입구(121)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주입구(131a)가 형성된다. 베이스부(131)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대상물(10)은 베이스부(131)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가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장치는 대상물(10)이 될 수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이동하기 위한 권취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에서 대상물(10)을 이동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입부(132)는 베이스부(131)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다면을 갖도록 인입된다. 예를 들어 인입부(132)는 반원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인입될 수 있다.
배출부(133)는 인입부(13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대상물(10)이 플로팅 부재(130)를 둘러싼 상태에서 공기가 베이스부(131)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부(133)로 배출되면서 인입부(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공기층(A)이 형성된다.
공기층(A)은 대상물(10)과 플로팅 부재(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인입부(132)는 공기가 일정 시간 저장되는 버퍼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132)에 의해 대상물(10)이 베이스부(131)로부터 안정적으로 플로팅될 수 있다.
도 3은 플로팅 부재의 외면을 발췌하여 전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플로팅 부재에서 F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플로팅 부재(13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입부(132)는 삼각형 형상의 3개의 면들(S1, S2, S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33)는 인입부(132)를 구성하는 3개의 면들(S1, S2, S3)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S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133)는 베이스부(131)의 중앙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부(131)가 펼쳐진 상태에서 배출부(133)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베이스부(131)의 중심(C)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33)는 인입부(132)를 구성하는 3개의 면들(S1, S2, S3) 중에서 베이스부(131)의 중심(C)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플로팅 부재(13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로팅 부재(130)는 곡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34)는 이동중인 대상물(10)이 둘러쌀 수 있도록 베이스부(131)의 일부분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곡면부(134)는 프레임 부재(120)와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대상물(10)은 곡면부(134)와 프레임 부재(120)의 이격된 공간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플로팅 부재(130)의 인입부(132)는 곡면부(134)에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132)의 패턴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대상물(10)이 플로팅 부재(130)로부터 안정적으로 플로팅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패턴이면 어느 패턴이든 무방할 수 있으므로, 특정 패턴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는 플로팅 롤러에 의해 필름이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는 인입부(132, 도 4 참조)와 배출부(133,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플로팅 부재(1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기가 베이스부(131)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부(133)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인입부(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공기층(A,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층(A, 도 4 참조)이 대상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대상물(10)이 플로팅 부재(130)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비접촉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100)는 공기 제어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제어 부재(140)는 플로팅 부재(130)와 프레임 부재(12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공기 제어 부재(140)가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플로팅 부재(130)의 제2 공기 주입구(131a)의 개방된 정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한 공기 제어 부재(140)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 제어 부재(140)는 플로팅 부재(130)와 프레임 부재(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공기 제어 부재(14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공기 제어 부재(1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홀(140a)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제어 부재(140)의 슬릿홀(140a)은 고정핀(P)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고정핀(P)은 프레임 부재(120), 슬릿홀(140a) 및 플로팅 부재(1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고정핀(P)은 프레임 부재(120)와 플로팅 부재(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 제어 부재(140)가 프레임 부재(120)와 플로팅 부재(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141)가 플로팅 부재(130)와 프레임 부재(120) 사이에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41)는 일례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공기 제어 부재(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1)는 일례로 알파벳 'U'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1)는 공기 제어 부재(14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공기 제어 부재(140)에 외력이 가해지면, 공기 제어 부재(140)는 고정핀(P) 및 가이드 부재(14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공기 제어 부재(140)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플로팅 부재(130)의 제2 공기 주입구(131a)의 개방된 정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로팅 부재(1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거나 감소됨에 따라,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플로팅 롤러에 포함된 플로팅 제어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200)는 플로팅 제어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제어 유닛(150)은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2 공기 주입구(131a, 도 2 참조)의 개방된 정도가 변경되도록 공기 제어 부재(140)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한 플로팅 제어 유닛(150)은 일례로 동력 발생부(151), 간격 측정부(152) 및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발생부(151)는 공기 제어 부재(140)와 연결되어 공기 제어 부재(140)가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동력 발생부(151)는 일례로 선형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공기 제어 부재(14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간격 측정부(152)는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다. 간격 측정부(152)는 일례로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간격 측정부(152)에서 측정한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동력 발생부(15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간격 측정부(152)와 동력 발생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간격 측정부(152)에서 측정한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 데이터에 따라 동력 발생부(151)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간격 측정부(152)에서 측정한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보다 작으면, 제어부(153)는 공기 제어 부재(140)가 제2 공기 주입구(131a, 도 2 참조)를 개방 정도를 증가하게 하는 동작 신호를 동력 발생부(151)로 전송한다.
이와 반대로, 간격 측정부(152)에서 측정한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보다 크면, 제어부(153)는 공기 제어 부재(140)가 제2 공기 주입구(131a, 도 2 참조)의 개방 정도를 감소하게 하는 동작 신호를 동력 발생부(151)로 전송한다.
그리고, 간격 측정부(152)에서 측정한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과 동일하면, 제어부(153)는 공기 제어 부재(140)가 제2 공기 주입구(131a, 도 2 참조)의 개방 정도를 유지하게 하는 동작 신호를 동력 발생부(15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플로팅 제어 유닛(150)에 의해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으로 꾸준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대상물(10)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300)는 접촉 방지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방지 부재(160)는 플로팅 부재(130)의 베이스부(131)의 둘레면에 섬(isolation) 형상 또는 선(lin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접촉 방지 부재(160)가 선 형상인 경우, 대상물(10)이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베이스부(131)의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방지 부재(160)가 섬 형상인 경우, 접촉 방지 부재(160)는 베이스부(131)의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방지 부재(160)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롤러(300)에 포함된 공기 생성 부재(110)에서 고장이 발생되어 공기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롤러(300)가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장치의 동작이 정전이나 외부요인에 의해 긴급하게 중단되는 경우에도 플로팅 부재(130)와 대상물(10)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촉 방지 부재(160)는 대상물(10)과 플로팅 롤러(300)가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대상물(10)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접촉 방지 부재(160)는 일례로 실리콘 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조사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플로팅 롤러 110: 공기 생성 부재
120: 프레임 부재 121: 제1 공기 주입구
130: 플로팅 부재 131: 베이스부
131a: 제2 공기 주입구 132: 인입부
133: 배출부 134: 곡면부
140: 공기 제어 부재 150: 플로팅 제어 유닛
151: 동력 발생부 152: 간격 측정부
153: 제어부 160: 접촉 방지 부재

Claims (10)

  1.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생성 부재;
    상기 공기 생성 부재에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제1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프레임 부재; 및
    일측에 상기 제1 공기 주입구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대상물이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면서 다면을 갖도록 인입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플로팅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로팅 부재의 제2 공기 주입구의 개방된 정도를 제어하는 공기 제어 부재; 및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2 공기 주입구의 개방된 정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공기 제어 부재를 이동시키는 플로팅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는 사면체 형상으로 인입되며, 삼각형 형상의 3개의 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인입부를 구성하는 3개의 면들 중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면에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 제어 유닛은,
    상기 공기 제어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제어 부재가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 측정부; 및
    상기 간격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플로팅 부재와 대상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동력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격 측정부와 상기 동력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격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플로팅 부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간격 데이터에 따라 상기 동력 발생부를 에저하기 위한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플로팅 제어유닛은 상기 동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플로팅 부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간격이 기준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플로팅 롤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게 형성된 플로팅 롤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부재는,
    이동중인 대상물이 둘러쌀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곡면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상기 곡면부에 패턴 형성된 플로팅 롤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부재의 베이스부의 둘레면에 섬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롤러.
KR1020160063621A 2016-05-24 2016-05-24 플로팅 롤러 KR10181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21A KR101811415B1 (ko) 2016-05-24 2016-05-24 플로팅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21A KR101811415B1 (ko) 2016-05-24 2016-05-24 플로팅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75A KR20170132575A (ko) 2017-12-04
KR101811415B1 true KR101811415B1 (ko) 2017-12-21

Family

ID=6092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21A KR101811415B1 (ko) 2016-05-24 2016-05-24 플로팅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47B1 (ko) 2019-01-12 2020-03-31 (주)디아이비 에어 댐퍼가 구비된 플로팅 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796B1 (ko) * 2008-08-08 2011-10-2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부상 반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796B1 (ko) * 2008-08-08 2011-10-28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부상 반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47B1 (ko) 2019-01-12 2020-03-31 (주)디아이비 에어 댐퍼가 구비된 플로팅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75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347B1 (ko) Lm 가이드
JP6283736B2 (ja) はんだ供給装置
KR101811415B1 (ko) 플로팅 롤러
BR9906463A (pt) Aparelho de impressão à jato de tinta e cartucho de tinta para o mesmo
US10195809B2 (en) Press-fit device
JP2007072267A (ja) 露光装置
JP4494262B2 (ja) 非接触支持装置
JP5957606B2 (ja) セグメント化ミラーを有するリソグラフィー装置
US20150014877A1 (en) Imprint apparatus, imprint method,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4491364B2 (ja) 非接触支持装置
US20160279982A1 (en) Droplets ejecting apparatus
US9902148B2 (en) Ejection device
KR102103191B1 (ko) 3d 프린터의 레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
JP7082917B2 (ja) 光射出装置
JP2010534843A (ja) 電子部品、特にicを保持しかつ移動するプランジャ
JP6384371B2 (ja) マーキング装置、マーキング方法
KR102555301B1 (ko) 정밀 형상 가변형 섬유 장치
KR101990863B1 (ko) 비접촉식 두께 측정장치
JP5984413B2 (ja) 露光装置、ステージ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CN107589634B (zh) 曝光装置
JP2020082507A (ja) 印刷装置
KR100679850B1 (ko) 기판 내열성 검사장치
KR101982518B1 (ko) 풍향 개선 반도체 검사 장치
FI130294B (fi) Stereolitografialaitteisto varustettu havaitsemaan ylimääräisen materiaalin rakennusalustalla, ja menetelmä saman laitteiston käyttämiseksi
KR200210088Y1 (ko) 미압압력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