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88Y1 - 미압압력감지기 - Google Patents

미압압력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88Y1
KR200210088Y1 KR2020000022053U KR20000022053U KR200210088Y1 KR 200210088 Y1 KR200210088 Y1 KR 200210088Y1 KR 2020000022053 U KR2020000022053 U KR 2020000022053U KR 20000022053 U KR20000022053 U KR 20000022053U KR 200210088 Y1 KR200210088 Y1 KR 200210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rame
diaphragm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성
Original Assignee
이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성 filed Critical 이유성
Priority to KR2020000022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88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다한 압력이 공급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압압력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과 타측에 제 1결합공(52) 및 제 2결합공(54)이 형성되어 한쪽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50)과, 상기 다이아프램(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5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대직경(58) 및 소직경(60)으로 이루어진 압력유입공(6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프레임(56)과,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결합공(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동일축상을 갖는 가이드공(6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64)과, 일측에 상기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의 대직경(58)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압력접촉판(68)이 구비되고,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드(70)와, 상기 압력접촉판(68)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드(7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유입공(62)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고무패킹(72)과, 일측이 상기 로드(70)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로드(70)가 압력에 의하여 이동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미압계(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압압력감지기{Percepting device for low pressure}
본 고안은 미압압력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다한 압력이 공급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압압력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소자는 자동차, 비행기 등 각종수단 그리고 기상관측, 의료분야, 공장자동화 및 로봇 등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필수적인 소자이며, 그 소자의 응용 및 활용분야는 무한하다. 또한, 이러한 압력감지소자는 미압을 감지하는 소자와, 고압을 감지하는 소자로 구분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한쪽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10)이 구비되어지고, 이 다이아프램(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결합공(12) 및 제 2결합공(14)이 형성되어진다. 제 1결합공(12) 및 제 2결합공(14)은 동일축 선상에 형성되어지고, 이 다이아프램(1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일측이 다이아프램(1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제 1프레임(16)이 구비되어지고, 이 제 1프레임(16)에는 대직경(20) 및 소직경(22)으로 이루어진 압력유입공(2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일측이 다이아프램(1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결합공(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제 2프레임(26)이 구비되어진다. 일측이 제 2프레임(26)의 일측에 결합고정되어 유입되는 압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미압계(34)가 구비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압압력감지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되면, 이 발생된 압력은 제 1프레임(1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24)으로 공급된다.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되어 제 1프레임(1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24)으로 공급되면, 이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10)이 외측으로 팽창 및 변형된다. 이때, 제 2프레임(26)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미압계(34)가 다이아프램(10)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압압력감지기를 이용하여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정도와 이 압력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변형 및 팽창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미압압력감지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작업자의 부주이나 자체의 결합으로 인하여 압력발생수단에서 과다한 압력이 발생되면, 이 과다하게 발생된 압력을 제어하는 수단이 미압압력감지기에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새것의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과다한 압력이 공급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압압력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킹이 압력에 의하여 압력유입공의 일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다이아프램 52 : 제 1결합공
54 : 제 2결합공 56 : 제 1프레임
58 : 대직경 60 : 소직경
62 : 압력유입공 64 : 제 2프레임
66 : 가이드공 68 : 압력접촉판
70 : 로드 72 : 고무패킹
74 : 미압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과 타측에 제 1결합공 및 제 2결합공이 형성되어 한쪽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대직경 및 소직경으로 이루어진 압력유입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제 1프레임에 형성된 압력유입공과 동일축상을 갖는 가이드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과, 일측에 상기 제 1프레임에 형성된 압력유입공의 대직경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압력접촉판이 구비되고,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제 1프레임에 형성된 압력유입공과 제 2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공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드와, 상기 압력접촉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드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유입공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고무패킹과, 일측이 상기 로드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로드가 압력에 의하여 이동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미압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압력감지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킹이 압력에 의하여 압력유입공의 일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면, 한쪽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50)이 구비되고, 이 다이아프램(5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결합공(52) 및 제 2결합공(54)이 형성된다. 제 1결합공(52) 및 제 2결합공(54)은 동일축 선상에 형성되고, 이 다이아프램(5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이 다이아프램(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5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제 1프레임(56)이 구비되고, 이 제 1프레임(56)에는 대직경(58) 및 소직경(60)으로 이루어진 압력유입공(6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일측이 다이아프램(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결합공(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제 2프레임(64)이 구비되고, 이 제 2프레임(64)에는 가이드공(6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은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동일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에 압력접촉판(68)이 구비된 로드(70)가 구비되고, 이 로드(70)는 압력발생수단(미도시)에서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된다. 로드(70)의 일측에 구비된 압력접촉판(68)의 외경은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의 대직경(58)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압력접촉판(68)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드(7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유입공(62)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고무패킹(72)이 구비되고, 이 고무패킹(72)은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이 로드(70)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로드(70)가 압력에 의하여 이동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미압계(7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압압력감지기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되면, 이 발생된 압력은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으로 공급된다.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되어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으로 공급되면,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력이 로드(70)의 일측에 구비된 압력접촉판(68)에 접촉됨과 동시에 압력접촉판(68)과 압력유입공(62) 사이의 틈새를 따라 다이아프램(50)으로 이동된다. 이때,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하여 로드(70)가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에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50)이 외측으로 팽창 및 변형된다.
즉,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되면, 일부의 압력은 압력접촉판(68)에 접촉되어 로드(70)를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일부의 압력은 압력접촉판(68)과 압력유입공(62) 사이의 틈새를 따라 다이아프램(50)으로 이동하여 다이아프램(50)을 외측으로 팽창 및 변형시킨다. 이때, 로드(70)가 이동되는 거리와 다이아프램(50)이 외측으로 팽창 및 변형되는 정도는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비례한다.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하여 로드(70)가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다이아프램(50)이 외측으로 팽창 및 변형되면, 사용자가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정도와, 이 발생된 압력에 따라 다이아프램(50)이 변형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로드(70)의 자유단에 미압계(74)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로드(70)가 압력에 의하여 제 2프레임(64)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면, 로드(70)가 압력에 의하여 이동거리를 압력으로 표시함으로 사용자가 압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제 1프레임(56)의 압력유입공(62)으로 압력이 공급되는 도중 작업자의 부주이나 기계 자체의 결합으로 인하여 과다한 압력이 발생되어 압력유입공(62)으로 유입되면, 압력접촉판(68)의 일측에 구비된 고무패킹(72)이 압력유입공(62)의 일측벽에 접촉하여 과다한 압력이 압력유입공(6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과다한 압력이 압력유입공(62)으로 유입되면, 이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로드(70)가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에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압력접촉판(68)의 일측에 구비된 고무패킹(72)이 압력유입공(62)의 일측벽에 접촉됨으로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50) 및 미압계(7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과다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고무패킹(72)이 용이하게 차단하여 줌으로 새것의 다이아프램(50) 및 미압계(74)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압압력감지기는 압력접촉판의 일측에 로드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압력유입공을 개방 및 차단하는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있음으로 과다한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 및 미압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과 타측에 제 1결합공(52) 및 제 2결합공(54)이 형성되어 한쪽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아프램(50)과,
    상기 다이아프램(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결합공(5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대직경(58) 및 소직경(60)으로 이루어진 압력유입공(6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1프레임(56)과,
    일측이 상기 다이아프램(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결합공(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동일축상을 갖는 가이드공(6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프레임(64)과,
    일측에 상기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의 대직경(58)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압력접촉판(68)이 구비되고, 압력발생수단에서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제 1프레임(56)에 형성된 압력유입공(62)과 제 2프레임(64)에 형성된 가이드공(66)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드(70)와,
    상기 압력접촉판(68)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드(7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력유입공(62)을 개방 및 폐쇄하는 고무패킹(72)과,
    일측이 상기 로드(70)의 자유단에 결합고정되어 로드(70)가 압력에 의하여 이동됨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미압계(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압압력감지기.
KR2020000022053U 2000-08-02 2000-08-02 미압압력감지기 KR200210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53U KR200210088Y1 (ko) 2000-08-02 2000-08-02 미압압력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053U KR200210088Y1 (ko) 2000-08-02 2000-08-02 미압압력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088Y1 true KR200210088Y1 (ko) 2001-01-15

Family

ID=7308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053U KR200210088Y1 (ko) 2000-08-02 2000-08-02 미압압력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44B1 (ko) 2005-11-22 2007-09-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체 쏠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44B1 (ko) 2005-11-22 2007-09-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체 쏠림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668A (en) Measurement coupling for fluidic systems
US4369780A (en) Blocking condition detection device in a medical fluid injection system
EP3272389B1 (en) Flow component particularly for haemodialysis medical lines
US3927553A (en) Testing fitting for pressure-responsive devices
EP2998583B1 (en) Pressure indicator for air compressor
EP3211362A1 (en) Measuring probe
CN110630905B (zh) 压力元件
KR200210088Y1 (ko) 미압압력감지기
US20160084688A1 (en) Process measurement probe bottoming indicator
KR101124939B1 (ko) 작업 툴의 조작방법
US4704896A (en) Air gage assembly
KR20160033738A (ko) 압축 보디를 갖는 압축 시일
JP2014233832A (ja) 定位構造及び該定位構造の膨張部材
KR100662874B1 (ko) 플로우 스위치
US3448620A (en) Pressure sensing device
KR100612743B1 (ko)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다수의 측정헤드용 분사공기 노즐 박스를 이용한 에어마이크로미터
KR200387997Y1 (ko)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다수의 측정헤드용 분사공기 노즐박스와 이에 따른 에어마이크로미터
EP1632756A2 (en) A transducer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movable body
CN112204367A (zh) 管道损坏检测设备、使用其的管道损坏检测系统以及使用其的管道损坏检测方法
KR100615517B1 (ko) 다수의 측정헤드용 분사공기 노즐 박스를 이용한 에어마이크로미터
CN111822977B (zh) 压装机构及零件压装方法
KR102272707B1 (ko) 오링 검사장치
CN108375355B (zh) 一种非接触气压浮动式测量装置
JP4829588B2 (ja) 塗装装置における塗料漏れ検知装置
KR200399573Y1 (ko) 다수의 측정헤드용 분사공기 노즐 박스를 갖는 에어마이크로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