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405B1 -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405B1
KR101811405B1 KR1020170100879A KR20170100879A KR101811405B1 KR 101811405 B1 KR101811405 B1 KR 101811405B1 KR 1020170100879 A KR1020170100879 A KR 1020170100879A KR 20170100879 A KR20170100879 A KR 20170100879A KR 101811405 B1 KR101811405 B1 KR 10181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transfer
alignment
al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동진
Original Assignee
(주)유피아이
라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피아이, 라동진 filed Critical (주)유피아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Abstract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장치는, 4각 형태로 된 본체(10);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가 각각 적층된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23);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1 좌우 이송부(30);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의해 각각 이송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한쌍의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2 좌우 이송부(50);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3)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전후 이송부(60);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에 의해 이송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2 전후 이송부(80); 각각의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전후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가 E자형으로 적층되는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Automatic Arranging & Stacking Apparatus for Core of Transformer}
본 발명은 절단되어진 변압기용 코어 플레이트(시트)를 변압기용 코어의 조립을 위해 자동으로 정렬하여 적층하도록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력 및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용 코어는 다수의 플레이트(시트)를 적층하여 형성하게 된다.
변압기용 코어는, 통상 1 ~ 9조각을 한 묶음으로 만들고 이 묶음을 여러단 쌓아서 하나의 코어를 형성하게 된다. 변압기용 코어의 생산 과정은 각각의 시트의 미리 설계된 대로 펀칭, 노칭(notching), 절단 가공하고 이를 적층하게 된다.
종래의 변압기용 코어의 적층은 절단장치와 적층장치가 한 몸체로 구성되어있으며 절단장치에서 절단되어 컨베이어로 이송된 플레이트를 흡착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구를 이용하고 각각의 조각을 별도의 팔레트 위로 이송된 후에 적층하는 구조이다. 이것은 적층하고자 하는 플레이트의 길이, 폭, 홀의 위치 등 모든 데이터를 절단장치에서 미리 넘겨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적층이 가능하다. 절단장치와 적층장치가 한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일예로, 플레이트를 적층할 때 코어의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유럽공개특허 제2,899,729호(발명의 명칭: 변압기 코어 적층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일명 "E"자형으로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절단장치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생산업체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E"자형으로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생산업체에서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플레이트를 하나씩 집어서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정렬하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적층되는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를 옮기고 적층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장치에서 절단가공 되어진 플레이트는 완벽하게 정렬이 되지 않은 상태의 묶음으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플레이트 묶음에서 한장씩 부착구를 이용하여 정렬장치에서 자동으로 플레이트를 재 정렬하고 정렬된 플레이트를 다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플레이트의 적층속도를 빠르게 하고 코어 적층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는, 4각 형태로 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 및 후방에 절단되어진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23);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의 방향으로 각각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1 좌우 이송부(30); 각각의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의해 각각 이송되어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한쌍의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내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2 좌우 이송부(5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및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와 수직되게 전후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3)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전후 이송부(60);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에 의해 이송되어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2 전후 이송부(80); 각각의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전후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가 E자형으로 적층되는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과,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과,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결합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는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는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는, 자동으로 플레이트를 재정렬하여 적층되게 되므로 플레이트의 적층속도를 빠르게 하여 코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정확도가 높고, 자동으로 정렬되게 되므로 플레이트를 옮기고 적층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아울러, 플레이트의 크기에 따라 적층될 베이스의 크기를 변형가능하므로 플레이트의 크기에 상관없이 정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장치의 좌우이송 플레이트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장치의 전후이송 플레이트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의 좌우이송 플레이트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의 전후이송 플레이트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용 코어 코어자동정렬 및 적층장치는, 본체(10);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23); 제 1 좌우 이송부(30);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 제 2 좌우 이송부(50); 제 1 전후 이송부(60);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 제 2 전후 이송부(80);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바를 연결하여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23)는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 및 후방에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가 각각 적층된다.
도면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에는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 중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가 적층되며, 우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2)에는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 중에서 중앙 및 우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가 적층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는 좌우 양측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의 방향으로 각각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이송되는 플레이트는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과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이다.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이송되는 플레이트는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의 좌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를 이송하게 되며,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이송되는 플레이트는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와 우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는, 각각의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의해 각각 이송되어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역할을 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는 승하강이 가능하며, 진공흡착에 의해 플레이트를 부착하도록 하며 진공제거에 의해 플레이트를 탈리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는,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내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고, 한쌍으로 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도,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와 마찬가지로, 승하강이 가능하며, 진공흡착에 의해 플레이트를 부착하도록 하며 진공제거에 의해 플레이트를 탈리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과,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은,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된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는,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는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 하부에 위치하며, 실린더 및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과 접하며 실린더에 의해 습동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은,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타측이 회동되어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가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게 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경사하향이동되면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에 걸리게 되는데,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에 걸리게 됨으로써 플레이트는 정렬되게 된다. 플레이트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이 원위치로 회동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 상부에 정렬된 플레이트가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에 구비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 상부로 이송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플레이트가 정렬된 상태로 적층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은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에 걸리게 됨으로써 플레이트를 정렬하게 되는데, 안정적으로 플레이트를 정렬하기 위해 2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는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4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및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와 수직되게 전후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3)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각각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는 승하강이 가능하며, 진공흡착에 의해 플레이트를 부착하도록 하며 진공제거에 의해 플레이트를 탈리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는,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에 의해 각각 이송되어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전후 이송부(80)는,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 플레이트 정렬부(7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는 각각의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전후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가 E자형으로 적층된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는, 전술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와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은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된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72)는,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은,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과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은,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는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7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본체 21,22,23: 플레이트 묶음적층대
30: 제 1 좌우 이송부 31: 제 1 플레이트 부착부
40: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 41: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42: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
43: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44: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
50: 제 2 좌우 이송부 51: 제 2 플레이트 부착부
60: 제 1 전후 이송부 61: 제 3 플레이트 부착부
70: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 71: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72: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
73: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74: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
80: 제 2 전후 이송부 81: 제 4 플레이트 부착부
90: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

Claims (4)

  1. 4각 형태로 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 및 후방에 E자형으로 적층될 플레이트가 각각 적층된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23);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의 방향으로 각각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1,22)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1 좌우 이송부(30);
    각각의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에 의해 각각 이송되어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한쌍의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내측에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착부(5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좌우로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한쌍의 제 2 좌우 이송부(5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1 좌우 이송부(30) 및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와 수직되게 전후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 묶음적층대(23)에 적층된 플레이트가 부착되도록 하는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부착된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전후 이송부(60);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에 의해 이송되어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낙하되어 안착되며 안착된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
    상기 제 1 전후 이송부(6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에 의해 정렬된 플레이트를 재부착되도록 하는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가 설치되며, 상기 제 4 플레이트 부착부(81)에 의해 부착된 정렬된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 2 전후 이송부(80);
    각각의 상기 제 2 좌우 이송부(5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전후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된 정렬된 플레이트가 E자형으로 적층되는 정렬 플레이트 적층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부(40)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착부(3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과,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부(70)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양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 부착부(61)에 의해 낙하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과,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타측을 회동시켜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을 원위치 복귀회동되도록 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 회동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결합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 안착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의 자중에 의해 경사하향이동시 플레이트가 걸려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레이트를 정렬하는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에는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4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우이송 플레이트 정렬판(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에는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73)이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폭에 따라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후이송 플레이트 정렬판(7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이송 플레이트 낙하방지봉 결합홈(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KR1020170100879A 2017-04-18 2017-08-09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KR10181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008 2017-04-18
KR20170050008 2017-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405B1 true KR101811405B1 (ko) 2017-12-21

Family

ID=6093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879A KR101811405B1 (ko) 2017-04-18 2017-08-09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4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026B1 (ko) * 2019-02-27 2019-12-20 성기문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적층의 장치
KR102086395B1 (ko) * 2018-09-27 2020-03-09 엘케이산전(주) 변류기 직사각형 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WO2022225201A1 (ko) * 2021-04-21 2022-10-27 엘에스일렉트릭(주) 변압기의 상부 요크 적층 코어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469673B1 (ko) * 2022-08-18 2022-11-23 대성기업 주식회사 변압기 코어 제조용 가이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43B1 (ko) 2008-07-03 2011-02-16 아이넥스(주) 프레스 절단패널스택 자동정렬장치
JP2012054300A (ja) 2010-08-31 2012-03-1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変圧器鉄心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3252590A (ja) 2012-06-07 2013-12-19 Hal Electronics Co Ltd 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装置並びに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方法
KR101674650B1 (ko) 2016-04-20 2016-11-24 (주)유피아이 변압기용 코어 자동적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43B1 (ko) 2008-07-03 2011-02-16 아이넥스(주) 프레스 절단패널스택 자동정렬장치
JP2012054300A (ja) 2010-08-31 2012-03-1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変圧器鉄心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3252590A (ja) 2012-06-07 2013-12-19 Hal Electronics Co Ltd 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装置並びに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方法
KR101674650B1 (ko) 2016-04-20 2016-11-24 (주)유피아이 변압기용 코어 자동적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395B1 (ko) * 2018-09-27 2020-03-09 엘케이산전(주) 변류기 직사각형 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KR102058026B1 (ko) * 2019-02-27 2019-12-20 성기문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적층의 장치
WO2022225201A1 (ko) * 2021-04-21 2022-10-27 엘에스일렉트릭(주) 변압기의 상부 요크 적층 코어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30014096A (ko) * 2021-04-21 2023-01-27 엘에스일렉트릭(주) 변압기의 상부 요크 적층 코어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519140B1 (ko) 2021-04-21 2023-04-05 엘에스일렉트릭(주) 변압기의 상부 요크 적층 코어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469673B1 (ko) * 2022-08-18 2022-11-23 대성기업 주식회사 변압기 코어 제조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405B1 (ko)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적층장치
JP2007176702A5 (ko)
AU2003224557A1 (en) Application of loading ledges
ES2743978T3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ilas de hojas
KR101811410B1 (ko) 변압기 코어용 e-스태킹 장치
JPS63315440A (ja) シート材コンベア
KR101456785B1 (ko) 볏짚 절단기
KR102058026B1 (ko)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정렬 및 오프라인 변압기용 코어 자동적층의 장치
KR200413473Y1 (ko) 김 가공기용 절단김 이송장치
CN215625353U (zh) 一种同步上料流水线
CN218642002U (zh) 纸张输送机构及纸板生产线
JP2020070136A5 (ko)
JP3207862U (ja) 製品ストック装置
CN216996451U (zh) 一种用于板材运输的生产线
CN219850856U (zh) 立体储存库房
CN220148433U (zh) 实木地板等级分拣码垛生产线推料装置
CN216707692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板材运输机构
US20050193928A1 (en) Universal sled for adaptation of existing sheet stack processing machine for use with sheet handling system
CN213474698U (zh) 一种食品加工用物料运输系统
CN214298203U (zh) 一种双工位上料装置
JPS6354483B2 (ko)
JP4439056B2 (ja) 鉄心自動積装置
JPH0457721A (ja) 包装機における積層容器の供給装置
CN220030515U (zh) 纵向优选锯
ES2954776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positar chapas de mad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