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100B1 -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100B1
KR101811100B1 KR1020150032596A KR20150032596A KR101811100B1 KR 101811100 B1 KR101811100 B1 KR 101811100B1 KR 1020150032596 A KR1020150032596 A KR 1020150032596A KR 20150032596 A KR20150032596 A KR 20150032596A KR 101811100 B1 KR101811100 B1 KR 10181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gas turbine
slot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009A (ko
Inventor
최낙정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1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7Control or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02Cleaning of turbo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 F02C7/05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with intake grids, screen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가스터빈의 압축기 후단에 위치된 연소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료분사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 부; 상기 실린더 부의 길이 방향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제1 슬롯 홀에 교대로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상대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부;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대회전 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실린더 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슬롯 홀이 형성된 보조 실린더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Debris removal device of a gas turbine}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터빈이 작동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물질 발생에 따른 오염 상태에 따라 세정과 동시에 이물질 제거를 실시할 수 있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은 고온 고압의 작동 조건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후에 연소가 이루어지며, 장기간 사용시 블레이드 또는 환형 표면에 입자상태의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로 인해 가스터빈의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의 적층 및 퇴적으로 인한 현상을 파울링(fouling)이라 정의한다.
상기 가스터빈에서의 파울링이 발생될 경우 작동 및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울링을 발생시키는 입자는 2~10μm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울링이 적층된 블레이드 또는 환형의 부재에서는 공기 역학적 단면에 변화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압력 효율이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가스터빈의 성능이나 히트 레이트에 큰 영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 가스터빈은 파울링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가스터빈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로 세정을 실시하는 오프라인 세정 방식과, 가스터빈이 작동 중에 세정을 실시하는 온라인 세정 방식이 있다.
파울링으로 인한 세정을 위해서는 유체를 이용하여 미스트 형태로 분사시켜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며, 상기 이물질이 연소기로 공급된 후에 순간적으로 연소된 후에 가스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다.
미국공개특허 US 2014-017416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터빈에서 파울링으로 인한 수 제정을 실시한 후에 발생된 이물질을 필터링을 통해 연소기로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세정을 통해 가스터빈의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터빈의 압축기 후단에 위치된 연소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료분사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 부; 상기 실린더 부의 길이 방향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제1 슬롯 홀에 교대로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상대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부;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대회전 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실린더 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슬롯 홀이 형성된 보조 실린더 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는 크기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1 필터에서 필터링 되지 않은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롯 홀과 제2 슬롯 홀은 동일 크기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실린더 부와 필터유닛 사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에는 원주 방향의 일정 구간에 다수개의 기어 이(gear teet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스터빈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고 상기 기어 이를 향해 연장된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 이와 치합되도록 치형이 특정 구간에만 형성된 물림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롯 홀에 교대로 위치된 필터와 필터 사이의 이격 간격을 L이라 할 때 상기 제2 슬홋 홀은 L/2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터빈에는 상기 연소기 전후의 오염 상태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오염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정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스터빈에 장착된 제어부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되, 상기 오염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이 작동 중에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스터빈이 온라인 상태에서 워싱과 함께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일정 효율로 가스터빈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발전 효율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필터링을 실시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필터유닛과 보조 실린더 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필터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필터유닛과 보조 실린더 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필터를 도시한 종 단면도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가스터빈의 작동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가스터빈이 작동되는 도중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상기 가스터빈에 대한 작동 중지로 인한 효율 저하가 유발되지 않고 연속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가스터빈의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원하는 출력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압축기 후단에 위치된 연소기(2)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료분사기(3)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 부(100)와, 상기 실린더 부(100)의 길이 방향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제1 슬롯 홀(202)에 교대로 설치된 필터(210)를 포함하는 필터유닛(200)과, 상기 필터유닛(2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유닛(200)이 상기 실린더 부(100)에서 상대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부(300)와, 상기 필터유닛(200)이 상기 실린더 부(100)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대회전 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 및 상기 실린더 부(1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슬롯 홀(510)이 형성된 보조 실린더 부(500)를 포함한다.
실린더 부(100)는 내부가 중공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가스터빈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도면 기준으로 좌측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압축기의 후단 위치에 고정된다.
가스터빈은 실린더 부(100)의 외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부(100)와 케이싱 사이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된다.
연료분사기(3)는 실린더 부(100)의 원주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연료에 해당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상기 연료분사기(3)로 공급된 후에 연소가 이루어진다.
필터유닛(200)은 상기 실린더 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부(300)를 매개로 상기 실린더 부(100)에서 특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회전부(300)는 상기 실린더 부(100)와 필터유닛(200) 사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베어링(310)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310)은 구 형태의 구름 베어링이 사용되거나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연장된 롤러 베어링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베어링이 아닌 상대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필터(210)는 이물질이 통과 할 수 있는 가로 세로 크기가 특정 크기로 이루어진 단일 필터가 사용되는데, 이 경우 상기 필터의 메쉬 간격은 가스터빈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이물질을 별도로 확인하여 특정 메쉬 간격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터(210)는 크기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1 필터(212)와, 상기 제1 필터(212)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1 필터(212)에서 필터링 되지 않은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2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필터(212)를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을 우선 분리시키고 제2 필터(214)를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이물질을 추가로 분리할 수 있어 이물질 분리 효율이 향상된다. 참고로 상기 제1 필터(212)와 제2 필터(214)의 메쉬 단위는 특정 단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 필터(212)와 제2 필터(214)는 동일 크기로 이루어지고,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필터(212)와 제2 필터(214)는 제1 슬롯 홀(202)에 장착되는데, 상기 제1 슬롯 홀(202)은 필터유닛(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롯 홀(202)은 후술할 제2 슬롯 홀(510)과 동일 크기로 개구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슬롯 홀(202)에는 필터(210)가 모두 장착되지 않고 교대로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제1 슬롯 홀(202)의 첫 번째 위치에 필터(210)가 설치될 경우 이웃한 다른 제1 슬롯 홀에는 필터가 미 장착되며 이와 같이 필터(210)가 개구된 제1 슬롯 홀(202)에 모두장착 되지 않고 교대로 장착된다.
필터유닛(200)의 하측에는 원주 방향의 일정 구간에 다수개의 기어 이(gear teeth)(20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 이(204)는 필터유닛(200)의 회전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상기 필터유닛(200)은 실린더 부(100)에서 360도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보조 실린더 부(500)에 형성된 제2 슬롯 홀(510)과 제1 슬롯 홀(202)이 연통되도록 특정 각도 이내로 회전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가스터빈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을 중지하지 않은 상태로 워싱이 이루어지고, 상기 워싱이 종료된 이후에 발생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210)를 통해 필터링이 이루어지므로 가스터빈의 작동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를 통한 발전 효율 또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워싱의 의미는 유체를 이용하여 압축기에 구비된 블레이드에 적층된 카본 덩어리 또는 오일 미스트(OIL MIST) 또는 덩어리 상태의 소금 알갱이가 이에 해당되며 상기 가스터빈의 작동 환경에 따라 적층되는 이물질의 형태와 재질은 서로 상이해진다.
이와 같이 가스터빈이 작동 중에 워싱을 수행함으로써 발생된 이물질은 연소기(2)로 이동시켜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순간적으로 연소시켜 제거할 수 있어 가스터빈의 효율 향상과 작업의 편리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워싱이 이루어진 이후에 이물질을 연소기(2)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필터(210)가 미 설치된 제1 슬롯 홀(202)을 통해 이물질이 이동되어야 연소기(2)에서 연소시켜 이물질 제거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필터유닛(200)이 소정의 각도로 실린더 부(100)에서 회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터유닛(200)의 하측에는 기어 이(204)가 설치되어 상기 필터유닛(200)의 틸팅 회전을 도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기어 이(204)는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서 치형이 형성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간에만 형성되는데, 일 예로 부채 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 이(204)의 라운드 진 부분이 필터유닛(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즉 가스터빈이 평상시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거나 오염 상태가 정상 범위에 해당될 경우에는 개구된 제1 슬롯 홀(202)이 개구된 제2 슬롯홀(210)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워싱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필터(210)가 미 장착된 제1 슬롯 홀(202)과 제2 슬롯 홀(510)이 서로 연통된 상태로 유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상기 필터유닛(200)이 상기 기어 이(204)에 의해 틸팅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유닛(200)은 기어 이(204)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틸팅 회전될 수 있어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과 함께 제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구동부(400)는 전술한 필터유닛(200)을 소정의 각도로 틸팅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터빈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부(410)와, 상기 모터부(4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고 상기 기어 이(204)를 향해 연장된 회전 축(420)과, 상기 회전 축(420)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 이(204)와 치합되도록 치형이 특정 구간에만 형성된 물림 기어(43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410)는 가스터빈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작동되는 가스터빈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축(420)은 상기 기어 이(204)를 향해 연장되며 연장길이가 길어질 경우 회전 축(420)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 축(420)의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축 지지 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물림 기어(430)는 전술한 기어 이(204)와 치형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기어 이(204)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치형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실린더 부(5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제2 슬롯 홀(5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슬롯 홀(510)은 상기 제1 슬롯 홀(202)에 교대로 위치된 필터와 필터 사이의 이격 간격을 L이라 할 때 상기 제2 슬홋 홀은 L/2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에 위치되는 이유는 가스터빈에서 워싱이 이루어진 이후 생성된 이물질을 제거 하기 위해서는 필터(210)가 미 설치된 제1 슬롯 홀(202)과 제2 슬롯 홀(510)이 서로 간에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 보조 실린더 부(500)는 고정된 상태에서 필터유닛(200)이 소정의 각도로 틸팅 회전되어 상기 제1 슬롯 홀(202)을 통해 제2 슬롯 홀(510)로 이물질이 이동되어 연소기(2)에서 제거시키기 위해서 이다.
보조 실린더 부(500)는 플랜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제2 슬롯 홀(510)이 원주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부(100)와 이격된 간격은 도면에 도시된 간격으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소기(2)로 연료와 공기가 공급되기 이전(도 6의 (a) 상태)에 오염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연료와 공기가 제1 슬롯 홀(202)을 경유하여 제2 슬롯 홀(510)을 통해 연소기(2)로 이동된 후에 장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진다.
만약 워싱에 의해 연소기(2)로 공급되는 유체가 오염된 경우에는(도 6의 (b) 상태) 모터부(4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회전 축(420)에 전달되어 단부에 위치된 물림기어()가 기어 이(204)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필터유닛(200)은 실린더 부(100)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이 경우 이물질은 필터(210)를 경유하여 제2 슬롯 홀(510)로 이동된 후에 연소기(2)에서 연소되어 제거되므로 이물질 발생에 따른 가스터빈의 중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가스터빈에는 연소기(2)의 전후단의 오염 상태를 감지하는 오염 감시 센서(600)가 구비되고, 상기 오염 감지 센서(600)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정보부(7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알람 정보부(700)에 의해 현재 이물질에 대한 제거가 필요한 상태를 현장에 위치된 작업자에게 알려 줄 수 있어 작업자가 이를 즉시 인지하고 필터유닛(200)을 상대 회전시켜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이외에도 상기 알람 정보부(700)는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 또는 관리지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에 알람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현재 가스터빈에서 워싱 작업 이후 발생된 이물질에 대한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즉시 인지할 수 있어 이물질 발생에 따른 즉각적인 제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오염 감지 센서(600)는 후술할 제어부(800)와 연동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오염 감지 센서(600)가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의해 현재 가스터빈에서 이물질이 제거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구동부(400)를 제어하되, 현재 가스터빈의 내부의 오염 상태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도 작업자 또는 관리지에게 이물질에 대한 제거가 필요한 상태임을 사전에 알려 줄 수 있도록 작동되며, 일 예로 측정 당시 시간과 오염 상태 및 오염량을 수치 상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정상 상태 또는 약간 오염이 발생한 상태 또는 오염 상태와 같이 몇 가지 상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오염 감지 센서(600)는 연소기(2)의 전단에 설치된 제1 오염 감지 센서(미도시)와 후단에 설치된 제2 오염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2)를 기준으로 전후단의 오염 상태를 감지한다.
구동부(400)는 상기 가스터빈에 장착된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되, 상기 오염 감지 센서(600)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이 작동 중에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며, 워싱의 여부에 따라 구동부(400)의 작동 상태도 작동 또는 작동 중지 상태로 변화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연소기
3 : 연료분사기
100 : 실린더 부
200 : 필터유닛
202 : 제1 슬롯 홀
210 : 필터
212, 214 : 제1,2 필터
300 : 회전부
310 : 베어링
400 : 구동부
410 : 모터부
420 : 회전축
430 : 물림 기어
500 : 보조 실린더 부
600 : 오염 감지 센서
700 : 알람 정보부
800 : 제어부

Claims (13)

  1. 가스터빈의 압축기 후단에 위치된 연소기에 구비된 다수개의 연료분사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실린더 부;
    상기 실린더 부의 길이 방향에 개재되어 위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제1 슬롯 홀에 위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상대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부;
    상기 필터유닛이 상기 실린더 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대회전 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실린더 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 슬롯 홀이 형성된 보조 실린더 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위치된 제1 슬롯 홀과 상기 필터가 위치되지 않은 제1 슬롯 홀이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에는 원주 방향의 일정 구간에 다수개의 기어 이(gear teeth)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스터빈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고 상기 기어 이를 향해 연장된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 이와 치합되도록 치형이 특정 구간에만 형성된 물림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롯 홀에 위치된 필터와 필터 사이의 이격 간격을 L이라 할 때 상기 제2 슬롯 홀은 L/2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유닛의 상대 회전에 의해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크기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1 필터에서 필터링 되지 않은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홀과 제2 슬롯 홀은 동일 크기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실린더 부와 필터유닛 사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에는,
    상기 연소기 전후의 오염 상태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오염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정보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스터빈에 장착된 제어부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되, 상기 오염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스터빈이 작동 중에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부는,
    통신 단말기에 알람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가 사전 결정된 오염 상태의 기준치 이하일 경우라도 오염 상태 또는 오염량 또는 오염 상태와 오염량에 따라 이물질 제거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워싱 여부에 따라 작동 또는 작동 중지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50032596A 2015-03-09 2015-03-09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1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96A KR101811100B1 (ko) 2015-03-09 2015-03-09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596A KR101811100B1 (ko) 2015-03-09 2015-03-09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307A Division KR101985060B1 (ko) 2016-08-05 2016-08-05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09A KR20160109009A (ko) 2016-09-21
KR101811100B1 true KR101811100B1 (ko) 2017-12-20

Family

ID=5708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96A KR101811100B1 (ko) 2015-03-09 2015-03-09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4810B (zh) * 2021-06-01 2023-03-14 中国联合重型燃气轮机技术有限公司 防异物的喷嘴法兰及燃烧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21B1 (ko) * 2007-11-16 2009-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 기능을 갖는 지능형 환기 제어 시스템
JP2012032141A (ja) * 2010-08-02 2012-02-16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に関する装置および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4163A1 (en) 2012-12-20 2014-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Fouling in a Turbin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21B1 (ko) * 2007-11-16 2009-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 기능을 갖는 지능형 환기 제어 시스템
JP2012032141A (ja) * 2010-08-02 2012-02-16 General Electric Co <Ge> 燃焼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に関する装置および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09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4400B2 (ja) 航空機用コンプレッサ洗浄に適用される高圧水洗浄適用及び収集のための自動検出及び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RU255543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рабоч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мельниц
EP0281328B1 (en) Fluid filtering systems
CN110945226A (zh) 用于燃气涡轮发动机的监控系统
US8727706B2 (en) System for providing cooling and purging air flow to a rotary machine online monitoring system
US10357733B2 (en) Filter retentate removal system and method
JP6196574B2 (ja) フィルタ監視装置、吸気ダクト及び圧縮空気供給装置
KR101811100B1 (ko)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EP2082121A1 (en) Device for cleaning a diesel particulate filter
KR101985060B1 (ko)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US1154976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cleaning robots for removing deposits from heat exchange surfaces of boilers and heat exchangers
JP5896254B2 (ja) 粒子フィルタ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及び構成
US7140065B2 (en) Pipeline surface for inspection with debris collection
JP4704323B2 (ja) 電気集塵器、及び電気集塵器の乾燥制御方法
KR20160082690A (ko) 가스 터빈 엔진용 통합 세척 시스템
CN213942508U (zh) 一种饲料生产用滤筒式除尘机组
CN114225575A (zh) 一种金属滤袋及袋式除尘器
WO2005097289A1 (en) Self cleaning fluid filter
KR20160146875A (ko) 회전 터보기계 내에서 회전 부품과 고정 부품 사이의 마찰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모니터링 장치 및 터보기계
KR200463614Y1 (ko) 정압기 필터 재생장치
JP2007209840A (ja) バグフィルタ装置
JP2019196660A (ja) 除塵装置
JP665044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アセンブリに使用するためのろ過システ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413477B1 (ko) 열교환기의 자동 세정장치
CN102879528A (zh) 传感探头防尘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6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05

Effective date: 2017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