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053B1 -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053B1
KR101811053B1 KR1020160018426A KR20160018426A KR101811053B1 KR 101811053 B1 KR101811053 B1 KR 101811053B1 KR 1020160018426 A KR1020160018426 A KR 1020160018426A KR 20160018426 A KR20160018426 A KR 20160018426A KR 101811053 B1 KR101811053 B1 KR 10181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ate
luteolin
composition
formul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762A (ko
Inventor
부용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독성이 적고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부작용이 적고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Skin-whi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luteolin-7-sulfate}
본 발명은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독성이 적고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및 피부 노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표피의 기저 세포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형성 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퀴논복합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 작용의 역할을 하지만 피부 내에 과다하게 생성되면 색소침착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색이 검게 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게 된다. 멜라닌 생성의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대기오염 물질, 복용 약물, 자극성 피부 외용제, 스트레스 등의 외부의 환경변화와 호르몬 불균형, 염증 반응 인자, 싸이토카인 등의 내적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멜라닌(melanin)은 유멜라닌(eumelanin)과 페오멜라닌(pheomelanin)으로 나뉠 수 있다. 유멜라닌(eumelanin)은 입자형 색소로 색깔이 더 진하고 어두운 흑갈색이며, 크기가 크고 동양인이나 흑인의 피부에 많다. 페오멜라닌(pheomelanin)은 분사형 색소로 적갈색(노란색)의 연한 색이고, 크기가 작으며 백인의 피부에 많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이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은 세포 내의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각질세포 (keratinocyte)로 옮겨지게 되고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화에 의해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 1(tyrosinase related protain 1, TYRP1), 도파크롬 타우토메라제(dopachrome tautomerase) 등이 있으나, 멜라닌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멜라닌 생성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저해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멜라닌 생성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 알부틴 등이 있다. 아스코르빈산은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서 화장품에 사용할 때 제한이 많고 알부틴은 독성 물질인 히드로퀴논을 발생시키는 위험성이 있어서 그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세포독성이 낮고,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을 저해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을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하기 화학식 1의 루테올린-7-설페이트가(luteolin-7-sulfate) 세포독성이 없는 낮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세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3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4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5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6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7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3,4-디하이드록시페닐)-5-하이드록시-4-옥소크로멘-7-일]하이드로겐 설페이트이며, 일반적으로 루테올린-7-설페이트로 명명하기도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의 일종인 루테올린에 설페이트기가 공유결합을 한 형태로, 루테올린의 일반적인 염(salt)의 형태가 아닌 완전히 다른 화합물이다. 식물계에 많이 분포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비배당체 혹은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지만 설페이트 화합물로 발견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루테올린 7-설페이트는 루테올린에 비해 용해도가 우수하고 세포 독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제 억제 작용이 우수하여 세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루테올린 7-설페이트는 공지의 미백제인 알부틴과 비교하여 10배 이상 낮은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본 연구자가 해조류인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의 미백 효능 연구과정에서 유효성분의 하나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한련초 등의 다른 식물에서도 추출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도 가능한 화합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새우말에서 추출된 것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 화합물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하거나 유기 합성법으로 제조한 것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효소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새우말로부터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 결과, 새우말 추출물에 포함된 활성성분들 중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학식을 갖는 루테올린-7-설페이트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하며 세포 독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루테올린-7-설페이트가 세포 독성이 매우 적고,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종래 보고된 바 없으며, 본 발명을 통해서 최초로 공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루테올린과 비교해 세포독성이 현저히 낮은 반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arbutin)과 비교해도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독성이 낮고, 적은 용량으로도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새우말로부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은 해양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짧으며, 옆으로 뻗고 잎은 선형으로 밀생하며 길이 20-100cm, 폭 1.7-3.8mm인 해조류이다. 일반적으로 물속에 완전히 잠겨 있거나, 썰물 때 노출되는 바닷가 바위에 부착하여 살며, 대한민국 동해안과 서해안에 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새우말로부터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a)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을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농축 건조물을 물에 녹여 비극성 용매로 1차 상분리한 후, 수상은 극성 용매로 2차 상분리 하여 극성 용매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극성 용매 분획을 농축 건조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획을 컬럼 분리 또는 재결정 방법으로 정제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새우말의 추출은 적절한 추출 용매를 선택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산/염기추출, 열수추출, 상온교반추출, 냉침,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저온고압추출, 효소처리추출, 용매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을 유기용매에 첨가하고 5 내지 100℃에서 3 내지 7일간 방치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에서의 추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방치하는 기간은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31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7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단계에서 추출에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부톡시에탄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아세톤, 에테르, 디에틸에테르,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hexane), 시클로헥산, 아세톤, 벤젠 등 공지된 통상의 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알코올류, 또는 물과 다가 알코올류의 혼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의 농축 건조에는 감압농축기, 박막 농축기, 스프레이 건조기, 동결 건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비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단계에서 액체-액체 상 분리에 사용하는 비극성 용매로는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n-헥산(hexane), 시클로헥산 또는 벤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극성 용매로는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부톡시에탄올, 메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 단계의 농축 건조에는 감압농축기, 박막 농축기, 스프레이 건조기, 동결 건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비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단계에서, 컬럼 분리 또는 재결정 방법으로 정제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는, 당업계에서 목적하는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ODS (Octadecyl Silica gel), 세파덱스 LH20, 세파덱스 G10, 이온 교환 수지 등의 고정상이 채워진 일반적인 컬럼이나 HPLC 분취용 컬럼을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새우말 등 식물에서 추출 분리된 것 이외에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화학적으로 또는 효소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다양한 추출, 합성, 제조 방법은 선행 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Correia-da-Silva M, Sousa E, Pinto MM. Emerging sulfated flavonoids and other polyphenols as drugs: nature as an inspiration. Med Res Rev 2014;34:223-79.]
본 발명에서,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바디크림,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트리트먼트, 미용액, 유액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8
멜라닌은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등 생물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색소 성분으로 인체 표피층의 멜라닌 세포(melanocyte) 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합성되는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을 시발 물질로 하여 DOPA(3,4-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 퀴논으로 변환되는 산화 및 중합 반응으로 멜라닌이 생합성 된다. 생합성된 멜라닌은 자외선과 같은 피부자극에 대해 저항력을 높여주지만, 과도한 멜라닌 합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과 같은 색소 침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은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루테올린-7-설페이트가 세포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L-티로신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및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루테올린-7-설페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 흑피증(cyanic melasma), 칼슘 길항제와 같은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조직경화치료법(sclerotherapy)에 따른 후유증,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에서의 흑피증,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광독성 반응 또는 다른 유사한 소형의 고정 색소성 병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는 방법, 또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외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색소침착 예방 또는 미백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1 마이크로그람 내지 1,000 밀리그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마이크로그람 내지 100 밀리그람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09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세포독성이 낮고,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새우말 추출물(PI extract), 새우말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BuOH),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MC) 및 물 분획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새우말 추출물 부탄올 분획의 용리 프로파일과 각 분획의 인간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각 시험물질의 인간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각 시험물질의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 세포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에서 다양한 농도의 루테올린-7-설페이트 또는 알부틴을 처리하여 세포 외(A) 또는 세포 내(B) 멜라닌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새우말에서 활성 성분 루테올린 7-설페이트의 추출 및 분리
새우말은 2015년 3월에 한국의 해안가에서 채취한 것을 이용하였다. 500g의 건조 새우말을 절단한 후 80% 에탄올 5L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화 하였으며 수율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약 12.8% 이었다. 새우말 추출물 64g을 물 300mL에 부유시킨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및 n-부탄올(BuOH)을 이용하여 용액-용액 분리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건조한 결과 세 분획의 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MC: 14.78g, BuOH: 3.78g, 물: 45.44g). 새우말의 부탄올 분획의 성분이 가장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새우말의 부탄올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성분을 정제하고자 하였다. 3.0g의 새우말 부탄올 분획을 30% 메탄올 녹이고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한 후 용해성 분획은 YMC-GEL ODS-A 칼럼 (YMC Co., Ltd.Kyoto, Japan)에 로딩하고 30~50%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단계별 용출하였다. 용출물을 280 nm에서 관찰하였고, 이것이 인간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활성 분획을 모으고 컬럼 분리를 반복하여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얻었다(3.6 mg).
2. 활성성분의 구조 분석
UV 흡수 스펙트럼은 Shimadzu UV-1650PC 스펙트로미터(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은 Bruker Ascend III 700 스펙트로미터(Bruker BioSpin, Rheinstetten, Germany)를 이용하였다.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silane)을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고, 화학적 이동을 δ값으로 표현하였다. 전기분무 이온화 질량 분광(ESI-MS)은 Agilent 6130 Quadrupole LC/MS (Agilent, Santa Clara, CA, USA) 질량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루테올린-7-설페이트: Yellow powder: UV (EtOH) λmax(logε),255(4.09)nm,348(4.05)nm;ESI-MS(negativemode)m/z 365 [M + H]+; ESI-MS (positive mode) m/z 367 [M + H]+, 287 [M + H + SO3]+;1H-NMR(700MHz,DMSO-d6) δ 12.87 (1H, s, 5-OH), 7.47 (1H, d, J = 2.1 Hz, H-2'), 7.46 (1H, 1H, dd, J = 8.4, 2.1 Hz, H-6'), 7.04 (1H, d, J = 2.1 Hz, H-8), 6.90 (1H, d, J = 8.4 Hz, H-5'), 6.77 (1H, s, H-3), 6.52 (1H, d, J = 2.1 Hz, H-6); 13C-NMR(175MHz,DMSO-d6) δ 164.8 (C-2), 103.5 (C-3), 182.5 (C-4), 161.0 (C-5), 102.5 (C-6), 160.0 (C-7), 98.0 (C-8), 156.8 (C-9), 106.1 (C-10), 121.8 (C-1'), 113.8 (C-2'), 146.2 (C-3'), 150.3 (C-4'), 116.6 (C-5'), 119.6 (C-6').
3. 화학적 합성법에 의한 루테올린 7-설페이트의 제조
선행 문헌 [Denis Barron and Ragal K. Ibrahim. Synthesis of flavonoid sulfates: 1. stepwise sulfation of positions 3, 7, and 4 using N,N'-dicyclohexylcarbodiimide and tetrabutylammonium hydrogen sulfate. Tetrahedron 43(22) 5197-5202, 1987.]에 기술된 공지의 방법에 따라 루테올인으로부터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루테올린 0.2 g,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1.4 g, tetrabutylammonium hydrogen sulfate (TBAHS) 0.48 g을 pyridine 5 ml에 녹이고 4 oC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탄올 5 ml를 가하여 생성되는 침전을 제거하고 이를 미리 충진함 sephadex LH20컬럼에 로딩하여 메탄올로 용리하였다. 루테올린 -7-설페이트 TBA염이 포함된 분획을 따로 수집하고 K-acetate 메탄올 포화 용액을 동부피 가하여 칼륨 염으로 치환하였다. 이를 농축하여 얻는 물질을 20% 메탄올에 녹여 불용물을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상등액은 미리 충진한 sephadex G10 컬럼에 로딩하여 20~50% 메탄올로 용리하였다. 루테올린 7-설페이트가 함유된 분액을 모아 농축 건조하여 0.07 g의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4. 효소적 합성법에 의한 루테올린 7-설페이트의 제조
선행 문헌 [Varin, L., et al. (1992) Proc. Natl. Acad. Sci. 89, 1286-1290]에 기술된 공지의 방법에 따라 루테올인으로부터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반응액은 10 mg 루테올린, 5 mM dithiothreitol, 11 mg 3‘-phosphoadenosine 5'-phosphosulfate (PAPS), 그리고 sulfotransferase 1A1, 1A2, 1A3 및 1E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효소 0.1 mg을 100 mL 의 100 mM bis-trispropane-HCl (pH 7.0) 완충액에 녹이고 상온에서 24 시간 반응 시켰다. PAPS 의 재생을 위하여 10 mM p-nitrophen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반응물을 동결건조 후 이를 농축하여 얻는 물질을 20% 메탄올에 녹여 불용물을 원심분리로 제거하고 상등액은 미리 충진한 sephadex G10 컬럼에 로딩하여 20~50% 메탄올로 용리하였다. 루테올린 7-설페이트가 함유된 분액을 모아 농축 건조하여 3 mg의 루테올린 7-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5. 인간 티로시나제 어세이
종래 보고된 방법에 따라 HEK293 세포를 인간 티로시나제를 발현하는 HEK293-TYR로 형질전환 시켰다(J Cosmet Sci 2011; 62: 515-23). HEK293-TYR 세포는 1.0 mg mL-1 의 G418(Geneticin®, Invitirogen Grand Island, CA, USA)의 존재 하에서 유지하였다. 세포는 차가운 lysis 버퍼(10 mM Tris-Cl, pH 7.4, 120 mM NaCl, 25 mM KCl, 2.0 mM EGTA, 1.0 mM EDTA, 0.5% Triton X-100, 및 프로테아제 칵테일)에서 용해한 후, 4℃에서 13,000 × g 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용해물을 획득한 후 인간 티로시나제 어세이에 이용하였다. 반응 혼합액(200 μL)은 100 mM 소디움 포스페이트 버퍼(pH 6.8), 1.0 mM L-티로신, 1 μM DOPA, HEK293-TYR 세포 용해물 (40 μg 단백질) 및 시험물질들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분주된 반응 혼합액의 47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어세이는 티로시나제 효소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측정하여 비-효소적 반응치를 보정하였다.
6. 세포 생존율
신생아 사람 포피(neonatal human foreskins) 유래의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Human epidermal melanocytes, HEM)를 Cascade Biologics (Portland, OR,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HEMs는 사람 멜라닌세포 성장 보충제(human melanocyte growth supplements, Cascade Biologics) 및 항생제가 보충된 배지 254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다양한 농도의 시험물질을 세포에 처리하고 48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MTT가 포함된 배양액 1 ml를 각 웰에 첨가한 후 3시간을 배양하였다. 배지를 모두 흡입하여 제거한 후 세포를 이소프로파놀을 이용하여 용해시켜 형성된 포마잔을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다른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를 이용하여 루테올린 7-설페이트와 알부틴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시험물질로 전처리 한 다음, 4 mM L-티로신으로 6일간 자극하였다. 세포 외 멜라닌 양은 490 nm의 파장에서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a)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고, 세포 내 멜라닌 양은 60℃에서 60분간 0.1M NaOH를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멜라닌을 추출한 후에 평가하였다. 멜라닌 함량의 값을 각 샘플의 단백질 함량에 비교하여 표준화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Bio-Rad DC assay(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 1>
새우말 추출물로부터 인간 티로시나제 저해제의 정제
새우말 추출물로부터 인간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세 분획으로 나누었다: MC(메틸렌 클로라이드)분획, BuOH(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 이들 분획의 인간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하였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우말 추출물의 BuOH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BuOH 분획을 30% MeOH 에 녹이고 ODS-A 칼럼에 적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픽 분리를 수행하였다. 용리 프로필과 각각의 분획의 인간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36번 분획이 가장 우수한 인간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나타냈고, 이를 활성분획으로 수득하였다. 이 분획에서 정제되어 나온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명하였다.
<실시예 2>
분리된 유효 성분의 화학 구조 분석
UV, MS 및 NMR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효성분은 루테올린-7-설페이트로 분석되었다. 이의 MS 스펙트럼은 양성 모드 ESI-MS에서 m/z 367의 [M+H]+ 이온피크를 나타냈으며 이것은 분자식 C15H1209S에 대응되는 것이다. 이의 [M+H-SO3]+ 피크는 287에서 검출되었다. 1H- 및 13C-NMR 데이터는 보고된 것과 동일하게 관찰되었다(Tetrahedron 1987; 43: 5197-202).
<실시예 3>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루테올린-7-설페이트가 인간 티로시나제에 미치는 영향을 루테올린 및 알부틴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강력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IC50, 3 μg mL-1), 이러한 효과는 루테올린과 비교했을 때(IC50, 10 μg mL-1)에도 현저히 우수한 것이었다. 알부틴은 시험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매우 미약하였다.
<실시예 4>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세포 안전성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세포독성을 루테올린, 및 알부틴과 비교하여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에서 평가하였다. 세포에 100 μg mL-1 이하의 다양한 농도의 시험물질들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루테올린과 비교해 세포독성이 매우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부틴은 시험에 사용된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5>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3 및 4를 통해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물질은 루테올린-7-설페이트와 알부틴이었기 때문에, 상기 두 물질이 세포 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세포를 1, 3 및 10 μg mL-1 농도의 루테올린-7-설페이트 또는 10 및 100 μg mL-1 의 알부틴으로 처리한 후, 4 mM L-티로신으로 6일간 처리하여 세포를 자극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티로신 처리로 인해 세포외 및 세포내 멜라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 경향은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루테올린-7-설페이트의 효과는 동일한 농도의 알부틴과 비교해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루테올린과 비교해 세포독성이 매우 낮으며, 인간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능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공지의 미백제인 알부틴에 비교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루테올린-7-설페이트는 세포독성이 낮고, 멜라닌 생성 기작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티로시나제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효소적으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을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농축 건조물을 물에 녹여 비극성 용매로 1차 상분리한 후, 수상은 극성 용매로 2차 상분리 하여 극성 용매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극성 용매 분획을 농축 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얻어진 분획을 컬럼 분리 또는 재결정 방법으로 정제하는 단계.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11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15719958-pat00012
KR1020160018426A 2016-02-17 2016-02-17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1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26A KR101811053B1 (ko) 2016-02-17 2016-02-17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26A KR101811053B1 (ko) 2016-02-17 2016-02-17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62A KR20170096762A (ko) 2017-08-25
KR101811053B1 true KR101811053B1 (ko) 2017-12-20

Family

ID=5976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426A KR101811053B1 (ko) 2016-02-17 2016-02-17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839B1 (ko) * 2019-01-04 2021-09-07 주식회사 디네이쳐 천연물질의 선택적 추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허현숙, 중앙대학교 학위논문, 'Luteolin의 항산화작용과 미백작용'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62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071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육두구 추출물 또는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EP3354254B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beta-mangostin as active ingredient
WO2012099247A1 (ja) 美白剤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0959044B1 (ko) 플라본 c 배당체의 신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54375A (ko) 신규한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11053B1 (ko) 루테올린-7-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46688B1 (ko) 아스퍼질러스 테리우스 추출물, 신규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30023606A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55742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5588408B2 (ja) 美白剤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925028B2 (ja) 皮膚美白剤
JP5643123B2 (ja) 美白剤
JP2009196992A (ja) (2z,8z)―メトリカリア酸メチル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47588A (ko)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3674296A1 (en) Novel compound produced by means of marine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elasticity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sam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KR102014685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35220B1 (ko) 참까막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