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39B1 -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39B1
KR101810939B1 KR1020160108292A KR20160108292A KR101810939B1 KR 101810939 B1 KR101810939 B1 KR 101810939B1 KR 1020160108292 A KR1020160108292 A KR 1020160108292A KR 20160108292 A KR20160108292 A KR 20160108292A KR 101810939 B1 KR101810939 B1 KR 10181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sticker
adhesive layer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연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소연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16010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3Forms or constructions recycl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부착대상과 접촉하는 부착층 및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과 상기 부착층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스티커에서 부착층에서 인쇄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둘레가 경사지도록 커팅된 상기 부착층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무점착 스티커는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접착제 잔존물이 남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No sticky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접착제 잔존물이 남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에 부착하는 홍보성 광고매체 스티커, 아파트 주차 스티커, 출입증, 요일제 스티커 등과 같은 안내 스티커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후 이를 유리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 스티커를 유리로부터 착탈시 스티커에 존재하는 접착제 잔존물로 인해 차량의 유리 또는 썬팅된 시트가 훼손되거나 잔존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게 되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음식 및 식료품 배달점, 기타 상점이나 회사 등에서는 광고를 목적으로 광고용 스티커를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광고용 스티커는 주방의 냉장고 등과 같이 눈에 띄는 장소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용 스티커는 안내 스티커와 마찬가지로 부착된 자리에 접착제 잔존물이 남게 되어 부착 장소가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광고용 스티커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안내 스티커 또는 광고용 스티커의 인쇄층에 대해 배면에 고무 자석체를 결합한 형태도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자성을 띄는 철재 제품에만 한정적으로 부착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냉장고 등과 같은 주방 가전 제품에 부착을 위해서 또는 차량의 유리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철재가 아닌 소재도 부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고무 자석체로 이루어진 스티커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9892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접착제 잔존물이 남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부착대상과 접촉하는 부착층 및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과 상기 부착층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스티커에서 부착층에서 인쇄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둘레가 경사지도록 커팅된 상기 부착층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스티커의 형상에 맞춰 둘레를 따라 경사진 칼날이 형성된 틀을 이용하여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며, 상기 칼날은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층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 가소제 = 3 내지 5 : 1 중량비로 혼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에 있어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부착대상과 접촉하는 부착층과;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과;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스티커에서 부착층에서 인쇄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착층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점착 스티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티커는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무점착 스티커는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접착제 잔존물이 남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점착 스티커(10)는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부착대상인 유리 또는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는 무점착 스티커(10) 중 유리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층(11)이 내측으로 곡률을 갖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무점착 스티커(10)가 내측으로 오목한 곡률을 갖고 있을 경우 오목한 곡률에 공기가 존재하며, 부착층(11)이 유리 또는 벽면에 부착될 경우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부착층(11)이 유리 또는 벽면에 압착된다. 이로 인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점착 스티커(10)가 유리 또는 벽면에 부착 가능하다. 또한 무점착 스티커(10)가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수명에 상관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복적으로 무점착 스티커(10)의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점착 스티커(10) 제조방법은 먼저, 부착층(11) 및 인쇄층(13)을 각각 준비한다(S1).
부착층(11)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인쇄층(13)이 노출되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벽면에 무점착 스티커(10)를 부착시킬 경우 인쇄층(13)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착층(11)의 투명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차량의 유리에 무점착 스티커(10)를 부착할 경우 벽면에 부착할 때와 반대로 인쇄층(13)의 인쇄가 부착층(11)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부착층(11)을 통해 사용자가 인쇄층(13)을 확인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인쇄층(13)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부착층(11)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부착층(11)은 0.2 내지 1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착층(11)이 0.2mm 미만일 경우 유리 또는 벽면에 부착되더라도 쉽게 떨어질 수 있으며 1mm를 초과할 경우 내측 곡률을 위한 수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부착층(11)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위해 가장 적합한 소재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인데,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경우 경질의 소재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무점착 스티커(10)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함께 가소제를 혼합하여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연질로 변하도록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가소제의 혼합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 가소제 = 3 내지 5 : 1 중량비로 혼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가소제에 대해 3중량비 미만일 경우 가소제의 혼합량이 많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제대로 경화되지 않고 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5중량비를 초과할 경우 무점착 스티커(1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질 상태가 될 수 있다.
가소제의 경우 DIDP(Diisodecyl phthalate), DOP(Di2-ethylhexyl phthalate), DINP(Diisonony phthalate), DOA(Di2-ethylhexyl adipate), TOTM(trioctyl timellitate), DIS(Di2-ethylhexyl sebacate), DOZ(Di2-ethylhexyl azelate), DBP(Dibutyl phthalat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인쇄층(13)은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되는 층으로, 무점착 스티커(10)를 광고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광고나 해당 전화번호가 인쇄되고 정보를 목적으로 상용할 경우에는 아파트 정보, 차량 정보 등이 인쇄된다. 이러한 인쇄층(13)은 종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알루미늄(Al)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접착층(13)을 통해 부착층(11)과 인쇄층(13)을 결합한다(S2).
부착층(11) 및 인쇄층(13)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15)을 형성하여 부착층(11)과 인쇄층(13)을 결합한다. 이때 접착층(15)은 인쇄층(13)의 정보가 부착층(11)을 지나 확인 가능하도록 부착층(11)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층(15)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수지 접착제, 무수지 접착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접착제, 순간 접착제 등을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커팅한다(S3).
부착층(11)-접착층(15)-인쇄층(13)으로 이루어진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커팅(cutting)하는데, 부착층(11)에서 인쇄층(13)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한다. 이와 같이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커팅하는 방법으로는 무점착 스티커(10)의 형상에 맞춰 둘레를 따라 경사진 칼날(30)이 형성된 틀을 이용하여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커팅한다. 즉 무점착 스티커(10)의 형상이 원형이어야 할 경우 칼날(30)이 형성된 원형틀을 사용하고, 무점착 스티커(10)의 형상이 사각형이어야 할 경우 칼날(30)이 형성된 사각형틀을 사용하여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커팅한다. 이와 같이 무점착 스티커(10)의 둘레를 경사지도록 커팅하게 되면 커팅된 부착층(11)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갖게 된다.
이때 칼날(30)은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사용하는데, 칼날(30)의 각도가 15° 미만일 경우 부착층(11)이 탄성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가 적어 내측으로 곡률을 갖기 어렵다. 또한 35°를 초과할 경우 부착층(11)의 넓이가 감소하여 유리 또는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칼날(30)의 경사 각도에 맞춰 부착층(11)-접착층(15)-인쇄층(13)으로 이루어진 무점착 스티커(10) 역시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종래의 스티커를 차량용 유리 또는 벽면에 부착하게 되면 썬팅된 시트가 훼손되거나 잔존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여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며, 접착제가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스티커를 반복적으로 탈부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무점착 스티커(10)는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탈부착 과정에서 잔존물이 남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착층(11)이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곡률에 존재하는 공기를 통해 유리 또는 벽면에 무점착 스티커(10)를 부착하며, 무점착 스티커(10)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곡률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진공상태가 되어 무점착 스티커(10)가 안정적으로 부착이 가능하다.
10: 무점착 스티커
11: 부착층
13: 인쇄층
15: 접착층

Claims (5)

  1.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부착대상과 접촉하는 부착층 및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층과 상기 부착층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스티커에서 부착층에서 인쇄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둘레가 경사지도록 커팅된 상기 부착층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며,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스티커의 형상에 맞춰 둘레를 따라 경사진 칼날이 형성된 틀을 이용하여 상기 스티커의 둘레를 커팅하며, 상기 칼날은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층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 가소제 = 3 내지 5 : 1 중량비로 혼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점착 스티커 제조방법.
  4. 표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무점착 스티커에 있어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부착대상과 접촉하는 부착층과;
    광고 또는 정보가 인쇄된 인쇄층과;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층 및 상기 인쇄층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스티커에서 부착층에서 인쇄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경사(slope)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착층은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내측으로 곡률을 가지며,
    상기 부착층-상기 접착층-상기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티커는 15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점착 스티커.
  5. 삭제
KR1020160108292A 2016-08-25 2016-08-25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92A KR101810939B1 (ko) 2016-08-25 2016-08-25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92A KR101810939B1 (ko) 2016-08-25 2016-08-25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39B1 true KR101810939B1 (ko) 2017-12-20

Family

ID=6093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292A KR101810939B1 (ko) 2016-08-25 2016-08-25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24B1 (ko) 2018-11-07 2020-03-09 정창훈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677B1 (ko) 2020-11-30 2022-04-05 김수연 전자 명함 정보를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416872B1 (ko) 2021-07-19 2022-07-05 주식회사 윈글로벌 개인정보 제거가 가능한 운송장
KR102669553B1 (ko) * 2024-01-23 2024-05-24 이왕일 재점착 주차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34B2 (ja) * 1992-02-06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134B2 (ja) * 1992-02-06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24B1 (ko) 2018-11-07 2020-03-09 정창훈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677B1 (ko) 2020-11-30 2022-04-05 김수연 전자 명함 정보를 인식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416872B1 (ko) 2021-07-19 2022-07-05 주식회사 윈글로벌 개인정보 제거가 가능한 운송장
KR102669553B1 (ko) * 2024-01-23 2024-05-24 이왕일 재점착 주차스티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939B1 (ko) 무점착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US6503591B2 (en) Repositionable doubled-sided adhesive pad having a display
TWI672112B (zh) 使用剝離型黏著劑的物件支架
JP3165094U (ja) 液晶ディスプレー装置の液晶保護板並びに液晶ディスプレー装置
US9930976B2 (en) Magnetic mounting system and method
WO2004038692B1 (en) Guitar pick holder made of a flexible magnetic body
KR20080019554A (ko) 흡반
WO2003019347A1 (fr) Structure de montage pour panneau tactile transparent amovible, et feuille de montage utilisee a cet effet
JP2014507309A5 (ko)
US20080048083A1 (en) Suction cup
CA2326212A1 (en) Multipurpose re-useable adhesive pad
US200800320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rily Applying a Design to an Article
KR20210065366A (ko) 소방관 진입창 및 타격점 스티커
US20060162205A1 (en) Reusable laminate display
US9814283B1 (en) Novelty buttons
EP1225208A1 (en) Repositionable double-sided adhesive pad having a display
JP2006248120A (ja) 装飾シート及び装飾シートの貼り付け方法
JPH08248883A (ja) ステッカー
JP3145503U (ja) 表示ボード
JP3214022U (ja) ドライブサイン
KR200440900Y1 (ko) 주차알림판
EP0871154A2 (en) An adhesive mounting system and uses therefor
JP4639626B2 (ja) 装飾品、時計用裏蓋および時計
JP2017047945A (ja) ラベル付き容器
JP3132443U (ja) ステ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