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07B1 -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07B1
KR101810807B1 KR1020167018664A KR20167018664A KR101810807B1 KR 101810807 B1 KR101810807 B1 KR 101810807B1 KR 1020167018664 A KR1020167018664 A KR 1020167018664A KR 20167018664 A KR20167018664 A KR 20167018664A KR 101810807 B1 KR101810807 B1 KR 10181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et metal
section
module
retai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356A (ko
Inventor
하이코 헤어브레흐츠마이어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3963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108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3113973.6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3113973B4/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3113974.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3113974A1/d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9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보유 프레임은 양호한 내열성 및 높은 기계적인 강인성을 가져야 하며,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때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ing)를 가능하게 해야 하는 동시에, 특히 개별 모듈(3)의 교체 중에 편안한 조작 가능성도 보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유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판금으로 제작하는 점이 제안된다. 판금의 탄성으로 인해, 모듈(3)을 개별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보유력과 작동력의 매우 바람직한 조합을 달성하기 위해, 판금을 특정 영역에서 구부릴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접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국부적으로 목적에 맞게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주(主)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한 독립 청구항 14의 전제부에 따른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한 독립 청구항 15의 전제부에 따른, 보유 프레임 내부로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한 독립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따른, 보유 프레임 내부로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한 독립 청구항 17의 전제부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용 금속성 보유 프레임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한 독립 청구항 35의 전제부에 따른, 금속성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유 프레임은, 복수의 동종 모듈들 및/또는 이종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모듈은, 예를 들어 전자식 및 전기식 접촉, 그리고 가능하다면 광학식 및/또는 압축 공기식 접촉을 위한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로서 제공되는 절연체일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점은, 보유 프레임이 종래 방식에 따라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모듈이 장착된 보유 프레임을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규정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 규격 EN61984에 따른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ing)를 제조하기 위해서 그러한 금속 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EP 0 860 906 B1호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보유하고,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거나 벽면에 나사 연결하기 위한 보유 프레임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고,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에 있는 보유 수단이 보유 프레임의 마주 놓인 벽부들(측면들)에 제공된 리세스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 경우 리세스들은 보유 프레임의 측면에 전면이 폐쇄된 개구로서 형성되며, 이 경우 보유 프레임은 서로 조인트로 연결된 2개의 절반부로 구성되며, 이 경우 보유 프레임의 분리는 프레임의 측면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수행되고, 이 경우 조인트는 보유 프레임의 고정 단부들 내에서, 보유 프레임을 고정면 위에 나사 결합할 때, 보유 프레임의 측면들이 상기 고정면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프레임 부분들이 정렬되고,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보유 수단을 통해 보유 프레임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실제로 이러한 보유 프레임은 통상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특히 아연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된다.
EP 2 581 991 A1호는 2개의 프레임 절반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용 보유 프레임을 개시하며, 상기 프레임 절반부들은 하나의 프레임 절반부를 다른 프레임 절반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나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프레임 절반부에는 각각 서로 상보적인 체결 수단들이 제공되며, 이들 체결 수단은 선형 운동 시 양측 프레임 절반부가 2개의 상이한 체결 위치에서 서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 위치에서는 프레임 절반부들이 상이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하지만 사실상 이와 같은 보유 프레임은 조립 시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보유 프레임은, 단 하나의 모듈만 교체하면 되는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나사 결합을 풀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체결 해제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전혀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다른 모듈들도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고, 차후 프레임 절반부들을 나사 결합하기 전에 그리고/또는 체결하기 전에 다시 보유 프레임 내에 삽입되어야 할 수 있다. 결국, 프레임 절반부들의 결합 시 최종적으로 보유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절반부들을 결합하기 전에 미리 모든 모듈이 동시에 이들 모듈을 위해 제공된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는 조립을 어렵게 만든다.
EP 1 801 927 B1호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 형성된 보유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 보유 프레임은 주변을 둘러싸는 칼라(collar)로서 형성되고, 자신의 삽입측에 슬롯들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벽 세그먼트를 갖는다. 서로 마주 놓인 2개의 벽 세그먼트 각각은 플러그 모듈을 위한 삽입 영역을 형성하며, 이 경우 벽 세그먼트는 윈도우 형상의 개구를 가지고, 이들 개구는 모듈의 좁은 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파지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벽 세그먼트 내에는 가이드 홈(guide groove)이 각각 하나씩 제공되어 있다. 가이드 홈은 개구 상부에서 외부로 변위된 윈도우 웨브(window web)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이 윈도우 웨브는 내부면에 삽입 경사면을 갖는다. 추가로, 플러그 모듈이 체결 암을 가지며, 이들 체결 암이 좁은 측에서 케이블 단자의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측방 칼라 벽(collar wall) 아래에서 체결됨으로써, 2개의 독립적인 체결 수단이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을 보유 프레임 내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선행 기술에서의 단점은, 한 편으로는 종래 방식에 따라 예를 들어 PE-접촉에 의한 보호 접지를 위해, 즉, 예를 들어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보유 프레임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사용은 이와 같은 보호 접지를 전제로 하고, 예를 들어 보호 접지의 기계적인 강인성, 온도 안정성 및 보호 접지의 전기적 차폐 특성 때문에 여러 용례에서 필요하므로 고객들의 수요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유형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보유 프레임을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은 적어도 어렵기도 하고, 실현하기가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용광로 가까이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은 특별한 용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보유 프레임의 내열성도 항상 불충분하다. 최종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및 형상, 특히 관련 지점들에서의 보유 프레임의 강도는 우선적으로 가요성에 대한 요건에 의해 결정되고, 온도 안정성에 대한 요건에 의해서 결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 편으로는 양호한 내열성 및 높은 기계적 강인성을 가지며, 특히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때에도 상응하는 보호 접지, 특히 PE("Protection Earth")-보호 접지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특히 개별 모듈의 교체 중에 편안한 조작 가능성도 보장하는, 보유 프레임을 위한 구조적 형상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보유 프레임에 의해, 독립 주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제조 방법에 의해, 대등한 독립 청구항 14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보유 프레임 내부에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서문에 언급된 방법에 의해, 대등한 독립 청구항 15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보유 프레임 내부에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서문에 언급된 방법에 의해, 대등한 독립 청구항 16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금속성 보유 프레임에 의해, 대등한 독립 청구항 17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서문에 언급된 방법에 의해, 대등한 독립 청구항 35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와 같은 보유 프레임은 중공업 플러그 커넥터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재료, 즉 판금으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판금은 보호 접지, 특히 PE-보호 접지를 가능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판금의 탄성으로 인해 모듈을 개별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료로서 판금을 사용하는 것은 높은 온도 안정성 및 더 나아가서는 보유 프레임의 특히 큰 기계적인 강인성도 보장해준다.
이때, 탄성 판금이란, 특히 예를 들어 상응하는 복원력이 제공되는 경우의 가역적인 변형 가능성과 같은 탄성을 갖는 판금, 즉, 예를 들어 스프링 강 또는 그와 대등한 재료로 제조된 판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한 가지 장점은, 모듈들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매우 용이하게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다시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데 있다.
특히, 모듈이 예컨대 나사 결합, 크림핑(crimping), 납땜 등에 의해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케이블 단자 측을 구비하는 경우, 그리고 모듈이 자신의 케이블 단자 측의 방향으로부터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특별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모듈이 이로 인해 또한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재차 자신의 케이블 단자 측의 방향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설치된 상태에서도 적용되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보유 프레임이 이미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예를 들어 플랜지 장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또 다른 한 가지 장점은, 케이블이 모듈과 사전에 조립될 수 있고, 사전 조립 과정과 무관하게 추후에 비로소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또한, 예컨대 보유 프레임이 마모 및/또는 손상되는 경우에는, 삽입의 목적을 위해 모듈이 케이블로부터 분리될 필요 없이, 보유 프레임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가지 장점은, 보유 프레임이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보호 접지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 특히 보유 프레임이 삽입될 금속성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PE-보호 접지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또한 추가 장점으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차폐도 보장해준다. 이 차폐는 외부로부터의 간섭 자기장을 막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이 차폐는, 간섭파 방출을 피하거나 줄이기 위한, 다시 말해 플러그 커넥터의 간섭 자기장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차폐일 수도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외부 간섭 자기장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모듈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간섭으로부터 주변을 보호하는 상황도 제공된다.
특히 큰 한 가지 추가의 장점은, 보유 프레임이 한 편으로는 특히 열에 강하다는 것이고, 다른 한 편으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듈들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보유 프레임 내부에 삽입하고 다시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지점에서 충분히 높은 탄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때에는, 전체 보유 프레임(또는 적어도 모듈의 수용 및 고정을 위해 기능을 하는 보유 프레임의 부분)이 탄성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특히 큰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보유 프레임이, 적어도 탄성의 크기가 동일한 상황에서는, 기계적인 관점에서 그 외에는 기능적으로 대등한 플라스틱 프레임보다 열에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모듈들이 구조적 형상에 있어서 그에 상응하게 콤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들 모듈은 또한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고, 그럼에도 비교적 열에 강하다.
이때 특별한 장점은, 이들 모듈의 재료뿐만 아니라 구조적 형상도 약간의 탄성만을 가지면 된다는 데 있는데, 그 이유는 보유 프레임이 이미 탄성 판금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렇기 때문에 모듈이 예를 들어 이로 인해 근본적으로 변경됨이 없이,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모듈에 대한 보유 프레임의 보유력 및/또는 예를 들어 매칭 플러그에 대한 압착력 및 그와 더불어 플러그 커넥터의 최적의 기능이 문제될 정도로 심하게 모듈이 비가역적으로 변형됨이 없이, 그리고 특히 기계적인 그리고 열적인 부하를 연속적으로 받는 상태에서 모듈에 대한 보유 프레임의 보유력 및/또는 예를 들어 매칭 플러그에 대한 압착력 및 그와 더불어 플러그 커넥터의 최적의 기능이 문제될 정도로 강한 크리프(creep) 현상이 발생함이 없이, 모듈이 더 긴 시간 간격에 걸쳐서도 일정한 기본 장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면, 모듈이 클램핑을 위해 자체적으로 탄력적인 부분 및/또는 재료 특성을 가질 필요 없이, 모듈이 보유 프레임 내부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보유 프레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판금으로 제조된 경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성 판금부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특히, 보유 프레임이 펀칭 굽힘 기술로 제조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판금부 또는 판금부들은 펀칭 굽힘 부분(들)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식은 바람직하게 펀칭 굽힘 기술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구를 이용한 제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보유 프레임의 제조를 위해서는 특별한 공구가 필요치 않게 된다. 보유 프레임이 복수의 펀칭 굽힘 부분으로 이루어지면, 이들 펀칭 굽힘 부분은 동일한 판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동일한 재료 특성, 특히 서로에 대해 동일한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들 펀칭 굽힘 부분은 또한 상이한 판금으로부터 펀칭될 수도 있고, 상이한 재료 특성, 특히 상이한 강도 및/또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보유 프레임이 서로에 대해 상이한 탄성을 갖는 복수의 상이한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인데, 그 이유는 보유 프레임이 이 경우에는 최고의 굽힘 하중 영역에서 의도한 바대로 더 높은 탄성 계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더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영역은 기본 섹션일 수 있다.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영역은 변형 섹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은 단 하나의 판금부로 형성된 보유 프레임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판금부로 형성된 보유 프레임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금부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 특성, 특히 동일하거나 상이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보유 프레임은 오로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또한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판금부들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동일한 펀칭 판금으로부터 펀칭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역들 중 제1 영역, 다시 말해 예를 들어 기본 섹션은 주변을 둘러싸는 기본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본 프레임은 횡단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서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2개의 단부 및 이들 단부에 대해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2개의 측부를 가지며, 이 경우 단부는 측부보다 짧다. 정사각형 횡단면의 특수한 경우에는 단부와 측부의 길이가 같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폐쇄 형상에 의해서는, 기본 프레임의 기하학적인 구조 및 이와 더불어 전체 보유 프레임의 기하학적인 구조도 이미 상기 제1 영역, 즉 기본 프레임이 예를 들어 슬롯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독립적인 탄성 탭(tab)을 갖는 뺨 영역(cheek region)으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보다 적은 탄성 및 이로써 그보다 큰 강성을 갖도록 기여한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나사 구멍(screw bore)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조여져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추가로, 동일 판금부의 상이한 층들이 예를 들어 접음 공정에 의해 서로 편평하게 놓이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판금부의 또 다른 층들이 접합 및 고정 공정에 의해서, 다시 말해 소위 접합 연결에 의해 서로 편평하게 놓임으로써, 보유 프레임의 판금은 제1 영역에서, 즉 기본 프레임에서 적어도 한 지점에서, 특히 측부에서 그리고 가능하다면 단부에서도 의도한 바대로 보강될 수 있다. 간략히 "접합"으로도 명명되는 접합 연결의 경우에는, 이들 판금부가 하나 또는 복수의 적합한 지점에서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리벳 체결(riveting)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고정 방법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모듈은 실질적으로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마주 놓인 2개의 종방향 측면에 체결 러그를 각각 하나씩 가지며, 이들 체결 러그도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정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유 프레임의 각각의 탄성 탭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체결 윈도우를 가지고, 이 체결 윈도우는 상기와 같은 체결 러그를 바람직하게 형상 결합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한 모듈의 2개의 체결 러그는 특히 이들의 길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들의 형상 및/또는 이들의 크기에 있어서 서로 상이할 수 있고, 보유 프레임의 양측에 있는 탭은 이를 위해 상응하는 (예컨대 직사각형의)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윈도우도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하고, 이들의 크기 및/또는 이들의 형상에 있어서 체결 러그들 중 각각 하나의 체결 러그에 매칭된다. 이와 같은 형상이 갖는 장점은, 이로 인해 보유 프레임 내에서의 각 모듈의 배향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체결 윈도우 및 체결 러그는 이들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의하여 보유 프레임 내에서 모듈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코딩 수단(coding means)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유 프레임의 탭들은 바람직하게 독립 단부 영역에서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약간 벌어져서 구부러지며, 이는 모듈의 삽입 안내를 간소화한다. 이 경우 보유 프레임 내부로의 모듈의 삽입은 특히 조작에 친숙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모듈은 말하자면 먼저 한 보유 프레임의 2개의 탭 사이에 삽입되고, 그 다음에 자신의 2개의 종방향 측면을 이용해서 그리고 특히 이들 종방향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 러그를 이용해서 이들 탭의 상호 떨어져서 구부러진 단부 영역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럼으로써, 2개의 탭은, 개별 체결 러그가 개별 탭의 관련 체결 윈도우에 의해 수용되어 특히 그 내부에 체결된 소리가 들릴 때까지, 잠시 서로 벌어져 있다. 체결 러그가 개별 체결 윈도우 내에 파지되면, 탭들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출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듈들은 보유 프레임 내부에 개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귀로 들을 수 있게, 체결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특히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된 경우, 삽입된 모듈이 안정적인 기본 프레임 내에서 비교적 큰 힘으로 보유된다. 모듈의 체결 상태를 다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 놓인 2개의 탄성 탭을 다시 서로 벌어지도록 구부리기만 하면 된다. 그 다음에, 각각의 모듈이 개별적으로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한편, 다른 모듈은 계속해서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특히 상이한 영역의 상이한 탄성에 의해 작동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높은 보유력이 보장되며, 이는 조작 가능성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체결 러그가 체결 윈도우 내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조작 용이성이 주어지는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모듈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신호화 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적으로도 전달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특별한 장점은, 모듈이 전술된 구성에 의해 이미 충분한 보유력으로 보유 프레임 내부에 보유되어 있고, 그에 상응하게 자신의 체결 러그 외에는 또 다른 체결 수단, 예를 들어 체결 암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 모듈의 구조적 형상을 간단하게 하고, 이로써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을 현저히 줄여주며, 그와 동시에 콤팩트한 구조적 형상 그리고 이로써 모듈 및 그와 더불어 전체 플러그 커넥터의 높은 내열성까지도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보유 프레임을 제조할 때의 특히 큰 장점은, 보유 프레임의 영역들 중 몇몇 영역이 서로 위,아래로 적층되도록 그리고 이로 인해서 보유 프레임 영역이 이를 위해 제공된 기능들을 위해 자신의 스프링력 및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보유력을 보강하도록, 판금부 또는 판금부들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 특히 펀칭되어 있고 구부러져 있으며 그리고/또는 서로 접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판금은 몇몇 지점에서 예를 들어 한 판금부를 접음으로써 그리고/또는 복수의 개별 판금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보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판금의 강도가 2배, 3배, 4배, ... 등과 같이 배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그렇지 않으면 실현되기 어려운, 특히 원래부터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동일한 펀칭 판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실현되기 어려운 탄성의 의도된 영향과 펀칭 굽힘 기술의 제조 기술적인 장점들이 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절첩 및/또는 접합에 의해서는, 한 편으로는 탄성 판금이 보유 프레임을 위한 특히 양호하게 적합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단 하나의 펀칭 판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유 프레임의 개별 영역의 탄성이 전술된 방식으로 의도한 바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본 프레임의 측부가 보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별 측면에는 뺨 영역이 인접해서 각각 하나씩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뺨 영역은 보강 영역, 및 이 보강 영역 위로 돌출하거나 이 보강 영역에 연결되거나 이 보강 영역과 중첩되는 탭을 구비한다. 뺨 영역의 보강 영역은 굽힘 과정에서 180°만큼 구부러질 수 있고, 이로써 측면 위로 접힐 수 있으며, 이로써 이 측면을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강할 수 있다. 그 결과, 뺨 영역은, 측부를 따라 등거리의 간격을 두고 상기 뺨 영역을 세분하는 슬롯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간격의 폭은 바람직하게 모듈의 폭에 상응한다. 슬롯은 보강 영역 내부까지 뻗을 수 있다. 슬롯에 의해서는, 한 가지 방향으로 기본 프레임 위로 돌출하는 탭이 형성되어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된 기본 프레임의 측부가 마찬가지로 자신의 개별 굽힘 에지에 의해 단부면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이로써, 측부는 단부면보다 큰 폭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갖는 장점은, 모듈이 더 큰 면에 걸쳐서 그리고 특히 상응하는 레버 작용을 통해서 증가된 보유력으로 보유 프레임 내부에 지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접힌 뺨 영역의 독립 단부는 보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본 프레임 위로 돌출하게 되고, 이로써 예를 들어 변형 섹션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훨씬 더 탄력적인 제2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뺨 영역의 슬롯으로 인해 특히 독립 탄성적인 개별 탭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탭은 이미 자체 형상에 의해 비교적 큰 탄성을 갖는다. 탭은 또한 기본 프레임과 달리 바람직하게는 단 하나의 보강되지 않은 판금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제2 판금에 의해 보강되지 않았으며, 이로써 다만 상기 단 하나의 판금과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고, 또한 이로 인해 제1 영역보다 큰 탄성을 갖게 된다. 추가로, 탭은 자신의 슬롯의 영역에서는 바람직하게 심지어 측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다만 보강 영역의 굽힘 에지를 통해서만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갖는 장점은, 탭이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높은 탄성을 갖는 한편, 측부는 기본 프레임의 영역에서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항해서 큰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이들 측부가 보강 영역에 의해 보강되었기 때문이다. 탭이 보강 영역에 의해서만 공동의 굽힘 에지를 통해 측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탭은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복원되는 한편, 측면은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강 영역에 의해 그리고 이로써 특히 탭의 상응하는 중첩 영역에 의해서도 보강되어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해 단 하나의 판금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단부면을 보강하고 이로써 기본 프레임을 추가로 안정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판금을 펀칭할 때에 특히 각각의 단부면에 대해 반사 대칭으로 상기 단부면에 인접해서 보강면이 각각 하나씩 추가로 펀칭되고, 그 다음에 180°만큼 구부러지며, 이로 인해 단부면 위로 접힘으로써, 각각의 단부면이 보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 다음에는 상기 보강면이 단부면 위로 돌출하는 한 단부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단부면의 단부에서는 독립 플랜지가 생성되며, 이 플랜지는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내부에 고정시킬 목적으로 나사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정화를 위해, 상기 플랜지는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다시 말해 접음 또는 접합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안적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랜지가 보강되지 않은 단부면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 단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한 편으로 단부면은 보강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 다른 한 편으로는 재료뿐만 아니라 제조시의 상응하는 작업 과정도 줄어든다. 더 나아가서는, 그럼에도 그와 상관없이 측면이 보강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더 나아가서는, 보유 프레임이 복수의 동일한 그리고/또는 상이한 탄성 판금부로부터 형성되고, 이들 판금부가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및/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수많은 또 다른 실시예들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이들 판금부가 펀칭 굽힘 기술로 제조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판금부는 펀칭 굽힘부이다. 바람직하게, 보유 프레임은 기본 프레임의 횡단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U자 모양인 2개의 판금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판금부는 각각 2개의 단부면, 즉 제1 및 제2 단부면을 구비한다. 그 다음에 2개의 판금부는 보유 프레임을 제조할 때 자신의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이 각각 겹쳐져서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및/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변위되고, 특히 판금 두께만큼 오프셋되어 서로의 내부로 슬라이딩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판금부들 중 한 판금부의 제1 단부면이 각각 다른 판금부의 제2 단부면 위에 놓여 이곳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단부면의 영역에서 판금이 보강된다는 결과에 추가하여, 보유 프레임이 자신의 기본 프레임의 영역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큰 면에 걸쳐 그리고 그로 인해 매우 안정적인 방식으로 폐쇄된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보유 프레임이 자체 플랜지의 나사 구멍에서,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기본 프레임은 더욱 안정화된다.
따라서, 각각 외부에 놓이게 되는 제1 단부면의 한 에지에서는, 그 다음에 재차 나사 구멍을 가질 수 있는 플랜지가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 다음에,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제2 단부면도 보강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보강 플랜지는 서로 접합할 때 제1 단부면의 플랜지 상에 놓이게 되고, 보강을 위해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및/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제1 단부면에 고정된다. 그럼으로써, 보유 프레임의 플랜지가 특히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판금부가 동일한 유형이며, 다시 말하자면 보유 프레임이 2개의 부재로 형성되더라도 동종의 판금부들만 제조하면 되고, 이는 제조 복잡성을 더욱 완화한다.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판금부가 적어도 자신의 체결 윈도우의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써 서로 구별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가 갖는 장점은, 이로 인해 그에 상응하게 2개의 상이한 체결 러그도 구비한 개별 모듈의 배향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로써 체결 윈도우 및 체결 러그는 자체 형상에 의해 모듈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코딩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유 프레임이 2개 이상의 판금부로, 특히 펀칭 굽힘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펀칭 굽힘부는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및/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제1 판금부의 비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b는 제2 판금부의 비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추가 판금부의 비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보강 플랜지를 구비한 추가 판금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3a는 2개의 다른 판금부를 서로 접합할 때의 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3b는 보강 플랜지를 구비한 2개의 다른 판금부를 서로 접합할 때의 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관련 모듈을 2개의 상이한 관찰 방향에서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모듈이 장착된 보유 프레임을 도시한 도이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서 일체형의 제1 판금부(1)의 비절곡 상태를 보여준다.
제1 판금부(1)는,
- 2개의 단부면(11, 11'), 즉, 제1 단부면(11) 및 제2 단부면(11')과,
- 2개의 측면(12, 12'), 즉, 제1 측면(12) 및 제2 측면(12')으로서, 단부면(11, 11')보다 더 넓을 뿐만 아니라 더 길기도 하며, 이로써 각각의 제1 굽힘선(A, A', A")의 방향으로 이들 굽힘선에 인접하는 단부면(11, 11')을 넘어 돌출하는 측면들(12, 12')과,
- 체결 윈도우(131, 131')를 각각 하나씩 갖는 8개의 독립 탭(13, 13')으로서, 이들 탭(13, 13')은 슬롯(18, 18')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고, 상기 탭(13, 13')의 개수 및 그에 상응하는 슬롯(18, 18')의 개수는 예로서 선택된 것이며, 이 경우 4개의 탭(1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131)가 다른 4개의 탭(1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131')보다 더 넓은, 탭들과,
- 일측은 제한선(E, E')에 접하고, 타측은 제2 굽힘선(B, B')에서 각각의 측면(12, 12')에 접하는 2개의 보강 영역(14, 14')과,
- 제3 굽힘선(C, C')에서 각각의 단부면(11, 11')에 접하는 2개의 보강면(15, 15')과,
- 제4 굽힘선(D, D')에서 개별 보강면(15, 15')에 접하고, 나사 구멍(171, 171')을 갖는 각각 하나의 플랜지(17, 17')를 포함한다.
파선으로 도시된 제2 및 제3 굽힘선(B, B', C, C')에서는, 제1 판금부(1)가 180°만큼 접힌다. 그럼으로써, 각각의 측면(12, 12') 또는 단부면(11, 11')을 상응하게 보강하기 위해, 2개의 보강 영역(14, 14') 각각이 측면들(12, 12') 중 각각 하나에 놓이고, 2개의 보강면(15, 15') 각각은 단부면들(11, 11') 중 각각 하나에 놓이게 된다. 이로써, 파선으로 도시된 제한선(E, E')은, 탭(13, 13')이 차후 개별 측부(12, 12')를 넘어 돌출하기 시작하는 한계점을 형성한다. 이때, 개별 보강 영역(14, 14')은 공통된 제2 굽힘선(B, B')에서만 관련 측면(12, 12')과 연결되며, 다시 말해 다른 방식으로는, 즉, 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는, 관련 측면에 고정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탭들(13, 13')이 상응하게 높은 유연성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탭이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시 말해 보강 영역(14, 14') 안쪽으로, 측면(12, 12')으로부터 각자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롯(18, 18')의 길이에 의해 탭(13, 13')의 길이 및 이와 더불어 원하는 탄성도 조정될 수 있다.
탭(13, 13')과 추가 보강 영역(14, 14')을 통틀어 뺨 영역이라 지칭하며, 상기 뺨 영역에는 편의상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뺨 영역은 6개의 슬롯(18, 18')에 의해 대체로 동일한 크기의 간격으로 분할되고, 이로 인해 탭들(13, 1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탭들(13, 13')의 길이는 슬롯들(18, 18')의 길이에 상응하게 된다. 이와 연계하여, "대체로"라는 개념은, 슬롯(18, 18') 및 이와 더불어 탭(13, 13')도 제한선(E, E')을 초과하여 개별 보강 영역(14, 14') 내부까지 연장되긴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 굽힘선(B, B') 앞에서 끝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보강 영역(14, 14')의 적어도 일부가 탭(13, 13')으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탭(13, 13') 뿐만 아니라 보강 영역(14, 14')에도 귀속될 수 있는 중첩 영역, 즉, 제한선(E, E')과 제2 굽힘선(B, B') 사이에 놓인 탭(13, 13')의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첩 영역이 2중 기능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중첩 영역이 한 편으로는 기본 프레임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다른 한 편으로는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탭(13, 13')의 탄성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나사 구멍(171, 171')에 나사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측면들(12, 12')은 제2 굽힘선(B, B')에 상응하는 각자의 굽힘 에지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도 단부면(11, 11') 위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된 제1 및 제4 굽힘선(A, A', A", D, D')에서는 제1 판금부(1)가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제4 굽힘선(D, D')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개별 플랜지(17, 17')가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하는 데 이용될 나사 구멍(171, 171')을 갖는다. 판금부(1)가 제1 굽힘선(A, A', A")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기본 프레임의 폐쇄 형상이 제공되고, 이로써 기본 프레임은 단부면들(11, 11') 및 측면들(12, 12')에 의해, 보강면(15, 15') 및 보강 영역(14, 14')에 의해 보강되면서, 즉 2개의 단부 및 2개의 측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직각 절곡 과정은, 뺨 영역이 기본 프레임 외부에, 즉, 기본 프레임의 측면들(12, 12')의 외부면에 배치되도록 수행된다.
기본 프레임의 폐쇄 형상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으로 제2 측면(12')이 추가로 제1 단부면(11)에, 예를 들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리벳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고정은 복수의 용접점을 설정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로써, 제1 보강면(15)에 의해 보강된 제1 단부면(11)이 기본 프레임의 제1 단부를 형성한다. 제2 보강면(15')에 의해 보강된 제2 단부면(11')은 또한 기본 프레임의 제2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두 단부는, 그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지며, 각각 관련 보강 영역(14, 14')에 의해 보강된 양 측면들(12, 12')로 형성된 양 측부와 함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1b는, 제1 실시예의 한 변형예에서 제2 판금부(1')의 비절곡 상태를 보여준다.
제2 판금부(1')는, 보강면(15, 15')이 없고, 그에 상응하게 관련 제3 굽힘선(C, C')도 없음으로써, 개별 플랜지(17, 17')의 나사 구멍(171, 171')이 제4 굽힘선(D, D')에 의해 상응하는 단부면(11, 11')에 접한다는 점에서, 제1 판금부와 구별된다. 따라서, 제2 판금부(1')는,
- 2개의 단부면(11, 11'), 즉, 제1 단부면(11) 및 제2 단부면(11')과,
- 2개의 측면(12, 12'), 즉, 제1 측면(12) 및 제2 측면(12')으로서, 단부면(11, 11')보다 더 넓을 뿐만 아니라 더 길기도 하며, 이로써 각각의 제1 굽힘선(A, A', A")의 방향으로 이들 굽힘선에 인접하는 단부면(11, 11')을 넘어 돌출하는 측면들(12, 12')과,
- 체결 윈도우(131, 131')를 각각 하나씩 갖는 8개의 독립 탭(13, 13')으로서, 이들 탭(13, 13')은 슬롯(18, 18')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고, 상기 탭(13, 13')의 개수 및 그에 상응하는 슬롯(18, 18')의 개수는 예로서 선택된 것이며, 이 경우 4개의 탭(1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131)가 다른 4개의 탭(1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131')보다 더 넓은, 탭들과,
- 일측은 제한선(E, E')에 접하고, 타측은 제2 굽힘선(B, B')에 접하는 2개의 보강 영역(14, 14')과,
- 굽힘선(D, D')에서 각각의 단부면(11, 11')에 접하고, 나사 구멍(171, 171')을 갖는 각각 하나의 전술한 플랜지(17, 17')를 포함한다.
파선으로 도시된 제2 굽힘선(B, B')에서는, 제2 판금부(1')가 180°만큼 접힌다. 그럼으로써, 각각의 측면(12, 12')을 상응하게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보강 영역(14, 14')이 측면들(12, 12') 중 각각 하나에 놓이게 된다. 이로써, 파선으로 도시된 제한선(E, E')은, 탭(13, 13')이 차후 개별 측면(12, 12')을 넘어 돌출하기 시작하는 한계점을 형성한다. 이때, 개별 보강 영역(14, 14')은 공통된 굽힘선에서만, 말하자면 제2 굽힘선(B, B')에서만 관련 측면(12, 12')과 연결되며, 그에 상응하게 다른 방식으로는, 즉, 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등의 방식으로는 관련 측면에 고정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탭들(13, 13')이 상응하게 높은 유연성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탭이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시 말해 보강 영역(14, 14') 안쪽으로, 측면(12, 12')으로부터 각자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롯(18, 18')의 길이에 의해 탭(13, 13')의 길이 및 이와 더불어 원하는 탄성도 조정될 수 있다.
탭(13, 13')과 추가 보강 영역(14, 14')을 통틀어 뺨 영역이라 지칭하며, 상기 뺨 영역에는 편의상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뺨 영역은 6개의 슬롯(18, 18')에 의해 대체로 동일한 크기의 간격으로 분할되고, 이로 인해 탭들(13, 1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탭들(13, 13')의 길이는 슬롯들(18, 18')의 길이에 상응하게 된다. 이와 연계하여, "대체로"라는 개념은, 슬롯(18, 18') 및 이와 더불어 탭(13, 13')도 제한선(E, E')을 초과하여 개별 보강 영역(14, 14') 내부까지 연장되긴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 굽힘선(B, B') 앞에서 끝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보강 영역(14, 14')의 적어도 일부가 탭(13, 13')으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탭(13, 13') 뿐만 아니라 보강 영역(14, 14')에도 귀속될 수 있는 중첩 영역, 즉 제한선(E, E')과 제2 굽힘선(B, B') 사이에 놓인 탭(13, 13')의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첩 영역이 2중 기능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중첩 영역이 한 편으로는 기본 프레임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다른 한 편으로는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탭(13, 13')의 탄성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나사 구멍(171, 171')에 나사 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측면들(12, 12')은 제2 굽힘선(B, B')에 상응하는 각자의 굽힘 에지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도 단부면(11, 11') 위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된 제1 및 제4 굽힘선(A, A', A", D, D')에서는 판금부(1')가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제4 굽힘선(D, D')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각각 플랜지(17, 17')가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하는 데 이용될 나사 구멍(171, 171')을 갖는다. 판금부(1')가 제1 굽힘선(A, A', A")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기본 프레임의 폐쇄 형상이 제공되고, 이로써 기본 프레임은 보강 영역(14, 14')에 의해 보강되면서 단부면(11, 11') 및 측면(12, 12')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직각 절곡 과정은, 뺨 영역이 기본 프레임 외부에, 즉, 기본 프레임의 측면들(12, 12')의 외부면에 배치되도록 수행된다.
기본 프레임의 폐쇄 형상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2 측면(12')이 제1 단부면(11)에, 예를 들면 접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리벳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어야 한다. 특히, 이와 같은 고정은 복수의 용접점을 설정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유 프레임은 오로지 단 하나의 일체형 펀칭 굽힘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판금부(1, 1')는 보유 프레임(4)의 기계적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되지 않은 제1 단부면(11)이 기본 프레임의 제1 단부를 형성한다. 보강되지 않은 제2 단부면(11)은 또한 기본 프레임의 제2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양 단부는, 이들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지며 각각 관련 보강 영역(14, 14')에 의해 보강되는 2개의 측면(12, 12')과 함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제2 실시예에서 2개의 또 다른 판금부(2, 2'), 다시 말해 제3 판금부(2) 및 제4 판금부(2')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 추가 판금부(2, 2')는 윈도우(231, 231')의 크기를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상기 판금부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한다.
상기 2개의 또 다른 판금부(2, 2')는 각각,
- 제1 굽힘선(A, A')에 의해 제1 단부면(21, 21')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1 굽힘선(A, A')의 방향으로 단부면(21, 21')을 넘어 돌출하는 하나의 측면(22, 22')과,
- 일측은 제2 굽힘선(B, B')에서 측면(22, 22')에 인접하고, 타측은 제한선(E, E')에 의해 제한되는 보강 영역(24, 24')과,
- 제3 굽힘선(C, C')에서 상기 측면(22, 22')에 인접하는 제2 단부면(25, 25')과,
- 체결 윈도우(231, 231')를 각각 하나씩 갖는 4개의 독립 탭(23, 23')으로서, 이들 탭(23, 23')은 슬롯(28, 28')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고, 이들 탭(23, 23')의 개수 및 그에 상응하는 슬롯(28, 28')의 개수는 예로서 선택된 것이며, 이 경우 제3 판금부(2)에 속하는 4개의 탭(2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231)가 제4 판금부(2')에 속하는 다른 4개의 탭(23')에 형성된 체결 윈도우(231')보다 더 크고, 특히 더 넓은, 탭들과,
- 제4 굽힘선(D, D')에 의해 제1 단부면(21, 21')에 인접하고, 나사 구멍(271, 271')을 갖는 플랜지(27, 27')를 포함한다.
파선으로 도시된 제2 굽힘선(B, B')에서는, 제3 또는 제4 판금부(2, 2')가 각각 180°만큼 제1 방향으로 접힌다. 그럼으로써, 각각의 측면(22, 22')을 상응하게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보강 영역(24, 24')이 측면들(22, 22') 중 각각 하나에 놓이게 된다. 이로써, 파선으로 도시된 제한선(E, E')은, 탭(23, 23')이 차후 개별 측면(22, 22')을 넘어 돌출하기 시작하는 한계점을 형성한다.
이때, 개별 보강 영역(24, 24')은 공통된 굽힘선에서만, 다시 말해 제2 굽힘선(B, B')에서만 관련 측면(22, 22')과 연결되며, 그에 상응하게 다른 방식으로는,즉, 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등의 방식으로는 관련 측면에 고정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탭들(23, 23')이 상응하게 높은 유연성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탭이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시 말해 보강 영역(24, 24') 안쪽으로 측면(12, 12')으로부터 각자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롯(28, 28')의 길이에 의해 탭(23, 23')의 길이 및 이와 더불어 원하는 탄성도 조정될 수 있다.
탭(23, 23')과 보강 영역(24, 24')을 통틀어 뺨 영역이라 지칭하며, 상기 뺨 영역에는 편의상 도면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뺨 영역은 6개의 슬롯(28, 28')에 의해 대체로 동일한 크기의 간격으로 분할되고, 이로 인해 탭들(23, 2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탭들(23, 23')의 길이는 슬롯들(28, 28')의 길이에 상응하게 된다. 이와 연계하여, "대체로"라는 개념은, 슬롯(28, 28') 및 이와 더불어 탭(23, 23')도 제한선(E, E')을 초과하여 개별 보강 영역(24, 24') 내부까지 연장되지긴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 굽힘선(B, B') 앞에서 끝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보강 영역(24, 24')의 적어도 일부가 탭(23, 23')으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탭(23, 23') 뿐만 아니라 보강 영역(24, 24')에도 귀속될 수 있는 중첩 영역, 즉 제한선(E, E')과 제2 굽힘선(B, B') 사이에 놓인 탭(23, 23')의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첩 영역이 2중 기능을 갖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중첩 영역이 한 편으로는 기본 프레임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다른 한 편으로는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탭(23, 23')의 탄성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나사 구멍(271, 271')에 다사 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측면들(22, 22')은 제2 굽힘선(B, B')에 상응하는 각자의 굽힘 에지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도 각각의 제1 단부면(21, 21') 위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된 제1, 제3 및 제4 굽힘선(A, A', C, C', D, D')에서는, 상기 두 판금부(2, 2')가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제1 굽힘선(A, A') 및 제3 굽힘선(C, C')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두 판금부(2, 2')의 직각 절곡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실시되며, 각각 측면(22, 22'), 제1 단부면(21, 21') 및 제2 단부면(25, 25')으로 형성되는, 판금부(2, 2')의 U자 형상을 보장한다. 그럼으로써, 뺨 영역은 하나의 외부면에, 다시 말해 각각의 측면(22, 22')에서 구부러진 단부면(21, 25, 21', 25')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제4 굽힘선(D, D')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각각 플랜지(27, 27')가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고정하는 데 이용될 나사 구멍(271, 271')를 갖는다.
도 2c 및 도 2d는, 2개의 변형된 판금부(2", 2'''), 즉 제5 판금부(2") 및 제6 판금부(2''')를 도시한다. 상기 2개의 변형된 판금부(2", 2''')는, 이들 판금부가 자신의 각각의 제2 단부면(25, 25')에서 각각 또 다른 관련 제5 굽힘선(F, F')에 걸쳐 상응하는 나사 구멍(291, 291')을 갖는 추가 보강 플랜지(29, 29')를 구비한 점에서 제3 판금부(2) 또는 제4 판금부(2')와 상이하다.
도 3a는, 2개의 또 다른 판금부(2, 2'), 즉 제3 판금부(2) 및 제4 판금부(2')가 절곡된 상태를 보여주며, 이로써 상기 판금부들은 각각 전술한 U자 형상을 가지고,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금부들이 서로에 대해 판금 두께만큼 오프셋되어, 상기 판금부의 제1 단부면(21, 21')과 제2 단부면(25', 25)이 각각 적층되고 서로 넓은 면에 걸쳐 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또는 나사 결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에게 슬라이딩됨으로써, 함께 하나의 보유 프레임으로 합쳐질 수 있다.
한 편으로는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프레임이 단부면(21, 21')의 영역에서 보강된다. 보강된 제1 단부면(21)은 제1 단부를 형성한다. 보강된 제2 단부면(25)은 제2 단부를 형성한다. 다른 한 편으로는, 양측 단부들과, 개별 보강 영역(24, 24')에 의해 보강된 양측 측면(22, 22')으로 기본 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기본 프레임은, 제1 단부면들(21', 21)에 제2 단부면들(25, 25')이 넓은 면에 걸쳐 고정되고 그로 인해 매우 안정적으로 폐쇄됨으로써 뛰어난 강도를 갖게 된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나사 구멍(271, 271')에 나사 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기본 프레임은 자신의 측면들(22, 22')의 영역에서, 특히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개별 보강 영역(24, 24')에 의해 안정화된다.
다시 말해, 특히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4개의 나사 구멍(271, 271')에 나사 결합된 경우,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본 프레임은 자신의 폐쇄 형상뿐만 아니라 자체 재료의 보강에 의해서도, 단부면 및 측면(22, 22', 21, 21')에서 매우 큰 강도를 갖는다. 그에 반해, 탭들(23, 23')은 관련 슬롯(28, 28')의 길이에 상응하는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련 측면(22, 22')으로부터 벌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기본 프레임을 기준으로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매우 큰 탄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특히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나사 구멍(271, 271')에 고정된 보유 프레임의 경우, 측면(22')을 특정 경로 길이만큼 외부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탭(23')에서보다 더 큰 힘이 측면(22')에 작용해야 한다.
더 나아가, 보유 프레임이 2개 초과의 부재로 구성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는 플랜지 및 보강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랜지는 차후 보강면으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보강면은 차후 바람직하게 일체형 기본 프레임의 일 단부면에, 예를 들면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또 다른 한 부재는 차후 예를 들어 뺨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추가 부재는 차후 기본 프레임의 한 쪽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고정에도 불구하고 탭들은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관련 측면으로부터 벌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는 점에 최대한 주의해야 한다.
도 3b는, 도 3a와 비교할 수 있도록, 2개의 변형된 판금부(2", 2'''), 즉 제5 판금부(2") 및 제6 판금부(2''')가 각각 절곡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2개의 변형된 판금부(2", 2''')는, 이들 2개의 변형된 판금부(2", 2''')가 이들의 제2 단부면(25, 25')에서 각각 관련 나사 구멍(291, 291')을 가지며 직각으로 꺾인 보강 플랜지(29, 29')를 구비한 점에서, 다른 절곡 모듈(2, 2')과 상이하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두 변형 절곡 판금부(2", 2''')의 결합 시, 각각의 플랜지(27, 27')와 보강 플랜지(29, 29')가 제1 및 제2 단부면(21, 21', 25, 25')과 마찬가지로 서로 편평하게 중첩되어, 예를 들어 접착, 납땜, 용접, 리벳 체결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보유 프레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모듈(3)의 한 가능한 구조적 형상을, 상이한 관찰 방향에서, 그러나 각각 모듈의 삽입측을 바라보고 도시한 것이다. 물론 유사한 구조 형상의 다른 모듈들도 가능하다.
모듈(3)은 제1 종방향 측면(32)에, 제1 체결 윈도우(131, 231, 431) 내에 체결되기 위해 제공된 제1 체결 러그(31)를 갖는다. 모듈(3)은 상기 제1 종방향 측면(32)의 반대편에 놓인 제2 종방향 측면(32')에 제1 체결 러그보다 좁은 제2 체결 러그(31')를 갖는다. 또한, 모듈은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되며, 이는 모듈의 내열성을 개선한다. 체결 러그(31, 31')의 형상 및 윈도우(131, 131', 231, 231', 431, 431')의 형상에 의해, 보유 프레임 내에서의 모듈(3)의 배향이 결정된다.
도 5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또 다른 판금부(2, 2'), 즉 제3 판금부(2) 및 제4 판금부(2')로 형성된 보유 프레임을 보여준다. 이 보유 프레임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하나의 제1 판금부(1, 1')로도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개별 부재, 즉 2개 이상의 개별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유 프레임은,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기본 프레임으로 형성된 제1 영역(B1)과, 외부에 놓인 2개의 뺨 영역으로 형성된 제2 영역(B2)을 갖는다. 제1 영역(B1)은 기본 섹션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제2 영역(B2)은 변형 섹션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뺨 영역들이 이들의 개별 보강 영역(24, 24')으로써 기본 프레임을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여 보강하지만, 외부를 향해 보강되지 않더라도 벌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탭들(23, 23')은 이들의 중첩 영역을 포함해서 서로 독립적으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다시 말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나사 구멍(271, 271')에 고정된 기본 프레임이, 예를 들어 그의 측면들(22, 22')의 중앙에서는, 탭(23, 23')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윈도우 영역에서 동일한 경로 길이만큼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더 큰 힘으로, 바깥쪽으로 편향된 부분에 맞설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관점에서는 제2 측면(22')만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보강 영역(24) 및 상응하는 탭(23)을 갖는 뺨 영역에 의해 제1 측면(22)이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와 달리, 양측 단부면(21, 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개별 단부면(21, 21')의 끝에서 각각 2개의 나사 구멍(271, 271')을 가진 플랜지(27, 27')가 구부러져 있다. 이로써, 각각의 측면(22, 22')은 관련 보강 영역(24, 24')에 의해, 제2 굽힘 에지(B, B')에서 수행된 절첩에 의해 보강된다. 따라서, 보강 영역(24, 24')의 일부는 탭들(23, 23')의 중첩 영역으로 형성된다. 측면(22, 22') 및 보강 영역(24, 24')은 제2 굽힘선(B, B')에 상응하는 자신들의 굽힘 에지에 의해 각각 단부면(21') 끝을 넘어 돌출한다.
도 3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부면(21, 21')은 각각 다른 판금부(2, 2')의 제2 단부면(25, 25')과 서로 결합됨으로써 보강되며, 이로써 각각 제1 또는 제2 단부를 형성한다. 그 대안으로 보유 프레임이 일체형인 경우, 다시 말해 단 하나의 판금부(1)로 형성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부면은 각각 인접하는 보강면(15, 15')으로부의 절첩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보강면도 별도의 부품으로서 단부면에 접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보강면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B1), 즉 기본 프레임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제2 영역(B2)보다 큰 강도를 갖는다. 제1 영역(B1)은, 한 편으로는 양측 판금부(2, 2')의 제1 및 제2 단부면(21, 25', 21', 25)의 넓은 면에 걸친 연결에 의해 구현된 자신의 폐쇄 형상으로 인해, 다른 한 편으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영역(B2)을 이용하여, 즉 탭들(23, 23')의 중첩 영역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1 영역(B1)의 보강에 의해, 상기와 같은 강도를 갖는다. 특히, 제1 영역(B1)과 제2 영역(B2)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이들의 기능에도 주목해야 한다. 기본 프레임, 즉 제1 영역(B1)은 보강 영역에 의해서, 그리고 이와 더불어 탭들(23, 23')의 중첩 영역에 의해서도, 즉, 제2 영역(B2)의 일부분에 의해서도, 즉 상기 제2 영역의 보강 영역(24, 24')에 의해서도 안정화된다. 특히 기본 프레임은 자신에 제공된 기능, 즉 모듈(3)을 지지하는 기능에 상응하게, 외부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상기 보강에 의해 매우 큰 힘으로 맞선다. 특히 이는, 보유 프레임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장착된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나사 구멍(271, 271')에 나사 결합된 경우,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나사 구멍(271, 271')에 고정된 경우에 적용된다.
제2 영역(B2)은 뺨 영역으로 형성되고, 보강되지 않은 탭들(23, 23')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프레임을 기준으로 바깥쪽을 향해 탭(23, 23')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제2 영역, 즉 기본 프레임보다 훨씬 더 작은 탄성 계수로 맞선다. 이로써, 제2 영역(B2)은 제1 영역(B1)보다 훨씬 더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보유 프레임은 예를 들어 내부로부터 탭들(23') 중 하나를 향해 가압하는 힘보다, 내부로부터 자신의 제2 측면(22')을 향해 작용하는 힘에 대해 훨씬 더 큰 탄성 계수를 갖는다. 이는 특히, 내부로부터 측면(22, 22')을 향해 가압하는 힘에 대하여, 개별 측면(22, 22')의 탄성 계수 및 외부에 놓인 뺨 영역의 보강 영역(24, 24')의 탄성 계수가 가산되어 총 탄성 계수가 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따라서, 상기 총 탄성 계수는 당연히 각각의 개별 측면(22, 22')의 탄성 계수보다 더 크다.
이때, 탭(23, 23')의 개수, 즉 본 경우에 8개는 예시로서 선택된 것이며, 보유 프레임은 예를 들어 6개, 10개, 12개 혹은 14개 또는 다른 짝수개의 탭(23, 23')을 가질 수 있다. 절반의 탭, 즉 본 경우에는 보유 프레임의 제1 측에 놓인 4개의 탭(23)이 보유 프레임의 다른 측에 있는 다른 4개의 탭(23')보다 더 큰, 특히 더 긴 윈도우(231)를 가지며, 상기 탭의 윈도우(231')는 처음에 언급한 윈도우(231)보다 비교적 더 작고, 특히 더 좁으며, 그에 상응하게 다른 형상도 갖는다. 특히, 모듈(3)의 제1 체결 러그(31)는 도 4a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더 큰 윈도우(231)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체결 러그(31')는 도 4b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더 작은 윈도우(23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보유 프레임 내에서의 개별 모듈(3)의 배향이 결정된다.
다시 말해, 체결 러그(31, 31')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개별 체결 윈도우(231, 231') 내부에 매칭되거나, 적어도 모듈(3)이 체결 윈도우에 의해 보유 프레임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개별 체결 윈도우(231, 2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는 모듈(3)을 상기 모듈의 케이블 단자를 바라보고 도시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모듈(3)의 체결 러그(31)가 체결 윈도우(231)에 의해 파지됨으로써, 모듈(3)이 보유 프레임 내에 체결된다. 또한, 탭들(23, 23')이 이들의 독립 단부 쪽으로 가면서 약간 벌어져서 구부러져 있는 점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모듈(3)의 삽입 안내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모듈(3)은 매우 단단하고 안정적인 제1 영역(B1), 즉, 기본 프레임에 의해 자신의 자리에 매우 안정적으로 보유된다. 또한, 기본 프레임이 자신의 측면(22, 22') 영역에서 굽힘 에지(B)로써 단부면(21, 21')의 끝을 넘어 돌출하여 특히 강한 레버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모듈이 안정화된다. 이로 인해, 보유 프레임은 모듈(3)을 상기 모듈의 종방향 측면(32, 32')의 넓은 면에 걸쳐 보유한다.
또한, 이로 인해 모듈(3)은 매우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탭들(23, 23') 내부에 체결되는데, 이 경우 탭들은 자체 탄성으로 인해 체결뿐만 아니라 체결 해제를 위해서도 매우 적은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다. 특히, 모듈을 체결하는 탭들(23, 23')은, 개별 모듈을 다시 다른 모듈들과 무관하게 체결 해제하여 다시 릴리스하기 위해, 각자 서로 벌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보유 프레임의 탭들(23, 23')이 이들의 독립 단부 영역에서 보유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구부러지기 때문에, 모듈(3)은 매우 편안하게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 안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3)이 먼저 보유 프레임의 2개의 탭(231, 231') 사이로 삽입되고, 그 다음에 상기 모듈의 양측 종방향 측면(32, 32') 및 특히 상기 종방향 측면들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 러그(31, 31')에 의해, 탭(23, 23')의 서로 벌어지는 단부 영역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럼으로써, 양측 탭(23, 23')은, 개별 체결 러그(31, 31')가 개별 탭(23, 23')의 관련 체결 윈도우(231, 231')에 의해 파지되어 그 내부에 체결될 때까지, 잠시 서로 벌어져 있게 된다. 체결 러그(31, 31')가 개별 체결 윈도우(231, 231') 내에 파지되면, 탭들(23, 23')은 바람직하게 이들의 출발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듈(3)은 보유 프레임 내에서 개별적으로 체결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개별 모듈(3)은 보유 프레임 내에서 특히 안정적이고 단단한 제1 영역(B1), 즉 보강된 기본 프레임에 의해 큰 힘으로 보유된다. 따라서, 보유력과 작동력 간의 매우 양호한 비율이 달성된다.
1: 제1 판금부
1': 제2 판금부
2: 제3 판금부
2': 제4 판금부
2": 제5 판금부
2''': 제6 판금부
11, 11': 단부면
21, 21': 제1 단부면
25, 25': 제2 단부면
12, 12', 22, 22': 측면
13, 13', 23, 23': 탭
131, 131', 231, 231': 체결 윈도우
14, 14', 24, 24': 보강 영역
15, 15', 45': 보강면
17, 17', 27, 27': 플랜지
29, 29': 보강 플랜지
171, 171', 271, 271': 나사 구멍
18, 18', 28, 28': 슬롯
3: 모듈
31, 31': 제1, 제2 체결 러그
32, 32': 제1, 제2 종방향 측면
A, A', B, B', C, C', C", C''', D, D', F, F': 굽힘선
E, E': 제한선

Claims (41)

  1.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으로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판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유 프레임은 수용된 모듈(3)을 하나의 평면에 고정하기 위한 기본 섹션과, 삽입 상태 및 보유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을 가지며,
    상기 기본 섹션은 180°만큼 접어서 겹쳐진 판금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상기 기본 섹션의 하나의 층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상태는 하나 이상의 모듈(3)이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수용된 모듈(3)은 보유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보유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 및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하나의 또는 복수의 판금부(1, 1', 2, 2', 2", 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섹션은 제1 단부, 제2 단부,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측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1 측부와 제2 측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제1 뺨 영역 및 제2 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뺨 영역은 제1 측부에, 그리고 상기 제2 뺨 영역은 제2 측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여러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 섹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하나 이상의 부분과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각각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본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있는 제1 측부를 가지고, 상기 기본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에 있는 제2 측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뺨 영역을 가지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뺨 영역은 제1 측부에, 그리고 상기 제2 뺨 영역은 제2 측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7. 제5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이 각각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본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그리고 이들 단부 사이에 있는 제1 측부를 가지고, 상기 기본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측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뺨 영역을 가지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뺨 영역은 제1 측부에, 그리고 상기 제2 뺨 영역은 제2 측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8. 제5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각각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본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측부와 제2 측부, 그리고 이들 측부 사이에 있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상기 기본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1 부분은 제1 뺨 영역을 가지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제2 부분은 제2 뺨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뺨 영역은 제1 측부에, 그리고 상기 제2 뺨 영역은 제2 측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본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판금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삽입 상태와 보유 상태 사이에서의 탄성 변형 및 삽입 상태로부터 보유 상태로 소성 변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복수의 탭(13, 13', 23, 23')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탭이 하나의 슬롯(18, 18', 28, 28')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롯(18, 18', 28, 28')이 기본 섹션 내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모듈(3)의 체결 러그(31, 31')를 파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체결 윈도우(131, 131', 231, 231') 또는 모듈(3)의 체결 리세스 내에 파지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체결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프레임.
  14.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판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유 프레임은 수용된 모듈(3)을 하나의 평면에 고정하기 위한 기본 섹션과, 삽입 상태 및 보유 상태를 취할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을 가지며,
    상기 기본 섹션은 180°만큼 접음으로써 겹쳐진 판금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상기 기본 섹션의 하나의 층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 상태는 하나 이상의 모듈(3)이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수용된 모듈(3)은 보유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15.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내부로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판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유 프레임은 모듈(3)을 하나의 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보유 프레임의 기본 섹션 내부로 상기 모듈(3)의 삽입부와, 보유 프레임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의 변형에 의해 기본 섹션 내부에 상기 모듈(3)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섹션은 180°만큼 접어서 겹쳐진 판금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섹션은 상기 기본 섹션의 하나의 층과 일체로 형성되는,
    모듈 삽입 방법.
  16.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내부로 모듈을 삽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판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유 프레임은 모듈(3)을 하나의 평면에 고정하기 위해 보유 프레임의 기본 섹션 내부로 상기 모듈(3)의 삽입부와, 보유 프레임의 변형 섹션을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기본 섹션 내부에 상기 모듈(3)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섹션은 180°만큼 접어서 겹쳐진 판금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 섹션은 상기 기본 섹션의 하나의 층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모듈(3)이 케이블 단자의 방향으로부터 보유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모듈 삽입 방법.
  17.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3)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의 금속성 보유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이 판금으로부터 하나의 피스(piece)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 굽힘 에지에서 180°만큼 굽혀서 겹쳐진 층을 형성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보유 프레임이 2개의 탄성 판금부(2, 2', 2", 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0. 제17항에 있어서, 보유 프레임이 2개 초과의 탄성 판금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판금부들(1, 1', 2, 2', 2", 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굽힘 에지(A, A', B, B', C, C', D, D', F, F')를 가지며, 상기 굽힘 에지에서 하나 이상의 판금부가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2.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판금부(1, 1', 2, 2', 2", 2''')가 하나 이상의 굽힘 에지(A, A', A", D, D', F, F')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3. 삭제
  24.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판금부(2, 2', 2", 2''')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편평하게 적층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판금부(2, 2', 2", 2''')가 접착, 용접, 납땜, 리벳 체결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이 적어도,
    - 2개의 단부면(11, 11', 21, 21'),
    - 2개의 측부(12, 12', 22, 22'),
    - 2개의 뺨 영역을 가지며,
    각각의 뺨 영역은 하나의 보강 영역(14, 14', 24, 24') 및 복수의 탭(13, 13', 23, 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7. 제26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13, 13', 23, 23')이 개별 모듈(3)의 체결 러그(31, 31')를 파지할 목적으로 제공된 체결 윈도우(131, 131', 231, 2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2개의 측부(12, 12', 22, 22') 및 2개의 단부면(11, 11', 21, 21')으로 구성된 기본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프레임은 횡단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0. 제26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면(11, 11', 21, 21')이 적어도 각각 하나의 측부(12, 12', 22, 22')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각각의 뺨 영역이 관련 측부(12, 12', 22, 22') 위로 접힘으로써, 보강 영역(14, 14', 24, 24')이 각각 측부(12, 12', 22, 22') 위에 배치되며, 탭들(13, 13', 23, 23')이 상기 측부(12, 12', 22, 22')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2개의 판금부(2, 2', 2", 2''')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판금부(2, 2', 2", 2''') 각각은 제1 단부면(21, 21') 및 제2 단부면(25, 25')을 가지며, 양측 단부면들 모두 개별 측부(22, 22')로부터 직각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2. 제31항에 있어서, 양측 판금부(2, 2', 2", 2''')의 제1 단부면(21, 21') 및 제2 단부면(25, 25')이 각각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판금부(1, 1') 또는 판금부(2, 2', 2", 2''')가 펀칭 굽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전기적 보호 접지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35. 동종 모듈들 또는 이종 모듈들(3)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유 프레임이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용 금속성 보유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일 굽힘 에지를 따라 180°만큼 판금을 접어서 공동의 인접 에지를 갖는 겹쳐진 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유 프레임이 판금으로부터 하나의 피스(piece)로 형성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36. 삭제
  37. 제35항에 있어서, 보유 프레임이 단일 판금부(1, 1')로부터 절첩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판금부(2, 2', 2", 2''')로부터 절첩 및 접합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판금부(1, 1') 또는 판금부(2, 2', 2", 2''')는 보유 프레임의 제1 영역(B1)에서 횡단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하나의 기본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적어도 2개의 단부면(11, 11', 21, 21') 및 2개의 측부(12, 12', 22, 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판금부(1, 1') 또는 판금부(2, 2', 2", 2''')는 2개의 뺨 영역 형상의 제2 영역(B2)을 가지고, 상기 2개의 뺨 영역이 개별 측부(12, 12', 22, 22') 위로 접히며, 이로써 상기 측부(12, 12', 22, 22')에서 기본 프레임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의 기본 프레임은 그 내부에 수용된 모듈(3)을 단일 방향으로 보유하고, 그와 동시에 개별 뺨 영역에 속하는 탭(13, 13', 23, 23')을 이용해서 상기 모듈(3)을 상기 탭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프레임은 자체 탭(13, 13', 23, 23')을 이용해서, 모듈(3)이 탭들(13, 13', 23, 23')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모듈(3)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성 보유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0167018664A 2013-12-12 2014-12-11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KR101810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3973.6A DE102013113973B4 (de) 2013-12-12 2013-12-12 Metallischer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3113974.4A DE102013113974A1 (de) 2013-12-12 2013-12-12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3113973.6 2013-12-12
DE102013113974.4 2013-12-12
PCT/DE2014/100438 WO2015085994A1 (de) 2013-12-12 2014-12-11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356A KR20160098356A (ko) 2016-08-18
KR101810807B1 true KR101810807B1 (ko) 2017-12-19

Family

ID=5239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664A KR101810807B1 (ko) 2013-12-12 2014-12-11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50391B2 (ko)
EP (1) EP3080874B1 (ko)
KR (1) KR101810807B1 (ko)
CN (1) CN105814749B (ko)
RU (1) RU2657870C2 (ko)
WO (1) WO2015085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4700B4 (de) 2015-09-03 2020-08-0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DE102015114699A1 (de) * 2015-09-03 2017-03-0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module
DE102015114701B4 (de) 2015-09-03 2019-01-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mit Sperrelement
DE102016100794B4 (de) * 2016-01-19 2019-03-28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mit Führungselement für Steckverbindermodule und System bestehend aus zwei dieser Halterahmen
DE102016203483B4 (de) * 2016-03-03 2019-02-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system für modulare Steckverbinder
DE102016213251A1 (de) * 2016-07-20 2018-01-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anordnung mit Grundrahmen und Fixierelement und Bestückungsverfahren
DE102016213286A1 (de) * 2016-07-20 2018-01-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ehrteiliger Halterahmen, Konfektionier- und Bestückungsverfahren
CN108061943B (zh) * 2016-11-07 2020-01-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DE102017105077B4 (de) * 2017-03-10 2018-09-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einsatz für ein Steckverbinderteil
DE102017003198B4 (de) * 2017-04-03 2018-10-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modularsystem mit integriertem Datenbus
BE1025564B1 (de) 2017-09-19 2019-04-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odularer Anschlussblock mit einer Mehrzahl von Anschlussmodulen für ein Elektronikbauteil
DE102017129742A1 (de) * 2017-12-13 2019-06-13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mpaktes Anbaugehäuse
CN109473826B (zh) * 2018-12-28 2023-10-27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模块的固定框架
CN111092324A (zh) * 2020-01-20 2020-05-0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N111417272B (zh) * 2020-03-19 2021-05-11 东莞市东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铝塑复合直接传热的电源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6079A1 (de) 1977-08-10 1979-02-22 Air Lb Gmbh Einrastbare reihenklemme oder anschlussmoduln sowie traegerschiene hierfuer
US20130217268A1 (en) * 2012-02-17 2013-08-22 Advanced-Connectek Inc. Connector module with persistent contact for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5606A (en) * 1961-06-30 1965-01-12 Clinton T Cooper Mat switch having u-shaped binding clamps
US3974552A (en) * 1973-07-13 1976-08-17 Let-R-Edge Of Canada Ltd.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sign character
US4097632A (en) * 1973-07-13 1978-06-27 Let-R-Edge Of Canada, Ltd. Product for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sign character
US4032209A (en) 1976-01-15 1977-06-28 Appleton Electric Company Multiple socket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GB1542971A (en) * 1976-01-23 1979-03-28 Bowthorpe Hellermann Lt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and an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made up from a plurality of such modules
DE3311488A1 (de) 1983-03-29 1984-10-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Ueberspannungsschutzvorrichtungen zum anbau an einen anschlussverteiler
FR2572857B1 (fr) * 1984-11-05 1986-12-26 Sogie Element de connecteur multicontacts et dispositif pour immobiliser un bloc isolant dans le boitier d'un tel element de connecteur
DE8533584U1 (de) * 1985-11-29 1986-06-19 Ewald Euscher GmbH & Co, 4800 Bielefeld Rahmen für mehrpolige Steckverbinder
US4682839A (en) * 1986-01-30 1987-07-28 Crane Electronics, Inc. Multi-row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FR2657469A1 (fr) 1990-01-22 1991-07-26 Aerospatiale Barrette de raccordement electrique.
US5352133A (en) 1993-07-19 1994-10-04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having anti-overstress latch means
DE29508095U1 (de) 1995-05-17 1995-07-20 HTS-Elektrotechnik GmbH, 53819 Neunkirchen-Seelscheid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DE19707120C1 (de) 1997-02-22 1998-06-25 Harting Kgaa Halterahmen
US6977337B1 (en) * 2004-06-16 2005-12-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assembly packaging
US7357673B2 (en) * 2004-06-30 2008-04-15 Molex Incorporated Shielded cag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DE202005020026U1 (de) * 2005-12-22 2006-03-1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ermodule
DE102007063592A1 (de) * 2007-12-21 2009-07-02 Merten Gmbh & Co. Kg Kontaktelement
US8870259B2 (en) * 2008-11-12 2014-10-28 Irvin Automotive Products, Inc. Hybrid visor
JP4898860B2 (ja) 2009-03-13 2012-03-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15378B2 (ja) * 2009-12-09 2014-10-29 ハルティング エレクトリ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HARTING Electric GmbH & Co. KG システムプラグコネクタ
SI2581991T1 (sl) 2011-10-13 2017-03-31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Držalni okvir za vtični konektor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293431B2 (ja) * 2013-03-05 2018-03-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37182B2 (ja) * 2013-05-17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202013103611U1 (de) 2013-08-12 2013-09-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Steckverbinder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6079A1 (de) 1977-08-10 1979-02-22 Air Lb Gmbh Einrastbare reihenklemme oder anschlussmoduln sowie traegerschiene hierfuer
US20130217268A1 (en) * 2012-02-17 2013-08-22 Advanced-Connectek Inc. Connector module with persistent contact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50391B2 (en) 2018-08-14
KR20160098356A (ko) 2016-08-18
US20160276786A1 (en) 2016-09-22
CN105814749B (zh) 2018-09-11
EP3080874B1 (de) 2019-02-20
WO2015085994A1 (de) 2015-06-18
EP3080874A1 (de) 2016-10-19
CN105814749A (zh) 2016-07-27
RU2657870C2 (ru)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807B1 (ko) 플러그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KR101798349B1 (ko) 플러그 타입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JP5666400B2 (ja) クリップ
JP2016540356A5 (ko)
CN110254955B (zh) 固定用捆扎带
US9490596B1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JP2015220919A (ja) 電線固定構造
JP201211010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7199842A1 (ja) クリップ
US20190157788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US10153578B2 (en) Connector structure
WO2014175372A1 (ja) コネクタ
US12005844B2 (en) Flat harness attachment structure, flat harness attachment component, and attachment component-equipped flat harness
US6083042A (en) Adjustable connecting device
JP2015033314A (ja) 結束バンドの取付構造
JP5833456B2 (ja) 電線用固定部材の係止構造
JP4737443B2 (ja) スナップフィット結合構造
JP2016059101A (ja) 電線モジュール
JP2006216433A (ja) コネクタ
JP201906174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カバー体、及びコネ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CN113013803B (zh) 保护器及线束
US2021002224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s
JPH0447478B2 (ko)
JP2011233405A (ja) コネクタ
JP2015076381A (ja) シール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