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641B1 - 봉강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봉강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641B1
KR101810641B1 KR1020170087572A KR20170087572A KR101810641B1 KR 101810641 B1 KR101810641 B1 KR 101810641B1 KR 1020170087572 A KR1020170087572 A KR 1020170087572A KR 20170087572 A KR20170087572 A KR 20170087572A KR 101810641 B1 KR101810641 B1 KR 101810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groove
conveyor
steel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수
Original Assignee
송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7008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효과적으로 봉강(1)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봉강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모터(46)에 의해 회동되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봉강(1)을 가압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봉강 이송장치{steel rod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효과적으로 봉강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봉강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을 통해 긴 봉형상으로 제작된 봉강은 이송장치에 의해 절단장치로 공급되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후 적재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봉강은 길이가 길게 구성됨으로, 상기 이송장치와 절단장치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봉강을 일직선의 경로를 따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장치와 절단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매우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봉강 이송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은 바 있다.(등록특허 10-1667759호)
상기 봉강 이송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강(1)을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A)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배출컨베이어(B)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공급된 봉강(1)을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전달하는 전달유닛(C)과,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D)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달유닛(C)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에 부채꼴로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봉강(1)을 방향전환시켜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회전대(40)와, 상기 회전대(40)에 연결되어 회전대(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대(40)는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공급컨베이어(A)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봉강(1)이 삽입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된 지지바(42)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에 고정홈(42a)의 입구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바(43)와, 상기 푸쉬바(43)에 연결되어 푸쉬바(43)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42)는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부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각 지지바(42)는 전방에 구비된 것에 비해 후방에 구비된 것의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상기 봉강(1)이 상기 고정홈(42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1)을 회전시키면 상기 봉강(1)이 방향전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4)를 이용하여 푸쉬바(43)를 전진시키면, 상기 푸쉬바(43)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에 삽입된 봉강(1)을 외측으로 밀어 봉강(1)을 고정홈(42a)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봉강(1)이 공급되면, 상기 전달유닛(C)이 동되어, 상기 봉강(1)을 호형상의 궤적을 그리도록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B)로 이송하여 배출함으로, 봉강 이송장치를 길게 일직선으로 배치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음으로, 이송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봉강 이송장치의 자세한 구조 및 작용은 등록특허 10-1667759호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봉강 이송장치는 상기 봉강(1)이 상기 지지바(4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홈(42a)에 삽입됨으로,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홈(42a)의 폭을 상기 봉강(1)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경우, 봉강(1)이 고정홈(42a)에 삽입될 때, 봉강(1)이 진동을 하여 고정홈(42a)의 내부로 정확히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지지바(42)의 단부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42a)의 폭을 봉강(1)의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대(40)는 회전축(41)의 일측에 지지바(4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 상기 회전대(40)에 무게편중이 발생되어, 상기 구동모터(50)로 상기 회전대(40)를 회전시킬 때 상기 구동모터(50)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효과적으로 봉강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봉강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강(1)을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A)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배출컨베이어(B)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공급된 봉강(1)을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전달하는 전달유닛(C)과,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D)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닛(C)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에 부채꼴로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봉강(1)을 방향전환시켜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회전대(40)와, 상기 회전대(40)에 연결되어 회전대(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대(40)는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공급컨베이어(A)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봉강(1)이 삽입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된 지지바(42)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에 고정홈(42a)의 입구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바(43)와, 상기 푸쉬바(43)에 연결되어 푸쉬바(43)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4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42)는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부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각 지지바(42)는 전방에 구비된 것에 비해 후방에 구비된 것의 길이가 길게 구성된 봉강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가압부재(45)에 연결되어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회동모터(46)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봉강(1)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강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40)의 회전시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4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진동감지센서(4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에 미리 설정된 강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강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42)의 둘레면에 상기 지지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중앙부에 상기 연장바(51)가 삽입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51)의 외측에 연장바(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52)와, 상기 무게추(52)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52)가 정해진 범위내에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5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기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선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강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모터(46)에 의해 회동되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봉강(1)을 가압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봉강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봉강이송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강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강 이송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강 이송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봉강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봉강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봉강(1)을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A)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배출컨베이어(B)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공급된 봉강(1)을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전달하는 전달유닛(C)과,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D)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공급컨베이어(A)는 봉강(1)을 제작하는 압연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는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이송되는 봉강(1)을 상기 전달유닛(C)쪽으로 밀어 배출하는 배출수단(13)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13)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상기 전달유닛(C)의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브라켓(13a)과, 상기 이송로울러(12)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압판(13b)과, 상기 가압판(13b)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13b)을 전달유닛(C)쪽으로 전진시키는 실린더기구(13c)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13c)는 일반적인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압연기에서 제작된 봉강(1)이 이송로울러(12)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이송로울러(12)가 구동되어 상기 봉강(1)을 후방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봉강(1)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실린더기구(13c)가 가압판(13b)을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13b)이 상기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되는 봉강(1)을 상기 전달유닛(C)쪽으로 밀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B)는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개의 이송로울러(22)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B)의 구조는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동일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B)는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달유닛(C)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에 부채꼴로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봉강(1)을 방향전환시켜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회전대(40)와, 상기 회전대(40)에 연결되어 회전대(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대(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공급컨베이어(A)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봉강(1)이 삽입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된 지지바(42)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에 고정홈(42a)의 입구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바(43)와, 상기 푸쉬바(43)에 연결되어 푸쉬바(43)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44)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가압부재(45)에 연결된 회동모터(46)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과, 상기 지지바(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40)의 회전시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48)와, 상기 지지바(42)의 둘레면에 상기 지지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중앙부에 상기 연장바(51)가 삽입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51)의 외측에 연장바(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52)와, 상기 무게추(52)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52)가 정해진 범위내에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0)의 상면에 구비된 축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42)는 상기 회전축(41)의 일측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각 지지바(42)는 전방에 구비된 것에 비해 후방에 구비된 것의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바(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회전축(41)과 15°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42)는 3개로 구성되며, 전방의 지지바(42)의 길이가 가장 짧고, 후방의 지지바(42)의 길이가 가장 길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42)의 선단부에는 폭이 넓은 사각 블록형태의 헤드부(42c)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2a)은 상기 헤드부(42c)의 외측면에 상기 봉강(1)의 지름에 비해 넓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정홈(42a)의 내부에는 상기 푸쉬바(43)와 액츄에이터(44)가 결합되는 결합공(4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42a)의 일측에는 상기 가압부재(45)가 삽입되는 삽입홈(42c)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바(43)는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공(42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4)는 일반적인 공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회전대(40)는 3개로 구성되어, 상호 30°각도로 이격되면서, 각각의 회전대(40)에 구비된 지지바(42)의 단부가 상호 간섭되지 않게 최대한 근접되도록 상기 지지대(3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50)는 상기 회전대(40)의 회전축(4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대(40)를 정역방향으로 180°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45)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기단부에 구비된 힌지축(45a)에 의해 상기 삽입홈(42c)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시 선단부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모터(46)는 상기 가압부재(45)의 힌지축(45a)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5)를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출몰되도록 한다.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자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자성체인 봉강(1)이 삽입되면 상기 봉강(1)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자기센서는 금속탐지기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48)는 상기 지지바(42)의 헤드부(42c)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봉강(1)이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면에 충돌해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상기 연장바(51)는 강도가 높은 금속관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무게추(52)는 비중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42)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장바(5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42)와 무게추(52)가 무게의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0)를 이용하여 회전축(41)을 회전시킬 때, 구동모터(5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은 상기 지지바(42)에 구비되며 상기 무게추(52)에 연결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D)의 제어신호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를 따라 전후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장바(51)와 무게추(52) 및 전후진구동수단(53)은 상기 무게추(52)가 상기 연장바(51)의 선단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42a)에 상기 봉강(1)이 삽입된 지지바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고,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기단부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42a)에 상기 봉강(1)이 삽입되지 않은 지지바(42)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도록 무게와 길이 및 전후진하는 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급컨베이어(A)를 통해 공급된 봉강(1)을 상기 전달유닛(C)으로 전달한 후, 상기 전달유닛(C)을 이용하여 봉강(1)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B)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작동시켜 봉강(1)이 후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D)의 작용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42)가 상기 공급컨베이어(A)를 향하도록 회전대(40)가 회전된 상태에서,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봉강(1)이 이송되면,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배출수단(13)을 제어하여,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이송된 봉강(1)을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45)는 상기 삽입홈(42c)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무게추(52)는 상기 연장바(51)의 기단부로 후퇴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13)에 의해 배출된 봉강(1)은 측방향으로 굴러가서 상기 지지바(42)에 형성된 고정홈(42a)에 삽입되며, 상기 제어수단(D)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에 의해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을 구동시켜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선단부로 전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구동모터(50)를 제어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대(40)를 180°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대(4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대(40)의 고정홈(42a)은 측방향에 구비된 다른 회전대(40)의 고정홈(42a)과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봉강(1)의 고정을 해제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4)를 구동시켜 상기 푸쉬바(43)를 전진시켜서, 상기 푸쉬바(43)에 의해 상기 고정홈(42a)에 삽입된 봉강(1)이 고정홈(42a)의 외측으로 밀려나가서, 측방향에 구비된 다른 회전대(40)의 고정홈(42a)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을 구동시켜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기단부로 후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봉강(1)은 3개의 회전대(40)에 의해 측방향으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컨베이어(B)에 구비된 이송로울러(22)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전대(40)에 구비된 각각의 지지바(42)는 전방에 구비된 것에 비해 후방에 구비된 것의 길이가 길게 구성됨으로, 회전대(40)를 180°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대(4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봉강(1)은 방향이 전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지지바(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회전축(41)과 15°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회전대(40)에 의해 상기 봉강(1)은 30°씩 방향전환되면서 측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3개의 회전대(40)를 이용하여 봉강(1)을 측방향으로 전달하면, 상기 봉강(1)은 90°회전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B)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구동시키면, 봉강(1)이 후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봉강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모터(46)에 의해 회동되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봉강(1)을 가압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4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대(40)의 회전시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48)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진동감지센서(4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에 미리 설정된 강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45)와 회동모터(46)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가압부재(45)와 회동모터(46)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2)의 둘레면에 상기 지지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중앙부에 상기 연장바(51)가 삽입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51)의 외측에 연장바(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52)와, 상기 무게추(52)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52)가 정해진 범위내에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5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기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선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지지바 및 봉강(1)과 상기 연장바(51) 및 무게추(52)가 항상 무게의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0)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대(4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대(40)에 발생되는 무게편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공급컨베이어 B. 배출컨베이어
C. 전달유닛 D. 제어수단

Claims (3)

  1. 봉강(1)을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A)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배출컨베이어(B)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A)에 의해 공급된 봉강(1)을 상기 배출컨베이어(B)를 전달하는 전달유닛(C)과,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D)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유닛(C)은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에 부채꼴로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봉강(1)을 방향전환시켜 측방향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회전대(40)와,
    상기 회전대(40)에 연결되어 회전대(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대(40)는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공급컨베이어(A)의 연장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봉강(1)이 삽입되는 고정홈(42a)이 형성된 지지바(42)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에 고정홈(42a)의 입구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바(43)와,
    상기 푸쉬바(43)에 연결되어 푸쉬바(43)를 전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4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42)는 상기 회전축(41)의 둘레부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각 지지바(42)는 전방에 구비된 것에 비해 후방에 구비된 것의 길이가 길게 구성된 봉강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삽입된 봉강(1)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봉강(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압부재(45)와,
    상기 가압부재(45)에 연결되어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회동모터(46)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는 봉강감지수단(47)과,
    상기 지지바(4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40)의 회전시 상기 봉강(1)이 고정홈(42a)의 내측면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48)와,
    상기 지지바(42)의 둘레면에 상기 지지바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중앙부에 상기 연장바(51)가 삽입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바(51)의 외측에 연장바(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52)와,
    상기 무게추(52)에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52)가 정해진 범위내에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구동수단(5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D)은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의 내부로 봉강(1)이 삽입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회동모터(46)를 구동시켜 상기 가압부재(45)가 상기 고정홈(42a)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봉강(1)을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대(40)가 회전될 때 상기 진동감지센서(4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정홈(42a)에 미리 설정된 강도 이상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공급컨베이어(A)와 배출컨베이어(B) 및 전달유닛(C)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봉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기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지지바(42)의 고정홈(42a)에 봉강(1)이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무게추(52)가 연장바(51)의 선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전후진구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강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87572A 2017-07-11 2017-07-11 봉강 이송장치 KR10181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72A KR101810641B1 (ko) 2017-07-11 2017-07-11 봉강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72A KR101810641B1 (ko) 2017-07-11 2017-07-11 봉강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641B1 true KR101810641B1 (ko) 2017-12-19

Family

ID=6092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572A KR101810641B1 (ko) 2017-07-11 2017-07-11 봉강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66A (zh) * 2019-01-05 2019-03-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油管传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59B1 (ko) * 2016-05-03 2016-10-20 주식회사 그린스틸 봉강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59B1 (ko) * 2016-05-03 2016-10-20 주식회사 그린스틸 봉강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66A (zh) * 2019-01-05 2019-03-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隔热油管传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937B2 (en) Article feeder and spacer
US20070289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Fasteners To A Processing Device
WO2014119303A1 (ja) 伝熱管挿入装置
KR101810641B1 (ko) 봉강 이송장치
JP6377962B2 (ja) ダブル管切断モードで管を切断する自動鋸切断機のための供給ユニット
EP2780241B1 (en) Sleeving device, method and mandrel for arranging sleeves around products
KR101667759B1 (ko) 봉강 이송장치
JP6899656B2 (ja) ロール矯正機投入口側の長尺ワーク支持機構
US7228953B2 (en) Article feeder and spacer
US10589953B2 (en) Reconfigurable diverter conveyor
CN112441392A (zh) 一种便于储料和出料的轴承胚料转运箱
JP2012165685A (ja) 串整列装置及び団子製造機
CN105768206A (zh) 用于端面地检查在烟草加工工业的机器中的横轴向地传送的杆状的物件的装置和方法
JP5660813B2 (ja) 物品搬送装置
CN109704016B (zh) 一种圆台状物件的自动上料装置
EP1250211B1 (en) Press and delivery system for a press
EP3509443B1 (en) A feeding system, a feeding unit, a feeder and a method for feeding rod-like elements
KR101664292B1 (ko)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KR101502473B1 (ko) 메탈 스트립 어큐뮬레이터
CN107225194A (zh) 卷板机出料装置
JP6784392B2 (ja) 棒材供給機
CN216728816U (zh) 一种高速冷轧机的自动卸料装置
CN114798777B (zh) 缩扩两用冷拔机
JP7148148B2 (ja) 棒材供給機
JP7345844B2 (ja) 紙管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