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000B1 - 화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000B1
KR101810000B1 KR1020170135937A KR20170135937A KR101810000B1 KR 101810000 B1 KR101810000 B1 KR 101810000B1 KR 1020170135937 A KR1020170135937 A KR 1020170135937A KR 20170135937 A KR20170135937 A KR 20170135937A KR 101810000 B1 KR101810000 B1 KR 10181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hopper
conveying
cargo
extens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규
정재욱
정태영
권구포
서도찬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인텍
씨제이대한통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인텍, 씨제이대한통운(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인텍
Priority to KR102017013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상하회전되는 회전이송유닛을 가진 호퍼; 및 상기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에 제공되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는 교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GOODS}
본 발명은 화물 이송장치로서, 차량 적재함 내의 화물을 이송하는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컨베이어는, 베이스 컨베이어부에 복수의 신축컨베이어부가 순차적으로 인입/인출되도록, 즉 텔레스코픽구조로 연결되어,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이다.
이러한 신축컨베이어는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로 무한궤도를 형성한 후, 벨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순환시켜 연속적으로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컨베이어는 선단부에 호퍼가 연결고정되는데, 이러한 호퍼는 신축컨베이어의 신장 시 차량의 적재함 내부까지 인입되어 적재함의 화물을 신축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신축컨베이어가 신장되는 과정에서,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지면과 차량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신축컨베이어와 호퍼가 연결된 부위에는 집중응력이 발생함으로써,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도 신축컨베이어는 신장하면서 바닥에 지지된 부분과 선단부가 점점 멀어짐으로써 선단부가 점착적으로 아래로 쳐지는 구조를 지니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에 지속적으로 집중응력이 가해짐에 따라, 종국적으로는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819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상하회전되는 회전이송유닛을 가진 호퍼; 및 상기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에 제공되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는 교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교정수단은,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와 상기 호퍼의 높이가 서로 가변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유닛; 상기 호퍼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신축컨베이어 선단부의 상대적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는 교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형성된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이격배치된 두 개가 한 세트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연결브라켓이 근접 시 감지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신축컨베이어는 베이스몸체에 복수 개의 신축몸체가 순차적으로 텔레스코픽구조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베이스몸체의 선단부 양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몸체의 선단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측정유닛 및 실린더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측정유닛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는, 상기 신축컨베이어와 연결되는 호퍼몸체; 및 상기 호퍼몸체에 상하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신축컨베이어로 화물을 이송시키는 상기 회전이송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호퍼몸체에서 상기 신축컨베이어 측 상단에 후단부가 상하회전되게 설치되어, 상하회전하면서 선단부의 높이가 변화되는 이송컨베이어; 및 실린더몸체가 상기 호퍼몸체에 장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상하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컨베이어벨트가 감겨서 방향전환되는 일측의 방향전환롤러는, 타측의 방향전환롤러와의 거리가 가변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는, 지면 또는 바닥과 접촉하여 상기 호퍼몸체를 지지하는 휠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휠유닛은,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두 개의 메인휠; 및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서 두 개의 상기 메인휠 각각의 전측에 장착된 보조휠;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휠은 상기 메인휠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진행 시 불규일한 지면 또는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하방향 탄성 왕복이동되게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아이들롤러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상면이 상기 호퍼의 이송컨베이어 상면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어 화물이 하방경사지게 이송되도록,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또는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탈착되는 롤러경사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도록 교정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지면과 차량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이송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가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이송컨베이어가 상하회전되는 구동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함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호퍼에 지면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휠유닛이 구성됨으로써, 화물에 의해 충격을 받거나 고중량의 화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도 호퍼몸체가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어 화물이 하방경사지게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경사받침대가 구성됨으로써, 호퍼와 신축컨베이어 사이에서 화물을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에서 신축컨베이어가 신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에서 호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호퍼에 신축컨베이어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의 호퍼에서 연결유닛과 측정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호퍼에서 이송컨베이어의 구동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에서 신축컨베이어가 신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화물 이송장치에서 호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100), 호퍼(200), 및 교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축컨베이어(100)는 베이스몸체(110)와 신축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몸체(110)는 신축컨베이어(100)가 신장 및 수축 시 위치고정되어 기준이 되는 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신축몸체(120)는 복수 개가 베이스몸체(110)에 순차적으로 텔레스코픽구조로 연결되는데, 즉 베이스몸체(110)에도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서도 텔레스코픽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신축컨베이어(100)는 신장되어 선단 측 신축몸체(120)가 차량의 적재함까지 이르게 한 후, 적재함에 있는 화물이 선단 측 신축몸체(120)에 올려져서 베이스몸체(110)까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을 일정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200)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호퍼(200)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신장 시 차량의 적재함 내부까지 인입되어 적재함의 화물을 신축컨베이어(1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교정수단(300)은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에 제공되어,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축컨베이어(100)는 신장되는 과정에서, 바닥에 지지된 부분과 선단부가 점점 멀어짐으로써 이에 따라 선단부가 점착적으로 아래로 쳐지게 되고, 나아가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지면과 차량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에는 집중응력이 발생함으로써,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수단(300)은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도록 구성되어,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정수단(300)은 연결유닛(310), 측정유닛(320), 및 교정유닛(3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유닛(310)은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와 호퍼(200)의 높이가 서로 가변되도록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310)은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11)와 연결브라켓(3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311)는 호퍼(200)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데, 호퍼(200)의 호퍼몸체(210)에서 후단부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종방향으로 이어진 바 형상의 구조를 지닌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이러한 수직바(311)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는데, 즉 수직바(311)가 끼워져서 인입된 상태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어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브라켓(312)에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312)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311)가 끼워져서 수직바(31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12a), 호퍼(200)의 양측에 배치된 슬라이드부재(312a)를 연결하는 수평봉(312b), 상기 수평봉(312b)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가 체결되는 링크플레이트(312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또는 지면과 차량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연결브라켓(312)이 수직바(311)에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가 일정 정도는 저절로 높이가 교정되지만, 신축컨베이어(100)가 호퍼(200)를 밀면서 이동하는 구조상 슬라이드 이동에도 마찰력이 있기 때문에 교정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측정유닛(320)과 교정유닛(330)에 의해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더욱더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교정함으로써,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에 집중응력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유닛(320)은 호퍼(200)를 기준으로 하여 신축컨베이어(100) 선단부의 상대적 높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유닛(320)은 도 5,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00)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이격배치된 두 개의 근접센서(321)(32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321)(322)는 두 개가 한 세트로서 호퍼(200)의 후단부에는 중앙 양측에 각각 한 세트씩 설치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두 개의 근접센서(321)(322) 사이에서 연결브라켓(310)이 감지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310)에는 수평봉(312b)의 중앙부에 연결된 감지대상부(312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대상부(312d)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근접센서(321)(322)에 의해 감지대상부(312d)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감지된 경우, 즉 두 개의 근접센서(321)(322) 중 상측 근접센서(321)에 의해 감지대상부(312d)의 상단부가 감지되고 하측 근접센서(322)에 의해 감지대상부(312d)의 하단부가 감지되면, 호퍼(200)가 신축컨베이어(100)와 수평을 유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상기 호퍼(200)가 신축컨베이어(100)보다 내려가서 감지대상부(312d)가 하측 이동하게 되면 상측 근접센서(321)에 의해 감지대상부(312d)의 상단부가 감지되지 않게 되고, 호퍼(200)가 신축컨베이어(100)보다 올라가서 감지대상부(312d)가 상측 이동하게 되면 하측 근접센서(322)에 의해 감지대상부(312d)의 하단부가 감지되지 않게 됨으로써, 신축컨베이어(100)를 기준으로 호퍼(200)의 상하이동이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321)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연결브라켓(312)이 근접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센서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교정유닛(330)은 측정유닛(320)의 측정결과(호퍼(200)의 상하이동의 판단)에 따라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정유닛(330)은 실린더부재(331)와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부재(331)는 신축컨베이어(100)에서 베이스몸체(110)의 선단부를 승강시키도록 베이스몸체(110)의 선단부 양측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실린더부재(331)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실린더몸체가 바닥에 설치된 프레임(F)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가 베이스몸체(110)의 선단부 양측부에 연결되어 실린더로드가 신축함으로써, 베이스몸체(110)의 선단부가 승강하면서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정유닛(320) 및 실린더부재(331)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측정유닛(320)의 측정치에 따라 실린더부재(331)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참고로, 상기 측정유닛(320) 및 실린더부재(331) 각각에 대한 컨트롤러의 전기적 연계는 유선 또는 무선이 활용될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러는 측정유닛(320)의 측정치에 따라 실린더부재(331)가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제어구성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교정수단(300)은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200)는 호퍼몸체(210)와 회전이송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호퍼몸체(210)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신축컨베이어(100)가 신장 시 함께 전진하고 신축컨베이어(100)가 수축 시 함께 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이송유닛(220)은 신축컨베이어(100)로 화물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호퍼몸체(210)에 상하회전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이송유닛(220)은 이송컨베이어(221)와 구동실린더(2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21)는 호퍼몸체(210)에서 신축컨베이어(100) 측 상단에 후단부가 상하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하회전하면서 선단부의 높이가 변화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221)는 선단부 높이가 변화되도록 상하회전되게 구성됨으로써, 적재된 화물의 높이에 대응되게 이송컨베이어(221)의 선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화물 이송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휴지기에는 이송컨베이어(221)를 종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화물 이송장치 주변에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공간이 넉넉하게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이송컨베이어(221)는 컨베이어벨트(221b)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21)에서 컨베이어벨트(221b)가 감겨서 방향전환되는 일측의 방향전환롤러(221c)는, 타측의 방향전환롤러(221d)와의 거리가 가변되어 컨베이어벨트(221b)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컨베이어(221)의 선단부 측인 일측의 방향전환롤러(221c)는 이송컨베이어(221)의 컨베이어틀(221a)에 양측 단부가 전후이동되고 전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221b)가 감겨진 하부롤러(221e)가 호퍼몸체(210)에 장착된 구동모터(M)와 벨트(B)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실린더(222)는 실린더몸체가 호퍼몸체(210)에 장착되고 실린더로드가 이송컨베이어(221)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의해 이송컨베이어(221)를 상하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실린더몸체와 호퍼몸체(210)의 연결부위 및 실린더로드와 이송컨베이어(221)의 연결부위는 힌지구조를 취한다.
나아가, 이러한 구동실린더(222)는 이송컨베이어(2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이송컨베이어(221)가 상하회전되는 구동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함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동실린더(222)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몸체(210)에 장착된 탱크(T)에 연결되어 탱크(T)로부터 에어 또는 오일을 공급받아서 작동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퍼몸체(210)에 장착되지 않고 별도의 에어압 또는 유압 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동실린더(222)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호퍼(200)의 측부에 장착된 작동버튼(미도시)에 의해 구동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몸체(210)의 하부에는, 지면 또는 바닥과 접촉하여 호퍼몸체(210)를 지지하는 휠유닛(211)이 설치될 수 있다.
기존의 호퍼는 신축컨베이어 연결만 될 뿐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지 않음에 따라, 호퍼의 이송컨베이어에 화물이 던져지거나 무거운 화물이 놓여지는 경우에 신축컨베이어와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내구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호퍼(200)에 지면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휠유닛(211)이 구성됨으로써, 화물에 의해 충격을 받거나 고중량의 화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도 호퍼몸체(210)가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휠유닛(211)은 메인휠(211a)과 보조휠(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휠(211a)은 호퍼몸체(2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두 개가 구성된다. 이러한 메인휠(211a)은 바람직하게 이송컨베이어(221)에서 회전중심인 이송컨베이어(221)의 후단부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휠(211b)은 호퍼몸체(210)의 하부에서 두 개의 메인휠(211a) 각각의 전측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보조휠(211b)은 상기 메인휠(211a)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진행 시 불규일한 지면 또는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하방향 탄성 왕복이동되게 탄성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휠(211b)은 메인휠(211a)을 보조하여 호퍼몸체(210)를 지지하면서, 지면 또는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 또는 지면 또는 바닥의 상태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 지면 또는 바닥에 의해 호퍼몸체(210)가 받는 한 충격을 탄성부재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송장치는 롤러경사받침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경사받침대(400)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어 화물이 하방경사지게 이송되도록,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또는 호퍼(200)의 후단부에 탈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롤러경사받침대(400)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에 아이들롤러부가 형성되거나, 신축컨베이어(100)의 상면이 호퍼(200)의 이송컨베이어(221) 상면보다 낮은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에 아이들롤러부(미도시)가 형성된 경우에는 호퍼(200)의 이송컨베이어(221)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이 신축컨베이어(100)의 아이들롤러부에서 멈추게 되고, 이후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른 화물에 의해 밀려서 아이들롤러부 상에서 진행되게 되는데, 이때 이후에 이송되는 다른 화물이 가벼운 경우 이전의 화물이 밀리지 않게 됨에 따라 화물의 적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롤러경사받침대(400)가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면, 신축컨베이어(100)의 수평구조 아이들롤러부를 거치지 않고 하방경사진 롤러경사받침대(400)를 거침으로써, 화물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컨베이어(100)의 상면이 호퍼(200)의 이송컨베이어(221) 상면보다 낮은 경우에, 화물이 이송컨베이어(221)에서 신축컨베이어(100)로 건너갈 때 낙하하여 손상되거나 옆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의 낙하를 방지하고자 롤러경사받침대(400)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도록 교정수단(300)이 구성됨으로써,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지면과 차량 적재함 바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신축컨베이어(100)와 호퍼(200)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이송컨베이어(221)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222)가 이송컨베이어(2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이송컨베이어(221)가 상하회전되는 구동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함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호퍼(200)에 지면 또는 바닥에 접촉되는 휠유닛(211)이 구성됨으로써, 화물에 의해 충격을 받거나 고중량의 화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도 호퍼몸체(210)가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이송장치는 신축컨베이어(100)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어 화물이 하방경사지게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경사받침대(400)가 구성됨으로써, 호퍼(200)와 신축컨베이어(100) 사이에서 화물을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신축컨베이어 110 : 베이스몸체
120 : 신축몸체 200 : 호퍼
210 : 호퍼몸체 211 : 휠유닛
211a : 메인휠 211b : 보조휠
220 : 회전이송유닛 221 : 이송컨베이어
221a : 컨베이어틀 221b : 컨베이어벨트
221c : 일측의 방향전환롤러 221d : 타측의 방향전환롤러
221e : 하부롤러 M : 구동모터
B : 벨트 222 : 구동실린더
T : 탱크 300 : 교정수단
310 : 연결유닛 311 : 수직바
312 : 연결브라켓 312a : 슬라이드부재
312b : 수평봉 312c : 링크플레이트
312d : 감지대상부 320 : 측정유닛
321 : 상측 근접센서 322 : 하측 근접센서
330 : 교정유닛 331 : 실린더부재
F : 프레임 400 : 롤러경사받침대

Claims (13)

  1. 신축컨베이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상하회전되는 회전이송유닛을 가진 호퍼; 및 상기 신축컨베이어와 호퍼에 제공되어,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는 교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수단은,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와 상기 호퍼의 높이가 서로 가변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유닛; 상기 호퍼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신축컨베이어 선단부의 상대적 높이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높이를 교정하는 교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형성된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상하방향 이격배치된 두 개가 한 세트로 설치고정되며, 각각 상기 연결브라켓이 근접 시 감지하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컨베이어는 베이스몸체에 복수 개의 신축몸체가 순차적으로 텔레스코픽구조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교정유닛은,
    상기 베이스몸체의 선단부 양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몸체의 선단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측정유닛 및 실린더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측정유닛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신축컨베이어와 연결되는 호퍼몸체; 및
    상기 호퍼몸체에 상하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신축컨베이어로 화물을 이송시키는 상기 회전이송유닛;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호퍼몸체에서 상기 신축컨베이어 측 상단에 후단부가 상하회전되게 설치되어, 상하회전하면서 선단부의 높이가 변화되는 이송컨베이어; 및
    실린더몸체가 상기 호퍼몸체에 장착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상하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컨베이어벨트가 감겨서 방향전환되는 일측의 방향전환롤러는, 타측의 방향전환롤러와의 거리가 가변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아이들롤러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상면이 상기 호퍼의 이송컨베이어 상면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상에 배치되어 화물이 하방경사지게 이송되도록, 상기 신축컨베이어의 선단부 또는 상기 호퍼의 후단부에 탈착되는 롤러경사받침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는, 지면 또는 바닥과 접촉하여 상기 호퍼몸체를 지지하는 휠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휠유닛은,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두 개의 메인휠; 및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서 두 개의 상기 메인휠 각각의 전측에 장착된 보조휠;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은 상기 메인휠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진행 시 불규일한 지면 또는 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하방향 탄성 왕복이동되게 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송장치.
KR1020170135937A 2017-10-19 2017-10-19 화물 이송장치 KR10181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37A KR101810000B1 (ko) 2017-10-19 2017-10-19 화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37A KR101810000B1 (ko) 2017-10-19 2017-10-19 화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000B1 true KR101810000B1 (ko) 2017-12-19

Family

ID=6092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37A KR101810000B1 (ko) 2017-10-19 2017-10-19 화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0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611A (ja) * 1996-04-24 2000-07-11 マンネス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使用者寄付き部を備えたトレーラ用伸縮式荷積み荷おろし機
KR200430259Y1 (ko) * 2006-08-22 2006-11-1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상차용 신축 롤러컨베이어
KR200431964Y1 (ko) 2006-08-22 2006-11-27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하역용 벨트컨베이어
JP2017013931A (ja) 2015-06-29 2017-01-19 相模コンベヤー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611A (ja) * 1996-04-24 2000-07-11 マンネス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使用者寄付き部を備えたトレーラ用伸縮式荷積み荷おろし機
KR200430259Y1 (ko) * 2006-08-22 2006-11-1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상차용 신축 롤러컨베이어
KR200431964Y1 (ko) 2006-08-22 2006-11-27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 하역용 벨트컨베이어
JP2017013931A (ja) 2015-06-29 2017-01-19 相模コンベヤー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5630B (zh) 可伸缩带式输送机
US9469482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for railway construction
US3819068A (en) Boom conveyor
DK2588373T3 (en) Belt device for loading and readings of a fly
DK2918521T3 (en) Telescopic conveyor system and method
EP3286127B1 (en) Telescopic boom conveyor with operator platform
CN106966116B (zh) 可变幅变向的伸缩式皮带输送机
AU2014200246B2 (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deployable feed conveyor
KR101810000B1 (ko) 화물 이송장치
FI127494B (fi) Laitteisto kuormatilan tyhjentämiseksi kuormalavoille järjestetystä lastista
KR101875539B1 (ko) 화물 이송장치
SE417185B (sv) Lastapparat
JP6331872B2 (ja)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ES2287645T3 (es) Cinta transformadora, especialmente para su uso como cinta operarios.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WO2015187497A1 (en) Extendable conveyors having a platform
US2495647A (en) Baled hay loading machine
JP2019214468A (ja) 搬送装置及びバランス制御方法
KR102408418B1 (ko) 슈트의 디플렉터 연동형 컨베이어용 사행방지장치
CN213230226U (zh) 一种便捷式伸缩皮带输送机
CN208007940U (zh) 一种可伸缩调节的粮食输送车
US11780689B1 (en) Aggregate transferring system
JP2016131558A (ja) 作物積込み装置
CN207671189U (zh) 一种粮食输送车
CA2697319A1 (en) Low profile telescopic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