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175B1 - 견과류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견과류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175B1
KR101809175B1 KR1020160046861A KR20160046861A KR101809175B1 KR 101809175 B1 KR101809175 B1 KR 101809175B1 KR 1020160046861 A KR1020160046861 A KR 1020160046861A KR 20160046861 A KR20160046861 A KR 20160046861A KR 101809175 B1 KR101809175 B1 KR 10180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uts
knife
blade
suppor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15A (ko
Inventor
황곤
Original Assignee
황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곤 filed Critical 황곤
Priority to KR102016004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1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6Nutcr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를 향하는 제1 칼날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제1 칼 부재(175)와, 상기 제1 칼날에 대응하여 위를 향하는 제2 칼날이 형성되고 위치가 고정된 제2 칼 부재(180)를 구비하는 절단 수단(160);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 사이에서 견과류를 받치는 받침부(150); 및 상기 제1 칼날이 상기 제2 칼날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에 위치하는 견과류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를 개방하는 개폐 구조(190)를 포함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견과류 절단 장치 {APPARATUS FOR CUTTING NUTS}
본 발명은 도토리 또는 밤과 같은 견과류를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토리 또는 밤과 같은 견과류를 절단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6-0028855호에는 밤을 올려놓는 본체와, 밤을 절단할 수 있는 커팅부와 관통홀을 갖는 누름판과, 본체와 결합되고 제1 관통홀의 내부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견과류 커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견과류 커팅 장치는 한 번에 하나의 견과류만 커팅할 수 있는 구조이고, 커팅 후 절단된 견과류를 절단부로부터 수거해야 한다는 작업 상의 불편이 따르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28855 "견과류 커팅 장치" (2016.03.14.)
본 발명의 목적은 도토리와 밤과 같은 견과류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래를 향하는 제1 칼날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제1 칼 부재(175)와, 상기 제1 칼날에 대응하여 위를 향하는 제2 칼날이 형성되고 위치가 고정된 제2 칼 부재(180)를 구비하는 절단 수단(160);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 사이에서 견과류를 받치는 받침부(150); 및 상기 제1 칼날이 상기 제2 칼날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에 위치하는 견과류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를 개방하는 개폐 구조(190)를 포함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부는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기울어지고 하단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한 제1, 제2 받침판(153, 158)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 구조는 상기 두 받침판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두 받침판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제2 지지 로드(191, 192)와, 상기 제1 칼 부재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기 두 지지 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두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접촉부(196)와, 상기 두 받침판의 하단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9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구조는 상기 두 받침판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연장 로드(193, 194)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두 연장 로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절단 수단은 회전하는 회전 막대(171)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칼 부재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 막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를 향하는 제1 칼날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제1 칼 부재(175)와, 상기 제1 칼날에 대응하여 위를 향하는 제2 칼날이 형성되고 위치가 고정된 제2 칼 부재(180)를 구비하는 절단 수단(160);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 사이에서 견과류를 받치는 받침부(150); 및 상기 제1 칼날이 상기 제2 칼날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에 위치하는 견과류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를 개방하는 개폐 구조(190)를 포함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가 제공되므로, 받침부에 한 번에 여러 개의 견과류를 위치시켜서 한 번에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견과류는 자동으로 배출되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절단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견과류 절단 장치에서 절단부의 정면과 배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견과류 절단 장치에서 견과류가 절단되는 순간의 절단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토리나 밤과 같은 견과류를 대략 절반으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절단 장치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절단 장치(100)는 기초부(110)와, 기초부(110)의 위에 고정된 지지부(120)와, 지지부(120)에 설치되는 견과류 받침부(150)와, 지지부(120)에 설치되는 견과류 절단 수단(160)과, 견과류 받침부(150)를 개폐하는 개폐 구조(190)를 포함한다. 견과류 절단 장치(1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견과류가 함께 절단되고, 절단과 동시에 아래로 절단된 견과류가 아래로 배출된다.
기초부(110)는 대체로 무거운 중량물로 이루어져서, 견과류 절단 장치(100)의 기초를 이루며, 기초부(110)의 상면에 지지부(120)가 고정된다.
지지부(120)는 기초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형태이며, 기초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지지부(120)에 견과류 받침부(130)와 견과류 절단 수단(160)에 설치된다. 지지부(120)는 제1 지지 구조물(130)과 제2 지지 구조물(140)을 구비한다.
제1 지지 구조물(130)은 서로 마주보는 벽 형태의 제1 지지벽(121)과 제2 지지벽(125)을 구비한다. 두 지지벽(121, 125)의 하단은 기초부(11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견과류 받침부(150), 두 지지벽(121, 125)에 견과류 절단 수단(160)의 일부 구성 및 개폐 구조(190)의 일부 구성이 설치된다. 두 지지벽(121, 125)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 슬릿(122)과 제2 슬릿(126)이 각각 마련된다.
제2 지지 구조물(140)은 기초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기둥 형태로서, 기초부(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 지지 구조물(140)은 제2 지지벽(122)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벽(121)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제2 지지 구조물(140)의 상단에 견과류 절단 수단(160)의 일구 구성이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견과류 받침부(150)는 제1 지지벽(121)과 제2 지지벽(12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받침판부(151)와 제2 받침판부(156)를 구비한다. 제1 받침판부(151)와 제2 받침판부(156)에 절단 대상 견과류(A)가 하나 이상 놓이게 된다.
제1 받침판부(151)는 제1 지지벽(121)과 제2 지지벽(122)의 사이에서 연장되어서 두 지지벽(121, 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지지대(152)와, 제1 회전 지지대(152)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1 받침판(153)을 구비한다. 제1 받침판(153)은 아래로 갈수록 제2 받침판부(156)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 받침판부(156)는 제1 지지벽(121)과 제2 지지벽(122)의 사이에서 연장되어서 두 지지벽(121, 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지지대(157)와, 제2 회전 지지대(157)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2 받침판(158)을 구비한다. 제2 받침판(158)은 아래로 갈수록 제1 받침판부(15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제1 받침판(153)과 제2 받침판(158)은 하단이 약간 개방된 V자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제1 받침판(153)과 제2 받침판(158)의 하단 간격은 절단 대상 견과류(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두 받침판(153, 158)에 의해 형성된 V자형 홈에 놓인 절단 대상 견과류(A)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두 받침판(153, 158)의 이러한 배치는 개폐 구조(19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견과류 절단 수단(160)은 두 받침판(153, 158)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 대상 견과류(A)를 대략 절반의 크기로 절단한다. 견과류 절단 수단(16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이동부(170)와, 두 지지판(121, 125)에 고정되는 고정부(180)를 구비한다.
이동부(170)는 제2 지지 구조물(14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회전 막대(171)와, 회전 막대(171)에 고정된 제1 칼 부재(175)를 구비한다. 회전 막대(171)는 제2 지지 구조물(14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견과류 받침부(150) 쪽으로 길게 연장된다. 회전 막대(171)의 끝단에는 손잡이부(172)가 마련된다. 제1 칼 부재(175)의 하단에는 제1 칼날(176)이 형성된다. 제1 칼날(176)에 의해 견과류 받침부(150)에 놓인 절단 대상 견과류(A)가 절단된다. 제1 칼 부재(175)는 두 지지판(121, 125) 각각에 형성된 슬릿(122, 126)을 통해 자유롭게 들어가고 나갈 수 있다.
고정부(180)는 두 지지판(121, 125)의 사이에 고정된 제2 칼 부재로서, 그 상단에 제2 칼날(181)이 형성된다. 제2 칼날(181)은 두 받침판(153, 158) 사이의 이격된 하단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견과류 절단시 절단 대상 견과류(A)를 밑에서 받치며 제1 칼날(176)과 상호작용하여 절단한다.
개폐 구조(190)는 제1 칼 부재(175)의 위치에 따라 두 받침판(153, 158)의 배치를 변화시켜서, 절단된 견과류(도 4의 A')는 두 받침판(153, 158)의 아래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개폐 구조(190)는 제1, 제2 회전 지지대(152, 157) 각각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제2 지지 로드(191, 192)와, 제1, 제2 회전 지지대(152, 157) 각각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제2 연장 로드(193, 194)와, 두 연장 로드(193, 194)의 사이에 결합되어서 두 받침판(153, 158)의 이격된 하단이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95)와, 두 지지 로드(191, 192)와 상호작용하는 접촉부(196)를 구비한다.
제1 지지 로드(191)는 제1 회전 지지대(152)로부터 제2 회전 지지대(157) 쪽을 향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2 회전 지지대(157) 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내려가도록 경사진다. 제2 지지 로드(192)는 제2 회전 지지대(157)로부터 제1 회전 지지대(152) 쪽을 향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1 회전 지지대(152) 쪽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경사진다. 제1 지지 로드(191)와 제2 지지 로드(192)는 대체로 V자형을 이루면서 각각의 끝단은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형태의 접촉 구성에 의해 두 받침판(153, 158)은 탄성부재(195)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격된 하단이 더 이상 좁혀지지 않도록 유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폐 구조(190)는 두 받침판(153, 158)이 탄성부재(195)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격된 하단이 더 이상 좁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두 스토퍼(198, 199)를 더 포함한다. 두 스토퍼(198, 199)는 각각 두 지지벽(121, 12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서 두 받침판(153) 각각과 접하여 두 받침판(153, 158)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98, 199)가 지지벽(121, 122)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이와 유사하게 대체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198, 199)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여러 위치에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198, 199)는 두 연장 로드(193, 194)에 각각 부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제1 연장 로드(193)는 제1 회전 지지대(152)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2 연장 로드(194)는 제2 회전 지지대(157)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연장 로드(193)와 제2 연장 로드(194)는 대체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두 연장 로드(193, 194)는 탄성부재(195)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부재(195)는 두 연장 로드(193, 194)에 결합되어서 두 연장 로드(193, 194)의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95)가 그 양단이 두 연장 로드(193, 194)에 결합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설명한다. 탄성부재(195)에 의해 두 받침판(153, 158)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지 않고 절단 대상 견과류(A)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접촉부(196)는 회전 막대(171)에 고정되어서 제1 칼 부재(175)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접촉부(196)가 하강하면, 접촉부(196)의 하단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지지 로드(191, 192)와 동시에 접촉하며 두 지지 로드(191, 192)를 벌리게 되고, 동시에 두 칼날(176, 181)에 의해 견과류가 대략 절반으로 절단된다. 또한, 두 받침대(153, 158)는 탄성부재(195)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단이 벌어져서 절단된 견과류(A')가 아래로 자연적으로 배출된다.
이제, 상기 실시예를 그 작용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칼 부재(175)가 충분히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접촉부(196)가 두 지지 로드(191, 192)와 이격되어서, 두 받침판(153, 158)은 그 하단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두 받침판(153, 158)의 사이에 형성된 V자형 홈에 하나 이상의 견과류(A)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72)를 잡고 회전 막대(171)를 회전시켜서 제1 칼 부재(176)를 아래로 하강시키면, 제1 칼날(176)과 제2 칼날(181)이 가까워지면서 견과류(A)가 절단되고,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96)가 두 지지 로드(191, 192)와 접촉하여 벌림으로써 두 받침판(153, 158) 하단의 간격이 넓어져서 자연스럽게 절단된 견과류(A')가 아래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견과류 절단 장치 110 : 기초부
120 : 지지부 121 : 제1 지지벽
122 : 제1 슬릿 125 : 제2 지지벽
126 : 제2 슬릿 130 : 제1 지지 구조물
140 : 제2 지지 구조물 150 : 견과류 받침부
151 : 제1 받침판부 152 : 제1 회전 지지대
153 : 제1 받침판 156 : 제2 받침판부
157 : 제2 회전 지지대 158 : 제2 받침판
160 : 견과류 절단 수단 171 : 회전 막대
175 : 제1 칼 부재 176 : 제1 칼날
180 : 제2 칼 부재 181 : 제2 칼날
190 : 개폐 구조 191 : 제1 지지 로드
192 : 제2 지지 로드 193 : 제1 연장 로드
194 : 제2 연장 로드 195 : 탄성부재
196 : 접촉부

Claims (4)

  1. 아래를 향하는 제1 칼날이 형성되고 상하 이동하는 제1 칼 부재(175)와, 상기 제1 칼날에 대응하여 위를 향하는 제2 칼날이 형성되고 위치가 고정된 제2 칼 부재(180)를 구비하는 절단 수단(160);
    상기 제1 칼날과 상기 제2 칼날 사이에서 견과류를 받치는 받침부(150); 및
    상기 제1 칼날이 상기 제2 칼날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에 위치하는 견과류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를 개방하는 개폐 구조(19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기울어지고 하단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한 제1, 제2 받침판(153, 158)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 구조는 상기 두 받침판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두 받침판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제2 지지 로드(191, 192)와, 상기 제1 칼 부재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기 두 지지 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두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접촉부(196)와, 상기 두 받침판의 하단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9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조는 상기 두 받침판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연장 로드(193, 194)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두 연장 로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은 회전하는 회전 막대(171)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칼 부재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 막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 절단 장치.
KR1020160046861A 2016-04-18 2016-04-18 견과류 절단 장치 KR10180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861A KR101809175B1 (ko) 2016-04-18 2016-04-18 견과류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861A KR101809175B1 (ko) 2016-04-18 2016-04-18 견과류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15A KR20170119115A (ko) 2017-10-26
KR101809175B1 true KR101809175B1 (ko) 2017-12-14

Family

ID=6030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861A KR101809175B1 (ko) 2016-04-18 2016-04-18 견과류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18B1 (ko) * 2018-11-12 2020-02-05 홍성은 견과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746B (zh) * 2017-12-18 2020-02-21 温州市新丰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格拉辛离型纸切纸机
CN110026266B (zh) * 2019-03-12 2020-08-18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八地质大队(山东省第八地质矿产勘查院) 一种手持颚式破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69B1 (ko) 2010-11-30 2011-05-19 김대환 호두껍데기 탈피용 도구
JP2016022361A (ja) * 2014-07-19 2016-02-08 弘睦 大島 打撃式くるみ割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69B1 (ko) 2010-11-30 2011-05-19 김대환 호두껍데기 탈피용 도구
JP2016022361A (ja) * 2014-07-19 2016-02-08 弘睦 大島 打撃式くるみ割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18B1 (ko) * 2018-11-12 2020-02-05 홍성은 견과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15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75B1 (ko) 견과류 절단 장치
RU2404051C2 (ru) Ручной резак для керамики
US9308671B2 (en) Modular machine for cutting ceramic pieces
JP2000117697A (ja) 孔明け装置
KR890012767A (ko) 종이재단기와 종이재단방법
KR20120084334A (ko) 나이프 실린더, 회전 다이 커터, 칼날 설치대, 및 칼날 설치대를 나이프 실린더에 고정하는 방법
KR930007556A (ko) 판재를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
US20140212555A1 (en) Coring Apparatus
KR101352351B1 (ko) 베어링 풀러
JP4276824B2 (ja) 手工具用角度付け装置
US3472101A (en) Punch
KR20140073693A (ko) 파렛트 클램핑 장치
JP6570881B2 (ja) 工作機械のカバー開閉装置
KR20080002708U (ko) 직물원단절단기
CN205852944U (zh) 灯箱布切刀装置
JP3457073B2 (ja) 石材加工機械
US4588178A (en) Hold-down device
KR102332184B1 (ko) 버터플라이 밸브용 디스크의 테이퍼 홀 가공장치
JP2015209755A (ja) 開閉部材の開閉補助装置
KR101431513B1 (ko) 선별 작업대
JPH06278083A (ja) 菓子切断機
KR102365035B1 (ko)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US1319987A (en) Pipe-bending machine
KR102147500B1 (ko) 전동톱용 다기능 작업대
CN205870647U (zh) 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