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75B1 -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75B1
KR101808775B1 KR1020160068394A KR20160068394A KR101808775B1 KR 101808775 B1 KR101808775 B1 KR 101808775B1 KR 1020160068394 A KR1020160068394 A KR 1020160068394A KR 20160068394 A KR20160068394 A KR 20160068394A KR 101808775 B1 KR101808775 B1 KR 10180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or
support
content
product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380A (ko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잇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잇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잇츠
Priority to KR102016006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7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에서 실행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은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전문적인 콘텐츠와 실물의 상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여 크리에이터에 대한 직접적 성과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CREATOR SUPPORT METHOD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디어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생산될 수 있고, 순간 사라지는 이중성이 있으며, 그 활용에 따라서는 기업이나 역사의 운명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차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한국 사회의 인터넷 사용자수는 이미 3천만 명을 넘고 있으며, 특정 노령인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인터넷을 생활의 일부분으로 사용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즉, 인터넷 사용자가 소비자 또는 수혜자로 활동하고 기업, 정부, 자치단체, 문화단체, 이벤트 업체, 광고업계는 아이디어 수요자로 활동함으로써 아이디어 수요자는 자신들의 서비스 대상인 대중들에게 아이디어를 직접 얻을 것이고, 인터넷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받고 싶은 서비스를 아이디어로 제공함으로써 상생의 구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아이디어와 경험을 가지고 있더라도 전문적인 콘텐츠로 생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상품으로 생산하고 싶더라도 어떠한 방법으로 생산을 한 후 판매해야 할지 방안을 잘 알지 못하여 사용자의 아이디어가 구체화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0946호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아이디어 공모 및 상거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새롭게 제안되는 아이디어 등의 지식정보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여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공간을 마련하고, 제안된 지식정보의 정확한 분류 및 정당한 평가가 수행되어 보다 신뢰성있는 지식정보의 공모 및 상거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0946호
본 발명은 크리에이터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전문적인 콘텐츠와 실물의 상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여 크리에이터가 아이디어 및/또는 창작물에 대한 직접적 성과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에서 실행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은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리소스 및 인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배포 지원 요청이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 특정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업로드하거나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매거진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유통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특정 법률에 위반되었는지 여부,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하는 지원 절차 제공부; 및 상기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하는 사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절차 제공부는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리소스 및 인력을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배포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업로드하거나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매거진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유통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하고,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는 특정 법률에 위반되었는지 여부,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리에이터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전문적인 콘텐츠와 실물의 상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여 크리에이터의 아이디어 및/또는 창작물 대한 직접적 성과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크리에이터”란 콘텐츠 기획 및 생산 등과 같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소셜 채널을 통해 저작활동을 하고 있거나 자체 개발한 재화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개인, 단체, 회사 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소셜 채널”은 크리에이터가 계정을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 또는 SNS 채널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크리에이터 콘텐츠”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및 크리에이터가 기획 및 생산하는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의 글 및 각종 파일을 의미하며, 소셜 채널 및 서비스 전체 범위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스폰서 콘텐츠”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가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맞도록 작성 및 등록을 의뢰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은 크리에이터와 크리에이터 관리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크리에이터 관리자에게 위탁 판매를 요청하여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에 의해 판매되는 재화를 의미한다.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은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 및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포함한다.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은 크리에이터가 보유한 생산 시설 또는 크리에이터가 계약한 생산 업체를 통해 생산한 상품을 의미한다.
콜라보레이션 상품은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상품 생산 및 운영에 대한 권한을 위임 받아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의 생산 시설 또는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와 계약한 생산 업체에서 생산한 크리에이터의 상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원고료”란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의 의뢰에 따라 크리에이터가 소셜 채널에 콘텐츠(즉, 크리에이터 콘텐츠, 스폰서 콘텐츠 등)를 작성하여 등록함으로써 취득하는 대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판매수익정산금”은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에 대해서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비율을 정산하여 지불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광고수익정산금”은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 단계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광고 및 스폰서십 매출에 대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비율을 정산하여 지불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 시스템은 크리에이터 단말(100) 및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를 포함한다.
크리에이터 단말(100)은 콘텐츠 기획 및 생산 등과 같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소셜 채널을 통해 저작활동을 하고 있거나 자체 개발한 재화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개인, 단체, 회사 등을 의미한다.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의 역량에 따라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콘텐츠 생산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콘텐츠를 기획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맞도록 스폰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유통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는 콘텐츠 유통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제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크리에이터와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는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기획하고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의 글 및 각종 파일 등의 형태로 생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관리자가 기획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소스 및 인력을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가 더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계약 관계에 있는 크리에이터 중 특정 크리에이터가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가 더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후 평가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가 매거진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종류,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수, 텍스트 수, 조회 수, 댓글 수 및 공유 수 각각에 따라 점수를 결정하고, 각각의 점수를 합산한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이면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가 매거진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지 않으면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할 수 있고,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면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없다고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종류가 음식인 경우,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음식을 조리하고 판매 및 유통하는 과정이 식품 위생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획득이 용이하면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하고,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획득이 용이하지 않으면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한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종류가 편백 나무로 만든 가구인 경우 편백 나무를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획득할 수 있으면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를 제품화한 제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선호 등급을 결정하고 선호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되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으면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재료 중 특정 재료가 금액이 특정 금액 이상이거나 생산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해당 재료의 대체 재료를 검색하며, 콘텐츠의 내용으로 생산한 제품 및 대체 재료로 생산한 제품 각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대체 재료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존 재료로 조리한 음식 및 대체 재료로 조리한 음식 사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식 평가 절차를 통해 재료를 결정한 후 해당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추가적인 재료 또는 구성 요소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콘텐츠의 내용으로 생산한 제품 및 추가적인 재료 또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생산한 제품 각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종류가 음식이면, 음식을 조리하는 재료 각각 중 추가 재료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존 재료로 조리한 음식 및 추가 재료로 조리한 음식 사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식 평가 절차를 통해 재료를 결정한 후 해당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방법을 다른 방법으로 변경하였을 때에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종류가 음식이면 제품이 냉동 제품으로 생산하여 유통 및 판매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제품을 냉동 제품으로 생산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즉,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음식의 종류가 찌개 종류, 볶음 종류 등과 같이 취식 시에 덥히기만 하여 취식할 수 있는 음식인 경우 해당 제품을 냉동 제품으로 생산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연령 별 제품의 선호 등급을 온라인 상에서 조사하고, 온라인 상에서 조사된 제품의 연령 별 각각의 선호 등급 중 특정 연령의 선호 등급이 특정 선호 등급 이상이면 해당 연령을 타겟으로 디자인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장난감을 생산할 때 온라인 상에서 조사된 제품의 선호 연령이 0세 ~ 4세이면 장난감을 생산할 시 0세~4세가 좋아하는 캐릭터를 삽입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기획하는 과정을 위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콜라보레이션 상품 기획이 완료되면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생산 지시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종류가 음식이면 미리 지정된 식품 제조 가공 업체의 단말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생산 지시 신호를 제공한다.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미리 지정된 식품 제조 가공 업체의 단말로부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생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여 판매되도록 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 채널 등)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등록하여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상품 위탁 판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판매 등록 절차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하고,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 채널 등)에 등록하여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판매 방법에 따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 채널 등)에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수익 분배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 단계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 및 상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판매에 따라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사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사용을 허락하는 신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소셜 채널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등록을 허락하는 신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판매권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이 판매되면 판매 리스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크리에이터는 해당 상품을 사전에 약속된 시일 이내에 상품 발주/출고되어 주문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이 콜라보레이션 상품인 경우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판매되면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발주 신호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제작 및 판매를 위해 생산자, 가격, 수량, 판매 일정, 판매의 방법 및 일정을 결정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 지원 절차 제공부(220), 사후 처리부(230), 콘텐츠 생성부(240), 상품 생산 요청부(250)를 포함한다.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원 요청 메시지를 지원 절차 제공부(220)에 제공한다.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먼저,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의 역량에 따라 콘텐츠가 생산될 수 있는 콘텐츠 생산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콘텐츠를 기획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생성부(240)는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맞도록 스폰서 콘텐츠 또는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유통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는 콘텐츠 유통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가 더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계약 관계에 있는 크리에이터 중 특정 크리에이터가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가 더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유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후 평가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가 매거진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의 종류,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수, 텍스트 수, 조회 수, 댓글 수 및 공유 수 각각에 따라 점수를 결정하고, 각각의 점수를 합산한 점수가 특정 점수 이상이면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여 콘텐츠가 매거진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지 않으면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할 수 있고,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특정 법률에 위반되면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없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획득이 용이하면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하고, 콘텐츠를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재료의 획득이 용이하지 않으면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를 제품화한 제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선호 등급을 결정하고 선호 등급이 특정 등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확인되면,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재료 중 특정 재료가 금액이 특정 금액 이상이거나 생산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해당 재료의 대체 재료를 검색하며, 콘텐츠의 내용으로 생산한 제품 및 대체 재료로 생산한 제품 각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추가적인 재료 또는 구성 요소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콘텐츠의 내용으로 생산한 제품 및 추가적인 재료 또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생산한 제품 각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업로드하며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방법을 다른 방법으로 변경하였을 때에도 제품을 생산, 유통, 판매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제품 생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콘텐츠의 내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연령 별 제품의 선호 등급을 온라인 상에서 조사하고, 온라인 상에서 조사된 제품의 연령 별 각각의 선호 등급 중 특정 연령의 선호 등급이 특정 선호 등급 이상이면 해당 연령을 타겟으로 디자인하여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또한, 지원 절차 제공부(220)는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기획하는 과정을 위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콜라보레이션 상품 기획이 완료되면 상품 생산 요청부(250)는 미리 지정된 생산 시설의 단말 또는 생산 업체의 단말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생산 지시 신호를 제공한다.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미리 지정된 제품 제조 가공 업체의 단말로부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생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여 판매되도록 한다. 이때,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외부 온라인 소셜 채널 및 유통 채널(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 채널 등)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등록하여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또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상품 위탁 판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판매 등록 절차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하고,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 채널 등)에 등록하여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이 판매되도록 한다.
사후 처리부(23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수익 분배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 단계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 및 상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판매에 따라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한다.
또한, 사후 처리부(23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사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사용을 허락하는 신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단말(100)로부터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소셜 채널의 등록요청 메시지에 수신하면, 크리에이터 콘텐츠에 대한 등록을 허락하는 신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사후 처리부(23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판매권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이 판매되면 판매 리스트를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크리에이터는 해당 상품을 사전에 약속된 시일 이내에 상품 발주/출고되어 주문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후 처리부(230)는 크리에이터 브랜드 상품이 콜라보레이션 상품인 경우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판매되면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발주 신호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다.
이때, 사후 처리부(230)는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제작 및 판매여부 결정을 위해 생산자, 가격, 수량, 판매 일정, 판매의 방법 및 일정을 결정하여 크리에이터 단말(10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310)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한다(단계 S320).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가 콘텐츠를 기획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3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트 배포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업로드하거나 크리에이터 중 특정 크리에이터가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를 업로드하여 콘텐츠가 더 많은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매거진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유통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200)는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한다(단계 S34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크리에이터 단말
200: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
210: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
220: 지원 절차 제공부
230: 사후 처리부
240: 콘텐츠 생성부
250: 상품 생산 요청부

Claims (10)

  1.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에서 실행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에 있어서,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리소스 및 인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배포 지원 요청이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 특정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업로드하거나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매거진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유통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특정 법률에 위반되었는지 여부,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공간, 리소스 및 인력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맞도록 스폰서 콘텐츠 또는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기획되면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 단계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하는 단계;
    상기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 및 상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판매에 따라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6.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배포 지원, 제품 상품화 지원 및 유통 지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원 요청 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지원 절차를 제공하는 지원 절차 제공부; 및
    상기 지원 절차를 통해 지원 요청 사항이 실행되면 상기 지원 요청 사항의 종류에 따라 저작권, 판매권 및 수익 분배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처리하는 사후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 절차 제공부는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제작 지원 요청이면 크리에이터 및 크리에이터 지원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리소스 및 인력을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콘텐츠 배포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소셜 채널에 업로드하거나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매거진 생성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제품 상품화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지원 요청 메시지의 종류가 유통 지원 요청이면,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채널 소셜 채널 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소셜 채널 및 외부 온라인 유통 채널에 등록하고,
    상기 크리에이터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가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는 특정 법률에 위반되었는지 여부, 필요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콘텐츠를 제품화한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 등급에 따라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크리에이터의 소셜 채널에 맞도록 스폰서 콘텐츠 또는 크리에이터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공간 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기획되면 상기 미리 지정된 생산 업체 단말에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생산 요청 신호를 제공하는 상품 생산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처리부는
    상기 크리에이터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 단계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상기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하고, 상기 크리에이터 자체 브랜드 상품 및 상기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판매에 따라 발생한 매출에 대해 비율을 정산하여 크리에이터의 계좌에 입금처리하는
    크리에이터 지원 서버.
KR1020160068394A 2016-06-01 2016-06-01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808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94A KR101808775B1 (ko) 2016-06-01 2016-06-01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94A KR101808775B1 (ko) 2016-06-01 2016-06-01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80A KR20170136380A (ko) 2017-12-11
KR101808775B1 true KR101808775B1 (ko) 2018-01-18

Family

ID=6094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394A KR101808775B1 (ko) 2016-06-01 2016-06-01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21B1 (ko) 2019-07-02 2020-12-24 권태완 온라인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02B1 (ko) * 2018-12-07 2019-06-27 김하얀 크리에이터 콘텐츠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TW202207153A (zh) * 2020-07-29 2022-02-16 約書亞 G 凱 為無償線上內容創作者啟用貨幣化之技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867A (ja) * 2000-06-06 2001-12-21 Sony Corp 制作支援装置および制作支援方法
JP2002074053A (ja) * 2000-08-28 2002-03-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コンテンツ流通のビジネス方法および流通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867A (ja) * 2000-06-06 2001-12-21 Sony Corp 制作支援装置および制作支援方法
JP2002074053A (ja) * 2000-08-28 2002-03-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コンテンツ流通のビジネス方法および流通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21B1 (ko) 2019-07-02 2020-12-24 권태완 온라인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80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12B1 (ko) 광고주와 인플루언서의 매칭 관리 장치 및 방법
AU20202044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and method based on uniform code sending and sensing access device
US20110196726A1 (en) System of Artist Referral and Media Selling, Promoting and Networking
CN108701325A (zh) 自调节交易系统以及用于该系统的方法
US2016001957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communication programs
KR101547837B1 (ko) 구매 상품 피드 연동 장치,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CN105913271A (zh) 基于互联网的情趣用品用多级分销营销系统以及管理方法
US20200320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KR102094690B1 (ko)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KR101808775B1 (ko) 크리에이터 지원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30065801A (ko) 고객 매칭 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개서버
KR101584347B1 (ko) 광고집행이 가능한 웹사이트 및 이를 이용한 수익창출 방법
CN111930834A (zh) 基于区块链的点评方法及装置
JP5865880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20200137146A (ko) 고유url 코드를 이용한 판매업체와 마케터간 기간제 마케팅 시스템
KR101582244B1 (ko) 구매자의 소개를 이용한 소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4413A (ko) 광고 시청 및 채팅에 대한 대가를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수행하는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방법
JP2017021710A (ja) 広告受発注制作及び広告効果検証システム
KR10094039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ucc 형태의 기술 교육용 콘텐츠 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4557B1 (ko)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과 광고서비스 방법
KR100714983B1 (ko) 인터넷 광고를 이용한 상품판매 방법 및 장치
JP6652547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10019529A (ko) 판매 시스템
JP6652546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