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33B1 - 타일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33B1
KR101808233B1 KR1020170029960A KR20170029960A KR101808233B1 KR 101808233 B1 KR101808233 B1 KR 101808233B1 KR 1020170029960 A KR1020170029960 A KR 1020170029960A KR 20170029960 A KR20170029960 A KR 20170029960A KR 101808233 B1 KR101808233 B1 KR 10180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tile
cl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활
Original Assignee
신용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활 filed Critical 신용활
Priority to KR102017002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고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시공자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 또는 바닥의 상황이나 타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중량물인 타일 마감재의 수평, 수직 또는 경사를 쉽게 맞추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시공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타일 시공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높이조절플레이트,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 시공 장치{Tile adhesion device}
본 발명은 타일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고정수단 중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 또는 바닥의 상황이나 타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중량물인 타일 마감재의 수평 또는 수직을 쉽게 맞추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작업이 완료된 건물의 표면을 거푸집에 의한 영향으로 매끈하지 못하기 때문에, 건물의 미관을 위해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에 천연석이나 인조석 등의 타일을 이용하여 마감 시공을 한다. 마감 시공은 본드, 몰탈, 시멘트 및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타일을 건물의 외벽에 안착시킨 후, 1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의 부착시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마감 시공은 상술한 바와 같은 건물의 외벽과 같이 타일의 수직방향의 배열이 중요한 작업 이외에도, 건물의 바닥과 같이 타일의 수평방향의 배열이 중요한 작업과 화장실이나 샤워시설과 같이 바닥의 물이 배수구로 흐를 수 있도록 바닥 전체의 타일이 배수구 쪽을 일정한 각도 기울어지게 하는 작업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작업이 시행된다.
위와 같은 마감 시공은 작업자가 직접 하는데 타일의 일정한 간격과 높낮이의 유지의 품질은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가 크다. 또한,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작업도중 불규칙한 간격과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전후, 눈으로 또는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 상태를 확인하여 일일이 망치로 두드리고 보완해 가야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당연하다.
특히, 바닥보다 작업환경이 더욱 까다로운 벽체 마감은 타일 사이즈가 큰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큰 사이즈의 타일은 수평을 맞추는 것이 더 어려움은 물론이며, 중량물이므로 1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의 부착시간 동안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66597호(2007년 01월 09일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고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시공자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 또는 바닥의 상황이나 타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중량물인 타일 마감재의 수평, 수직 또는 경사를 쉽게 맞추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높이조절플레이트,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 예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위치하며 각각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을 구비하는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및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의 양쪽 끝과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사이에서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어 하부가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부착하는 대상부착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사이에 삽입고정되며, 개방된 양측에서 막혀있는 중심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대칭된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수단 삽입부 및 상기 고정수단 삽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클립수용홈을 형성하는 클립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과 체결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이 형성된 패널 형태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벽면 방향으로 구부려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며, 상기 고정수단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실시 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착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부착하는 2개의 대상부착패널 및 상기 2개의 대상부착패널과 인접하는 2곳에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개방된 중앙부에서 막혀 있는 양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된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수단 삽입부 및 2개의 상기 고정수단 삽입홈의 상부에 형성된 클립수용홈을 포함하는 클립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납작한 V자 패널 형태를 가지며, V자 패널의 양측이 상기 고정수단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부 면이 상기 삽입부의 꺾인 중앙부와 체결되며 체결수단으로 상기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과 각각 체결되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는, 벽면 또는 바닥에 대한 타일 시공시 벽면이나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벽면에 대한 중량물의 타일 시공시 타일의 무게에 의한 처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1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2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3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4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5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6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7실시 예이다.
도 9는 고정수단을 높이조절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타일지지클립을 사이에 두고 타일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a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내고, 도 1b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높이조절플레이트를 나타내며, 도 1c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고, 도 1d는 체결수단을 나타내며, 도 1e는 타일지지클립을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크게 2가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제1형 ~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이고 하나는 제4형 베이스플레이트이다.
먼저, 제1형 ~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 제2형 베이스플레이트(110-2) 및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110-3)는, 높이조절 플레이트(130)를 고정하는 하나의 플레이트 지지패널(112) 및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양단에서 벽면이나 바닥(이하 벽면) 방향으로 구부려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어 벽면과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하부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S)을 형성하는 대상 부착패널(111)로 이루어진다.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한 쌍의 대상 부착패널(111)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착용 홀(111a)이 형성되어 있고, 대상 부착패널(111)과 인접하는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2곳에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1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형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한 쌍의 대상 부착패널(111)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착용 홀(1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와 동일하지만, 대상 부착패널(111)과 인접하는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2곳에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1연동홀(1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와 차이가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고정용 제1연동홀(112b)은 열쇠구멍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데, 플레이트 고정용 제1연동홀(112b)은 원형의 홀과 바(bar) 형태의 홀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며, 바 형태의 홀의 폭은 원형의 홀의 직경에 비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한 쌍의 대상 부착패널(111)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착용 홀(1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 및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2)와 동일하지만,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중앙부에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112a)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1) 및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110-2)와 차이가 있다.
도 1a에 도시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0) 중 앞서 설명한 3개의 베이스플레이트와는 차이가 있는 제4형 베이스플레이트(110-1)는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높이조절 플레이트(130)를 고정하는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112) 및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양쪽 끝과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112) 사이에서 벽면이나 바닥(이하 벽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어 벽면과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하부면 사이에 2곳의 일정한 공간(S)을 생성하는 3개의 대상부착패널(111)로 구현할 수 있다.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개의 대상부착패널(111)에는 대상부착용 홀(111a)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의 중앙부에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1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구성하는 대상부착패널(111)이 대상물 즉 벽면이나 바닥에 부착되는 부분이 된다.
도 1b는 복수의 높이조절플레이트(130)의 실시 예인데, 도면에 도시된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1)는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대칭된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을 형성하는 고정수단 삽입부(131) 및 고정수단 삽입부(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클립수용홈(132a)을 형성하는 클립수용부(132)로 이루어지며, 제1 높이조절플레이트(130-1)의 경우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의 양쪽 끝단과 클립수용홈(132a)의 양쪽 끝단은 서로 일치한다.
여기서, 클립수용홈(132a)의 개방된 상부 입구의 단면적은 하부의 클립수용홈(132a)의 단면적에 비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하의 기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클립수용홈(132a)의 형태는 제1높이조절플레이트(130-1)의 클립수용홈(132a)의 형태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제2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2)는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의 양쪽 끝단에 비해 클립수용홈(132a)의 양쪽 끝단이 더 길다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1)와 동일하다. 다만,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1)는 고정수단(150)에 의해 간접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반면에, 제2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2)는 체결수단(1170)이 제2 높이조절플레이트(130-2)의 고정수단 삽입부(131)에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용 제2홀(131b)을 관통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되므로, 고정수단(150)에 의해 간접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고정되는 것이 다르다.
제3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3)는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2연동홀(131c)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패널(133) 및 복수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2연동홀(131c)의 상부에 형성되는 클립수용홈(132a)을 포함하는 클립수용부(132)로 이루어진다.
제4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4)는 중앙부에 타일고정돌기(134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패널(134) 및 상부패널(134)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벽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며 내부에 플레이트 고정용 제2홀(131b)이 각각 형성된 2개의 하부패널(133)을 포함한다.
제5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5)는 중앙부에 타일고정돌기(134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패널(134) 및 상부패널(134)의 가장자리 양쪽 하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수단 삽입홈(131a)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삽입부(131)로 이루어진다.
제6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6)는 일정거리 떨어진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이 형성된 고정수단 삽입부(131) 및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의 상부에 형성된 클립수용홈(132a)을 포함하는 클립수용부(132)로 이루어진다.
도 1b 도시된 높이조절플레이트(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접하는 것은, 고정수단 삽입부(131) 및 하부패널(133)이다.
도 1c는 복수의 고정수단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1형 고정수단(150-2) 및 제2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사각패널의 형태를 가지는 것은 동일하며, 제1형 고정수단(150-1)의 일 측면에는 원형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151a)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2형 고정수단(150-2)의 일 측면에는 열쇠 모양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연동홀(151b)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플레이트 고정용 제2연동홀(131b) 및 플레이트 고정용 제3연동홀(151b)은 이미 설명한 플레이트 고정용 제1연동홀(112b)과 그 형태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제3형 고정수단(150-3)은 내부에 원형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151a)이 형성된 패널 형태의 고정부(151) 및 고정부(151)로부터 벽면 방향으로 구부려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는 삽입부(152)로 이루어진다.
제4형 고정수단(150-4)은 납작한 V자 패널 형태를 가지는 삽입부(152) 및 상부 면이 삽입부(152)의 꺾인 중앙부와 체결되며 양쪽 가장자리에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15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51)로 구현할 수 있다. 제4고정수단(150-4)의 경우 V자 형의 삽입부(152)가 높이조절플레이트(130)의 고정수단 삽입홈(131a)에 삽입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d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체결수단(170)을 나타낸다.
도 1d를 참조하면, 체결수단(170)은 높이조절플레이트(130)에 삽입된 상태의 고정수단(150)을 플레이트 지지패널(112)에 고정함으로써 높이조절플레이트(130)를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 머리부(171), 체결부(172) 및 이동부(173)로 구성된다.
머리부(171)는 고정수단(150)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151a) 또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3연동홀(151b)의 상부 외부에 위치하게 되며, 체결부(172)는 높이조절플레이트(130)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2홀(131b),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112a)에 체결된다. 이동부(172)는 머리부(171)와 체결부(172)를 연결하면서 고정수단(150)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연동홀(151b)의 원형의 홀과 바 형태의 홀 사이를 이동(기능 1)하거나 이동부(172)를 중심으로 고정수단(1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기능 2)을 수행한다.
머리부(171)는 다각형(예를 들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거나 최상부 면에 통상의 드라이버로 체결수단(17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십자 홈이나 일자 홈이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체결부(172)의 외면에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112a), 플레이트 고정용 제2홀(131b) 및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151a)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173)의 직경은 머리부(171) 및 체결부(172)는 물론이고 플레이트 고정용 제2연동홀(131c)의 직경에 비해서도 작아야 할 것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타일지지클립(190)은 클립베이스(191), 타일고정부(192) 및 헤드부(193)로 구현할 수 있다.
클립베이스(191)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높이조절플레이트(130)의 클립수용홈(13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직사각형의 긴 면 사이의 길이(폭)는 클립수용홈(132a)의 상부의 개방된 입구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직사각형의 짧은 면 사이의 쪽의 길이(폭)은 클립수용홈(132a)의 하부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요약하면, 좁은 입구의 클립삽입홈(132a)로 투입된 클립베이스(191)는 클립삽입홈(132a)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여 클립베이스(191)가 클립삽입홈(132a)에 꼭 끼이도록 한다.
타일고정부(192)는 하부가 클립베이스(191)의 중앙 상부 면에 결합한 패널의 형태를 가지며, 마감 시공시 타일고정부(192)의 전면 및 후면이 클립수용홈(132a)의 길이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클립수용홈(132a)에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타일지지클립(190)이 회전하여 클립베이스(191)이 클립수용홈(132a)에 꼭 끼이도록 한다.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패널의 측면은 클립수용홈(132a)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을 지향한다. 따라서 마감 시공시 타일고정부(192)의 양쪽 측면에 타일의 일 면이 고정되게 될 것이다.
헤드부(193)는 타일고정부(192)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타일지지클립(190)을 일정한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헤드부(193)는 타일고정부(192)에 비해 넓을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종류의 베이스플레이트(110), 6종류의 높이조절플레이트(130) 및 4종류의 고정수단(150)을 시공 현장의 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조합하면 시공 현장의 상황에 관계없이 타일 마감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다. 타일 마감 시공을 쉽게 할 수 있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그 구조상 타일의 무게를 견딜 수 있으며 높이조절플레이트(130)를 잘 이용하면 마감 시공시 타일의 벽면으로부터의 높낮이를 초보자라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여러 종류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실제 시공에서 선택할 수 있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1실시 예이다.
도 2a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2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2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2실시 예이다.
도 3a는 제2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1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제2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1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3실시 예이다.
도 4a는 제4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3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제4형 베이스플레이트, 제1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3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4실시 예이다.
도 5a는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 제3형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제3형 베이스플레이트, 제3형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5실시 예이다.
도 6a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4형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4형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6실시 예이다.
도 7a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5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2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 제5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2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제7실시 예이다.
도 8a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6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4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제1형 베이스플레이트, 제6형 높이조절플레이트, 제4형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 도 8에 도시된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베이스플레이트, 높이조절플레이트,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이 결합관계를 이해할 수 있으며, 도 2 ~ 도 8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시공자의 기호에 따라서 또는 타일의 형태나 무게에 따라서 시공자가 조합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도 2 ~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공 장치의 실시 예는 크게 베이스플레이트, 높이조절플레이트, 고정수단 및 체결수단을 모두 사용하는 제1타입 실시 예 및 고정수단을 제외한 베이스플레이트,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제2타입 실시 예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타입 실시 예로는 제1실시 예, 제2실시 예, 제3실시 예, 제6실시 예와 제7실시 예가 있고, 제2타입 실시 예로는 제4실시 예와 제5실시 예가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b에 도시된 제2형 높이조절플레이트(130-2)는 고정수단(150)을 사용하지 않는 제2타입 실시 예에 포함될 것이다.
도 9는 타일지지클립을 높이조절플레이트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a는 타일지지클립(190)을 높이조절플레이트(103)의 클립수용홈(132a)에 장착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타일지지클립(190)을 높이조절플레이트(103)의 클립수용홈(132a)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c는 클립수용홈(132a)에 장착된 타일지지클립(190)을 클립수용홈(132a) 내에서 90°로 회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타일지지클립(190)은 클립수용홈(132a)에 삽입 고정되어 타일이 높이조절플레이트(130)의 상부 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다. 따라서, 타일지지클립(190)은 클립수용홈(132a)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인데, 클립베이스(191)의 폭이 좁은 면으로 클립수용홈(132a)의 개방된 입구를 통과하여 타일지지클립(190)을 클립수용홈(132a)에 내에 삽입한 후, 타일지지클립(190)을 90°로 회전시켜 클립베이스(191)의 폭이 넓은 면이 타일지지클립(190)의 벽에 고정되도록 한다. 타일지지클립(190)이 클립수용홈(132a)에서 회전할 때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사각형태를 가지는 클립베이스(191)의 2개의 면을 곡면으로 해야 한다.
도 10은 타일지지클립을 사이에 두고 타일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고하면 클립수용홈에 장착된 타일지지클립(C)의 좌우에 타일(T)이 고정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마감 시공 시 사용되는 타일의 크기 및 폭을 고려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설치 및 높이조절플레이트(130)를 설치하면, 이후의 마감 시공은 숙련자가 아니라도 빠른 시간 안에 마무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0-1~110-5)
111 : 대상 부착패널
111a : 대상부착용 홀
112 : 플레이트 지지패널
112a :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
112b : 플레이트 고정용 제1연동홀
130 : 높이조절플레이트(130-1~130-6)
131 : 고정수단 삽입부
131a : 고정수단 삽입홈
131b : 플레이트 고정용 제2홀
131c : 플레이트 고정용 제2연동홀
132 : 클립수용부
132a : 클립수용홈
133 : 하부패널
134: 상부패널
134a : 타일고정돌기
150 : 고정수단 (150-12~150-3)
151 : 고정부
151a :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
151b : 플레이트 고정용 제3연동홀
152 : 삽입부
170 : 체결수단
171 : 머리부 172: 타일고정부
173 : 헤드부
190 : 타일지지 클립
191 : 클립베이스 192 : 타일고정부
193 : 헤드부

Claims (6)

  1.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위치하며 각각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을 구비하는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및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의 양쪽 끝과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사이에서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어 하부가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부착하는 대상부착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지지패널 사이에 삽입고정되며, 개방된 양측에서 막혀있는 중심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대칭된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수단 삽입부 및 상기 고정수단 삽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클립수용홈을 형성하는 클립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과 체결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이 형성된 패널 형태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벽면 방향으로 구부려진 후 다시 펴진 상태로 확장되며, 상기 고정수단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거나,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상부착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시공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에 부착하는 2개의 대상부착패널 및 절곡된 양단이 상기 2개의 대상부착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대상부착패널과 인접하는 2곳에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플레이트;
    개방된 중앙부에서 막혀 있는 양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형성된 2개의 고정수단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수단 삽입부 및 2개의 상기 고정수단 삽입홈의 상부에 형성된 클립수용홈을 포함하는 클립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높이조절플레이트; 및
    납작한 V자 패널 형태를 가지며, V자 패널의 양측이 상기 고정수단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부 면이 상기 삽입부의 꺾인 중앙부와 체결되며 체결수단으로 상기 플레이트 고정용 제1홀과 각각 체결되는 플레이트 고정용 제3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타일 시공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높이조절플레이트의 클립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클립베이스;
    하부가 상기 클립베이스의 중앙 상부 면에 결합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패널의 형태를 가지는 타일고정부; 및
    상기 타일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타일고정부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가지는 헤드부; 를
    포함하는 타일지지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9960A 2017-03-09 2017-03-09 타일 시공 장치 KR10180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60A KR101808233B1 (ko) 2017-03-09 2017-03-09 타일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960A KR101808233B1 (ko) 2017-03-09 2017-03-09 타일 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233B1 true KR101808233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960A KR101808233B1 (ko) 2017-03-09 2017-03-09 타일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151B1 (ko) 2022-09-29 2024-01-11 주식회사 지비에스 타일 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04Y1 (ko) * 2005-06-27 2005-09-27 (주) 웹스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0978389B1 (ko) * 2008-12-10 2010-08-30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KR101122701B1 (ko) * 2009-03-09 2012-03-09 육성호 장식판넬 설치구조
KR101207212B1 (ko) * 2012-07-27 2012-12-03 주식회사 건기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04Y1 (ko) * 2005-06-27 2005-09-27 (주) 웹스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0978389B1 (ko) * 2008-12-10 2010-08-30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KR101122701B1 (ko) * 2009-03-09 2012-03-09 육성호 장식판넬 설치구조
KR101207212B1 (ko) * 2012-07-27 2012-12-03 주식회사 건기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151B1 (ko) 2022-09-29 2024-01-11 주식회사 지비에스 타일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48269A (en) A concrete wall in a construction system
US20210086398A1 (en) Configurable steel form system for fabricating precast panels
KR101808233B1 (ko) 타일 시공 장치
US20210214942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for hardscape structure
US7055256B2 (en) Plumb bob square bracket
CN108222554B (zh) 卫生间框架、卫生间框架装配方法
WO2019128092A1 (zh) 装配式厨房及其安装方法
JPH05321437A (ja) タイル張設構築物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JP6782530B2 (ja) 外壁部材の支持具を用いた施工構造
US20080006976A1 (en) Multiple spacing portable framing jig
BE1028487B1 (nl) Profielsamenstel voor een demonteerbaar wandsysteem
WO2007147920A1 (es) Sistema de tabiquería modular
KR100609081B1 (ko) 바닥콘크리트 수평평활도 및 옹벽거푸집 설치를 위한 레벨러
US20040237450A1 (en) Framing jig
JP2533504Y2 (ja) 壁面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JPH0124244Y2 (ko)
KR200415831Y1 (ko) 칸막이용 경량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0230257990A1 (en) Construction Tie for Securing U-Channels Vertically in Columns
KR100642136B1 (ko)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JPH0334980Y2 (ko)
JP2007291812A (ja) タイル取付用パネル及びタイル壁面の施工方法
JP2002106094A (ja) 屋内間仕切り用壁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