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136B1 -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136B1
KR100642136B1 KR1020050000090A KR20050000090A KR100642136B1 KR 100642136 B1 KR100642136 B1 KR 100642136B1 KR 1020050000090 A KR1020050000090 A KR 1020050000090A KR 20050000090 A KR20050000090 A KR 20050000090A KR 100642136 B1 KR100642136 B1 KR 10064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nishing structure
wall surface
lower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642A (ko
Inventor
한대인
Original Assignee
(주) 한승디자인
한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승디자인, 한대인 filed Critical (주) 한승디자인
Priority to KR102005000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1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6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 A47F1/06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op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구조물의 누수와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하벽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벽면의 폭과 높이에 따라 벽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및 이들 사이에서 직각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기둥부재로 벽면, 특히 지하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마감, 누수, 결로, 걸레받이

Description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Finishing structure of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패널을 장착하지 않고서 벽면에 장착된 도 1로 도시된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벽면에 장착될 본 발명의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조물 위로 패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부재, 20 ----- 상부지지대,
30 ----- 하부지지대, 40 ----- 걸레받이,
50 ----- 패널(panel), 60 ----- 간격자(spacer),
120 ----- 천정부, 130 ----- 바닥부
131 ----- 모르타르층, 132 ----- 방수턱,
W -----벽면.
본 발명은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흐르는 누수를 배수통로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이 누수의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00708호는 "벽체용 이중 방습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벽체로부터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침투된 침투수와 응결된 결로수(結露水)를 배출하기 위해 고정패널과 커버패널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전술된 종래기술은 사각형상의 고정패널을 벽면의 면적에 따라 사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각 면에 상호 결속될 수 있는 체결부재를 구비시켜 벽면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패널은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패널의 중심에 형성된 오목홈을 관통하여 벽면에 고정장착시킨다. 고정패널은 토압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고정패널의 대각선방향으로 수직보강돌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방패연과 흡사한 배열로 보강부재들이 형성된 고정패널은 토압을 견디기 위해 또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바, 이는 고정패널의 중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고정패널의 제조시 복잡한 작업을 거쳐야 하는 단점을 피할 수 없다.
벽면에 고정된 고정패널 위로 사각형상의 커버 패널을 체결시켜 벽면을 마감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누수와 결로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지하벽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충분히 양생시킨 후에, 그 위로 방수층을 도포하도록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공지된 종래기술은 고정패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벽면을 관통시킨다. 따라서, 벽면을 관통하면서 벽체를 이루는 방수층은 필연적으로 파손될 수 밖에 없으며, 국부적으로 방수층이 파손되었어도 이는 전체적으로 그 파손 부위를 따라 누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는 건축물에서 방수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 외의 기존공법으로는 재래식 블록쌓기를 통한 시공이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듯이, 재래식 블록쌓기 시공법은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적절하게 혼합한 습식시공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공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일시적 복수공정을 실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체적으로 동절기에는 시공을 지양하고 있기에 공사 공기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습식시공방식이므로 현장관리의 어려 움이 따르고 양생 후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통해 공기의 지연현상과 크랙 발생시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이 안출되었다. 누수에 위해서 벽체와 바닥부로 침투되거나 습기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벽체와의 충분한 이격간격을 제공하고 습기의 방출을 방지하고 결로를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공될 벽면의 폭과 높이에 따라 현장에서 폭에 따라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를, 그리고 높이에 따라서 기둥부재를 재단하여 이들을 상호 조립체결하여 벽면과 이격되게 고정장착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현장에서의 작업공수를 현격하게 줄일 뿐만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며 방수층이 도포된 벽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벽면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기둥부재 상으로 삽입될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의 프레임 위로 외장패널을 부착 한 상태를 도시한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부(130)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었듯이 기초 콘크리트층에 방수층을 도포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바닥부(130) 상으로 모르타르층(131)이 타설되되, 모르타르층(131)은 바닥부(130)를 완전하게 덮지 않고 도면과 같이 벽면에서 떨어지게 타설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바닥부(130)에는 불필요한 물, 예컨대 결로수 혹은 누수를 배출시키는 바닥용 배수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바닥부(130)의 모르타르층(131) 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구조물이 벽면(W)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닥부(130)와 마찬가지로, 벽면(W)은 통상적으로 기초 콘크리트 또는 적층된 벽돌 상으로 방수층을 도포한다. 덧붙여서, 건축물의 바닥면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바닥부(130)와 함께, 이 바닥부(130)으로 타설된 모르타르층(131) 또는 방수턱(132;도 5 및 도 6참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벽면(W)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다수의 기둥부재(10)와 이 기둥부재(10)를 안착지지할 수 있도록 천정부(120)에 위치되어 벽멱(W)의 폭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상부지지대(20), 이 상부지지대(20)와 평행하게 바닥부(130), 더욱 구체적으로 모르타르층(131)에서 길이연장되어 있는 하부지지대(30)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하부와 모르타르층(131)이 만나는 부분을 마감재로 처리하여 미관과 바닥에 널려져 있는 오물이 벽체를 더럽히지 않도록 걸레받이(40;skirting)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하부지지대(30)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걸레받이(40) 는 기술된 미관상의 목적 이외에도 건축물의 바닥이 완전히 편평하지 않기에 작업의 용이성과 구조물의 확실한 설치를 위해서 천정부(120)와 바닥부(130), 더욱 구체적으로 천정부(120)와 모르타르층(131) 사이의 높이간격을 일정하게 하도록 하는 평활도(平滑度)를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서 원호로 표기된 걸레받이(4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벽면(W)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되, 바람직하기로 벽면(W)에 구조물을 부착시키는 간격자(60;spacer)의 길이부만큼 벽면과 구조물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우선적으로, 걸레받이(40)는 건축물의 모르타르층(131) 위에서 벽면이 뻗어 있는 폭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열된다. 걸레받이(40)는 건축물의 벽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천정부(120)와 바닥부(130)의 모르타르층(131) 사이의 높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걸레받이(40)가 높이조절되어 일정한 평활도를 유지시킨 다음에, 상기 걸레받이(40) 위로 하부지지대(30)를 올려놓는다. 특히, 걸레받이(40)와 하부지지대(30) 사이의 추가적인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체결시킬 수 있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에서의 표기는 본 발명의 명백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배제한다. 시공자의 목적과 편이를 위해서, 걸레받이(40)는 도 1로 도시된 제1실시예와 같이 모르타르층(131) 상에 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로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바닥부(130) 상에 직접 안착되거나 도 5로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라 방수턱(13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레받이(40)는 하우징(41)과 고정바아(42)를 구비하되, 우선적 으로 고정바아(42)는 걸레받이(40)가 설치될 방향, 즉 벽면(W)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면서 평행하게 뻗어 있는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어 작업의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행적으로 벽면의 시공높이를 보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걸레받이(40)가 건축물의 바닥면의 편평화 작업을 실시한다.
기술되었듯이, 걸레받이(40)가 바닥부(130)의 모르타르층(131) 상에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바아(4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바아(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30)의 모르타르층(131)에 나사못(43)으로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방법을 통해 바닥부(130)의 모르타르층(131)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고정바아(42)는 하우징(41)의 오목홈(44)에 삽입된다. 건축물의 바닥평편도에 따라, 고정바아(42)는 하우징(41)의 오목홈(44)에 적당히 삽입되는 바, 벽면의 높이가 미소하게 상이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평활도의 오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벽면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높이오차만큼 고정바아가 오목홈(44)에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그 오차를 극복시킬 수 있다.
하부지지대(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벽면(W)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는 바,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천정부(120)까지 길게 뻗어 있는 다수의 기둥부재(10)가 하부지지대(30) 위에서 직교되어 배치된다. 하부지지대(30) 위로 안착된 기둥부재(10)간의 배치간격, 더욱 구체적으로 슬롯(12)과 슬롯 간의 간격은 10~20cm, 바람직하게는 1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둥부재(10) 상으로 삽입될 패널(50)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시킨다(도 2참조 및 도 3참조).
하부지지대(30)는 기둥부재(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평편한 기저부를 구비하되, 상기 기저부의 양 단부에는 이탈방지판이 기저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기둥부재(10) 혹은 패널(50)의 배후면을 타고 흐르는 침투수 또는 결로수가 하부지지대(30) 상으로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수판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기저부는 벽면을 향해 기울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었듯이, 패널(50;도 3참조)이 기둥부재(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2)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재(10)의 슬롯(12)은 패널(50)의 양 측면에서 뻗은 측면연장부를 수용한다. 슬롯(12)은 나란히 배열된 패널(50)로부터 뻗은 2개의 측면연장부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와는 반대로, 슬롯(12)이 형성된 기둥부재(10)의 반대면, 즉 배후면에는 간격자(60)를 구비한다.
특히, 간격자(60)는 기둥부재(10)와 벽면(W)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로서, 우선적으로 시공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간격자(60)가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기로, 간격자(60)는 길이연장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시공현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과 벽면(W)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다시 말하자면 벽면(W)이 균일하게 평탄화되지 않을 수 있는 상황하에서도 구조물을 벽면과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일단 구조물을 벽면(W)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간격자(60)는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장착된다. 그런 다음에, 간격자(60)와 벽면(W) 사이에 에폭시수지로 접착시킨다. 기술된 바와 같이, 구조물과 벽면의 고정수단으로 에폭시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벽체에 도포된 방수층을 훼손하지 않고서 더욱 효과적으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10)와 간격자(60)의 부착방법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다양한 부착수단, 예컨대 나사와 못 등으로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더욱 특별하기로, 건축물의 천정부(120)와 모르타르층(131) 사이의 높이, 즉 벽면의 높이가 그 형성방향을 따라서 미소하게 상이한 높이차를 형성할 경우에는 전술된 걸레받이(40)를 매개로 그 높이오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벽면(W)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벽면마감용 구조물이 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돕기 위해서, 구조물 중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부착된 다수의 간격자(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벽면(W)이 편평하지 않고 미소하게나마 울퉁불퉁할 경우 그 차는 간격자(60)를 매개로 벽면과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배치시킬 수 있다.
하부지지대(30)에서 직각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둥부재(10)는 천정부(120)에 직접 맞닿도록 하지 않고 천정부(120) 아래의 상부지지대(20)에 안착된다. 상부지지대(20)는 천정부(120)에 접착 혹은 나사체결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 에폭시수지로 고정되도록 하여 벽면에 나사 혹은 못 등에 의한 체결수단이 콘크리트층에 박혀지면서 야기될 크랙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부지지대(20)는 하부지지대(30)와 동일하게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어, 기둥부재(10)를 수용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한 기둥부재와 이에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다른 기둥부재에 형성된 슬롯(12) 상으로 삽입되어 부착될 패널(50)로서 외부마감을 실시할 수 있다. 패널(50)의 크기와 형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국한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기둥부재(10)에 안착된 패널들(50)은 다양한 문양과 그림, 문자 등을 인쇄하여 벽면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시공상의 편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건축물의 기존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30)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된다. 벽면의 폭방향을 따라서 천정부(120) 상으로 상부지지대(20)를 고정하고 바닥부(130) 상으로는 상부지지대(20)와 평행하게 걸레받이(40)가 안착되어 있다. 걸레받이(40) 위로 하부지지대(30)가 올려져 있다. 평행하게 배열된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 사이로 앞서 제1실시예로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부재(10) 및 걸레받이(40)를 배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이 설치될 바닥부(130)는 전반적으로 방수층으로 도포되어 방수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천정부(120)와 방수턱(132) 사이에 설치된다. 방수턱(132)은 바닥부(130) 위에 설치되되, 벽면마감용 구조물이 형성될 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다. 방수턱(132) 상으로 안착된 걸레받이(40)는 그 위에 하부지지대(30)와 기둥부재(10) 및 상부지지대(10)를 배치하는데, 부재들간의 조립상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은 천정부(120)와 방수턱(132) 사이에 설치된다. 방수턱(132)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30) 위에 설치되며, 벽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길이연장되어 있다.
특별하기로, 제4실시예에서는 방수턱(132)이 기존 걸레받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걸레받이를 생략할 수 있다. 방수턱(132) 상으로 본 발명의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지지대(30)가 직접 안착된다. 하부지지대(30)는 상부지지대(20)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그 사이로 직교되어 다수의 기둥부재(10)가 배치된다. 세워진 기둥부재(10) 위로 패널(50)로 외장마감을 실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열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이 설치될 벽면(W)의 폭과 높이를 실측한다(단계 100). 시공벽면의 높이는 건축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 (130)와 모르타르층(131) 및 방수턱(132)에서 천장부(120)까지의 높이를 실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W)과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를 따라서 걸레받이(40)를 설치한다(단계 200). 걸레받이(40)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구조물의 가설높이가 일정하도록 평활도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벽면의 높이를 보정한 후에, 벽면의 폭에 맞춰서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를 재단하고, 걸레받이(40)를 제외한 벽면의 높이에 맞춰서 기둥부재(10)를 재단한 후에,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 사이로 다수의 기둥부재(10)를 나란히 배열시키고(단계 300),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간격자(60)를 부착시키는 등의 조립과정을 실시한다(단계 400).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벽면(W) 사이의 간격은 길이조정가능한 간격자(60)로 형성된 길이와 상응하도록 한다.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벽면(W) 사이의 간격은 전술되었듯이 벽면과 걸레받이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게 배치되되, 이를 위해서 간격자(60)는 벽면과 걸레받이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벽면과 기둥부재(10)의 이격간격에 따라 길이조정하여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에, 조립된 프레임은 이미 벽면이 뻗어 있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걸레받이(40) 또는 건축물의 바닥면, 예컨대 바닥부와 모르타르층 및 방수턱 위로 위치시켜 천정부(120) 사이로 끼워 넣으면 간격자(60)에 도포된 에폭시수지를 매개로 벽면(W)과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단계 500). 물론, 상부지지대(20)와 천정부(120) 사이도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토록 한다.
견고하게 벽면으로부터 구조물이 고정된 후에, 기둥부재(10)에 형성된 슬롯(12)을 따라서 패널(50)을 삽입한다(단계 600).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시공될 벽면의 폭과 높이를 실측하고 작업현장에서 재단 및 조립할 수 있기에 고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으면서 작업공수를 현격하게 줄이고 정확하게 벽면의 크기에 맞춰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특히, 구조물과 콘크리트 사이에 틈새를 두어서 물의 배수를 돕고 방수층에 손상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건축물에 요구되는 방수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패널에 다양한 형상과 문양 등을 삽입시켜 벽면에 미적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들에 포함된 부재들이 쉽게 탈부착가능하여 누후되거나 고장시에 교체가 용이하다.
벽면, 특히 지하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침투수와 결로수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건축물의 바닥부에 기 설치된 배수판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감용 구조물은 벽면에 간격자를 통해서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가 아래로 흐르는 데에 방해하지 않아 침투수들이 장시간 고여 있지 않도록 제공된다.

Claims (7)

  1.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벽면(W)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패널(50)로 외장을 마감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공할 벽면(W)의 높이와 폭의 크기를 실측하는 단계(100)와;
    실측된 크기에 상응하게 기둥부재(10)와 상부지지대(20) 및 하부지지대(30)를 가공하고 이들을 조립하는 단계(300);
    조립된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간격자(60)를 부착하는 단계(400);
    조립된 구조물을 천정부(120)와 건축물의 바닥 사이로 설치하는 단계(500) 및;
    상기 벽면(W)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조립된 상기 기둥부재(10)의 슬롯(12)으로 패널(50)로 마감처리하는 단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30) 아래로 걸레받이(40)를 설치하는 단계(2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3. 건축물의 천정부와 바닥 사이로,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벽면(W)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패널(50)로 외장을 마감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면(W)의 폭방향으로 천정부(120)에 배치된 상부지지대(20)와;
    상기 벽면(W)의 폭방향으로 건축물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부지지대(20)와 평행하게 배열된 하부지지대(30);
    상기 상부지지대(20)와 하부지지대(30)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열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2)을 구비한 다수의 기둥부재(10) 및;
    상기 기둥부재(10)의 배후면에 고정되고 벽면(W)과의 부착을 돕는 간격자(60);를 구비하되, 상기 패널(50)은 수직하게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기둥부재(10)의 슬롯(12) 사이로 끼워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30)는 그 아래로 걸레받이(40)를 추가로 구비하여 평활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30)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모르타르층(131) 혹은 방수턱(132)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자(60)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재로 벽면(W)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자(60)는 길이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마감용 구조물.
KR1020050000090A 2005-01-03 2005-01-03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KR10064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90A KR100642136B1 (ko) 2005-01-03 2005-01-03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90A KR100642136B1 (ko) 2005-01-03 2005-01-03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42A KR20060079642A (ko) 2006-07-06
KR100642136B1 true KR100642136B1 (ko) 2006-11-03

Family

ID=3717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90A KR100642136B1 (ko) 2005-01-03 2005-01-03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565B1 (ko) 2007-06-22 2007-10-26 손태창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15B1 (ko) * 2006-08-11 2007-04-20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53U (ja) 1984-06-12 1986-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地下外壁の構造
JPH049443U (ko) * 1990-05-08 1992-01-28
KR950027684U (ko) * 1994-03-18 1995-10-18 조립식 지하이중벽체구조
KR960023547A (ko) * 1994-12-27 1996-07-20 전대우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부재
JPH08232435A (ja) * 1995-02-27 1996-09-10 Itoki Crebio Corp 壁面パネル構造
JP2000240086A (ja) 1999-02-18 2000-09-05 Shimizu Corp スペーサ
KR200361541Y1 (ko) 2004-06-29 2004-09-14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53U (ja) 1984-06-12 1986-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地下外壁の構造
JPH049443U (ko) * 1990-05-08 1992-01-28
KR950027684U (ko) * 1994-03-18 1995-10-18 조립식 지하이중벽체구조
KR960023547A (ko) * 1994-12-27 1996-07-20 전대우 건축물의 조립식 벽판부재
JPH08232435A (ja) * 1995-02-27 1996-09-10 Itoki Crebio Corp 壁面パネル構造
JP2000240086A (ja) 1999-02-18 2000-09-05 Shimizu Corp スペーサ
KR200361541Y1 (ko) 2004-06-29 2004-09-14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565B1 (ko) 2007-06-22 2007-10-26 손태창 다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조립식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42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989B2 (en) Apparatus for setting objects
US7097147B2 (en) Non-destructive form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404269B2 (en) Exterior wall assembly systems
US9163413B2 (en) Exterior wall assembly systems
KR100591393B1 (ko) 창호시스템
CA2602765A1 (en) Permanent standardised pre-fastening system for civil construction
CA2652781A1 (en) Outdoor flooring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20110124476A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0642136B1 (ko)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KR20100027628A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KR20230046923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169441B2 (ja) 腰壁・土間構造
JP2007056485A (ja) 内装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天井の構築方法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KR20110005543A (ko)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EP3404155A1 (en)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CA2722363C (en) Wall facing system and devices for supporting and anchoring stone facing elements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KR20000052020A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US20110258953A1 (en) Slab edge casing and method therefor
CN107587687B (zh) 地板组件及其铺装方法
JP3326411B2 (ja) 床部からの立上がり防水層の保護構造
JP2015121082A (ja) 断熱屋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