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43A -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43A
KR20110005543A KR1020090063154A KR20090063154A KR20110005543A KR 20110005543 A KR20110005543 A KR 20110005543A KR 1020090063154 A KR1020090063154 A KR 1020090063154A KR 20090063154 A KR20090063154 A KR 20090063154A KR 20110005543 A KR20110005543 A KR 2011000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ainage
plate
support
undergroun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454B1 (ko
Inventor
이은학
오창원
김창호
허출
Original Assignee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덕창건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대건케미칼 주식회사, 덕창건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4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단열기능이 포함되는 바닥배수재와 벽체배수재를 통해 바닥면 및 벽체의 결로 현상을 저감해줌과 동시에 결로나 침투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감판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생산되는 벽체배수재를 설치함으로써 벽체마감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면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마감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바닥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지지기둥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에 대응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끼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닥단열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바닥배수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벽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벽체배수판과, 상기 벽체배수판의 타측에 일체로 부착되되 상기 지지기둥에 삽입되는 끼움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단열판과, 상기 벽체단열판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벽을 마감해주는 마감판재로 구성되는 벽체배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는 벽체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층이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지하구조물, 바닥배수재, 벽체배수재, 결로, 마감, 배수층,

Description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Assembled finishing panel for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단열기능이 포함되는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를 통해 벽체 및 바닥면에 결로 현상을 저감시켜주고,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결로나 침투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며 대부분 이러한 지하구조물에는 지상 건축물의 연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주차장으로 시공되어 이용되고 있으므로 지하층의 바닥시공시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지하층 바닥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층 깊이 굴착이 이루어질 경우 굴착된 지층에는 지하수에 대한 내압이 낮아져 주위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지하층 바닥으로 침투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배수 처리해주기 위한 배수시공과 구체콘크리트의 상부에 방수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지하층의 경우에는 벽체를 통해서도 결로나 침투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로나 침투수를 저감함과 동시에 배수하기 위한 처리를 수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층 바닥시공과 배수시공을 동시에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누름콘크리트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수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배수판은 내방수용으로 지하구조물에 침투하는 지하수의 처리를 위하여 구체콘크리트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배수로를 통하여 집수정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배수판은 지하구조물, 지하시설물, 지하주차장 등에 침투하는 지하수와 결로수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방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슬라브 공법 대체시 지하터파기 및 잔토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배수판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생산되는 규격배수판과 롤 형태로 감겨져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롤형 배수판이 있다.
상기 롤형 배수판은 제품자체의 코어부분이 협소하여 골재에 의해 코어부분이 막히면 그 부위엔 콘크리트가 충전되지 못하여 콘크리와의 접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 바닥면 시공시 배수판의 상부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무근콘크리트의 표면, 즉 바닥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배수판에 단열기능이 없어 지중의 차가운 온도와 지하실 내부의 따뜻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바닥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로에 의해 주로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지하실의 바닥표면이 미끄러워 주차시나 차량의 통행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벽체의 내벽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하이중벽을 설치하고,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벽체에 발생되는 결로나 침투수를 배수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이중벽은 단순히 결로나 침투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조로서 결로나 침투수의 발생을 저감시켜주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벽체에서 발생되는 결로나 침투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바닥에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기능이 포함되는 바닥배수재와 벽체배수재를 통해 바닥면 및 벽체의 결로 현상을 저감해줌과 동시에 결로나 침투수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감판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생산되는 벽체배수재를 설치함으로써 벽체마감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면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마감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바닥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지지기둥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에 대응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끼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닥단열판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바닥배수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벽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벽체배수판과, 상기 벽체배수판의 타측에 일체로 부착되되 상기 지지기둥에 삽입되는 끼움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단열판과, 상기 벽체단열판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벽을 마감해주는 마감판재로 구성되는 벽체 배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는 벽체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층이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배수재의 마감판재는 이웃하는 두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배수재의 마감판재는 대각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측면에 제1단턱접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제1단턱접합부에 대향되는 제2단턱접합부가 형성되어 상호 겹쳐져 결합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배수재는 소정의 간격마다 지지기둥을 접착제를 통해 벽체에 부착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배수판과 벽체배수판에는 이웃하는 지지기둥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판의 강도를 향상시켜주는 오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배수판과 벽체배수판의 지지기둥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지지기둥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지지기둥의 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보강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배수판은 이웃하는 다른 바닥배수판과 연결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일측의 날개부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바닥배수판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 상기 타측의 날개부에 결 합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 끼워지는 결합돌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기능이 포함되는 바닥배수재를 통해 단열 효율을 높여주어 결로와 침투수의 발생을 매우 저감시켜주고, 벽체단열판과 마감판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배수재를 통해 벽체에서 발생되는 결로와 침투수의 발생을 저감시켜 주며,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기간을 절약해 줄 수 있으며, 적정한 간격마다 벽체배수재를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벽체배수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벽체배수재를 안정적으로 접합하여 단열기능을 향상시켜 주며,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의 배수층이 연결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지하외벽에서 발생되는 결로 및 침투수가 바닥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며, 바닥배수판 및 벽체배수판의 연성이 우수하여 바닥면이나 벽체에 굴곡이 있다 하더라도 들뜸현상을 방지해주며, 지지기둥의 지지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처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됨으로써 균일하고 충분한 배수층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 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와 벽체배수재가 설치된 지하구조물 마감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앵커고정한 지하구조물 마감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마감 조립체(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배수층(400)을 형성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120)에 설치되고, 무근콘크리트(121)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바닥배수재(200)와, 벽체(110)에 설치되어 배수층(400)을 형성함과 동시에 결로와 침투수의 발생을 저감시켜주고 마감판재(330)가 구비되어 별도의 마감시공을 할 필요가 없는 벽체배수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배수재(200)와 벽체배수재(300)의 설치시 벽체(110)와 바닥면(130)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바닥배수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층(400)과 벽체배수재(30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층(400)이 연결되도록 시공하여 벽체(110)에 발생되는 결로나 침투수가 벽체배수재(30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층(400)을 통해 바닥으로 흘러 바닥배수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층(40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한편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의 단면도로서, 바닥배수 재(200)는, 내부에 공간부(212)가 구비되는 지지기둥(211)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평판형태의 바닥배수판(210)과, 상기 바닥배수판(210)의 지지기둥(2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211)에 대응되고 내부에 공간부(222)가 구비되는 끼움기둥(221)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닥단열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배수판(210)은 얇은 합성수지 판으로써 유연성이 있어 바닥면의 마감레벨에 굴곡이 있다 하더라도 들뜨지 않고 바닥면(120)에 부착되어 시공됨으로써 하자 발생률이 적다.
한편 상기 지지기둥(211)은 바닥배수판(210)에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배수판(210)의 종/횡방향에 대하여 규칙적인 배열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각 지지기둥(211)은 상광하협의 콘형상 구조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단면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지지기둥(211)은 원형의 평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각 지지기둥(211)의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로써 공간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2)에 상기 바닥단열판(220)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211)은 무근콘크리트(121) 타설시 타설된 무근콘크리트(121)가 양생될 때까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바닥단열판(220)은 끼움기둥(221)을 통해 상기 바닥배수판(210)의 지지기둥(211)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212)에 끼워져 바닥배수판(210)에 결합됨으로써 바닥배수판(210)의 단열 성능을 보강시켜주어 바닥 마감시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 상을 저감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단열판(220)은 다수의 끼움기둥(221)이 바닥배수판(210)의 지지기둥(211)에 각각 끼워져 바닥배수판(210)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서, 바닥배수판(210)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보다 향상된 단열성능이 발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닥배수재(200)는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결로나 침투수를 차단하거나 저감시켜 주고, 지지기둥(211)이 바닥면(120)에 놓여지도록 시공됨으로서, 지지기둥(211)에 의해 바닥배수판(210)과 바닥면(120) 사이에 배수층(400)이 형성되어 결로나 침투수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측구(도시없음)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벽체배수재(300)는 내부에 공간부(312)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311)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311)이 벽체(1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층(400)을 형성하는 벽체배수판(310)과, 상기 벽체배수판(310)의 타측에 일체로 부착되되 상기 지지기둥(311)에 삽입되는 끼움기둥(221)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단열판(320)과, 상기 벽체단열판(320)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벽을 마감해주는 마감판재(3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체배수재(300)는 벽체배수판(310)과, 벽체단열판(320) 및 마감판재(330)가 일체로 생산되는 것으로 벽체 시공시 마감가지 마무리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벽체배수판(210)은 상기 바닥배수판(2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지지기둥(311)이 규칙적인 배열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벽체(110)) 굴곡이 있더라도 들뜨지 않고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311)에 의해 벽체배수재(300)와 벽체(110) 사이에 배수층(400)이 형성됨으로서 벽체(110)에 발생되는 결로나 침투수가 벽체(110)의 하부로 흘러가게 되고, 이렇게 바닥으로 흘러간 결로 및 침투수는 바닥면(120)의 바닥배수재(200)에 의해 형성된 배수층(400)을 통해 배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단열판(320)은 벽체배수판(310)의 지지기둥(311)에 형성되는 공간부(31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311)에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기둥(321)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단열판(320)은 합성수지재를 발포시킨 폼보드나, 우레탄폼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벽체단열판(320)에 부착되어 일체로 생산된다.
이러한 벽체단열판(320)의 끼움기둥(321)은 지지기둥(311)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끼워져 부착됨으로써 벽체배수판(31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단열성능을 향상시켜 주고 이로 인해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판재(330)는 합판이나 MDF보드 등과 같은 목재나, 석고 또는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보드, PVC등과 같은 합성수지판재 등 어느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이러한 마감판재(330)에는 페인트 도색이나 벽지 등의 마감처리를 하여 표면을 미려하게 치장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벽체배수재(300)를 지하주차장이나 지하실에 설치할 경우 벽체배수재(300)의 최초 생산시 마감판재에 차량이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의 문양(340)을 표시하여 생산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체배수재(300)는 도 1 에서와 같이 벽체(110)에 시멘트 몰탈이나 우레탄, 또는 실리콘 접착제(370) 등을 이용하여 지지기둥(311)을 부착시킴으로서 벽체(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림 1],[그림 2]는 접착제 시공간격 설정을 나타낸 것으로,
[그림 1]
Figure 112009042195116-PAT00001
[그림 2]
Figure 112009042195116-PAT00002
그림1,2 에서와 같이 벽체배수재(300)의 규격이 800ㅧ 2000mm 일 경우 실리콘 접착제(370)의 접착간격을 200ㅧ 200, 400ㅧ 400, 600ㅧ 600, 800ㅧ 800의 간격으로 부착하였다.
이러한 벽체배수재(300)는 사용환경하에서 온도 및 습도가 변화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신축변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즉 접착간격이 넓은 경우 벽체배수재(300)가 신축에 의해 접착점 부근에 과도한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접착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신축에 따른 접착점 부근의 하중은 감소하나 양쪽 자유단에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양단에서 1/4 지점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배수재(300)는 습도가 일반환경보다 높은 지하구조물에 사용되므로 온도 차에 의한 휨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에 의한 부재내부의 휨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착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은 벽체배수재(300)에 가해지는 온도 및 습도 차이에 의한 변형효과를 벽체배수재(300)에 등분포하중으로 가정하였을 때 벽체배수재(300)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도를 나타낸 것이다. 결과에서 보듯이 접착부위를 양단에서 1/4지점에 위치시켰을 때 부재에 발생하는 휨모멘트가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400ㅧ 400 간격으로 벽체배수재(300)를 접착시키는 것이 벽체배수재(300)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적절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체배수재(300)는 상기 벽체배수판(310)과, 벽체단열판(320) 및 마감판재(3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생산되어 하나의 판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벽면에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벽체배수재(300)는 도 1b와 같이 앵커(371)를 통해 벽체(110)에 고정이 가능하며, 볼트나, 리벳 등을 통해서도 벽체에 고정 가능하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벽체배수재(300)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감판재(330)의 이웃하는 두 측면에 결합돌기(350)를 형성하고, 다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결합돌기(350)에 대응되는 결합홈(35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50)와 결합홈(351)은 벽체배수재(300)의 벽체(110) 설치시 상하, 좌우에 위치하는 벽체배수재(300)가 마감판재(330)의 결합홈 (350)및 결합돌 기(351)에 의해 끼움결합됨으로써, 이웃하는 벽체배수재(300) 사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게 되어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홈(351)은 상광 하협 형태로 구성하여 결합돌기(350)의 끼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벽체배수재(300)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재(330)를 대각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하여 마감판재(330)의 이웃하는 두 측면에 제1단턱접합부(360)가 형성되고, 다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제1단턱접합부(360)에 대향되는 제2단턱접합부(361)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벽체배수재(300)의 제1단턱접합부(360)와 제2단턱접합부(361)가 상호 겹쳐져 결합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벽체배수재(300)는 마감판재(33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50)과, 결합홈(351) 및 제1단턱접합부(360)와 제2단턱접합부(361)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벽체배수재(300)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상호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며,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체배수재(300)는 벽체배수판(310), 벽체단열판(320) 및 마감판재(3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생산되어 벽체(110)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워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톱 등의 수공구로 간단하게 임의의 크기로 절단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시공의 간편성을 갖게 된다.
또한 벽체단열판(320)을 통해 차가운 공기를 차단해줌과 동시에 마감판재(330)에 의해 벽체(110)의 내벽면을 마감해줌으로써 별도의 마감시공을 할 필요가 없어 공기를 단축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벽체배수재(300)와 바닥배수재(200)는 배수층(400)이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벽체배수재(300)와 바닥배수재(200)를 적절히 잘라 연귀이음 형태로 연결하거나 또는 벽체배수재(300)를 바닥면 까지 닿도록 시공하고, 벽체배수재(300)의 측면으로 바닥면(120)에 놓여지도록 바닥배수재(200)를 시공하여 배수층(300)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바닥배수판(210)의 이웃하는 지지기둥(211) 사이와, 바닥단열판(220)의 이웃하는 끼움기둥(221)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217)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217) 바닥배수판(21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리브 역할을 하여 강도를 향상시켜주고, 무근콘크리트(121)의 타설시 바닥단열판(220)의 오목홈(217)에 콘크리트가 골고루 충전되어 콘크리트와 바닥배수재(20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배수판(210)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이웃하는 다른 바닥배수판(210)과 연결할 수 있도록, 종횡방향 일단에 각각 연장되도록 날개부(214)가 형 성되고, 일측의 날개부(214)에는 이웃하는 다른 날개부(214)와 상호 결합되기 위해 결합구(215)가 형성되고, 타측의 날개부(214)에는 결합구(215)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16)가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부(214)에 형성된 결합돌기(216) 및 결합구(215)에 의해 바닥배수판(210)의 결속력을 향상시켜주어 균일하고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214)에 벨크로테잎을 부착하여 이웃하는 바닥배수판(210)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도 있다.
한편 벽체배수판(310)과 바닥배수판(210)의 지지기둥(311)(211)에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보강살(313)(213)들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살(313)(213)은 각 지지기둥(311)(211)의 외주면상에 구비되며, 각 지지기둥(313)(213)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갖으며 각 지지기둥(311)(21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각 지지기둥(311)(211)의 외주면상에 구비되는 보강살(313)(213)들은 지지기둥(311)(211)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고, 특히 바닥배수판(210)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지지기둥(211)이 좌굴되거나 파손되는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벽체배수판(310)과 바닥배수판(210)은 높은 내화학성을 지니고 있어 강알칼리성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여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3 은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열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배수재가 설치된 지하층구조물의 온도변화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배수재가 설치된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열영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종래의 무근콘크리트(121) 층의 온도는 대략 8℃ 정도 이며, 무근콘크리트(121) 층의 표면온도는 대략 9~10℃ 사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과 같이 바닥배수재(200)가 설치될 경우에는 무근콘크리트(121) 층의 온도가 대략 10℃인 것을 알 수 있으며, 무근콘크리트(121) 표면의 온도는 대략 11~12℃ 사이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배수재(200)에 의해 지중에 올라오는 차가운 기운을 차단해 줌으로써 무근콘크리트(121) 층의 표면, 즉 지하구조물의 바닥 온도가 바닥배수재(200)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바닥 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근콘크리트(212) 층의 온도가 높음으로써 지하구조물 내부 온도와의 온도차가 최소화되어 결로현상이 저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 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a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와 벽체배수재가 설치된 지하구조물 마감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앵커고정한 지하구조물 마감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닥배수재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재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3 은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열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배수재가 설치된 지하층구조물의 온도변화 등고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배수재가 설치된 지하구조물의 온도변화 열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하구조물 마감조립체 (110) : 벽체
(120) : 바닥면 (121) : 무근콘크리트
(200) : 바닥배수재 (210) : 바닥배수판
(211) : 지지기둥 (212) : 공간부
(213) : 보강살 (214) : 날개부
(215) : 결합구 (216) : 결합돌기
(217) : 오목홈 (220) : 바닥단열판
(221) : 끼움기둥 (222) : 공간부
(300) : 벽체배수재 (310) : 벽체배수판
(311) : 지지기둥 (312) : 공간부
(313) : 보강살 (320) : 벽체단열판
(321) : 끼움기둥 (330) : 마감판재
(340) : 문양 (350) : 결합돌기
(351) : 결합홈 (360) : 제1 단턱접합부
(361) : 제2 단턱접합부(370) : 접착제
(371) : 앵커
(400) : 배수층 (500) : 배수판

Claims (7)

  1. 지하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면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마감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바닥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지지기둥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에 대응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끼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닥단열판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바닥배수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벽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벽체배수판과, 상기 벽체배수판의 타측에 일체로 부착되되 상기 지지기둥에 삽입되는 끼움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단열판과, 상기 벽체단열판에 일체로 부착되어 내벽을 마감해주는 마감판재로 구성되는 벽체배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배수재와 바닥배수재는 벽체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층이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배수재의 마감판재는 이웃하는 두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 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배수재의 마감판재는 대각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두 측면에 제1단턱접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제1단턱접합부에 대향되는 제2단턱접합부가 형성되어 상호 겹쳐져 결합됨으로써 단열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배수재는 벽체배수재의 양단에서 1/4 지점에서 지지기둥을 접착제를 통해 벽체에 부착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배수판과 벽체배수판에는 이웃하는 지지기둥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 되어 배수판의 강도를 향상시켜주는 오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배수판과 벽체배수판의 지지기둥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지지기둥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지지기둥의 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보강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배수판은 이웃하는 다른 바닥배수판과 연결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일측의 날개부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바닥배수판의 날개부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
    상기 타측의 날개부에 결합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 끼워지는 결합돌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1020090063154A 2009-07-10 2009-07-10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10104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54A KR101043454B1 (ko) 2009-07-10 2009-07-10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54A KR101043454B1 (ko) 2009-07-10 2009-07-10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43A true KR20110005543A (ko) 2011-01-18
KR101043454B1 KR101043454B1 (ko) 2011-06-23

Family

ID=4361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154A KR101043454B1 (ko) 2009-07-10 2009-07-10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4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2225A1 (en) * 2014-05-16 2015-11-19 Mills Hilton R Subfloor drainage panel
CN107675810A (zh) * 2017-09-20 2018-02-09 珠海兴业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的连接结构
KR20220007234A (ko) * 2020-07-10 2022-01-18 (주)대우건설 단열 바닥 배수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54A (ko) * 1999-09-09 2001-04-06 김창호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DE10029371A1 (de) * 2000-06-20 2002-01-03 Merck Patent Gmbh Heterocyclische Aminoalkylpyridinderivate als Psychopharmaka
KR100849821B1 (ko) * 2002-02-18 2008-07-3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45001B1 (ko) * 2002-04-23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출용지 적재장치
KR200311092Y1 (ko) 2002-12-06 2003-04-26 박용기 배수방습판
KR200368836Y1 (ko) 2004-08-17 2004-12-03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물 외벽용 결로수 및 침투수 처리용 보호판재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2225A1 (en) * 2014-05-16 2015-11-19 Mills Hilton R Subfloor drainage panel
CN107675810A (zh) * 2017-09-20 2018-02-09 珠海兴业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的连接结构
KR20220007234A (ko) * 2020-07-10 2022-01-18 (주)대우건설 단열 바닥 배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454B1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699B2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s, precast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3258021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of said construction modules
JP2009035998A (ja) 外断熱・隣地空き無しrc建築工法
KR101043454B1 (ko) 건축 지하구조물의 마감 조립체
KR20110029489A (ko)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의 이음부 접합 시공방법 및 구조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0681308B1 (ko) 압축 시멘트판과 강재 샛기둥을 사용한 고정식 거푸집패널 시스템
US3802139A (en) Building constructed of vertical supports, longitudinal base element, and panel members
KR100792243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
KR20090130711A (ko) 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2148250B1 (ko) 수평형 압축 보강재 삽입형 하이브리드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JP6169441B2 (ja) 腰壁・土間構造
RU222387U1 (ru) Формованная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 утепления фундаментов и цоколей с формированием пристенного дренажа
JP2001323590A (ja) 排水床構造
WO2014165913A1 (en) Slab construction
RU257257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рекрытия со встроенной трубой для отопления пола
CN218437825U (zh) 一种装配式坡瓦屋面防水保温板与型钢的连接结构
KR200290838Y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CN215802549U (zh) 一种便于组装的预制保温隔音楼板结构
KR200275380Y1 (ko) 배수용 단열패널을 갖는 지하구조물
KR100642136B1 (ko) 벽면마감용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CN106703177A (zh) 一种大板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