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84B1 -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84B1
KR101808184B1 KR1020170081300A KR20170081300A KR101808184B1 KR 101808184 B1 KR101808184 B1 KR 101808184B1 KR 1020170081300 A KR1020170081300 A KR 1020170081300A KR 20170081300 A KR20170081300 A KR 20170081300A KR 101808184 B1 KR101808184 B1 KR 101808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housing
air discharge
inclined surf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현
최경운
Original Assignee
(주)창신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신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창신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8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일직선으로 형성된 에어배출유로(12)에 밸브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배출유로(12)의 선단에는 하우징경사면(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경사면(19)과 마주보게 몸체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 상기 몸체경사면(28)이 형성하는 각도(B)가 크다. 상기 에어배출유로(12)에 형성된 지지단(1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몸체통공(16)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20)의 몸체부(22)가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몸체통공(16)에서 상기 몸체부(22)가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지지단(14)과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 사이에는 탄성부재(30)가 위치되고, 상기 밸브몸체(20)의 후단에 있는 나사부(26)에는 제1스톱구(40)가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제품을 제조하는 사출금형에서 제품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에어배출장치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Air-discharg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여 재료가 되는 수지가 캐비티 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하는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형상의 물건을 합성수지로 만들 때에는 사출금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사출금형에서는 캐비티 내부에 재료인 합성수지를 용융된 상태로 주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캐비티 내부에 공기가 남아 있게 되면 용융된 수지 내에 기포가 형성되어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 제품 내에 기포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기포는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 외부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면 그나마 형상적으로 불량이 되지는 않으나, 제품의 두께가 두껍지 않고 얇은 경우에는 기포가 제품의 표면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게 되면서 제품의 외관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제품의 내부에 기포가 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제품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출제품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있는 공기를 수지의 주입 전에 배출하기 위해 에어배출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 동안 다양한 에어배출장치가 사용되어 왔지만, 에어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사출성형되는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에어배출장치에서는 에어가 완전히 배출된 상태에서 에어배출유로가 완벽하게 폐쇄되지 않아 용융되어 캐비티로 주입된 수지가 에어배출장치 내부로 전달되어 에어배출장치의 에어배출유로가 수지에 의해 막히게 되어 금형이 사용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985-00002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991-00061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992-00085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배출유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에어배출이 원활한 에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몸체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밸브몸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몸체의 왕복운동구간이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에어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유로가 연통공이 형성된 지지단을 경계로 나누어지며, 상기 지지단의 일측에는 상기 연통공을 연통시키는 연통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에어배출유로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커지도록 하우징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에어배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단을 관통하여 이동이 안내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일체로 있으면서 상기 에어배출유로 내에서 상기 에어배출유로를 개폐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경사면과 대응되게 상기 머리부의 외면에는 머리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몸체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 상기 몸체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B)가 큰 밸브몸체와, 상기 지지단과 상기 밸브몸체의 머리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머리부의 에어배출유로내에서의 위치를 설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에어배출유로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 및 진공펌프의 흡입력과 협력하여 상기 밸브몸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지지단에 접촉시에는 상기 연통채널이 형성된 단부의 상기 지지단의 몸체통공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촉되는 제1스톱구와, 상기 제1스톱구에 밀착되게 상기 밸브몸체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톱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하우징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 상기 몸체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B)가 2배의 크기이다.
상기 지지단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통공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몸체부가 안내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의 몸체경사면과 하우징의 하우징경사면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톱구가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나사부의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체결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배출유로가 하우징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직선경로를 형성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즉, 지지단에 형성된 연통공을 포함해서 에어배출유로가 거의 직선으로 된다. 물론, 제1스톱구의 위치에 따라서 약간의 굴곡이 생기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에어배출유로는 직선상으로 되어 캐비티 내의 공기 배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배출유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몸체의 몸체부 외경과 하우징의 지지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몸체통공의 내경이 거의 동일하게 되면서 밸브몸체의 전후 이동이 일정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밸브몸체의 전후방향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밸브몸체에 의한 에어배출유로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되어 캐비티 내의 공기 배출이 정확하게 됨과 동시에 캐비티 내에 수지가 채워지기 전에 에어배출유로를 확실하게 폐쇄하여 수지가 에어배출유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배출장치의 동작특성이 최적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밸브몸체가 하우징 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위치되어 일정한 이동행정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제1스톱구를 사용하는데, 상기 제1스톱구에 밀착되게 제2스톱구를 밸브몸체의 나사부에 체결하여 상기 제1스톱구가 밸브몸체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스톱구는 상기 나사부와 몸체부가 연결된 부분까지 체결된다. 여기에 제2스톱구가 제1스톱구에 밀착되게 상기 나사부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1스톱구는 항상 상기 밸브몸체에서 일정한 위치에 있게 되어 에어배출장치를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밸브몸체의 이동행정이 정확하면서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에어배출장치의 동작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우징은 캐비티를 기준으로 재료인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되어, 캐비티 내부로 주입되는 수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만 받게 되고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수지가 진입해 오기 전에 뺄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에어배출장치가 고장나는 경우가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사출금형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에어배출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에어배출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에어배출유로(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배출유로(1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일직선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유로(12)의 내면을 둘러서는 일정 구간에 걸쳐서 지지단(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4)은 상기 에어배출유로(12)의 내면에 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단(14)의 일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30)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지지단(14)의 타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톱구(40)가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단(14)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배출유로(12)의 유동단면적은 달라진다. 즉, 지지단(14)보다 상류측(밸브몸체(20)의 머리부(24)가 위치되는 측)의 유동단면적에 비해서 지지단(14)보다 하류측(제1스톱구(40)가 위치되는 측)의 유동단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는 제1스톱구(40) 등에 의해 에어의 유동이 방해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에어배출유로(12)의 유동단면적을 크게 하여 에어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단(1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에어배출유로(12)와 연통되게 몸체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통공(16)의 내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몸체(2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진다. 즉, 상기 몸체통공(16)의 내경은 밸브몸체(20)의 몸체부(22)가 원활하게 안내되어 이동되어 밸브몸체(20)가 전후이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몸체통공(16)의 내경과 밸브몸체(20)의 몸체부(22)의 외경은 ± 0.02정도의 공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4)의 몸체통공(16)의 길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몸체(20)의 몸체부(22)의 길이의 1/3보다는 크게 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몸체부(22)의 길이는 머리부(24)와 나사부(26)를 제외한 것이다. 이는 상기 밸브몸체(20)가 정확하게 전후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단(14)을 통과해서는 다수개의 연통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8)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단(14)을 관통하여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18)은 상기 몸체통공(16)과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6)은 상기 지지단(14)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져 있는 에어배출유로(12)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통공(18)의 직경은 상기 지지단(14)이 상기 에어배출유로(12)에서 돌출된 정도(탄성부재(30)가 지지되는 쪽)의 80%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상기 연통공(18)의 직경이 상기 지지단(14)이 돌출된 치수보다 80%보다 커지게 되면 연통공(18)을 지지단(14)에 형성되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단(14)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톱구(40)가 접촉되는 쪽에는 상기 연통공(18)들을 연결하게 연통채널(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채널(18')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단(14)의 표면중 상기 몸체통공(1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가 링형상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제1스톱구(40)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1스톱구(40)와 지지단(14)이 접촉되는 위치가 제1스톱구(40)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나머지 영역에서는 에어가 쉽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에어배출유로(12)의 입구측에서 내측으로는 에어배출유로(12)의 유동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배출유로(12)에는 하우징경사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은 상기 지지단(14)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은 상기 지지단(14)으로 구획된 일측 에어배출유로(12)에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의 하우징(10)을 길이방향으로 잘랐을 때,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이루는 각도(A)(도 3참고)는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에 있는 몸체경사면(28)이 이루는 각도(B)(도 7참고)보다는 작다. 좋기로는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이루는 각도(A)보다 몸체경사면(28)이 이루는 각도(B)가 두 배 크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몸체경사면(28)이 이루는 각도(B)는 40도이고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이루는 각도(A)는 20도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하우징경사면(19)이 이루는 각도(A)에 비해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에 있는 몸체경사면(28)이 이루는 각도(B)가 더 크게 됨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가 소정 거리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경사면(19)에 상기 몸체경사면(28)이 원형으로 되는 궤적을 따라 밀착되어 에어배출유로(12)를 폐쇄하게 된다.
밸브몸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에어배출유로(12) 내에서 전후 이동되면서 에어배출유로(12)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몸체(20)는 몸체부(22)와 머리부(2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2)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형상으로 된다. 상기 머리부(24)는 상기 몸체부(22)의 선단에 일체로 있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24)는 상기 몸체부(22)에 비해 큰 외경을 가진다. 상기 머리부(24)는 상단이 짤린 원뿔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머리부(24)는 상기 몸체부(22)에서 멀어질 수록 직경이 커지게 된다.
상기 몸체부(22)에서 상기 머리부(24)의 반대쪽 단부에는 나사부(26)가 있다. 상기 나사부(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스톱구(40,4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나사부(26)는 상기 몸체부(22) 일측 단부의 소정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4)의 외측면은 몸체경사면(28)이 된다. 상기 몸체경사면(28)은 상기 하우징경사면(19)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몸체경사면(28)의 양측 사이가 형성하는 각도(B)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경사면(19)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는 크다.
상기 머리부(24)의 선단면에는 공구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홈(29)에는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몸체(20)의 상기 나사부(26)에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톱구(40)가 체결되도록 힘을 가할 수 있게 한다.
탄성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에어배출유로(12) 내에서 상기 밸브몸체(20)가 에어배출유로(1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상기 밸브몸체(20)에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밸브몸체(20)의 몸체부(22)의 외면을 둘러 위치된다. 즉, 상기 몸체부(22)가 탄성부재(30)의 내부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일단이 상기 지지단(14)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 후단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14)과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 후단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0)가 있으면서 상기 밸브몸체(20)를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몸체(20)가 하우징(10)의 선단쪽으로 탄성부재(30)에 의해 밀리면 상기 에어배출유로(12)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탄성부재(30)가 탄성변형되어 압축되면서 상기 밸브몸체(2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에어배출유로(12)가 폐쇄된다.
상기 밸브몸체(20)에 있는 나사부(26)에 제1스톱구(40)가 체결되면, 상기 밸브몸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에어배출유로(12) 내에서 하우징(10)의 선단쪽으로 갈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된다. 이는 상기 제1스톱구(40)가 상기 지지단(14)에 걸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스톱구(40)에 밀착되게 제2스톱구(4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스톱구(42)는 상기 제1스톱구(40)가 상기 나사부(26)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스톱구(42)가 상기 제1스톱구(40)의 풀림을 방지함에 의해 상기 제1스톱구(40)의 밸브몸체(20) 상에서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에어배출유로(12) 상에서 상기 밸브몸체(20)가 이동되는 행정이 정확하게 규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에 의해 에어배출유로(12)가 개폐되는 것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배출장치는 제1형(51)과 제2형(52)을 가지는 사출금형(50)에서 사용된다. 상기 제1형(51)과 제2형(52)에 의해 캐비티(54)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54)에는 게이트(56)를 통해서 수지가 채워져서 제품이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캐비티(54)는 제1형(51)과 제2형(52)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으면서도 폭은 넓게 되어, 만들어지는 제품이 두께가 폭에 비해 얇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상기 게이트(56)가 캐비티(54)와 연결되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캐비티(54)와 에어배출유로(12)가 연통되게 한다. 즉 캐비티(54)를 기준으로 게이트(56)와 하우징(10)은 서로 반대 위치, 즉,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54)에 수지가 채워지기 전에 진공펌프를 통해 상기 캐비티(54) 내부의 에어를 본 발명의 에어배출장치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캐비티(54) 내부의 에어가 에어배출유로(12)를 따라 배출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톱구(41)가 지지단(14)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가 유지되어 있어,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에 있는 몸체경사면(28)의 선단과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경사면(19) 사이를 통해 에어가 에어배출유로(12)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배출유로(12)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지지단(14)의 연통공(18)을 통과하고 연통채널(18')을 지나 하우징(10)의 후단쪽의 에어배출유로(14)로 전달된다. 진공펌프의 계속적인 동작으로 상기 캐비티(54) 내부의 공기가 모두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가 압축되면서 상기 밸브몸체(20)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밸브몸체(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되고, 상기 제1스톱구(41)는 상기 지지단(14)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20)의 선단에 있는 머리부(24)의 몸체경사면(28)은 상기 하우징(10)의 에어배출유로(14)의 내면에 있는 하우징경사면(19)에 접촉되어, 에어배출유로(12)를 닫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있다. 도 7의 상태에서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캐비티(54)의 내부로 수지가 게이트(46)를 통해 주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캐비티(54)의 내부로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에어배출장치는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에 의해 에어배출유로(12)가 폐쇄되어 있어 수지가 에어배출유로(12)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2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에어배출유로(12)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스톱구(40) 그리고 제2스톱구(42)와의 결합과 분리를 위해서는 공구가 사용된다. 즉, 상기 제1스톱구(40)나 제2스톱구(42)를 제1공구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26)에 위치시키고,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에 있는 공구홈(29)에 렌치를 결합시켜 상기 제1스톱구(40) 그리고 제2스톱구(42)를 상기 밸브몸체(20)의 나사부(26)에 결합하고 분리한다.
최초 조립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톱구(40)가 나사부(26)의 끝까지 죄어진 상태에서 지지단(14)에 지지되도록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0)의 머리부(24)가 하우징(10)의 선단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특히, 상기 머리부(24)의 몸체경사면(28)이 하우징(10)의 하우징경사면(19)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에어배출유로
14: 지지단 16: 몸체통공
18: 연통공 18': 연통채널
19: 하우징경사면 20: 밸브몸체
22: 몸체부 24: 머리부
26: 나사부 28: 몸체경사면
29: 공구홈 30: 탄성부재
40: 제1스톱구 42: 제2스톱구
50: 사출금형 51: 제1형
52: 제2형 54: 캐비티
56: 게이트

Claims (6)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에어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유로가 연통공이 형성된 지지단을 경계로 나누어지며, 상기 지지단의 일측에는 상기 연통공을 연통시키는 연통채널이 형성되며 에어배출유로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커지도록 하우징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에어배출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단을 관통하여 이동이 안내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일체로 있으면서 상기 에어배출유로 내에서 상기 에어배출유로를 개폐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경사면과 대응되게 상기 머리부의 외면에는 머리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몸체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 상기 몸체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B)가 큰 밸브몸체와,
    상기 지지단과 상기 밸브몸체의 머리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머리부의 에어배출유로내에서의 위치를 설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에어배출유로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 및 진공펌프의 흡입력과 협력하여 상기 밸브몸체의 위치를 규제하며 상기 지지단에 접촉시에는 상기 연통채널이 형성된 단부의 상기 지지단의 몸체통공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촉되는 제1스톱구와,
    상기 제1스톱구에 밀착되게 상기 밸브몸체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톱구를 포함하는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A)보다 상기 몸체경사면이 형성하는 각도(B)가 2배의 크기인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통공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몸체부가 안내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의 몸체경사면과 하우징의 하우징경사면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톱구가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나사부의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1300A 2017-06-27 2017-06-27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KR101808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00A KR101808184B1 (ko) 2017-06-27 2017-06-27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00A KR101808184B1 (ko) 2017-06-27 2017-06-27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184B1 true KR101808184B1 (ko) 2018-01-18

Family

ID=610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00A KR101808184B1 (ko) 2017-06-27 2017-06-27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73A (ko) 2018-12-17 2020-06-25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20220156271A (ko) 2021-05-18 2022-11-25 윤지훈 사출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CN117507270A (zh) * 2024-01-04 2024-02-06 山东晨光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件生产用的注塑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00B1 (ko) * 2009-03-26 2010-05-13 윤해석 타이어 제작금형에 설치되는 에어플러그
KR101747945B1 (ko) * 2017-01-19 2017-06-16 김천섭 사출금형 가스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00B1 (ko) * 2009-03-26 2010-05-13 윤해석 타이어 제작금형에 설치되는 에어플러그
KR101747945B1 (ko) * 2017-01-19 2017-06-16 김천섭 사출금형 가스배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73A (ko) 2018-12-17 2020-06-25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102237599B1 (ko) 2018-12-17 2021-04-07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20220156271A (ko) 2021-05-18 2022-11-25 윤지훈 사출 금형용 가스배출장치
CN117507270A (zh) * 2024-01-04 2024-02-06 山东晨光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件生产用的注塑模具
CN117507270B (zh) * 2024-01-04 2024-04-02 山东晨光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件生产用的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84B1 (ko) 사출금형용 에어배출장치
US11428342B2 (en) Vacuum ejector and seal valve unit
US6929464B2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 pin
US9114416B2 (en) Nozzle opening/shutting device for airless type cosmetic vessel
KR102033646B1 (ko) 연소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US10421140B2 (en) Device for threading the wire electrode of a wire electrical discharge erosion machine
US9476507B2 (en) Valve,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ure valve
KR20150043362A (ko) 분배기용 도포기 헤드 및 도포기 헤드를 구비한 분배기
JP4668330B2 (ja) 液体吐出装置
US7665833B2 (e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unit
CN108473238B (zh) 扳机式液体喷出器
JP2006320775A (ja) 噴射ノズル
US4073469A (en) Shut-off valve for control of flow of molten plastic material
JPH1134109A (ja) バルブノズル
KR101991947B1 (ko) 유압 체크밸브
JP2001030309A (ja) 射出成形金型のガス抜き装置
KR20190040903A (ko) 유체 토출 기구, 및 차량용 카메라 또는 센서에 대한 유체 분사 장치
US10227977B2 (en) Liquid delivery pump
WO2010091070A1 (en) Injection molding seal apparatus and method
EP4338924A1 (en) Shut-off nozzle, injection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ATE435369T1 (de) Einspritzinjektor
JP5847545B2 (ja) ガス噴射装置
US20050034657A1 (en) Device for applying free-flowing material to a substrate moveable with respect thereto
KR100823423B1 (ko) 스크루 팁 및 성형 시스템 장치
KR20090026316A (ko) 압력 경감 기능을 갖는 성분공급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