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142B1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142B1
KR101807142B1 KR1020160060035A KR20160060035A KR101807142B1 KR 101807142 B1 KR101807142 B1 KR 101807142B1 KR 1020160060035 A KR1020160060035 A KR 1020160060035A KR 20160060035 A KR20160060035 A KR 20160060035A KR 101807142 B1 KR101807142 B1 KR 10180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ttery
pattern
trave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394A (ko
Inventor
오동혁
구자호
이상준
윤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L11/18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2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using control strategies taking into account rout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목적지 및 배터리 잔여량에 따라 주행 중 내연기관의 개입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는 차량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목적지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 그리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ENGIN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목적지 및 배터리 잔여량에 따라 주행 중 내연기관의 개입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엔진과 배터리 엔진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주행함으로써 유해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소량에 도달할 때까지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고,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소량에 도달하면 내연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따라서,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구간에서는 전기 자동차와 동일한 연비 효과를 누릴 수 있으나, 내연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구간에서는 내연 엔진이 주행과 충전에 모두 관여하므로 배터리 엔진을 이용할때보다 연비가 저하된다.
따라서, 동력장치가 내연 엔진으로 전환되는 시점의 배터리 잔여량을 최대로 활용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목적지 및 배터리 잔여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엔진에서 내연 엔진으로 동력장치를 전환하는 시점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목적지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 그리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행패턴을 생성하는 운행패턴 생성부,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 수집부, 수집된 충전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패턴을 생성하는 충전패턴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운행패턴 및 충전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는 수집된 목적지와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수집된 배터리 잔여량과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는 생성된 운행패턴을 이용하여 수집된 운행정보 중 출발지, 운행날짜, 및 운행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목적지를 예측하며,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와 예측된 목적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 전송부는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하며 잔여거리가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 내 엔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하더라도 내연 엔진으로 동력장치를 전환하지 않고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량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를 이용하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목적지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엔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행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수집된 충전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수집된 목적지와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집된 배터리 잔여량과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고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하며 잔여거리가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생성된 운행패턴을 이용하여 수집된 운행정보 중 출발지, 운행날짜, 및 운행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목적지를 예측하는 단계,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와 예측된 목적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고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하며 잔여거리가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최대로 활용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잔여량및 주행거리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로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200)는 차량 단말(100)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행정보 수집부(210), 충전정보 수집부(220), 운행패턴 생성부(230), 충전패턴 생성부(240), 패턴 데이터베이스(250),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 그리고 제어신호 전송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도 1에 도시되지 않음)과 페어링 상태이다. 또한, 도 1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200)는 텔레매틱스 서버로 구현되어 차량 단말(100)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운행정보 수집부(21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운행정보는 실시간 차량 위치, 출발지, 목적지, 운행날짜, 운행시간(출발시간, 도착시간 포함), 운행거리, 배터리 사용량, 배터리 잔여량, 평균속도, 연비 및 운전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충전정보 수집부(22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충전정보는 차량이 배터리를 충전한 충전소 위치, 충전량, 및 충전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정보 수집부(220)는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운행패턴 산출부(230)는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별 또는 차량별 운행패턴을 생성한다.
충전패턴 산출부(240)는 충전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수집된 충전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별 또는 차량별 충전패턴을 생성한다.
패턴 데이터베이스(250)는 운행패턴 생성부(230)를 통해 생성된 운행패턴과 충전패턴 생성부(240)를 통해 생성된 충전패턴을 저장한다.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는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운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는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목적지와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패턴을 비교하여 목적지와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목적지가 충전소 위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 최소량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배터리 잔여량이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잔여량 기준의 주행가능거리(DTE, Distance To Empty)와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이하, '잔여거리'라고 함)를 비교하여 주행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주행가능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인 경우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는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차량의 출발지, 운행날짜, 그리고 운행시간만이 수집되고 목적지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패턴을 이용하여 차량의 목적지를 예측하고 예측된 목적지와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전송부(270)는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를 통해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주행모드를 연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
차량 단말(100)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200)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운행정보 전송부(110), 차량의 충전정보를 전송하는 충전정보 전송부(120),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내 엔진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수신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엔진 제어장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하더라도 내연 엔진을 이용한 주행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배터리 잔여량을 모두 소진할 때까지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주행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 및 충전정보에 대응하는 운행패턴 및 충전패턴이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운행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운행정보는 운행날짜, 운행요일, 운행시간, 배터리 잔여량, 현재 위치(출발지 포함) 및 목적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차량 단말(100)은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운행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260)를 통해 S10 단계에서 수집된 운행정보가 목적지를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12).
만약, S12 단계의 판단결과, 수집된 운행정보가 목적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패턴에 기초하여 목적지와 충전소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4). S14 단계에서는 목적지가 충전소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4 단계의 판단결과,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10 단계에서 수집된 배터리 잔여량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 최소량을 비교한다(S16). 여기서, 배터리 최소량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배터리 엔진으로 주행하다가 내연 엔진으로 동력장치를 전환하는 기준이다.
S16 단계 비교결과, 배터리 잔여량이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잔여량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를 산출한다. 이후, 주행가능거리와 잔여거리를 비교한다(S18). S18 단계에서는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또는 운전자)의 평균 운행속도, 연비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 잔여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18 단계 비교결과, 잔여거리가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 전송부(270)를 통해 엔진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차량 단말(100)로 전송한다(S20).
만약, S12 단계에서 수집된 운행정보가 목적지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목적지를 예측한다(S22). 구체적으로,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운행패턴 중에서 S10 단계에서 수집된 운행날짜, 운행시간 및 출발지를 포함하는 운행패턴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 결과 중에서 차량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패턴을 추출하여 최종 목적지를 예측할 수 있다.
이후, 패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패턴에 기초하여 S22 단계에서 예측된 목적지와 충전소의 위치가 일치할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24). S24 단계에서 목적지와 충전소가 일치할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S16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잔여량및 주행거리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배터리 엔진을 최대로 이용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거리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소량에 도달하는 경우 내연 엔진을 이용한 주행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배터리 잔여량, 주행가능거리,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 및 목적지와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여 배터리 엔진을 최대로 활용하여 주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하이브리드 차량 대비 유해가스 배출량을 더욱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차량 단말 110 : 운행정보 전송부
120 : 충전정보 전송부 130 : 제어신호 수신부
200 : 제어장치 210 : 운행정보 수집부
220 : 충전정보 수집부 230 : 운행패턴 생성부
240 : 충전패턴 생성부 250 : 패턴 데이터베이스
260 :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 270 : 제어신호 전송부

Claims (10)

  1. 차량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행패턴을 생성하는 운행패턴 생성부,
    상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충전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충전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패턴을 생성하는 충전패턴 생성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 및 충전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는 상기 수집된 목적지와 상기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배터리 잔여량과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배터리 엔진 제어 판단부는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출발지, 운행날짜, 및 운행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예측하며, 상기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와 상기 예측된 목적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충전소가 일치하며 상기 잔여거리가 상기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 내 엔진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 최소량에 도달하더라도 내연 엔진으로 동력장치를 전환하지 않고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
  7. 차량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엔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행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충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된 충전정보를 분석하여 충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서,
    상기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수집된 목적지와 상기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터리 잔여량과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고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와 상기 충전소가 일치하며 상기 잔여거리가 상기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출발지, 운행날짜, 및 운행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충전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와 상기 예측된 목적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운행정보 중 배터리 잔여량과 상기 생성된 운행패턴에 기초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고 목적지까지의 잔여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지와 상기 충전소가 일치하며 상기 잔여거리가 상기 주행가능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배터리 엔진을 이용한 추가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방법.
KR1020160060035A 2016-05-17 2016-05-17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0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35A KR101807142B1 (ko) 2016-05-17 2016-05-17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35A KR101807142B1 (ko) 2016-05-17 2016-05-17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94A KR20170129394A (ko) 2017-11-27
KR101807142B1 true KR101807142B1 (ko) 2017-12-07

Family

ID=6081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35A KR101807142B1 (ko) 2016-05-17 2016-05-17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463A (ja) 2002-04-02 2003-10-1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2166777A (ja) 2011-01-25 2012-09-06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2201325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3167466A (ja) * 2012-02-14 2013-08-29 Nissan Motor Co Ltd 目的地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463A (ja) 2002-04-02 2003-10-1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2166777A (ja) 2011-01-25 2012-09-06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2201325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3167466A (ja) * 2012-02-14 2013-08-29 Nissan Motor Co Ltd 目的地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94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4241B (zh) 提供车辆的电池显示状态的服务器及设置显示状态的设备
US10718630B2 (en) Electric vehicle cloud-based optimal charge route estimation
US9902392B2 (en) Mo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riving support system
KR102441496B1 (ko) 예측 및 적응 이동 지원 장치, 이동 지원 방법, 및 모드 운전 구간 최적화를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운전 지원 시스템
KR101865729B1 (ko) 전기자동차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0362B1 (ko) 전기차의 주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6995B1 (ko)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CN110103936B (zh)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9834197B2 (en) Section acquisition system, section acquisition method, and section acquisition program
CN104044462A (zh) 基于日历事件的用户接口系统和方法
CN108528437B (zh) 电动车辆
KR20130008701A (ko) 차량 배터리수명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KR10262908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25508A1 (en) Crowd sourcing to predict vehicle energy consumption
KR102491571B1 (ko) 전기자동차의 주행 모드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90006701A (ko)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교체 방법
JP5783130B2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0714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Tesanovic et al. Short paper: Vehicle emission control in Smart Cities
JP6636088B2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監視装置
JP631114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システム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
JP201912333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装置
CN117232535B (zh) 基于物联网的车载导航系统
JP2020135104A (ja) 走行負荷取得システム、走行負荷取得プログラム
EP4101712B1 (en) Vehicle control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