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41B1 -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41B1
KR101805041B1 KR1020110071103A KR20110071103A KR101805041B1 KR 101805041 B1 KR101805041 B1 KR 101805041B1 KR 1020110071103 A KR1020110071103 A KR 1020110071103A KR 20110071103 A KR20110071103 A KR 20110071103A KR 101805041 B1 KR101805041 B1 KR 10180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layer
laser
container body
spr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352A (ko
Inventor
이창룡
김재곤
방호상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8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bsorbing layers on the workpiece, e.g. for marking or protec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50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 B23K26/57Working by transmitting the laser beam through or within the workpiece the laser beam entering a face of the workpiece from which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orkpiece material to work on a different workpiece face, e.g. for effecting removal, fusion splicing, modifying or re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06Metallic material
    • C23C4/067Metallic material containing free particles of non-metal elements, e.g. carbon, silicon, boron, phosphorus or arse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oker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용기몸체의 외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후처리하는 제3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2용사재를 용사하여 양각을 이루도록 로고용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을 세정 및 표면연마하는 제5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외부도장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켜 로고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저 각인 가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inner-pot of electrical cooker having laser carving logo thermal spraying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 및 내식성이 우수하도록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음식물을 내솥에 수용하고, 상기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서, 조리를 위한 가열 방식에 따라 저항 히터가열 방식과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IH) 방식으로 나뉜다. 유도가열 방식의 전기조리기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전기포트, 인덕션레인지 등이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이 적용되는 일예로써 유도가열식 전기압력밥솥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는 본체(100), 뚜껑(200), 내솥(300) 및 코일베이스(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뚜껑(200)이 회동되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며, 그의 내부에는 상기 내솥(300)을 발열시키기 위한 워킹 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내솥(300)은 그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본체(100) 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300)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외면에는 전기유도 가열을 위한 자성체 재질의 용사층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용사층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워킹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유도되면, 상기 용사층에 유도된 전류의 저항에 의해서 내솥이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원으로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내솥의 외면에는 내열도료가 도장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므로, 상기 내열도료의 어둡고 둔탁한 색감으로 인해 상기 내솥의 외관상 미려한 특징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소비자들은 생활 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기능만 추구하던 점에서 더 나아가, 제품의 외형 디자인의 고품격화에 대한 욕구도 상승하여 전기조리기용 내솥에도 차별성 있는 디자인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716호에서는 전기조리기 내솥에 디자인 문구 및 로고를 스크린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내솥 외부에 표시를 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 인쇄 마킹은 브러쉬로 잉크를 공급하여 내솥 외부에 로고를 마킹하는 방식이므로, 오래 사용할 경우 로고가 내솥에서 박리되어 내구성 및 외관을 저해할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내열도료가 도장된 내솥의 외면을 음각하여 로고 등을 표시하는 연구도 이루어졌으나, 음각된 부분의 내열도료가 박리되어 상기 용사층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 및 발청되었다. 이로 인해, 위생 및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면에 시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도록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몸체의 외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후처리하는 제3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2용사재를 용사하여 양각을 이루도록 로고용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을 세정 및 표면연마하는 제5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외부도장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켜 로고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저 각인 가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도장층의 두께는 35~55 ㎛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각인 가공을 위한 레이저 출력은 40 W 기준 20~40 출력%이며, 그의 주파수는 18~22 kHz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의 마킹속도는 (1300-(20×출력%) ± 50) mm/sec의 범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7단계는 상기 로고용 용사층이 형성된 용기몸체의 외면을 세정하고 클리어코팅층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는 Al, STS, Mg, Ti, 자연석, 탄소성형체의 단일 재료, 단일 재료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 및 클래드메탈(clad metal) 중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사층은 자성금속을 용사하여 형성한 유도가열용 용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고용 용사층은 선, 도형, 문양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거나, 두 개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상의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형성되는 용사층; 상기 용사층 외면에 제2용사재를 용사하여 양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고용 용사층; 및 상기 로고용 용사층 외면에 도장되어 형성되는 외부도장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에 형성된 외부도장층은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켜 로고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인 가공되어 이루어진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내솥의 외부에 로고용 용사층을 구비하고, 그의 외면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수행하여 로고를 각인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단순한 조리기능만 가진 내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외형 디자인의 고품격화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조리기의 내솥의 차별성 있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상기 내솥 외면에 형성된 내열도료층에 로고 표시할 때, 내열도료가 박리되어 상기 내솥의 용기 몸체를 이루는 알루미늄 재질이 노출되어 일어날 수 있는 부식 및 발청으로 인한 위생상 및 외관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레이저 각인작업 후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과정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솥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e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단계에 따른 내솥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에 사용되는 레이저 각인 장치의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흐름도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단계에 따른 내솥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a 내지 도 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30)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3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상의 용기몸체(10)를 제조한 후 세정 및 샌드 블라스트 가공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10). 이때, 상기 샌드 블라스트 가공은 산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블라스팅 분말을 내솥 표면에 고속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몸체(10)에 도포 될 용사층(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외부 거칠기를 가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10)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자연석, 탄소성형체 및 그들의 복수개의 혼합된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클래드메탈(Clad metal)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몸체(10)의 외면에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철 등의 자성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용사층(2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0). 여기서, 용사과정은 제1용사재를 분말을 고온열원으로부터 액화 또는, 미립자 상태로 변화시켜 고속으로 몸통부재의 외면에 충돌시켜 급냉 응고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용사층(20)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세히,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등의 자체 유도가열이 용이하지 않은 금속재료로 제작된 상기 용기몸체(10)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철 등의 자성 금속을 용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몸체(10)를 이루는 재질이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의 압축접합 된 상기 클래드 메탈의 경우 비자성 금속을 용사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사층(20)은 비자성 금속을 용사하여 형성한 용사층(20) 및 자성 금속을 용사하여 형성한 유도가열용 용사층(20)가 모두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용사층(20)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는 600 RPM으로 회전하고, 용사건이 라운드지게 구성된 용기몸체의 외면면(a)을 따라 자동으로 제1용사재 분말을 용사하여, 상기 용사층(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기몸체(10) 상 하단부에 위치한 프랜지부(21) 및 온도감지 센서 접촉부(22)에는 용사층(20)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프랜지부(21)와 전기조리기 뚜껑(200)의 잠금장치가 잠금/해제를 수행할 때 일어나는 마찰로 인한 용사층의 긁힘, 박리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용기몸체(10)의 온도감지 센서 접촉부(22)에 용사를 할 경우 용사량의 편차에 따라 내솥 감지온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취반 및 보온불량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제1용사재 용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용사층(20)이 형성된 상기 용기몸체(10)의 외면에 프랜지부(21)와 온도감지 센서 접촉부(22)의 불순물 제거 및 간섭 용사를 제거하기 위해 후처리 샌딩 블라스트 처리과정을 수행한다(S30).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사층(20)이 형성된 용기몸체 외면에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제2용사재를 0.2 mm의 두께로 용사하여 로고용 용사층(3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0).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은 양각으로 형성이 되고, 레이저 각인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로고(301)를 제작하는데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제1용사재 및 제2용사재는 금속재질 및 세라믹 재질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상기 코일베이스와의 간섭이 일어나거나 유도가열을 위한 공진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을 경우 시인성 및 레이저 가공시의 작업성 및 효율이 낮아지고, 상기 용사층(30)이 박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10)에 도포 될 용사층(2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몸체(10)를 세정하고, 외부 거칠기를 가공하는 표면연마 과정을 수행한다(S50).
여기서, 상기 표면연마 과정은 유도가열 위한 공진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상기 용기몸체(10) 외면을 미세하고, 매끈하게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도 3d를 참조하면, 세정 및 표면연마를 마친 용기몸체(10)의 외면에 내열도료를 도장하여 외부도장층(40)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0).
전술된 과정을 거쳐, 제작된 내솥(300)은 용기 몸체(10), 용사층(20), 로고용 용사층(30), 외부도장층(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솥(300)의 외면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거쳐 상기 로고(301)를 각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70).
또한, 모든 제작과정을 거친 후 PTFE, 다이아몬드, 세라믹 등으로 상기 내솥(300)의 내부를 코팅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각인작업으로, 양각된 로고용 용사층(30)의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로고(301)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고, 각인된 상기 로고(301)에 외곽 테두리 작업을 수행하여 윤곽을 뚜렷하게 한다. 이때, 양각된 로고용 용사층(30) 위에 각인작업을 시행하므로, 생성된 로고(301) 역시 양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전기조리기용 내솥(300)의 고급화 및 차별성 있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에 사용되는 레이저 각인장치의 구성을 개요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사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각인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내솥(300)을 회전 가능한 지그부(500)에 장착한다. 그리고, 레이저 각인장치의 제어부(700)에 로고를 각인하기 위한 레이저의 마킹속도, 레이저 파워 및 입력 디자인 등을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내솥(300)의 상기 로고용 용사층(30) 이 구비된 외면에 각인 되도록 위치를 정한다. 레이저 각인장치의 입력된 프로그램에 맞게 레이저 마킹부(600)에서 레이저를 발생시켜 상기 내솥(300)의 표면에 로고를 각인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300)외부에 상기 레이저 각인작업을 통하여 양각화 이루어진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에 상기 로고(301)가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은 선, 도형, 문자, 각종 무늬 등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거나,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 외면에 각인되는 상기 로고(301) 역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이 조합되어 각인됨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상기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30)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300)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상기 내솥(10)의 외면에 클리어코팅층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 1은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의 레이저 각인조건을 보여준다. 상기 레이저 각인조건은 상기 내솥(300)에 각인된 로고의 시인성, 부식성 및 변색성에 영향을 끼친다.
옅게(섹상변화) 진하게(외부도장 제거)
레이저 출력(40W) 20 % 40 %
주파수 20 kHz 20 kHz
폴리지연 3 ㎲ 3 ㎲
펄스폭 200 nsec 200 nsec
여기서, 상기 레이저 각인장치의 매질은 이산화탄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레이저에 의해 조사되어 각인되는 대상체의 재질별로 레이저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반응되는 주파수 구간이 있는데, 상기 로고용사층(30)에 도포된 외부도장층의 각인을 위한 주파수는 20 kHz 구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레이저의 펄스폭은 최대 파워인 200 nsec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각인조건은 상기 외부도장층(40)의 두께가 35~55 ㎛ 인 경우의 각인조건이고, 상기 각인조건은 외부도장층(40)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각인장치에 레이저를 40 W로 출력할 때, 레이저 출력 세기를 20~40%로 한다. 이때 레이저 출력이 20%미만일 경우 레이저 각인이 상기 내솥(300) 외부도장층(40) 표면에만 일어나 시인성이 떨어지고, 40%이상일 경우에는 시인성은 좋으나 상기 내솥의 외부도장층(40)이 많이 제거된다.
상세히,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이 외부에 많이 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로고용 용사층(30)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용사층(20)이 노출되므로 상기 내솥(300)을 사용할 경우 부식으로 인한 발청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폴리지연은 3 ㎲로 한다. 여기서 폴리지연은 폴리건 딜레이라고도 하며, 개체 안에서 레이저 발진이 글자의 변과 변이 만나는 포인트 사이에 스캔헤드의 움직임과 레이저발진 타이밍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내솥(300)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시행할 시 폴리지연시간을 3 ㎲ 이하로 할 경우 로고의 변과 변이 만나는 포인트의 각이 무너질 수 있고, 3 ㎲ 이상으로 할 경우 변과 변이 만나는 포인트에서 레이저가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점이 찍힐 수 있다.
한편, 레이저 마킹속도는 레이저 출력의 출력%의 값에 대하여 (1300-(20×출력%) ± 50) mm/sec의 설정 범위를 따를 경우에 시안성이 좋은 상기 로고(301)를 제작할 수 있다.
표 2는 마킹속도의 설정범위에 대한 각인된 로고(301)의 불량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상기 로고(301) 표면의 염수침지시험 및 시인성 테스트 결과표이다. 이는, 레이저 각인조건은 레이저 출력을 40 W세기로 공급하고, 출력%를 30%로 출력하여 레이저 각인작업을 시행하였다.
여기서, 염수침지시험은 상기 외부도장층에 형성된 로고에 5% NaCl 수용액 속에 실온에서 200시간 연속 침전시킨 후, 상기 로고(301)면의 부풀음, 부식 및 발청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인성 테스트는 표면상 로고의 선명도를 확인하고, 각인된 로고(301)로 인해 상기 내솥(300) 외면의 외부도장층(40)이 박리되어 상기 로고용 용사층이 외부로 노출되었는지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킹속도
(mm/sec)

실험결과

500

600

650

700

750

800

염수침지시험

발청 발생

발청 발생

양호

양호

양호

-

시인성 결과

각인깊이초과

각인깊이초과

양호

양호

양호

시인성불량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킹속도를 500 및 600 mm/sec로 상기 내솥(300) 표면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시행한 결과, 상기 로고(301)의 시인성은 좋으나, 로고용사층이 노출되어 염수침지시험시 발청이 발생했다.
또한, 마킹속도를 650, 700 및 750 mm/sec로 상기 내솥(300)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수행하였는데, 형성된 로고(301)의 시인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솥(300)에 각인된 상기 로고(301)로 인한 상기 외부도장층(40)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아 염수침지시험에 대한 발청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마킹속도를 800 mm/sec로 상기 내솥(300)에 레이저 각인작업을 시행했을 경우 각인된 상기 로고(301)가 시각상 너무 흐릿하여, 시인성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300)에 레이저 마킹속도에 대한 상기 로고(300)의 형성부위의 특징을 살펴보면, 마킹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각인되는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의 레이저 각인공정이 레이저가 닿는 표면에 오랫동안 조사되므로, 각인깊이가 깊어져 시인성이 좋아진다.
하지만, 상기 외부도장층(40) 내에 구비된 상기 용사층(20)까지 각인되어, 발청 가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킹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내솥(300) 표면에 닿는 레이저 각인속도가 짧아지므로, 각인깊이가 낮아지고, 시인성이 점점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외부도장층(40)의 두께가 35~55 ㎛ 일 때, 레이저 각인장치의 레이저 출력을 40 W로 하고, 출력%를 30%, 레이저 주파수 20 kHz 조건 하에서, 650~750 mm/sec 범위 내의 마킹속도로 상기 내솥(300)에 로고(301)를 각인할 때 시인성이 좋고, 염수에 대한 발청 가능성 여부가 양호하여, 부식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로고(301)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1300-(20×출력%) ± 50) mm/sec의 설정 범위의 공식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 출력 세기가 클 경우 마킹속도가 느려지고, 상기 레이저 출력세기가 작아질 경우에는 마킹속도가 빨라져야 한다. 상기 레이저각인 조건의 레이저 출력이 40%이상이 거나, 마킹속도가 느려질 경우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의 일정 외면 너비에 조사되는 레이저 량이 많아져 상기 외부도장층(40)을 다 제거하여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이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한 발청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이 구비되지않은 외각변부위의 상기 용사층(20)이 외부로 노출되어 발청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시된 레이저 각인된 상기 로고용 용사층(30)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300)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외부도장층(40)에 일정한 각인 깊이의 상기 로고(301)를 각인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된 상기 로고(301)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도장층(40)이 박리되어 상기 내솥(300)의 용기몸체(10)를 이루는 용사층(20)이 노출되어 일어날 수 있는 부식 및 발청으로 인한 위생상 및 외관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용기몸체 20: 용사층
21: 프랜지부 22: 온도감지 센서 접촉부
30: 로고용 용사층 40: 외부도장층
50: 레이저 각인표면 100: 본체
200: 뚜껑 300: 내솥
301: 로고 400: 코일베이스
401: 온도감지 센서 500: 지그부
600: 레이저 마킹부 700: 제어부

Claims (9)

  1. 용기몸체의 외면을 전처리하는 제1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후처리하는 제3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2용사재를 용사하여 양각을 이루도록 로고용 용사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을 세정 및 표면연마하는 제5단계;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외부도장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 및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켜 로고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저 각인 가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장층의 두께는 35~55 ㎛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각인 가공을 위한 레이저 출력은 40 W 기준 20~40 출력%이며, 그의 주파수는 18~22 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마킹속도는 (1300-(20×출력%) ± 50) mm/sec의 범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로고용 용사층이 형성된 용기몸체의 외면을 세정하고 클리어코팅층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는 Al, STS, Mg, Ti, 자연석, 탄소성형체의 단일 재료, 각각의 단일 재료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금 및 클래드메탈(clad metal)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사층은 자성금속을 용사하여 형성한 유도가열용 용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용 용사층은 선, 도형, 문양 및 문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거나, 두 개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8.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상의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외면에 제1용사재를 용사하여 형성되는 용사층;
    상기 용사층 외면에 제2용사재를 용사하여 양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로고용 용사층; 및
    상기 로고용 용사층 외면에 도장되어 형성되는 외부도장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에 형성된 외부도장층은 상기 로고용 용사층의 외면 일부를 고열로 태우면서 변색시켜 로고의 내부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인 가공되어 이루어진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9. 삭제
KR1020110071103A 2011-07-18 2011-07-18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03A KR101805041B1 (ko) 2011-07-18 2011-07-18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03A KR101805041B1 (ko) 2011-07-18 2011-07-18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52A KR20130010352A (ko) 2013-01-28
KR101805041B1 true KR101805041B1 (ko) 2017-12-05

Family

ID=4783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103A KR101805041B1 (ko) 2011-07-18 2011-07-18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0233A (zh) * 2016-11-23 2018-05-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刻度线的制作方法和锅具
US11028485B2 (en) * 2017-10-31 2021-06-08 Goodrich Corporation Material addition for article identification
CN116511847A (zh) * 2023-06-01 2023-08-01 广东省一匠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雕刻技术的不粘锅制备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526B2 (ja) * 1990-11-08 1999-06-2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の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526B2 (ja) * 1990-11-08 1999-06-2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の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352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289B1 (ko) 레이저 텍스쳐링 및 양극산화 표면 처리
CN103142132B (zh) 一种不锈钢或复合钢的不粘锅的制造方法
CN205166315U (zh) 烹饪器具
KR101805041B1 (ko) 레이저 각인된 로고용 용사층이 구비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JPH02501194A (ja) マーキング付き歯列矯正補助具とその製造方法
KR101818418B1 (ko) 드로잉가공을 이용한 코팅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6947993A (zh) 一种无感亮光阳极工艺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CN212495971U (zh) 一种激光标记设备
KR100702490B1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US1001795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 lever
US20080166482A1 (en) Decorated Aluminum Surfaces and Methods of Producing Decorated Aluminum Surfaces
KR100872113B1 (ko) 마그네슘 판재의 표면처리 방법
Sun et al. Sequential Combination of Femtosecond Laser Ablation and Induced Micro/Nano Structures for Marking Units with High‐Recognition‐Rate
KR101364548B1 (ko) 조리용기의 무늬 형성방법
KR200461686Y1 (ko) 전기밥솥용 내솥의 물눈금 표시장치
KR20200145130A (ko) 스테인리스강판 착색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각질 제거기
KR101383685B1 (ko) 레이저 식각에 의해 노출된 온도감응표시패턴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3477067B2 (ja) 金属部材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金属部材
JP3477066B2 (ja) 金属部材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金属部材
TWI451851B (zh) The surface pattern of the pot
KR20140140270A (ko) 프레스 방식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표면 가공방법
WO2012107833A1 (e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decorating aluminium surfaces
CN114540735A (zh) 铝合金表面强化处理工艺与炊具
KR20040076315A (ko) 주방용품 표면에 대한 음각문양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