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811B1 -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 Google Patents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811B1
KR101804811B1 KR1020160121243A KR20160121243A KR101804811B1 KR 101804811 B1 KR101804811 B1 KR 101804811B1 KR 1020160121243 A KR1020160121243 A KR 1020160121243A KR 20160121243 A KR20160121243 A KR 20160121243A KR 101804811 B1 KR101804811 B1 KR 10180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air
water supply
lower body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대중
이호건
Original Assignee
(주)천보드림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보드림워텍 filed Critical (주)천보드림워텍
Priority to KR102016012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할 필요가 없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 및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수도관이 삽입되는 한 쌍의 관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판; 상기 상부 몸체의 한 쌍의 관 삽입홈 각각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의 틈을 막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설치되며,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커버 브라켓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를 실링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 각각은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방수 플랜지 각각은 좌측 및 우측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따르면, 관망최적화사업 또는 지자체에서 상수도 유지관리를 위하여 급수지역 소블록 세분화 사업시 블록별 유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블록 내 누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유량계 설치, 수도관 내 발생하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밸브 설치, 관말 지역 등에 설치하는 퇴수밸브 설치 등 기운영하고 있는 상수도관망을 단수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Uninterrupted water supply valve chamber}
본 발명은 상수도 밸브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시에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할 필요가 없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밸브실은 땅속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수도 관로 내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밸브, 제수밸브, 감압밸브, 유량계 등과 같은 다양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수도 관로의 유지 보수와 점검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수도 밸브실은 크게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과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현재 국내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 밸브실은 콘크리트형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은 방수성능이 좋지 않아 상수도 밸브실의 내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수분이 상수도 밸브실로 유입되어 상수도 밸브실 내의 배관, 각종 밸브, 유량계 등에 부식이 발생하여 수명을 단축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로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를 대체하는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을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로 교체할 경우에는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하여햐 하므로 관련지역에 단수가 발생하게 된다. 단수가 발생하게 되면, 주민의 민원발생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을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로 교체하기 위해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상수도관의 접합부가 증가하므로, 누수의 가능성이 커지며, 공사비용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을 설치할 수 있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콘크리트형 상수도 밸브실이나 철제형 상수도 밸브실보다 방수 성능이 뛰어나 결로 현상이나 외부 유입수를 방지할 수 있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 및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수도관이 삽입되는 한 쌍의 관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판;
상기 상부 몸체의 한 쌍의 관 삽입홈 각각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의 틈을 막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설치되며,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커버 브라켓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를 실링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 각각은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방수 플랜지 각각은 좌측 및 우측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상부 몸체의 내면에는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 및 상기 내측 커버 브라켓에 의해 덮인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상수도관 사이의 공간은 충진제로 충진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충진제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상수도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제1서브 하부 몸체와 제2서브 하부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방수 플랜지 각각은, 상기 커버 브라켓에 설치되는 하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하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 볼트;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마련된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볼트에 체결되는 결합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의하면, 관망최적화사업 또는 지자체에서 상수도 유지관리를 위하여 급수지역 소블록 세분화 사업시 블록별 유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블록 내 누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유량계 설치, 수도관 내 발생하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밸브 설치, 관말 지역 등에 설치하는 퇴수밸브 설치 등 기운영하고 있는 상수도관망을 단수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므로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의하면, 기존 상수도관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가의 수도물 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도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수용가의 민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의하면,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우레탄 보온제를 사용하므로 방수 성능이 뛰어나 결로 현상이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은 2단 분리형 조립식 경패널 강재 구조물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은 기존의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상수도 밸브실에 비해 접합 개소가 축소되므로 자재비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상수도관이 연결된 일 측면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사용되는 방수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기존의 상수도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하부 몸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브이(V)자를 뒤집은 형상인 역브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10)는 4개의 측벽(11)과 바닥판(13)을 포함하며, 4개의 측벽(11)의 상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11)과 바닥판(13)은 강도가 높고 방수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하부 몸체(1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하부 몸체(1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의 높이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좋다. 하부 몸체(10)의 높이를 낮게 하면, 기존의 상수도관(3) 아래로 하부 몸체(1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설치 지역에 터파기를 적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부 몸체(10)는 설치의 편리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상수도관(3)의 길이 방향으로 2개로 절단할 수 있다. 즉, 하부 몸체(10)는 제1서브 하부 몸체(10-1)와 제2서브 하부 몸체(10-2)로 형성하고, 제1서브 하부 몸체(10-1)와 제2서브 하부 몸체(10-2)를 용접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몸체(10)를 2개의 서브 하부 몸체(10-1,10-2)로 구성하면, 기존의 상수도관(3)의 아래에 하부 몸체(10)를 설치하기 위해 땅을 파는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하부 몸체(10)를 2개의 서브 하부 몸체(10-1,10-2)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2개의 서브 하부 몸체(10-1,10-2)의 결합부를 용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수도관(3)과 하부 몸체(10)의 바닥면(13)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이 좋다.
상부 몸체(20)는 하부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몸체(10)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몸체(20)의 상면(23)에는 맨홀(28)이 형성되며, 하단이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22)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몸체(20)는 4개의 측벽(21)과 상판(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21)의 하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홈(22)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몸체(20)의 하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2)에는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11)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는 기존의 상수도관(3)이 삽입되는 한 쌍의 관 삽입홈(25)이 마련된다. 한 쌍의 관 삽입홈(25)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상수도관(3)의 아래에 설치된 하부 몸체(10)에 상부 몸체(20)를 조립하면, 상수도관(3)은 상부 몸체(20)의 한 쌍의 관삽입홈(25)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부 몸체(20)도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20)의 표면은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부 몸체(2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와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홈(22) 사이에는 실링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실링판(50)은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실링판(50)은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2)의 내면에도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다.
실링판(50)은 고무판과 같이 외부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2)에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2)을 삽입하면, 실링판(50)이 상부 몸체(20)의 자중에 의해 눌리므로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의 연결부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2)의 내면과 하부 몸체(10)의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2)의 표면에 모두 실링판(50)이 설치되어 있으나, 실링판(50)을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2)과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2) 중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2)의 내면에만 실링판(50)을 설치하고,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2)의 표면에는 실링판(50)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2)의 표면에만 실링판(50)을 설치하고,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2)의 내면에는 실링판(50)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 하단과 하부 몸체(10) 상단의 적어도 한 곳에 실링판(50)을 설치하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외부로부터 지하수와 같은 수분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의 연결부분을 통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는 복수의 결합부재(6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전면에 2개의 결합부재(60)가 설치되고, 후면에 2개의 결합부재(60)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결합부재(6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결합부재(60)의 개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60)는 결합 볼트(61), 고정 브라켓(62), 및 결합 너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볼트(61)는 하부 몸체(10)의 측벽(1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62)은 상부 몸체(20)의 측벽(2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결합 볼트(61)의 일단은 하부 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설치되며, 타단에는 결합 너트(63)가 체결될 수 있는 수나사부(65)가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62)은 상부 몸체(20)에 설치되며, 결합 볼트(61)가 삽입되는 삽입 홈(64)이 마련된다. 삽입 홈(64)은 회전하는 결합 볼트(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볼트(61)를 하부 몸체(10)의 바닥면(13)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시키면, 결합 볼트(61)는 고정 브라켓(62)의 삽입 홈(64)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결합 볼트(61)의 수나사부(65)에 결합 너트(63)를 체결하면, 결합 볼트(61)를 고정 브라켓(62)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결합 너트(63)와 결합 볼트(61)의 체결력을 강하게 하면,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2)와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2)의 사이에 마련된 실링판(50)이 충분히 압착되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의 연결부분으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몸체(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28)은 작업자가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상(5)까지 연결되어 있다. 맨홀(28)에 인접한 상부 몸체(20)의 측벽(21)에는 사다리(2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맨홀(28)과 사다리(29)를 통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과 기존의 상수도관(3)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상수도관이 연결된 일 측면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상부 몸체(20)를 하부 몸체(10)에 결합하면, 상수도관(3)은 상부 몸체(20)의 한 쌍의 관 삽입홈(25)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때, 상부 몸체(20)의 관 삽입홈(25)에 상수도관(3)을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 삽입홈(25)의 너비는 상수도관(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몸체(20)의 관 삽입홈(25)에 삽입된 상수도관(3)의 둘레에는 큰 틈(27)(도 8a 참조)이 존재하게 된다. 이 틈(27)으로 외부의 수분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내부로 침입할 수 없도록 상기 틈(27)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몸체(20)에는 커버 브라켓(30)이 설치된다. 상부 몸체(20)에는 좌우 측벽에 한 쌍의 관 삽입홈(25)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이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은 상부 몸체(20)의 우측 벽에 설치되는 제1커버 브라켓(30)과 상부 몸체의 좌측 벽에 설치되는 제2커버 브라켓(3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커버 브라켓(30)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커버 브라켓(30)을 통칭하여 커버 브라켓(30)이라고 설명한다.
커버 브라켓(30)은 상부 몸체(20)의 관 삽입홈(25)을 덮을 수 있도록 관 삽입홈(25)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수도관(3)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1)이 마련된다. 커버 브라켓(30)은 상수도관(3)과 상부 몸체(20) 사이의 틈(27)을 막을 수 있도록 2개로 분할된다. 즉, 커버 브라켓(30)은 좌측 커버 브라켓(30-1)과 우측 커버 브라켓(30-2)으로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30-1,30-2)은 상부 몸체(20)의 외면에 용접으로 설치한다.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30-1,30-2)의 연결부도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때, 커버 브라켓(30)은 하부 몸체(10)의 측벽(1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 브라켓은 상부 몸체(20)의 내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0)의 측벽(21) 내면에는 상부 몸체(20)의 관 삽입홈(25)과 상수도관(3) 사이의 틈(27)을 막을 수 있는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40)이 마련된다.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40)은 상술한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커버 브라켓(40)도 상술한 커버 브라켓(30)과 동일하게 좌측 내측 커버 브라켓(40-1)과 우측 내측 커버 브라켓(40-2)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40)도 상술한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과 동일하게 용접으로 상부 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브라켓(30)과 내측 커버 브라켓(40) 사이에는 에폭시 우레탄, 우레탄 발포제 등과 같은 충진제(55)가 충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브라켓(30)과 내측 커버 브라켓(40)에 의해 덮인 상부 몸체(20)와 상수도관(3) 사이의 공간(27)(도 8a 참조)은 에폭시 우레탄, 우레탄 발포제와 같은 충진제(55)로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브라켓(30)과 내측 커버 브라켓(40) 사이의 공간(27)에 충진제(55)를 충진하면 외부의 수분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의 공간(27)에 충진제(55)를 충진하기 위해 커버 브라켓(30)에는 충진제를 주입하는 주입구(33)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구(33)는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브라켓(30)과 상수도관(3)의 외면 사이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해,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 각각의 외면에는 방수 플랜지(8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에 사용되는 방수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수 플랜지(80)는 상수도관(3)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좌측 방수 플랜지(80-1)와 우측 방수 플랜지(80-2)로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방수 플랜지(80-1,80-2)는 각각 원형 링을 대략 절반으로 절단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방수 플랜지(80-1,80-2)를 결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관(3)을 감쌀 수 있다.
좌측 방수 플랜지(80-1)는 좌측 하부 플랜지(81)와 좌측 상부 플랜지(82)로 구성된다. 좌측 하부 플랜지(81)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볼트(85)가 마련된다. 좌측 하부 플랜지(81)는 커버 브라켓(30)의 외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좌측 하부 플랜지(81)는 커버 브라켓(3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상부 플랜지(82)는 좌측 하부 플랜지(81)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 하부 플랜지(81)의 복수의 볼트(85)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86)이 등간격으로 마련된다.
우측 방수 플랜지(80-2)는 좌측 방수 플랜지(80-1)와 함께 상수도관(3)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 방수 플랜지(80-2)도 좌측 방수 플랜지(80-1)와 동일하게 우측 하부 플랜지(83)와 우측 상부 플랜지(84)를 포함한다. 우측 하부 플랜지(8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볼트(85)가 마련된다. 우측 하부 플랜지(83)는 커버 브라켓(30)의 외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우측 하부 플랜지(83)는 커버 브라켓(30)의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우측 상부 플랜지(84)는 우측 하부 플랜지(83)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하부 플랜지(83)의 복수의 볼트(85)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공(86)이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0-1,80-2)에 각각 4개의 볼트(85)가 마련되므로, 방수 플랜지(80)는 총 8개의 볼트(85)를 포함한다.
좌측 상부 플랜지(82)와 우측 상부 플랜지(84)는 양단이 겹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 각각의 양단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단부(87,88)를 마련하고, 단부(87,88)에 한 개의 관통공(86-1,86-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의 단부(87,88)를 결합하였을 때, 결합된 단부(87,88)가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를 결합하였을 때, 각각의 단부(87,88)에 형성된 관통공(86-1,86-2)이 서로 일치하여 볼트(85)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의 양단에 단부(87,88)를 형성하고 단부(87,88)에 관통공(86-1,86-2)을 마련하면,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3,84)의 연결부 사이로 실링부재(52)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1,83)로 구성되는 하부 플랜지와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2,84)로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실링부재(52)가 마련된다.
실링부재(52)는 하부 플랜지(81,83)와 상수도관(3)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막을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실링부재(5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수도관(3) 둘레를 감도록 설치된다.
하부 플랜지(81,83)의 일측에 실링부재(52)가 설치되면, 하부 플랜지(81,83)에 상부 플랜지(82,84)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하부 플랜지(81)의 복수의 볼트(85)에 좌측 상부 플랜지(82)의 복수의 관통공(86)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우측 하부 플랜지(83)의 복수의 볼트(85)에 우측 상부 플랜지(84)의 복수의 관통공(86)을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부 플랜지(81)와 우측 하부 플랜지(83)가 결합되는 부분(P1)과 좌측 상부 플랜지(82)와 우측 상부 플랜지(84)의 결합부분(P2)이 일치하지 않도록 조립하는 것이 좋다.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1,83)에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2,84)를 조립하고, 하부 플랜지(81,83)의 복수의 볼트(85)에 너트(89)를 체결하면, 방수 플랜지(8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실링부재(52)는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플랜지(80)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 플랜지(81,83)와 상수도관(3)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침투되므로, 하부 플랜지(81,83)와 상수도관(3) 사이를 통해 커버 브라켓(30)과 상수도관(3)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상수도관(3)과 상부 몸체(20) 사이의 틈(27)이 에폭시 우레탄과 같은 충진제(55)와 실링부재(52)로 2차에 걸쳐 차단되므로, 외부의 수분이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샌드위치 패널(90)에 대해 설명한다.
샌드위치 패널(90)은 2장의 철판(91,92)과 그 사이에 설치되어 철판(91,9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부재(93)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샌드위치 패널(90)은 제1도복장 철판(91), 제2도복장 철판(92), 복수의 보강 부재(93), 및 충진제(9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도복장 철판(91)은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된 철판을 말한다. 제2도복장 철판(92)도 제1도복장 철판(91)과 동일하게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되어 있다.
제1도복장 철판(91)과 제2도복장 철판(92)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부재(93)가 설치된다. 복수의 보강부재(93) 중 일부는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91,9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외부로 노출되는 보강부재(93)에는 충진제(95)를 주입하는 주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충진제(95)로는 우레탄 발포제, 에폭시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도복장 철판(91)과 제2도복장 철판(92) 사이에는 제1도복장 철판(91)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 부재(93)가 설치된다. 보강 부재(93)는 띠 형상의 철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ㄷ자 형강, ㄱ자 형강, 사각 파이프, H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와 중량을 고려하여 복수의 보강 부재(93)로 ㄷ자 형강을 사용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90)은 제1도복장 철판(91)과 제2도복장 철판(92) 사이에 복수의 ㄷ자 형강(93)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도복장 철판(91)과 제2도복장 철판(92)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이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 부재(93)는 제1도복장 철판(91)과 제2도복장 철판(9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내부로 충진되는 충진제(95)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보강 부재(93)는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 부재(93)의 일단은 일측의 보강 부재(93)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타측의 보강 부재(9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우레탄 발포제, 에폭시 우레탄과 같은 충진재(95)는 보온 단열제로서,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91,92)과 복수의 보강 부재(93)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90)은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로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보온 단열제 처리가 되어 있으며, 강도가 보강되고, 중량이 가벼운 샌드위치 패널(90)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외부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에 사용된 샌드위치 패널(90)은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으므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의 내부에 설치된 기계 구조물에 부식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의 설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이 설치될 장소에 터파기를 한다. 이때, 터파기는 상수도관(3) 아래에 하부 몸체(10)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수행한다.
터파기를 수행하고 바닥 다지기를 하였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7)과 상수도관(3) 사이에 하부 몸체(10)를 설치한다. 이때, 하부 몸체(10)는 상수도관(3)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제1 및 제2서브 하부 몸체(10-1,10-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닥과 상수도관(3) 사이에 하부 몸체(1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 및 제2서브 하부 몸체(10-1,10-2)를 바닥(7)에 설치한 후, 제1 및 제2서브 하부 몸체(10-1,10-2)의 연결부(10-3)를 용접하여 결합한다. 따라서, 상수도관(3)과 하부 몸체(10)의 사이의 간격은 제1 및 제2서브 하부 몸체(10-1,10-2)의 연결부(10-3)의 용접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하부 몸체(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부 몸체(10)의 상측에 상부 몸체(20)를 설치한다. 이때,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마련된 역브자 형상의 홈(22)이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2)에 삽입된다. 이때, 역브자 형상의 홈(22)과 돌기(12) 사이에는 실링판(5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의 연결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의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부재(60)를 체결하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를 하부 몸체(10)에 결합하면, 상부 몸체(20)에 마련된 한 쌍의 관 삽입홈(25)에 상수도관(3)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0)와 상수도관(3) 사이에는 큰 틈(27)이 존재한다.
이 틈(27)을 막기 위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을 설치한다.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은 상부 몸체(20)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부 몸체(20)의 관 삽입홈(25)과 상수도관(3) 사이의 틈(27)을 막는다. 커버 브라켓(30)은 좌측 커버 브라켓(30-1)과 우측 커버 브라켓(30-2)으로 형성되므로, 상수도관(3)의 양측에서 상수도관(3)을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30-1,30-2)은 전 둘레를 용접하여 상부 몸체(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20)의 내면에는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40)을 설치한다. 내측 커버 브라켓(40)도 좌측 및 우측 내측 커버 브라켓(40-1,40-2)으로 구성되므로, 상수도관(3)의 양측에서 상수도관(3)을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다. 내측 커버 브라켓(40)도 전 둘레를 용접하여 상부 몸체(2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버 브라켓(30) 각각에 방수 플랜지(80)의 하부 플랜지(81,83)를 설치한다. 하부 플랜지(81,83)는 좌측 하부 플랜지(81)와 우측 하부 플랜지(83)로 구성되므로, 좌측 하부 플랜지(81)와 우측 하부 플랜지(83)를 상수도관(3)의 양측에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1,83)는 용접에 의해 커버 브라켓(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 하부 플랜지(81,83)의 일측으로 상수도관(3)을 감싸도록 실링부재(52)를 설치한다. 이때, 실링부재(5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수도관(3)의 둘레에 쉽게 감을 수 있다.
이어,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81,83)에 상부 플랜지(82,84)를 결합한다. 이때, 상부 플랜지(82,84)는 좌측 상부 플랜지(82)와 우측 상부 플랜지(84)로 구성되므로, 좌측 상부 플랜지(82)와 우측 상부 플랜지(84)를 상수도관(3)의 양측에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2,84)의 복수의 관통공(86)을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1,83)의 복수의 볼트(85)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상부 플랜지(82,84)의 연결부(P2)가 좌측 및 우측 하부 플랜지(81,83)의 연결부(P1)와 일치하지 않도록 조립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하부 플랜지(81,83)와 상부 플랜지(82,84) 사이에 실링부재(52)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부 플랜지(82,84)의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트(85)에 복수의 너트(89)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부 플랜지(82,84)가 실링부재(52)를 가압하므로, 실링부재(52)가 하부 플랜지(81,83)와 상수도관(3)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채워, 외부의 수분이 하부 플랜지(81,83)와 상수도관(3)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커버 브라켓(30), 내측 커버 브라켓(40), 및 방수 플랜지(80)가 2개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수도관(3)을 절단하지 않고도, 상수도 밸브실(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수도관(3)과 상수도 밸브실(1)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을 사용하면, 상수도 밸브실(1) 설치시에 상수도관(3)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수도 밸브실(1)이 설치되는 지역의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에 의하면, 기존 상수도관(3)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가의 수도물 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수용가의 민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에 의하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를 우레탄 보온제를 사용한 샌드위치 패널(90)로 제작하므로 방수 성능이 뛰어나 결로 현상이나 외부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2단 분리형 조립식 경패널 강재 구조물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1)은 기존의 상수도관(3)을 절단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상수도 밸브실에 비해 접합 개소가 축소된다. 따라서, 상수도 밸브실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자재비와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3; 상수도관
10; 하부 몸체 11; 측벽
12; 역브이자 돌기 20; 상부 몸체
21; 측벽 22; 역브이자 홈
30; 커버 브라켓 33; 주입구
40; 내측 커버 브라켓 50; 실링판
52; 실링부재 55; 충진제
60; 결합부재 61; 결합 볼트
62; 고정 브라켓 63; 결합 너트
80; 방수 플랜지 80-1; 좌측 방수 플랜지
80-2; 우측 방수 플랜지 81; 좌측 하부 플랜지
82; 좌측 상부 플랜지 83; 우측 하부 플랜지
84; 우측 상부 플랜지 85; 볼트
86; 관통공 89; 너트
90; 샌드위치 패널 93; 보강부재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맨홀,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도록 하단에 형성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 및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수도관이 삽입되는 한 쌍의 관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와는 상기 상수도관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판;
    상기 상부 몸체의 한 쌍의 관 삽입홈 각각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의 틈을 막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 브라켓; 및
    상기 커버 브라켓에 설치되며, 실링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커버 브라켓과 상기 상수도관 사이를 실링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 각각은 좌측 및 우측 커버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방수 플랜지 각각은 좌측 및 우측 방수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상수도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제1서브 하부 몸체와 제2서브 하부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1서브 하부 몸체와 상기 제2서브 하부 몸체는 상기 상수도관 하부에 설치후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용접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상수도관과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 사이가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방수 플랜지 각각은 상기 커버 브라켓에 설치되는 하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랜지는 좌측 하부 플랜지 및 우측 하부 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는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우측 상부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하부 플랜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는 상기 좌측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측 하부 플랜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우측 상부 플랜지는 상기 우측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우측 상부 플랜지의 각각의 양단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우측 상부 플랜지의 양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우측 상부 플랜지의 양 단부가 결합되면 그 결합된 단부가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우측 상부 플랜지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와 우측 하부 플랜지의 결합 부분 및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와 우측 상부 플랜지의 결합 부분이 일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마련된 실링부재가 상기 좌측 상부 플랜지 및 우측 상부 플랜지의 연결부 사이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이 설치된 상기 상부 몸체의 내면에는 한 쌍의 내측 커버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 및 상기 내측 커버 브라켓에 의해 덮인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상수도관 사이의 공간은 충진제로 충진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브라켓에는 상기 충진제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하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 볼트;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마련된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볼트에 체결되는 결합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1020160121243A 2016-09-22 2016-09-22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10180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43A KR101804811B1 (ko) 2016-09-22 2016-09-22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43A KR101804811B1 (ko) 2016-09-22 2016-09-22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811B1 true KR101804811B1 (ko) 2017-12-05

Family

ID=6092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43A KR101804811B1 (ko) 2016-09-22 2016-09-22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8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81B1 (ko) * 2020-02-05 2020-08-04 (주) 삼진정밀 맨홀 하단에 장착되어 퇴수기능을 가지는 경계밸브용 제수밸브
KR102223451B1 (ko) 2020-07-06 2021-03-08 (주) 삼진정밀 기존 배관의 관로상에 시공 용이한 부단수 밸브실
KR20210109791A (ko) 2020-02-28 2021-09-07 정경복 우수한 기밀성과 시공의 편의성을 겸비하는 부단수 밸브실
KR102460155B1 (ko) * 2022-04-22 2022-11-01 (주) 삼진정밀 스마트 밸브실
KR102505052B1 (ko) * 2021-10-07 2023-02-28 선철원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KR102529136B1 (ko) * 2022-02-17 2023-05-03 선철원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66Y1 (ko) * 2003-03-27 2003-06-12 김공원 조립식 제수변 보호통
KR200342277Y1 (ko) * 2003-10-29 2004-02-1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1017026B1 (ko) * 2010-06-24 2011-02-22 삼영기술주식회사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1568810B1 (ko) * 2014-12-19 2015-11-12 주식회사 드림워텍 매설용 유량계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66Y1 (ko) * 2003-03-27 2003-06-12 김공원 조립식 제수변 보호통
KR200342277Y1 (ko) * 2003-10-29 2004-02-1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1017026B1 (ko) * 2010-06-24 2011-02-22 삼영기술주식회사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1568810B1 (ko) * 2014-12-19 2015-11-12 주식회사 드림워텍 매설용 유량계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481B1 (ko) * 2020-02-05 2020-08-04 (주) 삼진정밀 맨홀 하단에 장착되어 퇴수기능을 가지는 경계밸브용 제수밸브
KR20210109791A (ko) 2020-02-28 2021-09-07 정경복 우수한 기밀성과 시공의 편의성을 겸비하는 부단수 밸브실
KR102223451B1 (ko) 2020-07-06 2021-03-08 (주) 삼진정밀 기존 배관의 관로상에 시공 용이한 부단수 밸브실
KR102505052B1 (ko) * 2021-10-07 2023-02-28 선철원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구조
KR102529136B1 (ko) * 2022-02-17 2023-05-03 선철원 밸브실 배관의 내진 이음 연결방법
KR102460155B1 (ko) * 2022-04-22 2022-11-01 (주) 삼진정밀 스마트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811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RU132461U1 (ru) Модуль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магистральный туннель и вводная камера модуля
KR101017026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KR1014043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1683426B1 (ko)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KR101804812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KR101842859B1 (ko) 바이패스용 개구부를 가진 차집관거 물막이벽,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물돌리기 공법
KR101017030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0685712A (zh) 一种可拼装的矩形顶管管节
KR102223451B1 (ko) 기존 배관의 관로상에 시공 용이한 부단수 밸브실
JP6745611B2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止水構造
KR102256982B1 (ko) 파형강관이 사용된 맨홀
KR101568810B1 (ko) 매설용 유량계실
CN212389350U (zh) 一种可拼装的矩形顶管管节
CN113832879A (zh) 一种加强型钢波纹板箱涵结构及施工方法
KR101212712B1 (ko) 원통 터널식 밸브실
CN113124258A (zh) 一种大型箱涵不断水封堵装置及使用该装置的修复方法
CN110822210A (zh) 给排水管道装配式堵板及施工方法
CN218911295U (zh) 一种渠道的预制盖板
CN212107451U (zh) 一种大型箱涵不断水封堵装置
JP2010070907A (ja) 乾式の地下外壁二重壁構造
CN220469122U (zh) 一种拼箱密封结构
CN219491339U (zh) 一种地下外墙止水管道组合式结构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