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810B1 - 매설용 유량계실 - Google Patents

매설용 유량계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810B1
KR101568810B1 KR1020140183701A KR20140183701A KR101568810B1 KR 101568810 B1 KR101568810 B1 KR 101568810B1 KR 1020140183701 A KR1020140183701 A KR 1020140183701A KR 20140183701 A KR20140183701 A KR 20140183701A KR 101568810 B1 KR101568810 B1 KR 10156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inverted
flow meter
shaped
reinforc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워텍
Priority to KR102014018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기간이 짧고, 외부의 수분과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분해가 용이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맨홀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는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된다.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도복장 철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막음 부재;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우레탄 발포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도복장 철판; 및 상기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과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 사이에 채워지는 우레탄 발포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설용 유량계실{Burial flowmeter chamber}
본 발명은 땅속에 설치되는 상하수도 관로의 유지보수를 위해 땅속에 설치되는 유량계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상이 아닌 공장에서 제작하여 필요한 장소의 땅속에 쉽게 매설할 수 있는 매설용 유량계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계실은 땅속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수도 관로 또는 하수도 관로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량계실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유량계실이 설치될 땅을 파고,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유량계실을 형성한다. 그 후, 수도관이나 하수도관을 연결하고, 유량계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유량계실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기간이 필요하므로 공사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량계실은 수도관이나 하수도관이 콘크리트로 된 유량계실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어, 유량계실 외부의 물이 수도관 또는 하수도관과 유량계실 측벽 사이의 틈새로 침투하므로 유량계실 내부의 방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량계실은 유량계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 중 유량계실에 마련된 맨홀을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큰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량계실의 천정을 철거하고, 해당 부품을 교체 후에 다시 천정을 콘크리트로 만들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유량계실이 지하에 매설되므로, 종래의 유량계실은 지하에 있는 수분이 유량계실로 침입하는 누수 현상이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 기술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774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5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설치 기간이 짧고, 외부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분해가 용이한 매설용 유량계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맨홀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상기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전자식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는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도복장 철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막음 부재;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우레탄 발포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도복장 철판; 및
상기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과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 사이에 채워지는 우레탄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사이에는 연장용 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용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파이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전자식 유량계와 상기 압력센서로 측정한 상기 플랜지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외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가 도포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내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피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보온 단열제 처리가 되어 있으며, 강도가 보강되고, 중량이 가벼운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외부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된 샌드위치 패널은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으므로, 매설용 유량계실의 내부에 설치된 기계 구조물에 부식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중량이 가벼워 현장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설용 유량계실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매설용 유량계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연장 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매설용 유량계실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매설용 유량계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은 하부 몸체(10), 상부 몸체(20), 및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브이(V)자를 뒤집은 형상인 역브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10)는 4개의 측벽과 바닥판을 포함하며, 4개의 측벽의 상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과 바닥판은 강도가 높고 방수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1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하부 몸체(1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의 높이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설치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하부 몸체(10)의 마주하는 2개의 측벽(10-1,10-2)에는 플랜지 파이프(31,32)가 설치된다. 플랜지 파이프(31,32)는 측벽(10-1,10-2)을 관통하며, 플랜지 파이프(31,32)와 측벽(10-1.10-2)은 용접(33)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 파이프(31,32)와 측벽(10-1.10-2)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수분이 하부 몸체(1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플랜지 파이프(31,32)는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수도관과의 연결방식에 따라, 플랜지 파이프가 아닌 일반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부 몸체(10)의 바닥에는 드레인 피트(35)가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 피트(35)는 맨홀(40)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모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인 피트(35)는 하부 몸체(10)의 바닥의 일 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몸체(20)는 하부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몸체(10)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몸체(20)의 상면에는 맨홀(40)이 형성되며, 하단이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몸체(20)는 4개의 측벽과 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의 하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도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20)의 표면은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부 몸체(2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와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홈(21) 사이에는 실링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0)는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의 내면에도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고무판과 같이 외부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에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을 삽입하면, 실링부재(50)가 상부 몸체(20)의 자중에 의해 눌리므로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의 연결부로 외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과 하부 몸체(10)의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 모두 실링부재(50)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링부재(50)를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1)과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1) 중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에만 실링부재(50)를 설치하고,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는 실링부재(50)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만 실링부재(50)를 설치하고,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에는 실링부재(50)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 하단과 하부 몸체(10) 상단의 적어도 한 곳에 실링부재(50)를 설치하면, 유량계실(1) 외부의 수분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20)의 연결부를 통해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에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식 유량계(51)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식 유량계(51)는 하부 몸체(10)의 양 측벽(10-1,10-2)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 설치된다. 전자식 유량계(51)와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는 제수 밸브(54,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수 밸브(54,55)는 전자식 유량계(51)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수 밸브(54,55)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유체가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해 흐르지 못하도록 하거나 흐르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량계(51)와 플랜지 파이프(32) 사이에는 신축 이음관(53)이 설치될 수 있다. 신축 이음관(53)은 온도에 따른 파이프의 신축량을 흡수한다.
또한, 전자식 유량계(51)와 평행하게 바이패스 관로(57)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관로(57)는 전자식 유량계(51)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플랜지 파이프(31,32)를 흐르는 유체를 차단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이패스 관로(57)에도 제수 밸브(56)가 설치되어 있어, 정상 작동시에는 바이패스 관로(57)로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또한, 하부 몸체(10)의 내부에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 설치된 파이프에는 압력센서(52)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52)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을 수도관로에 설치한 경우에는, 전자식 유량계(51)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해 흐르는 수도물의 유량을 측정하고, 압력센서(52)는 수도물의 수압을 측정한다.
전자식 유량계(51)와 압력센서(52)로 측정한 유량과 압력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에 설치된 관리 서버(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부 몸체(20)의 내측 벽에는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61,62)는 전자식 유량계용 무선 통신 단말기(61)와 압력센서용 무선 통신 단말기(62)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전자식 유량계(51) 및 압력센서(52)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전자식 유량계(51)와 압력센서(52)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외부의 관리 서버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기(61,62)의 일측에는 무선 통신 단말기(61,62)에 장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에 형성되는 맨홀(40)은 사람이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상(3)까지 연결되어 있다. 맨홀(40)에 인접한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의 측벽에는 사다리(4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맨홀(40)과 사다리(42)를 통해 유량계실(1)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외부 관리 서버와의 무선 통신이나, 설치의 편의를 위해 지표(3)에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면까지의 깊이(D)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과 같은 관로는 지표(3)에서 매설된 깊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연장용 몸체(7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장용 몸체(70)는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 사이에 설치된다. 연장용 몸체(70)는 하부 몸체(10)의 단면 또는 상부 몸체(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돌기(71)로 형성되며, 하단은 하부 몸체(10)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홈(7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용 몸체(70)는 4개의 측벽으로 형성된 4각 파이프 형상이며, 연장용 몸체(70)의 상단은 상부 몸체(20)의 하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71)로 형성된다. 연장용 몸체(70)의 하단은 하부 몸체(10)의 상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72)으로 형성된다. 연장용 몸체(70)의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71)의 표면과 하단의 역브이자 홈(72)의 내면에도 상술한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1)와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1)과 동일하게 실링부재(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장용 몸체(70)의 높이(H)를 적절하게 결정하면, 지표(3)에서 상수도관이 매설된 깊이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을 일정한 깊이로 매설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를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샌드위치 패널(80)은 2장의 철판(81,82)과 그 사이에 설치되어 철판(81,8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형강(85,86,8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80)의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샌드위치 패널(80)은 제1도복장 철판(81), 제2도복장 철판(82), 막음 부재(83,84,85,86),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 우레탄 발포제(88)로 구성된다.
제1도복장 철판(81)은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된 철판을 말한다. 제2도복장 철판(82)도 제1도복장 철판(81)과 동일하게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되어 있다.
제1도복장 철판(81)의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막음 부재(83,84,85,86)가 설치된다. 막음 부재(83,84,85,86)는 우레탄 발포제(88)가 제1도복장 철판(8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막음 부재(83,84,85,86)는 제1도복장 철판(81)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경우에는 제1도복장 철판(81)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도복장 철판(81)의 4개의 측변에 4개의 막음 부재(83,84,85,86)가 설치된다. 4개의 막음 부재(83,84,85,86) 중 마주하는 2개의 측변에 설치된 막음 부재(83,84)는 띠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마주하는 2개의 측변에는 'ㄷ'자 형강으로 된 막음 부재(85,86)를 설치할 수 있다. 일측의 ㄷ자 형강(85)에는 우레탄 발포제(88)를 주입하는 주입구(87)가 형성된다.
제1도복장 철판(81)의 상면에는 제1도복장 철판(81)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가 설치된다. 보강 부재(89-1~89-6)는 띠 형상의 철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ㄷ자 형강, ㄱ자 형강, 사각 파이프, H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와 중량을 고려하여 보강 부재(89-1~89-6)로 ㄷ자 형강을 사용하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89-1~89-6)인 복수의 'ㄷ'자 형강이 'ㄷ'자 형강으로 된 상측 및 하측 막음 부재(85,86)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80)은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 사이에 복수의 ㄷ자 형강(89-1~89-6)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의 강도가 보강하므로, 매설용 유량계실(1)이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는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내부로 충진되는 우레탄 발포제(88)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는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보강 부재(89-1)의 일단은 일측의 막음 부재(8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타측의 막음 부재(8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그 다음의 보강 부재(89-2)는 이와 반대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 부재(89-1)는 우측단이 우측 막음 부재(8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좌측단이 좌측 막음 부재(83)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제2보강 부재(89-2)는 좌측단이 좌측 막음 부재(83)에 접촉하고, 우측단이 우측 막음 부재(84)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 다음의 보강 부재(89-3~89-6)는 순차적으로 제1보강 부재(89-1)와 제2보강 부재(89-2)와 동일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측의 막음 부재(85)에 형성된 주입구(87)로 우레탄 발포제(88)를 주입하면, 우레탄 발포제(88)는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하측 막음 부재(86)까지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81,8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우레탄 발포제(88)는 보온 단열제로서,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81,82)과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 사이에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80)은 매설용 유량계실(1)로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보온 단열제 처리가 되어 있으며, 강도가 보강되고, 중량이 가벼운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외부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된 샌드위치 패널은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으므로, 매설용 유량계실의 내부에 설치된 기계 구조물에 부식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중량이 가벼워 현장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매설용 유량계실 3: 지표
10: 하부 몸체 11: 역브이자 돌기
20: 상부 몸체 21: 역브이자 홈
31, 32: 플랜지 파이프 40: 맨홀
51: 전자식 유량계 52: 압력센서
54, 55, 56: 제수 밸브 57: 바이패스 관로
61, 62: 무선 단말기 63: 배터리
70: 연장용 몸체 80: 샌드위치 패널
81, 82: 도복장 철판 83, 84, 85, 86: 막음 부재
87: 주입구 88: 우레탄 발포제
89-1~89-6: 보강 부재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전 둘레가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며, 하단의 전 둘레가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가 삽입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 표면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의 내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부재;
    상기 하부 몸체의 양 측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상기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전자식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는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도복장 철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막음 부재;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 우레탄 발포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도복장 철판; 및
    상기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과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 사이에 채워지는 우레탄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는 'ㄷ'자 형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사이에는 연장용 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용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파이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전자식 유량계와 상기 압력센서로 측정한 상기 플랜지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외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가 도포되고, 상기 상부 몸체의 내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에는 드레인 피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실.

KR1020140183701A 2014-12-19 2014-12-19 매설용 유량계실 KR10156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701A KR101568810B1 (ko) 2014-12-19 2014-12-19 매설용 유량계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701A KR101568810B1 (ko) 2014-12-19 2014-12-19 매설용 유량계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810B1 true KR101568810B1 (ko) 2015-11-12

Family

ID=5461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701A KR101568810B1 (ko) 2014-12-19 2014-12-19 매설용 유량계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811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101804812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974A (ja) * 2003-12-1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ネルの発泡材充填構造
KR100981985B1 (ko) * 2009-11-17 2010-09-13 명진기공(주)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974A (ja) * 2003-12-1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ネルの発泡材充填構造
KR100981985B1 (ko) * 2009-11-17 2010-09-13 명진기공(주)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811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101804812B1 (ko) * 2016-09-22 2017-12-05 (주)천보드림워텍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134B1 (ko) 밸브실 구조물
US947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below-grade wall structures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KR101804811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KR101415246B1 (ko) 침매터널 조인트의 누수량 측정 장치
KR101017026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CN107355242B (zh) 隧道防排水系统
KR101568810B1 (ko) 매설용 유량계실
KR100712394B1 (ko) 감시형 방수 맨홀
NO20076650L (no) Konstruksjoner for bygg og underjordiske anlegg
KR100926183B1 (ko) 방수구조를 갖는 지하공동구
KR201700061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보수용 방수장치
KR101541469B1 (ko)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1683426B1 (ko)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KR200410189Y1 (ko) 맨홀 장치
KR101661513B1 (ko) 안전감시기능을 갖춘 상하수도 맨홀장치
FI128880B (en) Water drainage system
KR20060134754A (ko) 부분 도막방수 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6544212B2 (ja) 連結部材及び鋼矢板壁
KR100998868B1 (ko) 공동구용 암거
KR101058338B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에 형성되는 각도를 갖는 관로구의 방수장치
CN205024824U (zh) 卫生间安装结构
KR101804812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ES2270778T3 (es) Dispositivo para el paso estanco de cables, conducciones o tubos.
JP2010203158A (ja) 止水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