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69B1 -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69B1
KR101541469B1 KR1020140192919A KR20140192919A KR101541469B1 KR 101541469 B1 KR101541469 B1 KR 101541469B1 KR 1020140192919 A KR1020140192919 A KR 1020140192919A KR 20140192919 A KR20140192919 A KR 20140192919A KR 101541469 B1 KR101541469 B1 KR 10154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small
water suppl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워텍
Priority to KR102014019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Abstract

각각 복수의 수용가, 복수의 소블록, 복수의 중블록, 및 복수의 중블록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을 포함하는 상수도관망 시스템의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있어서, 정수장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정수장에서 복수의 중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정수장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서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서 복수의 수용가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의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의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장 공급량에서 상기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정수장에서 상기 복수의 중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상기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중블록과 상기 중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소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구간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Method of determining leak section in water supply pipe network}
본 발명은 상수도관망에서 수돗물이 누수되는 누수구간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단계의 블록으로 구획된 상수도관망에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의 유량계를 이용하여 상수도관망의 누수구간을 판단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망은 정수장에서 넓은 급수 구역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수용가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수도관망에서는 수돗물의 누수를 최소화하여 유수율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급수구역을 수계별 및 도로망을 감안한 여러 개의 통제 가능한 단위 블록으로 구분하고, 정수장에서부터 각 수용가까지를 단위별로 블록화하고, 각 블록 단위로 수용가까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 계량기와 단위별 블록의 유입관로와 배출관로에 각각 설치된 밸브를 잠근 후, 유입관로 상에 바이패스되는 소형 유입관로를 별도 설치하고, 여기에 정밀도가 높은 소형 유량계를 장착한다. 그 후, 수용가의 수돗물 소비가 없는 야간에 소형 유량계로 유량을 측정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누수 판단 방법은 어느 급수 지역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있을 때, 전체 급수 지역의 임의의 지역을 선택한 후 누수 판단 방법을 실행해야 하므로 운이 좋지 않다면 누수 위치를 발견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누수 위치를 검출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동시에 누수가 발생한 급수 지역의 여러 곳에 누수를 검출할 수 있는 많은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누수 검출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수도관망에서 누수 위치를 검출할 영역을 줄일 수 있도록 누수구간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누수구간 판단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53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4724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561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236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056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일정한 급수 구역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누수구간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블록, 각각 상기 복수의 소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블록, 및 상기 복수의 중블록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을 포함하는 상수도관망 시스템에서 수돗물의 누수구간을 판단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정수장에서 복수의 중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정수장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서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의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소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의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장 공급량에서 상기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정수장에서 상기 복수의 중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상기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중블록과 상기 중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소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구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중블록 및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는 상기 유량계가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이 설치되고, 상기 매설용 유량계실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맨홀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는 상기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는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소블록 개별 공급량이 제3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소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도복장 철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막음 부재;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우레탄 발포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도복장 철판; 및 상기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과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 사이에 채워지는 우레탄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사이에는 연장용 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용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은, 상수도관망을 구성하는 여러 단계의 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누수구간을 자동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누수 탐지를 해야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좁은 영역에 대해 기존의 누수 탐지 방법을 적용하여 누수구간을 찾을 수 있으므로 누수구간을 탐지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은 각 수용가에 사용량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유량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누수구간의 판단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상수도관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사용되는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매설용 유량계실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매설용 유량계실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연장 몸체를 포함하는 매설용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상수도관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급수 구역에 설치된 정수장(200)에서 상기 급수 구역에 포함되는 많은 수용가까지 이르는 상수도관망은 블록화되어 있다. 즉, 많은 수용가는 복수의 소블록(소블록11-소블록14, 소블록21-소블록24)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복수의 소블록이 한 개의 중블록(중블록1, 중블록2)을 형성한다. 복수의 소블록을 포함하는 중블록이 복수 개 마련되며, 정수장(200)에서는 이 복수의 중블록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정수장(200)에서 2개의 중블록(중블록1, 중블록2)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도시하고 있으나, 정수장(200)에서 수돗물을 공급하는 중블록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수장(200)이 공급할 수 있는 중블록은 정수장(200)이 공급할 수 있는 수돗물의 양과 각 중블록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2개의 중블록(중블록1, 중블록2)은 각각 4개의 소블록(소블록11-소블록14, 소블록21-소블록24)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블록을 구성하는 소블록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과 소블록의 크기에 따라 소블록의 개수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블록(소블록11-소블록14, 소블록21-소블록24)은 복수의 수용가(H1-H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소블록은 10개의 수용가를 포함하도록 정할 수 있다. 소블록은 누수 위치의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로, 지형 등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수용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각 소블록에 속하는 수용가로는 소블록의 입구에 설치된 소블록 유량계실(400)을 통해 수돗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소블록 유량계실(400)에는 중블록에 연결되는 인입관과 수용가에 연결되는 배출관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파이프에는 소블록에 속하는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는 전자식 유량계로서, 중블록으로부터 공급되어 한 개의 소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용가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소블록 유량계실(400)은 후술하는 매설용 유량계실(1)을 사용할 수 있다. 매설용 유량계실(1)에 설치된 유량계(51)는 연결 파이프(31,32)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유량계실(1)에 설치된 무선 통신 단말기(61)로 전달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61)가 이 측정 데이터를 외부의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각 중블록은 복수의 소블록을 포함하며, 복수의 소블록 각각으로 수돗물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각 중블록의 입구에는 중블록 유량계실(300)이 설치되며, 이 중블록 유량계실(300)을 통해 수돗물을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중블록 유량계실(300)에는 정수장(200)에 연결되는 인입관과 소블록에 연결되는 배출관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파이프에는 소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계는 전자식 유량계로서, 정수장(200)으로부터 공급되어 한 개의 중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중블록 유량계실(300)로 후술하는 매설용 유량계실(1)을 사용할 수 있다. 중블록 유량계실(300)로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1)은 상술한 소블록에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에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은 각각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블록, 각각 복수의 소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블록, 및 복수의 중블록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을 포함하는 상수도 관망 시스템에서 수돗물의 누수구간을 판단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은, 정수장(200)에 설치된 유량계(미도시)는 일정 시간 동안 정수장(200)에서 복수의 중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정수장 공급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정수장(200)의 유량계는 하루 동안에 정수장(200)이 복수의 중블록으로 공급하는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정수장 공급량으로 관리 서버(1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정수장(200)의 유량계는 정수장(200)에 설치된 무선 통신 단말기(미도시)로 측정한 정수장 공급량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정수장 공급량을 외부에 설치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210).
또한, 복수의 중블록 각각의 입구에 마련된 중블록 유량계실(300)에 설치된 유량계(51)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서 해당 중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한다(S220). 예를 들면, 도 1에서 중블록 1의 중블록 유량계실(300)인 매설용 유량계실(1)에 설치된 유량계(51)는 중블록 1이 4개의 소블록(소블록 11-소블록 14)으로 하루 동안 공급한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중블록 개별 공급량으로 하여 관리 서버(1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중블록 입구에 마련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유량계(51)는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 통신 단말기(61)로 측정한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61)는 수신한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외부에 설치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복수의 소블록 각각의 입구에 마련된 소블록 유량계실(400)에 설치된 유량계(51)가 일정 시간 동안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서 해당 소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수용가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한다(S230). 예를 들면, 도 1에서 소블록 11의 소블록 유량계실(400)인 매설용 유량계실(1)에 설치된 유량계(51)가 4개의 수용가(H1-H4)로 하루 동안 공급한 수돗물의 양을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소블록 개별 공급량으로 하여 관리 서버(1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소블록 입구에 마련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유량계(51)는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에 설치된 무선 통신 단말기(61)로 측정한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외부에 설치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00)는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복수의 중블록의 각각의 매설용 유량계실(1)의 유량계(51)가 측정하여 전송한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소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복수의 소블록의 각각의 매설용 유량계실(1)의 유량계(51)가 측정하여 전송한 복수의 소블록 각각의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한다(S240). 이때, 관리 서버(100)는 상수도관망이 포함하는 중블록의 개수만큼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은 상수도관망의 경우에는, 중블록이 2개이므로, 관리 서버(100)는 각 중블록에 해당하는 복수의 소블록의 개별 공급량을 합산한 2개의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100)는 정수장(200),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1), 및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1)로부터 무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상술한 중블록 합산 공급량과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계산한다. 관리 서버(100)에는 관리 PC(1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와 산출한 값을 이용하여 누수구간을 판단한다(S25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00)는 정수장(200)으로부터 수신된 정수장 공급량에서 상기 단계에서 계산한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정수장 공급량에서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 이하이면, 관리 서버(100)는 정수장에서 중블록까지는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정수장 공급량에서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관리 서버(100)는 정수장(200)과 복수의 중블록 사이의 상수도관 망 구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1기준치는 물 증발량과 정수장(200)의 유량계의 오차, 및 중블록의 유량계(51)의 오차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중블록에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1)로부터 수신된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상기 단계에서 계산한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 이하이면, 관리 서버(100)는 중블록에서 복수의 소블록까지의 구간에서는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중블록의 매설용 유량계실(1)과 상기 중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소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 구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2기준치는 물 증발량과 중블록의 유량계(51)의 오차, 및 소블록의 유량계(51)의 오차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소블록에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1)에서부터 수신되는 소블록 개별 공급량이 제3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소블록 개별 공급량이 제3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소블록의 매설용 유량계실(1)로부터 복수의 수용가까지의 구간에서는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소블록 개별 공급량이 제3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소블록의 매설용 유량계실(1)로부터 복수의 수용가까지의 구간에서 이상 물 사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에, 관리자는 해당 소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수용가를 조사하여 평소 이상으로 과다하게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복수의 수용가에서 과다하게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가 없다면, 해당 소블록 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누수 탐사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3기준치는 물 증발량, 소블록의 유량계의 오차, 수용가의 물 사용 패턴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임의의 구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 서버(100)는 관리 PC(110)를 통해 누수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100)는 버저나 경광등을 동작시키고, PC(110)의 화면에는 누수가 발생하는 곳으로 판단된 구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 계산된 데이터, 및 누수 발생 구간 등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으로 전송하므로, 상수도관망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어느 곳에서나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의하면, 상수도관망을 구성하는 여러 단계의 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구간을 자동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누수 탐지를 해야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좁은 영역에 대해 기존의 누수 탐지 방법을 적용하여 누수구간을 찾을 수 있으므로 누수구간을 탐지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은 각 수용가에 사용량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유량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누수구간의 판단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상수도관망이 2단계의 블록, 즉 소블록과 중블록으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수도관망은 3단계 이상의 블록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중블록을 포함하는 대블록을 포함하는 3단계의 블록으로 상수도관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3단계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상수도관망에도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에 대해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매설용 유량계실을 선 2-2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매설용 유량계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사용되는 매설용 유량계실(1)은 하부 몸체(10), 상부 몸체(20), 및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브이(V)자를 뒤집은 형상인 역브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10)는 4개의 측벽과 바닥판을 포함하며, 4개의 측벽의 상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과 바닥판은 강도가 높고 방수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1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하부 몸체(1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의 높이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설치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하부 몸체(10)의 마주하는 2개의 측벽(10-1,10-2)에는 플랜지 파이프(31,32)가 설치된다. 플랜지 파이프(31,32)는 측벽(10-1,10-2)을 관통하며, 플랜지 파이프(31,32)와 측벽(10-1.10-2)은 용접(33)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 파이프(31,32)와 측벽(10-1.10-2)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수분이 하부 몸체(1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플랜지 파이프(31,32)는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수도관과의 연결방식에 따라, 플랜지 파이프가 아닌 일반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서는 이러한 플랜지 파이프(31,32)는 정수장(200), 중블록, 소블록, 수용가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인입관과 배출관이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로 사용된다.
하부 몸체(10)의 바닥에는 드레인 피트(35)가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 피트(35)는 맨홀(40)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모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인 피트(35)는 하부 몸체(10)의 바닥의 일 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몸체(20)는 하부 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몸체(10)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몸체(20)의 상면에는 맨홀(40)이 형성되며, 하단이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몸체(20)는 4개의 측벽과 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측벽의 하단은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몸체(10)의 4개의 측벽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도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20)의 표면은 하부 몸체(10)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의 외면에는 방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부 몸체(20)의 내면에는 에폭시 방수 또는 폴리우레탄 방수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와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형성된 역브이자 형상의 홈(21) 사이에는 실링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0)는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의 내면에도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고무판과 같이 외부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에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을 삽입하면, 실링부재(50)가 상부 몸체(20)의 자중에 의해 눌리므로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의 연결부로 외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과 하부 몸체(10)의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 모두 실링부재(50)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링부재(50)를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1)과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1) 중 한 곳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에만 실링부재(50)를 설치하고,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는 실링부재(50)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하부 몸체(10)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11)의 표면에만 실링부재(50)를 설치하고, 상부 몸체(20) 하단의 역브이자 홈(21)의 내면에는 실링부재(50)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부 몸체(20) 하단과 하부 몸체(10) 상단의 적어도 한 곳에 실링부재(50)를 설치하면, 유량계실(1) 외부의 수분이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20)의 연결부를 통해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0)에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식 유량계(51)가 설치될 수 있다. 전자식 유량계(51)는 하부 몸체(10)의 양 측벽(10-1,10-2)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 설치된다.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 중 하나는 인입관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배출관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매설용 유량계실(1)이 상수도관망의 중블록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한쪽 플랜지 파이프(32)에 정수장(200)에 연결된 수도관인 인입관이 연결되고, 다른 쪽 플랜지 파이프(31)에는 소블록에 연결된 수도관인 배출관이 연결된다. 전자식 유량계(51)는 2개의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후술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61)로 전송한다.
전자식 유량계(51)와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는 제수 밸브(54,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수 밸브(54,55)는 전자식 유량계(51)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수 밸브(54,55)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수돗물이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해 흐르지 못하도록 하거나 흐르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량계(51)와 플랜지 파이프(32) 사이에는 신축 이음관(53)이 설치될 수 있다. 신축 이음관(53)은 온도에 따른 파이프의 신축량을 흡수한다.
또한, 전자식 유량계(51)와 평행하게 바이패스 관로(57)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관로(57)는 전자식 유량계(51)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플랜지 파이프(31,32)를 흐르는 수돗물을 차단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이패스 관로(57)에도 제수 밸브(56)가 설치되어 있어, 정상 작동시에는 바이패스 관로(57)로 수돗물이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또한, 하부 몸체(10)의 내부에 플랜지 파이프(31,32) 사이에 설치된 파이프에는 압력센서(52)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52)는 플랜지 파이프(31,32)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수압을 측정한다.
전자식 유량계(51)와 압력센서(52)로 측정한 수돗물의 유량과 압력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에 설치된 관리 서버(100)(도 3 참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부 몸체(20)의 내측 벽에는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61,62)는 전자식 유량계용 무선 통신 단말기(61)와 압력센서용 무선 통신 단말기(62)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전자식 유량계(51) 및 압력센서(52)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전자식 유량계(51)와 압력센서(52)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61,62)와 외부의 관리 서버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과 같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기(61,62)의 일측에는 무선 통신 단말기(61,62)에 장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에 형성되는 맨홀(40)은 사람이 매설용 유량계실(1)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상(3)까지 연결되어 있다. 맨홀(40)에 인접한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의 측벽에는 사다리(4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맨홀(40)과 사다리(42)를 통해 유량계실(1)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외부 관리 서버(100)와의 무선 통신이나, 설치의 편의를 위해 지표(3)에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면까지의 깊이(D)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과 같은 관로는 지표(3)에서 매설된 깊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연장용 몸체(7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장용 몸체(70)는 하부 몸체(10)와 상부 몸체(20) 사이에 설치된다. 연장용 몸체(70)는 하부 몸체(10)의 단면 또는 상부 몸체(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부 몸체(20)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돌기(71)로 형성되며, 하단은 하부 몸체(10)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홈(7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용 몸체(70)는 4개의 측벽으로 형성된 4각 파이프 형상이며, 연장용 몸체(70)의 상단은 상부 몸체(20)의 하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2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71)로 형성된다. 연장용 몸체(70)의 하단은 하부 몸체(10)의 상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11)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72)으로 형성된다. 연장용 몸체(70)의 상단의 역브이자 돌기(71)의 표면과 하단의 역브이자 홈(72)의 내면에도 상술한 하부 몸체(10)의 역브이자 돌기(11)와 상부 몸체(20)의 역브이자 홈(21)과 동일하게 실링부재(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장용 몸체(70)의 높이(H)를 적절하게 결정하면, 지표(3)에서 상수도관이 매설된 깊이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을 일정한 깊이로 매설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1)의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를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샌드위치 패널(80)은 2장의 철판(81,82)과 그 사이에 설치되어 철판(81,8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의 형강(85,86,8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80)의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샌드위치 패널(80)은 제1도복장 철판(81), 제2도복장 철판(82), 막음 부재(83,84,85,86),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 우레탄 발포제(88)로 구성된다.
제1도복장 철판(81)은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된 철판을 말한다. 제2도복장 철판(82)도 제1도복장 철판(81)과 동일하게 상면과 하면이 방수 표면 처리가 되어 있다.
제1도복장 철판(81)의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막음 부재(83,84,85,86)가 설치된다. 막음 부재(83,84,85,86)는 우레탄 발포제(88)가 제1도복장 철판(8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막음 부재(83,84,85,86)는 제1도복장 철판(81)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경우에는 제1도복장 철판(81)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도복장 철판(81)의 4개의 측변에 4개의 막음 부재(83,84,85,86)가 설치된다. 4개의 막음 부재(83,84,85,86) 중 마주하는 2개의 측변에 설치된 막음 부재(83,84)는 띠 형상의 철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마주하는 2개의 측변에는 'ㄷ'자 형강으로 된 막음 부재(85,86)를 설치할 수 있다. 일측의 ㄷ자 형강(85)에는 우레탄 발포제(88)를 주입하는 주입구(87)가 형성된다.
제1도복장 철판(81)의 상면에는 제1도복장 철판(81)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가 설치된다. 보강 부재(89-1~89-6)는 띠 형상의 철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ㄷ자 형강, ㄱ자 형강, 사각 파이프, H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도와 중량을 고려하여 보강 부재(89-1~89-6)로 ㄷ자 형강을 사용하고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89-1~89-6)인 복수의 'ㄷ'자 형강이 'ㄷ'자 형강으로 된 상측 및 하측 막음 부재(85,86)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80)은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 사이에 복수의 ㄷ자 형강(89-1~89-6)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의 강도가 보강하므로, 매설용 유량계실(1)이 지하에 매설되었을 때,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는 제1도복장 철판(81)과 제2도복장 철판(8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내부로 충진되는 우레탄 발포제(88)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는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보강 부재(89-1)의 일단은 일측의 막음 부재(8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타측의 막음 부재(83)와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그 다음의 보강 부재(89-2)는 이와 반대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 부재(89-1)는 우측단이 우측 막음 부재(84)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좌측단이 좌측 막음 부재(83)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제2보강 부재(89-2)는 좌측단이 좌측 막음 부재(83)에 접촉하고, 우측단이 우측 막음 부재(84)에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 다음의 보강 부재(89-3~89-6)는 순차적으로 제1보강 부재(89-1)와 제2보강 부재(89-2)와 동일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측의 막음 부재(85)에 형성된 주입구(87)로 우레탄 발포제(88)를 주입하면, 우레탄 발포제(88)는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하측 막음 부재(86)까지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81,8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우레탄 발포제(88)는 보온 단열제로서,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81,82)과 복수의 보강 부재(89-1~89-6) 사이에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샌드위치 패널(80)은 매설용 유량계실(1)로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보온 단열제 처리가 되어 있으며, 강도가 보강되고, 중량이 가벼운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외부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에 사용된 샌드위치 패널은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막을 수 있으므로, 매설용 유량계실의 내부에 설치된 기계 구조물에 부식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설용 유량계실은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중량이 가벼워 현장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매설용 유량계실 3; 지표
10; 하부 몸체 11; 역브이자 돌기
20; 상부 몸체 21; 역브이자 홈
31,32; 플랜지 파이프 40; 맨홀
51; 전자식 유량계 52; 압력센서
54,55,56; 제수 밸브 57; 바이패스 관로
61,62; 무선 단말기 63; 배터리
70; 연장용 몸체 80; 샌드위치 패널
81,82; 도복장 철판 83,84,85,86; 막음 부재
87; 주입구 88; 우레탄 발포제
89-1~89-6; 보강 부재 100; 관리 서버
110; PC 200; 정수장
300; 중블록 유량계실 400; 소블록 유량계실

Claims (4)

  1. 각각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블록, 각각 상기 복수의 소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블록, 및 상기 복수의 중블록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을 포함하는 상수도관망 시스템에서 수돗물의 누수구간을 판단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정수장에서 복수의 중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정수장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에서 복수의 소블록으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 설치된 유량계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가로 공급한 수돗물의 양인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복수의 중블록 각각의 중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소블록 개별 공급량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복수의 소블록 각각의 소블록 개별 공급량을 합산하여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장 공급량에서 상기 중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정수장에서 상기 복수의 중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중블록 개별 공급량에서 상기 소블록 합산 공급량을 뺀 값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중블록과 상기 중블록에 속하는 복수의 소블록 사이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구간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중블록 및 복수의 소블록 각각에는 상기 유량계가 설치된 매설용 유량계실이 설치되고, 상기 매설용 유량계실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의 전 둘레가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몸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며, 하단의 전 둘레가 상기 하부 몸체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가 삽입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 표면과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의 역브이자 형상의 홈의 내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양 측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2개의 플랜지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계는 상기 2개의 플랜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는 내부에 우레탄 발포제가 채워진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블록 개별 공급량이 제3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소블록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패널은,
    제1도복장 철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막음 부재;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상면에 상기 제1도복장 철판의 일 측변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우레탄 발포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
    상기 막음 부재와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도복장 철판; 및
    상기 제1 및 제2도복장 철판과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 사이에 채워지는 우레탄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사이에는 연장용 몸체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용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에 대응하는 역브이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20140192919A 2014-12-30 2014-12-30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154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19A KR101541469B1 (ko) 2014-12-30 2014-12-30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19A KR101541469B1 (ko) 2014-12-30 2014-12-30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469B1 true KR101541469B1 (ko) 2015-08-03

Family

ID=5387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19A KR101541469B1 (ko) 2014-12-30 2014-12-30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199B1 (ko) 2017-02-08 2017-06-26 정순규 배수권역 내 상수관망블록의 고립와해 판단방법
KR102277365B1 (ko) * 2020-10-26 2021-07-14 (주)서용엔지니어링 순간유량값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누수탐지 시스템 및 누수탐지 공법
CN114688461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一种漏水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11B1 (ko) * 2002-06-07 2005-11-09 김범식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11B1 (ko) * 2002-06-07 2005-11-09 김범식 수도관로의 누수량 및 누수구간 자동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199B1 (ko) 2017-02-08 2017-06-26 정순규 배수권역 내 상수관망블록의 고립와해 판단방법
KR102277365B1 (ko) * 2020-10-26 2021-07-14 (주)서용엔지니어링 순간유량값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누수탐지 시스템 및 누수탐지 공법
CN114688461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一种漏水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469B1 (ko) 상수도관망 누수구간 판단방법
KR101415246B1 (ko) 침매터널 조인트의 누수량 측정 장치
US4361030A (en) Method for leak detection in a pipeline system and a measuring well for use in a pipeline system in the method for leak detection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IL139402A0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emperature distributions on the basis of distributed fiber-optic sensing and use of same
EP2875190A2 (en) Telemetric hydrant for measuring, collecting and wireless transfer of measured values to the database on the remote computer
KR101204426B1 (ko) 하천 월류에 의한 치수시설물 붕괴 방지에 초점을 맞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3091B1 (ko) 유입수 조절 가능한 터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2394B1 (ko) 감시형 방수 맨홀
KR101568810B1 (ko) 매설용 유량계실
JP2013213694A (ja) 扉用試験装置
EP3405764B1 (en) Method for fluid flow measurement for a discrete area of a fluid supply network
US9528904B1 (en) Positive displacement metering system
KR101756211B1 (ko) 유지 관리 편리성과 시설물 효율성 증대를 위한 마을 상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EP4180790A1 (en) Identifying anomalous flows in a water distribution network
KR101796078B1 (ko) 항만시설용 침하 및 재해 감시 설비
KR20100100361A (ko) 새들분수전용커버를 사용한 천공파이프
KR102365366B1 (ko) 관로통수 시 수압 탁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6287B1 (ko) 공동주택용 방음 및 방수패널
KR20090050695A (ko) 부식 방지관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KR101112034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KR101804812B1 (ko) 부단수 상수도 밸브실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