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695A - 부식 방지관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695A
KR20090050695A KR1020070117285A KR20070117285A KR20090050695A KR 20090050695 A KR20090050695 A KR 20090050695A KR 1020070117285 A KR1020070117285 A KR 1020070117285A KR 20070117285 A KR20070117285 A KR 20070117285A KR 20090050695 A KR20090050695 A KR 20090050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pipe
seating groove
end surfa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282B1 (ko
Inventor
유상열
Original Assignee
유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열 filed Critical 유상열
Priority to KR102007011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2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18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 F16L58/187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for 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부식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분리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관 본체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계량기와 연결단관 및 스트레이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부식 방지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외면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유로 통로 내벽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식 방지수단은,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 각각의 외곽 끝단부면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외곽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착홈과; 상기 제1 안착홈에 삽입되는 패킹링과; 일측부는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상기 내곽 끝단부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며, 내경부는 상기 유로 통로의 내벽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고정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상기 관 본체의 유로 통로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의 내경부에 지지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방지용 내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17285
부식, 방지, 관

Description

부식 방지관{Structure of anticorrosive pipe}
본 발명은 부식 방지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부식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분리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관 본체를 재활용 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계량기와 연결단관 및 스트레이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부식 방지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수도 배관은 상수원의 수돗물을 공급 및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의 단위 길이로 제작된다.
이렇게 단위 길이로 제작된 단위 상수도 배관을 상수원으로부터 가정 등의 수요처까지 서로 연결해가면서 지하에 매설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 배관의 매설 구간중 수요처 근방의 임의의 매설 구간에 급수량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100)를 서로 인접하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계량기(100)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계량기(1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스트레이너(300)를 설치하고, 계량기(100)와 스트레이너(300)를 별도의 연결 단관(400)을 통해 접속 연결 설치하고 있다.
즉, 상수원측에서 각 수요처로 수돗물이 유동되는 방향(화살표 A)으로 보았을때 스트레이너(300),계량기(100),연결단관(400)의 순서로 설치된다.
이하, 종래 구성을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과,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의 순서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에는 플랜지부(210)(210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210)(210A)의 가장 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211)(2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의 외곽끝단부면(212)과 내곽끝단부면(213)중 볼트 결합공(21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21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213)은 외곽 끝단부면(21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의 끝단부면(212A)(213A)중 볼트 결합공(211A)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212A)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213A)은 외곽 끝단부면(212A)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너(30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측에 개방된 인입구(311)가 형성된 통체 형상의 스트레이너 본체(310)와, 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일측 수직벽(312)에 연장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일측 결합부(313)와,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타측 수직벽(314)에 연장 형성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타측 결합부(315)와,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인입구(311)를 통해 인입되어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여과망부재(320)와,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인입구(311)를 개폐하는 덮개부재(350)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레이너 본체(310)는 사각 통체 형상 또는 원형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단부에는 플랜지부(3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3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의 외곽 끝단부면(332)과 내곽 끝단부면(333)중 볼트 결합공(33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33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333)은 외곽 끝단부면(33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단부에는 플랜지부(3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3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의 외곽 끝단부면(342)과 내곽 끝단부면(343)중 볼트 결합공(34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34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343)은 외곽 끝단부면(34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343)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A)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을 개재한다.
이후,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의 플랜지부(34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341)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A)의 플랜지부(210A)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211A)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다음으로, 계량기(10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계량기(100)는 계량기 본체(110)와, 회전체(120)와, 전ㆍ후 고정체(130)(140)와, 서포터(150)(160)와, 자기유도체(170)와, 자기센서(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계량기 본체(110)는 양단이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유로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량기 본체(110)의 양단부에는 일측 플랜지부(111)와 타측 플랜지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량기 본체(11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일측 플랜지부(111)와 타측 플랜지부(115)의 가장 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112)(11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의 외곽 끝단부면(113)과 내곽 끝단부면(114)중 볼트 결합공(112)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113)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114)은 외곽 끝단부면(113)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는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즉,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114)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을 개재한다.
이후,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12)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의 플랜지부(21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211)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그리고, 계량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115)의 외곽 끝단부면(117)과 내곽 끝단부면(118)중 볼트 결합공(116)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117)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118)은 외곽 끝단부면(117)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120)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체(120)의 외주면에는 유체의 유입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다수개의 블레이드(121)가 구비되어 있다.
전ㆍ후 고정체(130)(140)는 회전체(120)의 전,후에 해당되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축(122)을 매개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터(150)(160)는 전,후 고정체(130)(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어 타단부가 계량기 본체(110)의 내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서포터(150)(16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이유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기유도체(170)는 회전체(120)의 각 블레이드(121)의 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자기유도체(170)의 설치 방법의 하나로는 별도의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21)의 내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매몰 설치하는 것이다.
자기유도체의 재질로는 영구자석을 제외한 자화가 가능한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며, 이로써 후술하는 자기센서(180)에 대응되는 자기유도체(170)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힐 수 있다.
자기센서(180)는 블레이드(121)의 단부에 대응되는 부분, 즉 수평부분에 대응되는 계량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자기유도체(120)를 센싱하여 검출된 신호를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센서(180)는 센서 수용 하우징(181)내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 센서 수용 하우징(181)이 블레이드(121)에 대응되는 계량기 본체(110)에 유로 통로내로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자기센서(180)에 의해 자기유도체(170)를 센싱할 수 있다.
이렇게 자기센서(180)에서 센싱된 유량 흐름 정보는 연산수단으로 송신되고, 이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정보는 표시수단을 통해 수도물의 사용량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연결 단관(4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단관(4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 연결 단관(400)의 일단부에는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와 결합되는 일측 플랜지부(4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단관(400)의 일측 플랜지부(41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41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일측 플랜지부(410)의 외각 끝단부면(412)과 내곽 끝단부면(413)중 볼트 결합공(41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41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413)은 외곽 끝단부면(413)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410)는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41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413)과,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118)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을 개재한다.
이후,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일측 플랜지부(41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411)과, 계량기 본체(110)의 타측 플랜지부(115)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16)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한편, 연결 단관(400)의 타단부에는 스트레이너 본체(310)의 일측 결합부(330)와 결합되는 타측 플랜지부(4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단관(400)의 타측 플랜지부(420)의 가장자리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볼트 결합공(42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타측 플랜지부(420)의 외각 끝단부면(422)과 내곽 끝단부면(423)중 볼트 결합공(421)이 형성되는 외곽 끝단부면(422)의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423)은 외곽 끝단부면(422)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420)는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42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423)과,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333) 사이에 링형 타입의 고무 재질의 패킹(500)을 개재한다.
이후,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타측 플랜지부(420)에 형성된 볼트 결합 공(421)과, 스트레이너 본체(310)를 구성하는 일측 결합부(313)의 플랜지부(33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331)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써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은 1차적으로 단위 상수도 배관(200A)를 지나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를 통해 여과망부재(32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타측 결합부(315)를 통해 배출된 후, 연결 단관(400)을 경유하여 계량기(100)를 구성하는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의 유속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121)가 회전체(120)와 함께 회전된다.
계량기 본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은 단위 상수도 배관(200)을 따라 가정 등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은 그 내벽면에 수돗물에 의한 관내벽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 코팅층(미도시)를 형성되도록 제작하여 위생상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이외에 계량기(100)와 연결단관(400) 및 스트레이너(300)에는 부식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않기 때문에 비록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을 통해 스트레이너(300) 전방까지 공급된 수돗물이 위생상 안전할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트레이너(300)와 연 결단관(400) 및 계량기(100)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는 관계로 수돗물의 수질이 나빠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의 유로 내벽면에 부식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일정한 두께로 부식 방지층을 코팅 또는 라이닝(lining)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의 유로 내벽면에 코팅 또는 라이닝(lining)된 부식 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복작하고 난해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되어, 생산성 측면에서 볼 때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부식 방지층을 코팅 또는 라이닝(lining)된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교체를 해야할 경우에 폐기물 처리법에 의해 부식 방지층을 별도로 분리한 후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를 재활용하여야 하는데, 이 부식 방지층은 코팅 공법 또는 라이닝 공법에 의해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 및 계량기(100)의 유로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리를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여 재활용 측면에서 볼때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스트레이너(300)와 연결단관(400)와 계량기(100) 및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패킹은 재질 특성상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부식등의 노후화로 인해 수돗물이 누수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부식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분리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관 본체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계량기와 연결단관 및 스트레이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부식 방지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외면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유로 통로 내벽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식 방지수단은,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 각각의 외곽 끝단부면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외곽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착홈과; 상기 제1 안착홈에 삽입되는 패킹링과; 일측부는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패 킹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상기 내곽 끝단부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며, 내경부는 상기 유로 통로의 내벽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고정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상기 관 본체의 유로 통로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의 내경부에 지지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방지용 내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본적으로 부식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둘째,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셋째,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 방지용 내부관의 분리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관 본체를 재활용할 수 있다.
넷째,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돗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다섯째, 계량기와 연결단관 및 스트레이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부품의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도 면상에 종래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되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본체와, 이 관 본체의 양단부에 외면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유로 통로 내벽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의 관 본체(60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계량기(100), 스트레이너(300), 상기 계량기(100)와 상기 스트레이너(2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단관(400)의 각각을 구성하는 본체(110)(310)(400)를 의미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즉, 계량기(100)와 스트레이너(300) 및 연결 단관(400)을 구성하는 본체(110)(310)(400)의 외관 형상 및 내부 구조는 조금씩 상이하기는 하지만,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구성과,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는 구성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량기(100)와 스트레이너(300) 및 연결단관(400)의 외관 형상에 맞게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구성과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의 구성을 가진 관본체로부터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설계 사항 없이 변경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본체(600)와, 이 관 본체(600)의 양단부에 외면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공(611)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610)와,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유로 통로 내벽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부식 방지수단은, 상기 체결공(611)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 (610)각각의 외곽 끝단부면(612)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613)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안착홈(613A) 및 상기 제1 안착홈(613A)의 외곽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착홈(613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안착홈(613A)과 제2 안착홈(613B)은 계단 형상으로 연속되게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수단은, 상기 제1 안착홈(613A)에 삽입되는 패킹링(62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수단의 다른 구성으로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된 내식성 재질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이 있다.
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의 일측부는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610) 각각의 제2 안착홈(613B)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링(620)을 압착하면서 상기 내곽 끝단부면(613)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상기 내곽 끝단부면(613)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며, 내경부는 상기 유로 통로의 내벽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 결수단(633)의 일례인 볼트에 의해 상기 내곽 끝단부면(613)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수단의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관 본체(600)의 유로 통로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610)의 제2 안착홈(613B)에 삽입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의 내경부에 지지되는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된 내식성 재질의 부식방지용 내부관(640)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관(600)은 양쪽에 모두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사이에 계량기(100)와 연결단관(400) 및 스트레이너(300)를 연결하는 순서와 동일하게 3개를 배치하여 상호 인접하는 플랜지부(610)의 체결공(611)을 관통하여 볼트(미도시)로써 연결 설치하게 되면, 서로 인접하는 부식 방지관(600) 사이에는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이 서로 상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고무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내식성을 갖는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을 사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위 상수도 배관(200)에 인접하는 부식 방지관(600)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은 단위 상수도 배관(20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과 접촉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고무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내식성을 갖는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을 사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위 상수도 배관(200)에 인접하는 부식 방지관(600)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은 단위 상수도 배관(200A)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A)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고무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내식성을 갖는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을 사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과 단위 상수도 배관(200A)에 형성된 내곽 끝단부면(213A)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 본체(610)의 내부에 내식성 재질의 부식방지용 내부관(64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돗물등의 유체에 의한 부식 방지 기능을 달성하여, 위생적으로 깨끗한 수도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부식방지용 내부관(640)과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은 그 장착 및 분리 방법이 종래와 달리 코팅 공법 또는 라이닝 공법을 이 용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 과정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거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관 본체(610)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식 방지관을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 사이에 계량기(100)와 연결단관(400) 및 스트레이너(300)를 구성하는 본체와 동일하게 제작하여도 기본적으로 유로 통로 및 체결공(611)을 갖는 플랜지부(610), 부식 방지수단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부식 방지관을 구성하는 부식 방지용 내부관(640)을 관 본체(600)의 내부로 삽입하기 전에 계량기(100) 및 연결단관(400) 및 스트레이너(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 요소에 맞게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계량기(100)에 부식 방지용 내부관(600)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센서(180)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 하우징(181)이 유로 통로 내부에 위치하도록 통공을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연결단관(400)의 경우에는 부식 방지용 내부관(640)을 별도로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스트레이너(300)의 경우에는 여과망부재(320)의 삽입 설치가 용이하도록 변경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610)의 외곽 끝단부면(612)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부(631)가 더 형성되고, 이 연장부(631)에는 상기 체결공(611)에 대응되는 연통공(631A)이 관통 형 성된다.
여기서, 연통공(631A)은 전술한 볼트가 결합되는 구멍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에 연장부(631)를 더 형성함에 따라 부식 방지관을 구성하는 관본체(600)와 이웃한 다른 관본체(600)간의 플랜지부(610)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되며, 이로 인해 이 공간에서 생기는 플랜지부(6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식 방지관을 구성하는 관본체(600)와 이웃한 다른 단위 상수도 배관(200)(200A)의 플랜지부(610)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게 되며, 이로 인해 이 공간에서 생기는 플랜지부(6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부식 방지관을 구성하는 관본체(600)의 재질을 동종의 재질로 하는 경우에는 부식이 잘 발생되지 않으나 서로 다른 재질인 경우, 즉 한쪽은 SUS(텡스텐) 재질이고 다른 한쪽은 주철 재질인 경우에 부식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부식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630)에 연장부(631)를 더 형성하여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부식 발생 여견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위 상수도 배관 사이에 계량기, 연결 단관 및 스트레이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상수도 배관 사이에 부식 방지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관 본체
610 : 플랜지부
611 : 체결공
612 : 외곽 끝단부면
613 : 내곽 끝단부면
613A : 제1 안착홈
613B: 제2 안착홈
620 : 패킹링
630 :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
633 : 체결수단
640 : 부식 방지용 내부관

Claims (5)

  1.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로 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양단부에 외면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체결공이 외곽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유체에 의해 상기 유로 통로 내벽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식 방지수단은,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부 각각의 외곽 끝단부면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내곽 끝단부면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외곽에 상기 유로 통로를 중심하여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착홈과;
    상기 제1 안착홈에 삽입되는 패킹링과;
    일측부는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 각각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밀착되고, 타측부는 상기 내곽 끝단부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며, 내경부는 상기 유로 통로의 내벽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내곽 끝단부면에 고정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상기 관 본체의 유로 통로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의 제2 안착홈에 삽입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의 내경부에 지지되는 내식성 재질의 부식방지용 내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과 제2 안착홈은 계단 형상으로 연속되게 단차지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 끝단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용 가스켓링과 부식방지용 내부관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는 계량기, 스트레이너, 상기 계량기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단관의 각각을 구성하는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관.
KR1020070117285A 2007-11-16 2007-11-16 부식 방지관 KR10091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285A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7-11-16 부식 방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285A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7-11-16 부식 방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695A true KR20090050695A (ko) 2009-05-20
KR100919282B1 KR100919282B1 (ko) 2009-09-30

Family

ID=4085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285A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7-11-16 부식 방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84B1 (ko) * 2011-12-06 2012-10-29 유상열 부식방지관의 제조 방법
KR101227943B1 (ko) * 2012-02-01 2013-01-30 유주현 부식 방지관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20-05-07 이상무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102079671B1 (ko) 2019-07-01 2020-02-20 이상무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507A (ko) * 2002-03-30 2003-10-08 이도연 프레스 성형으로 가공한 중,대형 배관이음용 커플링
JP2006200550A (ja) * 2005-01-18 2006-08-03 Maitec:Kk フランジおよびフランジを備えたパイプ
KR100637536B1 (ko) * 2005-07-05 2006-10-23 변무원 통수로용 복합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282B1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169B2 (en) Flangeless magnetic flowmeter with integrated retention collar, valve seat and liner protector
US8668206B2 (en) Face seal gasket
EP3198239B1 (en) Magnetic flowmeter flowtube assembly with spring-energized seal rings
US7412901B2 (en) Magnetic-inductive flow meter with a grounding disk
KR100919282B1 (ko) 부식 방지관
EP0895066B1 (en) Electromagnetic flow sensor and assembly method
US8429983B2 (en) Insertion type flow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flow within a pipe
CA2437628A1 (en) Flowmeter
CN101512301B (zh) 磁感应流量计
AU2002228232A1 (en) Flowmeter
US20120118073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or mass-flow of a medium in a pipeline
EP2350574B1 (en) Vortex flowmeter body with a groove in the backward facing surface
KR101227943B1 (ko) 부식 방지관
CA2582218C (en) Water meter idler bar
KR101195484B1 (ko) 부식방지관의 제조 방법
US6389909B1 (en) Flowmeter mounted with U-shaped bracket and clamping device
JP2009063546A (ja)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KR100954126B1 (ko) 수도계량기
MY150360A (en) Consumption meter for liquids
KR200340199Y1 (ko) 수도계량기의 연결용 봉인너트
JP6428239B2 (ja) 電磁流量計
KR101212712B1 (ko) 원통 터널식 밸브실
ZA200208941B (en) Flowmeter.
KR101805308B1 (ko) 수도계량기용 합성수지 연결관의 연결구조
KR101424041B1 (ko) 유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