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671B1 -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 Google Patents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671B1
KR102079671B1 KR1020190078577A KR20190078577A KR102079671B1 KR 102079671 B1 KR102079671 B1 KR 102079671B1 KR 1020190078577 A KR1020190078577 A KR 1020190078577A KR 20190078577 A KR20190078577 A KR 20190078577A KR 102079671 B1 KR102079671 B1 KR 10207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llecting device
iron
laminated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무
박대호
Original Assignee
이상무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무, 박대호 filed Critical 이상무
Priority to KR102019007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관로 상에 입출수구가 맞물려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의 내실을 개폐하는 캡에 설치되어 상기 내실에서 철분을 포집하는 철분포집장치로, 이 철분포집장치는 상기 캡에 분리 가능하게 밀폐결합하는 커넥터의 수용단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한 자석케이스의 일측인 개방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자석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타측인 포집단부에 수용배치되는 기저자석의 상측으로 스페이서를 사이로 적층자석이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어 수용되되, 상기 각 적측자석은 자기력선의 밀도가 가장 큰 자석의 끝부분인 양극단이 원주방향을 향해 일렬대향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시킨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Magnetic capture iron equipment for various kinds of strainer}
본 발명은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관로 상에 입출수구가 맞물려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의 내실을 개폐하는 캡에 설치되어 상기 내실에서 철분을 포집하는 철분포집장치로, 이 철분포집장치는 상기 캡에 분리 가능하게 밀폐결합하는 커넥터의 수용단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한 자석케이스의 일측인 개방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자석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타측인 포집단부에 수용배치되는 기저자석의 상측으로 스페이서를 사이로 적층자석이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어 수용되되, 상기 각 적측자석은 자기력선의 밀도가 가장 큰 자석의 끝부분인 양극단이 원주방향을 향해 일렬대향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시킨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을 포함한 배관의 신설 공사 및 보수공사에서 쇳가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노후 배관에서는 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쇳가루 및 녹은 자연스럽게 관로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사 후 및 사용중인 관 내에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잔류하지 않도록 퇴수조치를 철저히 하고 있다.
그런데, 쇳가루는 그 비중이 7.83 정도로 매우 높아 관로 내부의 이음부 등에 잔류하고 있다가 물의 유동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중요 배관 부품까지 흘러가게 된다. 즉, 상수도관의 경우 쇳가루는 대형 수도계량기의 중요부분에 해당하는 임펠러의 회전부를 거쳐 지침부의 전달매체인 자석부에 부착되어 계측오류(슬립 등)를 발생시키거나, 심할 경우에는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출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업용의 경우 펌프 및 솔레노이드 등의 주요 부품의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고장을 유발하고 녹물 발생으로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배관 등의 임의 개소에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 장치인 스트레이너가 설치된다.
종래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여과망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중간의 여과기삽입구 및,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유출구로, 이러한 상기 3개의 입출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중간 여과기삽입구 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여과망을 설치하여, 유입구 측으로 유입된 유체를 중간 여과기삽입구 내의 원통형 여과망 내부를 거치면서 유체에 포함된 산화철이나 미세 부유물 등의 이물질들을 걸러준 다음 유출구로 배출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가 관로 후방으로 공급됨으로써, 관로 후방에 설치된 밸브류나 모터 등 작동기기의 상기 이물질의 흡착에 의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장치에 대해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20-1989-0012723(공개일 1989.08.07) '스트레이너장치' 및 국내 등록특허 10-1195200(등록일 2012.10.22)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에서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은 상기 여과기삽입구에 길다란 1개의 자석을 삽입배치하거나, 또는 지지대 상에 일렬로 서로 밀착하는 다수개의 자석을 삽입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각종 상수도공사 등으로 인해 상수도관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해 대형 수도계량기의 전단에 스트레이너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10-0919282(등록일 2009.09.21) '부식 방지관', 국내 등록특허 10-0919816(등록일 2009.09.24)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및 국내 등록특허 10-0485303(등록일 2005.04.15) '상수도용 스트레이너장치'를 비롯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835(공개일 2009.05.20)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등에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선행기술들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있을 뿐, 대형 수도계량기 및 배관 부품에 장애요인인 미세한 쇳가루 등이 대형 배관 부품 쪽으로 유입되기 전에 수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미세한 쇳가루 등이 배관 부품 쪽으로 유입되기 전에 사전에 수집하여 그 공급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대형 배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20-1989-0012723(공개일 1989.08.07) 국내 등록특허 10-1195200(등록일 2012.10.22) 국내 등록특허 10-1880203(등록일 2018.07.13) 국내 등록특허 10-0919282(등록일 2009.09.21) 국내 등록특허 10-0919816(등록일 2009.09.24) 국내 등록특허 10-0485303(등록일 2005.04.15)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835(공개일 2009.05.2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방식이나 선행기술의 장단점이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채택하되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 간결한 구조이면서도, 기술적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배관 부품에 쇳가루 등의 철분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배관 부품의 성능유지 및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고장률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 및 철분을 포집하는 내실을 개폐하는 캡 상에 철분포집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본적인 스트레이너인 Y형은 물론 U형, T형 및 Ω형 등 각종 스트레이너에 모두 사용 가능한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로 적층되는 자석과 자석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워 적층되는 복수의 자석간에 자력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하되, 각 자석 중 자기력선의 밀도가 가장 커 철분이 가장 많이 달라붙는 자석 끝 부분인 양극단이 일렬로 배치되어 철분포집장치의 원주방향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는 관로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이 설치된 내실의 양쪽으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실을 개폐하는 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 내에서 철분을 포집하는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구비한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는, 상기 캡에 분리가능하게 밀폐결합하는 커넥터의 수용단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한 자석케이스의 개방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자석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개방단부의 반대쪽 단부인 포집단부에 수용배치되는 기저자석의 상측으로 스페이서를 사이로 적층자석이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어 수용되되, 상기 각 적층자석은 자기력선의 밀도가 큰 자석의 끝 부분인 양극단이 원주방향을 향해 일렬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적층자석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수단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고정배치되는 상기 적층자석은 양극단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적층교차 배치되어 상기 자석케이스에 수용된 후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수용단부에는 단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홈에 수용지지되어 상기 적층자석 및 상기 기저자석을 상기 자석케이스의 포집단부를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계량기, 펌프, 솔레노이드 등 배관 부품에로의 도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배관 부품의 성능유지 및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고장률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장점뿐만 아니라, 철분을 비롯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녹물이 제거된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분포집장치는 스트레이너의 내실을 개폐하는 캡 상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스트레이너인 Y형은 물론 U형, T형 및 Ω형 등 각종 스트레이너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자력의 크기를 증대시키기 위해 기저자석 상측으로 배치되는 적층자석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입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적층자석은 자기력선의 밀도가 가장 큰 자석의 끝 부분인 N극단과 S극단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자석케이스의 한 지름상에서 원주방향을 향해 일렬로 양극단이 대향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함께 개별 적층자석은 하나의 층에 배치된 적층자석의 양극단이 다른 층에 배치된 적층자석의 양극단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적층배치한다. 이로 인해, 자석케이스의 표면에는 수용된 자석의 가장 강한 자기력선이 배치되므로, 철분의 포집효율이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자석과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가 Y형 스트레이너에 적용된 개념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가 Ω형 스트레이너에 적용된 개념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부분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 2를 기준으로 철분포집장치(100)에서 커넥터(110) 부분을 상측(방향)으로 하고, 자석케이스(120) 부분을 하측(방향)으로 하고, 양쪽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100)는 물, 증기, 가스 및 공기압 등의 순환 회로 또는 오픈 회로인 각종 유체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 상의 철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철분포집장치(100)로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은 스트레이너(10)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입구(11) 및 유출구(12) 사이인 내실(13)에서 철분을 포집할 수 있도록 캡(15) 상에 분리가능하게 밀폐설치된다. 상기 내실(13)에는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14)이 설치되며, 상기 철분포집장치(100)는 상기 여과망(14)의 안쪽 공간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철분포집장치(100)는 커넥터(110), 자석케이스(120), 기저자석(130), 적층자석(140), 스페이서(150) 및 결속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110)는 스트레이너(10)의 캡(15) 상에 상기 철분포집장치(100)를 분리 가능하게 밀폐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110)의 일단에는 캡(15)에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1)가 구비되고, 이어서 상기 캡(15)에 나선결합하는 캡나선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1)와 상기 캡나선결합부(112)의 사이에는 링홈부(113)가 형성되는데, 이 링홈부(113)에는 캡(15)과 커넥터(110)의 밀폐를 담보하는 밀폐링(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10)의 타단으로는 수용단부(115)가 형성되는바, 이 수용단부(115)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개방단부(121)와 나선결합한다.
상기 커넥터(110)의 손잡이(111)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출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길이방향이 좌우로 향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형성된 상기 손잡이(111)의 폭방향 중간부분에는 보조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공(111a)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철분포집장치(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손잡이(111)의 폭방향 한쪽 면에서 대향하는 다른 한쪽 면을 향해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철분포집장치(100)의 길이방향에 동일축으로 홈의 형태로 파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손잡이(111)의 보조공(111a)은 상기 커넥터(110)가 상기 캡(15)에 분리 및/또는 결합할 때, 사용자의 손힘에 의해 분리결합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상기 보조공(111a)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상기 철분포집장치(100)를 상기 캡(15)으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110)의 수용단부(115)에는 안쪽으로 움푹 파인 단부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케이스(120)는 내부공간(122)과, 이 내부공간(122)을 개방하는 개방단부(121) 및 상기 개방단부(121)의 반대쪽 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22)을 폐쇄하는 포집단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2)을 개방하는 개방단부(121)에는 상기 커넥터(110)의 수용단부(115)에 형성된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자석케이스(120)를 상기 커넥터(1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결합시킨다.
상기 기저자석(130)은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공간(122)에 수용되어 내부공간(122)의 가장 하측인 상기 포집단부(123)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저자석(130)은 양극단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기저자석(130)의 양극단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면, 자기력선의 밀도가 가장 커 가장 많은 철분을 포집할 수 있는 자석의 끝 부분이 상기 포집단부(123) 전체에 걸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포집단부(123)에서 포집할 수 있는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단부(123)의 포집면적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포집단부(123)의 형태를 호형(弧形)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상기 포집단부(123)가 호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포집단부(123)에 접하는 상기 기저자석(130)의 한쪽 극단도 포집단부(123)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기저자석(130)은 상기 포집단부(123)에 접하는 한쪽 극단의 반대쪽인 다른 한쪽 극단 중앙에는 기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홈(131)에는 후술할 결속수단(160)의 일단이 안착되어 수용되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결속수단(160)인 볼트(160a)의 헤드부가 상기 기저홈(131)에 수용된다.
상기 적층자석(140)은 상기 기저자석(130)의 상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적층(積層)하여 구성되되, 각 적층자석(140)의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15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자석(140) 및 상기 스페이서(150)의 중앙에는 관통공(141,152)이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141,152)을 관통하여 결속되는 결속수단(160)에 의해 적층자석(140) 및 스페이서(150)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일렬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결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자석(140,140') 및 상기 스페이서(150,150')는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160)은 공지된 다양한 결속수단(160)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볼트(160a)와 너트(160b)이다.
상기 적층자석(140)은 자석의 끝 부분인 양 극단이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지름을 따라 일렬로 원주방향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적층자석(140,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 극단이 자석케이스(120)의 둘레벽을 향해 일직선상에서 좌우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적층자석(140)의 양 극단이 좌우로 일렬배치되면, 자석에서 밀도가 가장 커 자기력선이 최대인 자석의 끝 부분을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공간(122) 둘레벽에 근접하도록 배치시켜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철분포집이 상기 기저자석(130)에 의해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포집단부(123)에서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넘어, 자석케이스(120) 전체에 걸쳐 철분포집의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100)는 다양한 스트레이너(10)에 적용하여 철분포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4와 같은 Y형 스트레이너(10)에서는 철분포집장치(100)의 포집단부(123)가 집중적으로 관로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상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포집단부(123)에서 철분포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도 5와 같은 Ω형 스트레이너(10)에서는 철분포집장치(100)의 자석케이스(120) 전체가 관로 상에 노출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자석케이스(120)의 포집단부(123)는 물론 자석케이스 전체에 걸처 철분포집이 극대화된 철분포집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바, 자석에서 밀도가 가장 커 자기력선이 최대인 자석의 끝 부분을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공간(122) 둘레벽에 근접하도록 적층으로 배치하여 자석케이스(120) 전체가 철분 포집효율이 극대화된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100)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적층자석(140)의 형태는 도 1 및 도 3a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되 직육면체의 길이방향 양쪽 면은 원통형인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 둘레면에 대응하여 호형(弧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적층자석(140')은 직육면체가 아닌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150)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적층자석(140)이 접촉고정되는바, 이 적층자석(140)들의 양극단이 일정방향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50)의 상하면에는 각각 고정부(151)가 설치된다. 상기 적층자석(140)들은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공간(122)에 수용되었을 때, 자석케이스(120)의 외부 둘레면 전체에 고르게 자기력을 발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적층되는 적층자석(140)들은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중앙을 연결하는 일직선이 특정방향을 향할 경우, 그 위 또는 아래로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은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방향인 특정방향의 일직선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해야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중앙을 연결하는 특정방향인 일직선이, 상기 다른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중앙을 연결하는 다른 일직선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적층자석(140)들의 자기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상기 자석케이스(120)를 통해 외부로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50)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각 고정부(151)는 상하면에 접촉고정되는 상기 적층자석(140)들 간에 서로의 양극단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스페이서(150)의 상하면에 구비되는 각 고정부(151)도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150)의 고정부(151)는 도 1과 같이, 스페이서(150)의 상하면의 각 면 테두리에 한 쌍으로 고정부(15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고정부(151)는 하나의 적층자석(140)에서 양극단의 중앙을 연결하는 일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상하면 각 쌍의 고정부(151)는 서로의 쌍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되는 도 1의 고정부(151)와는 다르게, 상기 고정부(151)는 한 쌍이 아닌 단일 돌출 형태인 도 3a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0)의 중앙에는 상기 결속수단(160)인 볼트(160a)가 관통하는 관통공(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60a)에는 적층자석(140)과 스페이서(150)가 순차적으로 끼워지는데 이 과정에서 볼트(160a)에 의해 적층자석(140)은 스페이서(150)를 벗어나지 않도록 대략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다만, 볼트(160a)에 끼워진 적층자석(140)은 볼트(160a)를 축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므로, 적층자석(140)의 양극단이 일정방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축회전을 통제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 3a와 같이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140)에서 양극단의 중앙을 연결하는 일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스페이서(150)의 한쪽 면에 하나의 고정부(151)를 형성하고, 스페이서(150)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하나의 고정부(151)와 스페이서(150)의 관통공(152)을 잇는 연결선과 수직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고정부(151)를 설치하면 된다.
상기한 도 1 및 도 3a에 예시된 상기 스페이서(150)는 직육면체 형태의 적층자석(140)를 접촉고정함에 적합하다. 이때, 상기 적층자석(140)은 직육면체의 길이방향 양단이 자석의 양극단이 된다. 그리고 직육면체의 폭방향이 상기 스페이서(150)의 고정부(151)에 걸림지지되어 상기 결속수단(160)인 볼트(160a)를 축으로 축회전이 저지된체 적층자석(140)의 양극단을 일정방향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직육면체 형태의 적층자석(140)에서는 폭방향이 고정홈부(142)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3b는 상기 적층자석(140')의 형태가 짧은 원기둥 형태일 경우에 적합한 스페이서(15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적층자석(140')이 상기 자석케이스(120)에 수용되어 최대의 자기력을 발산하기 위해서 상기 적층자석(140')은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자석케이스(120)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적층자석(140') 또한 원통에 수용 가능한 최대 면적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됨이 마땅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부(151)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150')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에 고정부(151)가 하나 또는 한 쌍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51)가 한 쌍으로 돌출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스페이서(150')의 관통공(152)을 기준으로 한 쌍의 고정부(151)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형성된 상기 고정부(151)에 대응하여 상기 적층자석(140')에는 고정홈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부(142)는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중앙을 연결하는 일직선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일직선과 수직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철분포집장치(100)는 커넥터(110)에 자석케이스(120)가 나사결합하되, 상기 자석케이스(120)의 내부공간(122)에는 자석케이스(120)의 하단인 포집단부(123)에 접촉하여 철분을 포집하는 기저자석(130)과, 이 기저자석(130)의 상측으로 스페이서(150)를 사이로 적층자석(140)이 결속수단(160)인 볼트(160a)와 너트(160b)로 체결되어 수용된다.
이때, 복수로 결속수단(160)에 체결되는 하나의 적층자석(140)은 원통형 자석케이스(120)의 지름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을 향해 양극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140)과 스페이서(150)를 사이로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은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140)의 양극단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고정 된다. 이러한 적층자석(140) 간의 특정한 위치고정은 스페이서(150)에 구비된 고정부(151)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부(151)는 스페이서(150)의 상하면 양쪽에 구비되되, 스페이서(150)의 관통공(152)을 기준으로 상하면의 고정부(151)가 서로 수직방향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결속수단(160)에 의해 체결되는 적층자석(140) 및 스페이서(150)의 자석조립체와 기저자석(130)이 자석케이스(120)의 하부를 향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자석조립체의 최상단 적층자석(140)과 커넥터(110)의 수용단부(115)에 형성된 단부홈(116)에는 탄성수단(1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170)은 공지된 다양한 탄성수단(170)이 적용될 수 있는바, 바람직한 탄성수단(170)은 탄성스프링이다.
10: 스트레이너 11: 유입구
12: 유출구 13: 내실
14: 여과망 15: 캡
100: 철분포집장치 110: 커넥터
111: 손잡이 111a: 보조공
112: 캡나선결합부 113: 링홈부
114: 밀폐링 115: 수용단부
116: 단부홈 120: 자석케이스
121: 개방단부 122: 내부공간
123: 포집단부 130: 기저자석
131: 기저홈 140, 140': 적층자석
141: 관통공 142: 고정홈부
150, 150': 스페이서 151: 고정부
152: 관통공 160: 결속수단
160a: 볼트 160b: 너트
170: 탄성수단

Claims (4)

  1. 관로 내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이 설치된 내실의 양쪽으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실을 개폐하는 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 내에서 철분을 포집하는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를 구비한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철분포집장치는, 상기 캡에 분리가능하게 밀폐결합하는 커넥터의 수용단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한 자석케이스의 개방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자석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개방단부의 반대쪽 단부인 포집단부에 수용배치되는 기저자석의 상측으로 스페이서를 사이로 적층자석이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되어 수용되되,
    상기 적층자석은 자기력선의 밀도가 큰 자석의 끝 부분인 양극단이 원주방향을 향해 일렬로 대향 배치되어 특정방향성을 갖되,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의 특정한 양극단 방향이 상기 스페이서를 사이로 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적층자석의 특정한 양극단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갖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면에는 각각 고정부를 설치하여 상기 철분의 포집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자석이 상하면에 각각 접촉고정되는 상기 스페이서에는, 접촉고정되는 상기 하나의 적층자석의 양극단 방향과 다른 하나의 적층자석의 양극단 방향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수용단부에는 단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홈에 수용지지되어 상기 적층자석 및 상기 기저자석을 상기 자석케이스의 포집단부를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단부의 반대편 단에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에는 보조공을 구비하여, 상기 철분포집장치와 상기 캡의 분리결합시 상기 보조공에 도구를 꽂아 지렛대의 원리로 분리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KR1020190078577A 2019-07-01 2019-07-01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KR10207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77A KR102079671B1 (ko) 2019-07-01 2019-07-01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77A KR102079671B1 (ko) 2019-07-01 2019-07-01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71B1 true KR102079671B1 (ko) 2020-02-20

Family

ID=6964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77A KR102079671B1 (ko) 2019-07-01 2019-07-01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7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723U (ko) 1987-12-26 1989-08-07 주식회사 금성사 스트레이너장치
KR960004127U (ko) * 1994-07-07 1996-02-14 유명수 차량용 엔진오일 여과기
JPH09228897A (ja) * 1996-02-22 1997-09-02 Nippon Carbureter Co Ltd 気体燃料フイルタ
KR100485303B1 (ko)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US20070262028A1 (en) * 2006-05-12 2007-11-15 The Le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agnetically filtering fluids
KR20090004835U (ko) 2007-11-16 2009-05-20 김정춘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9-10-01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JP2010279887A (ja) * 2009-06-03 2010-12-16 Keihin Hi-Flo Sales Co Ltd ストレーナ装置
KR101195200B1 (ko) 2012-04-30 2012-10-29 서울특별시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KR101880203B1 (ko) 2016-11-21 2018-07-20 홍민주 화학약품 유체 배관용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723U (ko) 1987-12-26 1989-08-07 주식회사 금성사 스트레이너장치
KR960004127U (ko) * 1994-07-07 1996-02-14 유명수 차량용 엔진오일 여과기
JPH09228897A (ja) * 1996-02-22 1997-09-02 Nippon Carbureter Co Ltd 気体燃料フイルタ
KR100485303B1 (ko) 2004-04-28 2005-04-28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US20070262028A1 (en) * 2006-05-12 2007-11-15 The Le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agnetically filtering fluids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9-10-01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20090004835U (ko) 2007-11-16 2009-05-20 김정춘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919282B1 (ko) 2007-11-16 2009-09-30 유상열 부식 방지관
JP2010279887A (ja) * 2009-06-03 2010-12-16 Keihin Hi-Flo Sales Co Ltd ストレーナ装置
KR101195200B1 (ko) 2012-04-30 2012-10-29 서울특별시 상수도용 자석부착형 스트레이너
KR101880203B1 (ko) 2016-11-21 2018-07-20 홍민주 화학약품 유체 배관용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1402A (zh) 中央供热系统的磁过滤器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GB2414423A (en) Housing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filter cartridge
CN107889473A (zh) 具有排水和可拆卸外部磁性元件的磁性过滤器
GB2491361A (en) Magnetic filter apparatus
EP25813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ions
EP2766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ions
KR102079671B1 (ko)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CN111744268A (zh) 一种井下供水管路过滤装置
CN217247333U (zh) 用于集中供暖和/或制冷系统的过滤器
KR20050061507A (ko) 디젤엔진 연로를 위한 마그네틱 컨디셔닝 장치
CN211552550U (zh) 一种具有防结垢功能的板式换热器
CN210186585U (zh) 一种石化油泥清洗过滤系统
CN212055955U (zh) 一种新型水处理滤水龙头
CN102773019B (zh) 过滤罐
KR20100012693U (ko) 자화수 제조장치
CN210251439U (zh) 陶瓷膜过滤器
JP2008114119A (ja) イオン交換装置
CN215675827U (zh) 一种锅炉用循环节水装置
CN219442038U (zh) 一种流体除铁器
CN220443299U (zh) 一种前置滤水装置
CN211946657U (zh) 一种冷却水管道过滤装置
CN213982096U (zh) 一种具有防冲击设计的球阀
CN214495773U (zh) 一种过滤器
CN110953037B (zh) 一种机油滤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